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문학과 문학적 세계 1 -국내 세계문학 담론의 수용 양상과 세계체제론

        이은정 ( En-jung Lee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5 No.-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계는 국가 간의 경계가 자본의 순환에 의해서 무너지고 지구라는 하나의 단일 시장으로 통합되어 가고 있다. 세계문학 담론의 등장과 이를 둘러싼 지역연구와 다양한 학제간 연구의 발달은 한 편으로는 지구적 평등성을 실현하기 위한 모색이라고 여겨질 수도 있지만, 다른 단편으로는 세계시장을 위한 문화자본의 성격을 띠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세계문학’에 대한 국내학자들의 논의가 어떤 흐름을 갖고 있으며, 자국문학과의 관계에서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그리고 괴테의 ‘세계문학’ 구상을 당시의 시대적인 변화와 문화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그것의 함의가 순전한 세계주의나 평화주의로만 해석될 수 없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의 세계문학 담론이 우월적인 서구문학의 통찰과 승인을 여전히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닌지, 타자로서의 서양에 대한 선망이라는 이국취향을 지니고 있지는 않은지 지적해 볼 것이다.)마지막으로 최근 국내에서 주목받고 있는 파스칼 카사노바와 프랑코 모레티의 세계문학체제론이 지니는 위험성을 지적해 볼 예정이다. 특히 모레티가 주장하는 진화론적 모델은 사회진화론과 결합한 제국주의적 세계이해라는 점에서 문학을 인간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자본의 역학관계로 치환함으로써 특정 문화적 중심국들의 지구적인 패권정치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뿐이라는 점도 지적할 것이다. Today, the world we live in integrated into a single global market and borders between nations are collapsed by the capital circulation. Appearances of world literature theories, area studies and diverse interdisciplinary studies are, on the one hand, considered as a attempt to accomplish global equality, but the other hand, they hav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apital for world market. In these respects, my study exams influences of Goethe``s world literature concept on korean literature discourse and how much domestic discussions on world literature depend on Core rhetoric of the Western Canon as a basis for guarantee their legitimacy. In this, I point out that world literature discourse in domestic studies is still looking for superior western literature``s discernment and approbation and has an envy to resemble the western as an exotic other. Also world literature discourse in domestic studies summarize two ways, one way is political acquisition of rights and other is ethical hostility of the other. These two ways discussions have common desire to be integrated to the west-centric world literature topography, and thus they more focused on external factors than literature itself. These problems expose the danger of re-approbation of itself as an exotic other. In last, this study points out the risk of theories of world literary systems or world republic of letters in Franco Moretti and Pascale Casanova. In particular, Moretti``s Darwinian bricolage is 21 century version``s imperialistic world-understanding combining with social Darwinism by substituting literature as an human act with cultural capital. Thus it just help to reinforce the system of capitalism and power politics of U.S. hegemony in to the world.

      • KCI등재

        세계문학과 로컬적 코즈모폴리터니즘

        김용규(Kim, Yong-gyu)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코기토 Vol.- No.93

        최근 들어 코즈모폴리터니즘에 대한 새로운 해석들이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런 해석들을 세계문학에 적용할 경우, 세계문학의 이론적 발전을 이룰 중요한 성찰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기존의 세계문학론과 코즈모폴리터니즘 모두 유사한 문제점과 한계에 봉착해 있다. 기존 세계문학론에서 로컬 대 글로벌, 지역문학 대 세계문학, 주변부 문학 대중심부 문학의 이분법과 그 이분법의 전제가 되는 서구중심주의가 암묵적으로 전제되어있다면, 기존 코즈모폴리터니즘에서도 로컬과 글로벌, 민족과 세계, 시골과 도시 간의 이분법이 강력하게 작용해왔다. 세계문학과 코즈모폴리터니즘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정의를 위해서는 이런 전제들에 대한 비판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 등장하는 새로운 코즈모폴리터니즘들은 초국적인 것, 초민족적인 것, 초월적인 것, 엘리트적인 것, 보편주의적인 것을 지향하는 위로부터의 코즈모폴리터니즘에 맞서 로컬적인 것, 토착적인 것, 소수적인 것, 특수한 것을 강조하는 아래로부터의 코즈모폴리터니즘을 지지한다. 이러한 코스모폴리터니즘은 기존의 세계문학론과 달리 지역문학이나 민족문학을 세계문학으로 인식하는 데 유용한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글은 세계문학의 입장에서 민족문학이나 지역문학을 보는 것이 아니라 민족문학과 지역문학의 입장에서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생각하고자 한다. Recently, various interpretations of cosmopolitanism have been raised. If these interpretations are applied to the discussion of world literature, it is likely that we will be able to gain insightful reflection on the theoretical advance of world literature. Both the existing world literature theory and the existing cosmopolitanism face similar problems and limitations. Like the existing world literature theory, in which the dichotomy between the local and the global,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peripheral literature and central literature is implicitly premised, the dichotomy between the local and the global, the national and the cosmopolitan, the rural and the urban has strongly influenced on the existing cosmopolitanism. For a new understanding and definition of world literature and cosmopolitanism, it is necessary to try to criticize these premises. New emerging cosmopolitanism supports cosmopolitanism from below, which is local, indigenous, minor, and particular, against cosmopolitanism from above, which is oriented toward transnational, transcendent, elitist, universalistic culture. The new cosmopolitanism can provide a useful perspective for recognizing local literature or national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This article is not about seeing national literature or local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literature, but seeing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and local literature.

      • KCI등재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영향

        심선옥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lation patterns, trends and influence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It is a basic work for research that gave an overview of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from 1910 to the 1960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historical common experience, emotional similarities, cosmopolitanism, and universal culture are important in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This paper surveyed the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on literary magazines, poetry magazines, and books of publications in the 1970s and compiled it into a list.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are four major trend. First, Latin American and African poetry is the mainstream in translation, but translations to Middle East Asia and Southeast Asia are minimal. Second, the trend of translation has changed from Latin American poetry to African poetry and American black poetry. Third, They are classified by medium and the concept of world literature. One is the case of translation the Third World Literature is in order to introduce recent World Literature trends, and the other is the case of transl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Third World literature. Especially, These translated poetry used the method of resistance to the violent regime, Popular Literature, and realism in Korean literature. Lastly, This paper explained the reason why Pablo Neruda was a problematic text in the 1970s in Korea. His collection of poems was censored because he was a communist. Also,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wide trend of his poems at the level of criticism in Korea.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is that Korea has become a member of the Third World and has a common position and sense within the world system. 이 연구는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현황 및 당대 시단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1910~60년대까지 제3세계 번역시를 개관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한국 근현대시문학사에서 제3세계 시 번역의 기준으로 역사적 공통 경험과 정서적 유사성, 그리고 ‘세계성’과 ‘보편적 교양’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1970년대 문예지, 시 전문지, 출판 시집 등을 대상으로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양상을 조사하고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70년대 제3세계 번역시의 경향, 번역 대상과 매체별로 시기적 변화양상과 의미를 분석하고 제3세계 문학론과 번역시의 관계, 제3세계 번역시가 한국시에 미친 영향 등을 검토하였다. 1970년대 제3세계 시의 번역 양상을 정리하면, 먼저, 번역 대상으로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시가 주류를 이루며 중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대한 번역은 미미한 편이었다. 시기적으로는 1971년 네루다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것을 계기로 라틴아메리카 시문학에 대한 관심이 확장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번역의 중심이 옮겨갔다. 매체별로는, 제3세계 문학에 대한 특정한 인식 없이 최근의 세계문학 동향을 다양하게 소개하는 과정에서 스페인, 남미, 인도, 중동남아 시를 번역하는 경우(『시문학』과 『세계의 문학』), 한국문학과 제3세계문학의 관계에 집중하여 번역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후자의 경우, 『문학사상』이 국내의 정치적 억압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저항문학의 관점에서 라틴 아메리카 시와 제3세계문학을 연재한 것, 동인지 『반시』가 ‘민중적 민족문학’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아프리카 시 번역을 연재한 것이 해당된다. 특히, 제3세계 문학과 민족문학을 통합하는 관점으로 ‘민중적 관점’과 ‘리얼리즘’을 주장하였던 백낙청, 구중서, 박태순의 제3세계문학론은, 제3세계 번역시의 중심이 라틴 아메리카문학에서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끝으로, 제3세계를 대표하는 시인 네루다가 1970년대 한국문학 장에서 ‘문제적 텍스트’가 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가 공산주의자라는 사실로 인해 『네루다시집』에 남아 있는 검열의 흔적은, 1970년대 네루다 시집 출판의 어려움뿐 아니라 이념적인 문학작품의 출판에 대해 엄혹했던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소개는, 서구 중심의 세계문학 개념에 대한 반성적 인식과 새로운 세계문학의 기준점을 마련했다는 점, 제3세계 문학과 한국문학이 세계사적 과제의 실현을 위한 연대를 모색했다는 점, 그리고 한국 시의 영역과 비평 언어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해방 후 순수 문단과 세계문학의 개념 : 김동리와 조연현을 중심으로

        김한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民族文化硏究 Vol.48 No.-

        이 논문에서 우리는 해방 이후 '순수문학론'의 전개 과정에서 '세계문학' 개념이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그것이 순수문학 개념 정립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피려 하였다. '세계문학'이 '순수문학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문제 삼기보다는 '순수문학론'이 자신의 논리를 세우기 위해 '세계문학'을 어떻게 동원하였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순수문학 주창자들에게 세계문학은 세계적 동시성을 가진 문학으로 사고되기 보다는 뛰어난 예술 작품, 시공을 초월한 문학적 가치를 가진 작품으로 정의되어 왔다. 이러한 세계문학 개념은 동양적 전통이나 현실과 거리를 둔 예술적 형식으로서의 문학을 정의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동원되었다. 과거의 작품으로서 현재에도 그 의미를 잃지 않는 '고전'이 문학의 전범이 되면서 우리 문학의 방향 역시 그것을 닮아야 한다는 주장이 자연스럽게 성립된 것이다. 순수문학론에서 세계문학, 즉 고전이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인간성 본질에 대한 탐구였기에 우리의 현재 문학도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는 본질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논리가 성립되었던 것이다. 세계문학을 다루는 김동리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세계적 동시성을 부정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다분히 좌익측 문학에 대한 대타 의식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우리 문학에서 세계적 동시성을 긴밀히 확보하고 있었던 것은 사회주의와 연관된 문학이었다. 정치적 현실에 민감하다보니 세계 정세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당연히 문학 경향도 거기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순수문학론에서 내세우는 세계문학은 세계적 동시성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오히려 '세계적 고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말하자면 현재의 문학정신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된 문학 정신을 말하는 셈이다. 조연현은 도스토에프스키를 만나 개인적으로 문학을 보는 시각을 확립해 나갔으며 순수문학론의 핵심인 '인생의 구극'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찾았다. 우리 문학 작품을 통해서가 아니라 외국문학을 통해 우리 문학론의 내용을 채우는 과정은 이후에게 자주 반복된다. 이후에 조연현은 김동리의 작품을 구극 혹은 궁극적 의미의 인간형을 창조한 작품으로 평가한다. 단순히 궁극을 차원을 넘어 그는 김동리 문학의 특징을 '허무에의 의지'라 정의한 바 있다. '도스토예프스키' 등의 외국 작가들에게도 이런 관점은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bserve how the concept of 'World Literature' has been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and what kind of role it has been having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pure literature. I'd rather focus on how 'the Theory of Pure Literature' took advantage of 'World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its own logic than argue what kind of effects of 'World Literature' on 'Pure Literature.' The advocates of pure literature have been made definition of world literature as not the literature which owns world simultaneity but the works which own literary valu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is kind of concept of world literature has been usefully taken advantage of as defining either oriental tradition or the literature which is far from reality. The 'canon' which is past work as well as currently meaningful has become literary models and it affects on the direction of our literature. The most conspicuous characteristic of Kim, Donglee's theory of world literature is that it negates world simultaneity. This attitude can be said as the result of countering consciousness against left literature. As a matter of fact, the literature which has owned world simultaneity in our literary history was socialistic literature. The world literature of national literature is far from world simultaneity. It has the meaning of "world canon." It tells not contemporary literary spirit but fixed literary spirit. Cho, Yeonhyun has established his own literary perspective encountering Dostoyevsky and found concrete examples of 'the end of life. 'The attitude of filling out our literary contents with not our literary works but foreign literary works has been recuperated as well. Cho, Yeonhyun appreciated Kim, Donglee's works as the works that created ontological human types. Furtheremore, he defined Kim's works as 'the will toward emptiness. 'These kinds of perspectives have been applied to foreign writers like Dostoyevsky without discrimination.

      • KCI등재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인식

        김태철(KIM, Tae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70

        본 논의는 소위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인식에 대한 개입이자 그 세계문학 논의의 일부가 되고자 한다. 중심논지는 세계문학이란 민족문학을 타자화하면서도 그 고유의 요소에 보편성을 부여하고자하는 비윤리적 시도로 이해하면서, 특히 이론이후에는 오늘날 전방위적으로 일고 있는 문화적 전용의 한 유형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구체적 논의과정은 세계문학의 출발점에 있는 괴테와 마르크스·엥겔스, 그리고 이론이후 담론의 중심인 카사노바와 모레티의 인식이 드러내는 전용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다. 본 논의는 세계문학이 그 출발부터, 시대의 요구에 따라 외국문학을, 그리고 이념의 필요에 따라 문학 그 자체를 전용하는 장치에 다름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세계문학은 민족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모더니티 기획으로 등장하여, 자본주의 발달의 한 지표로 인식되다가, 이론이후 다시 소환돼 ‘세계문학 전회’를 이룬다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문학에 대한 새삼스런 관심도 여전히 민족문학의 타자의식이나 세계시장 인식의 연장선상에 놓임으로써 세계문학을 일종의 모더니티 담론으로 이끈다. 담론으로서의 세계문학은 이분법적 중심과 주변의 확산과 수렴 사이의 상호작용이란 인식이 논의의 축을 이룬다. 끊임없이 심화하는 모더니티 상황에서 제도로서의 세계문학은 비교문학이 역사주의적 반복충동을 이어가는 공간이자, 포스트식민주의 문학이 현재주의적 억압의 귀환을 실현하는 체제가 된다. 그러나 그런 인식은 신식민주의 시대에 식민종주국의 논리에 편승하여 세계 없는 세계문학을 지향함으로써 부지불식간에 지적 제국주의의 은밀한 기도에 동조하는 결과가 된다. 그럼에도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논의에는, 문화적 위기의 순간마다 당대 모더니티의 결을 거스르는 대항담론의 모습도 포착됨으로써, 비로소 전용에서 자유로운 탈체제화 및 탈공간화된 문학의 가능성, 즉 생동감의 세계문학 혹은 세계문학성을 언뜻 드러낸다. 괴테이래 대항모더니티 기획은 여전히 세계문학 담론의 중심인 것이다. This essay seeks to intervene in the after-theory discourse of the conception of world literature. It argues that world literature, invented as the alter of a national literature, is an umbrella concept under which to universalize the never-to-be-universal of foreign literature. Especially after theory, it becomes a type of cultural appropriation pervasive in every aspect of social life all over the world. This essay evaluates those claims to appropriation that Goethe and Marx and Engels made at the inception of world literature, and Casanova and Moretti elaborated on after theory. In retrospect, world literature initiated a project of modernity in the age of awakening national awareness, immediately transforming it into an index of the rising capitalist market. Now it has been summoned again in the age of the world market to make a turn to world literature. World literature as a discourse mainly comprises encounters or compromises between a centripetal core and a centrifugal periphery. At the same time, world literature after theory assumes a form of counter-discourse at another moment of cultural crises. This project of counter-modernity has also been central to world literature discourse since Goethe. In this discourse, it is to be free from appropriation when read for the world-literariness of my conception, that is, for the liveliness of literature in its de-systemisation and de-spatialisation. 본 논의는 소위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인식에 대한 개입이자 그 세계문학 논의의 일부가 되고자 한다. 중심논지는 세계문학이란 민족문학을 타자화하면서도 그 고유의 요소에 보편성을 부여하고자하는 비윤리적 시도로 이해하면서, 특히 이론이후에는 오늘날 전방위적으로 일고 있는 문화적 전용의 한 유형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구체적 논의과정은 세계문학의 출발점에 있는 괴테와 마르크스·엥겔스, 그리고 이론이후 담론의 중심인 카사노바와 모레티의 인식이 드러내는 전용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다. 본 논의는 세계문학이 그 출발부터, 시대의 요구에 따라 외국문학을, 그리고 이념의 필요에 따라 문학 그 자체를 전용하는 장치에 다름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세계문학은 민족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모더니티 기획으로 등장하여, 자본주의 발달의 한 지표로 인식되다가, 이론이후 다시 소환돼 ‘세계문학 전회’를 이룬다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문학에 대한 새삼스런 관심도 여전히 민족문학의 타자의식이나 세계시장 인식의 연장선상에 놓임으로써 세계문학을 일종의 모더니티 담론으로 이끈다. 담론으로서의 세계문학은 이분법적 중심과 주변의 확산과 수렴 사이의 상호작용이란 인식이 논의의 축을 이룬다. 끊임없이 심화하는 모더니티 상황에서 제도로서의 세계문학은 비교문학이 역사주의적 반복충동을 이어가는 공간이자, 포스트식민주의 문학이 현재주의적 억압의 귀환을 실현하는 체제가 된다. 그러나 그런 인식은 신식민주의 시대에 식민종주국의 논리에 편승하여 세계 없는 세계문학을 지향함으로써 부지불식간에 지적 제국주의의 은밀한 기도에 동조하는 결과가 된다. 그럼에도 이론이후의 세계문학 논의에는, 문화적 위기의 순간마다 당대 모더니티의 결을 거스르는 대항담론의 모습도 포착됨으로써, 비로소 전용에서 자유로운 탈체제화 및 탈공간화된 문학의 가능성, 즉 생동감의 세계문학 혹은 세계문학성을 언뜻 드러낸다. 괴테이래 대항모더니티 기획은 여전히 세계문학 담론의 중심인 것이다. This essay seeks to intervene in the after-theory discourse of the conception of world literature. It argues that world literature, invented as the alter of a national literature, is an umbrella concept under which to universalize the never-to-be-universal of foreign literature. Especially after theory, it becomes a type of cultural appropriation pervasive in every aspect of social life all over the world. This essay evaluates those claims to appropriation that Goethe and Marx and Engels made at the inception of world literature, and Casanova and Moretti elaborated on after theory. In retrospect, world literature initiated a project of modernity in the age of awakening national awareness, immediately transforming it into an index of the rising capitalist market. Now it has been summoned again in the age of the world market to make a turn to world literature. World literature as a discourse mainly comprises encounters or compromises between a centripetal core and a centrifugal periphery. At the same time, world literature after theory assumes a form of counter-discourse at another moment of cultural crises. This project of counter-modernity has also been central to world literature discourse since Goethe. In this discourse, it is to be free from appropriation when read for the world-literariness of my conception, that is, for the liveliness of literature in its de-systemisation and de-spatialisation.

      • KCI등재

        1930년대 세계문학담론의 수행적 구조와 해외문학기행의 정치성

        성현경(Sung, Hyun kyung) 구보학회 2012 구보학보 Vol.8 No.-

        이 글은 1930년대 세계문학 담론의 수행적 구조를 고찰하고, 나아가 세계성의 이념이 기행과 방문을 통해 직접적으로 경험되는 방식을 살핌으로써, 당대 세계문학 담론의 정치적 의미 가능성을 고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세계문학담론은 해외문학 수용의 문제로 간주되거나, 해외문학파라는 특정 정파의 인정투쟁 차원에서 접근되었다. 하지만 세계문학 담론은 진영을 막론한 조선 문단 전체의 협의 대상으로서, 그 논의의 수행성 자체를 하나의 성립조건으로 하고 있는 ‘규제적 이념’이었다. 세계문학 담론은 조선문학에 잠재된 세계성의 이념을 현실화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으며, 서구 중심의 일원론적 세계인식에 포섭되지 않기 위해, 자국문학에 대한 이해를 선행시킴으로써, 조선문학의 특수성을 해명하는 것으로 종합된 논제였던 것이다. 특히, 1930년대 해외문학기행은 특정한 네이션으로 귀속되지 않는 세계문학의 이념을 형성하게 하기 위한 경험적인 계기가 되었다. 즉, 해외문학 기행의 주체들은 미적 향유로써, 서구 중심의 세계인식을 문학적 차원에서 재편하고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performative structure of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in the 1930s, and furthermor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meaning in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of the day by examining the method that the idea of cosmopolitanism is directly experienced by travel and visit. Thus far,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has been regarded as a matter of acceptance of abroad literature, or approached in the level of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particular faction, Haewoimunhakpa (the School of Foreign Literature). However, as a target of the whole Joseon's literary world regardless of camps,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was the 'regulative idea' making it a condition of the performative of the argument. The discourse of world literature was to explore specific measures that enabled the idea of globality latent in Joseon literature to be realized and the integrated topic with an explanation of the particularity of Joseon literature by preceding the understanding of their own culture in order not to be captured by the Western-oriented monistically world perspective. In particular, abroad literature travels in the 1930s were experiential opportunities to form the idea of world literature that did not belong to a particular nation. In other words, the principal agent of abroad literature travel reorganized the Western-oriented world perspective in the cultural level as an aesthetic enjoyment.

      • KCI등재

        로컬리티의 재구성 : 조선/문학/전집의 사상

        박숙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6 No.-

        During the period of colonization, in the topography of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Joseon literature’ is either colonization literature or exotic literature. This mentality is an event and also concept that was brought about by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of Sinjosapan. At the moment that world literature becomes not the arithmetical sum of national literature but ‘represented’ to the ‘literature’ which represents the world, from the ‘world literature’, the division or strata of high or low class,center or margin, and inside or outside generate. In this, Joseon literature attempts to be assigned with its own position in the ‘world literature’. One is to become a legitimate part in the world literature entering the world literature on its own, and the other is to be assigned with a better position in it accepting the locality of literature. Several planning and alternations occurring in this frame are noticeable. For instance, it is to plan to arrange ‘Joseon Part’ newly into the ‘world literature’. This is limited as the alternation of the paradigm but rather results in the repetition of the paradigm, so it is still ambivalent. Another way is the alternation through ‘translation’. It is a plan to translate ‘Joseon literature’to the world’s literary circles. But unless it is considered that it is the process of culture generation including the encountering and exchange of two or more cultures, it should end up becoming self-assured behavior. If we explore the locality of Joseon literature within the instruction of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it is hard to escape from the colonization of ‘Joseon literature’. The matter is not the reconstruction of ‘colonization’or ‘exoticness’ itself but the alternation of the paradigm to dismantle or exceed the frame of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본고는 조선문학의 로컬리티가 ‘세계문학전집’을 매개로 구성/탈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식민지 시기 일본에서 출판된 ‘신조사판 세계문학전집’은 서구문학을 세계문학으로 일반화하는 문화적 기획이었다. 그 결과 ‘조선문학’이 변방에 놓이거나 이국적인 문학으로 담론화되었다. 세계문학이 국민문학의 산술적 총합이 아니라 세계를 대표할 만한 ‘문학’으로 ‘표상’되는 이 관념이일반화됨으로써 ‘세계문학’은 고급과 저급, 중심과 주변, 안과밖의 구분이 계층이분명하게 노정되는 문명의 기호가 된다. 세계문학의 중심과 내부가 있다는 사유가 일반화된 것이다. 이 관념은 자연적인 것도 당연한 것도 아니나 이 속에서 조선문학은 ‘세계문학’ 안에서 자기 자리를 할당받기 위해 노력한다. 하나는 스스로세계문학 안으로 들어가 세계문학 안의 적자가 되는 것, 두 번째 방법은 문학의 지방성을 스스로 인정하고 그 안에서 좀더 나은 자리를 배치받는 일이다. 이 두가지 방법은 긴밀하게 맞물린다. 조선작가들은 ‘세계문학’의 적자가 되기 위한 기획에 다들 환호작약하지만, 이는 고급과 저급, 중심과 주변의 위치를 반복할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프레임 안에서 일어난 몇가지 기획과 변용은 주목할만하다. 일례로 ‘조선편’을 ‘세계문학’의 내부로 새롭게 배치하는 기획이 그것인데이는 ‘세계문학전집’ 내부에 ‘조선편’을 끼워넣는 저항적인 기획일 수는 있으나 패러다임의 변용으로 그치면서 오히려 패러다임을 반복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양가적이다. 또다른 방법으로 ‘번역’을 통한 변용의 방법이다. ‘조선문학’을 세계문단에 번역해서 내놓자는 안인데, 이는 두 개 이상의 문화가 접속하고 교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화생성의 과정이라는 점을 고려하지 않는 한자기만족적 행위로 그칠 가능성이 농후하다. 실제로 조선문학 중에 어떤 작품을번역하는 것이 좋겠느냐고 묻는 설문에서 조선작가들이 보인 반응은 ‘수준’과 ‘필요성’의 문제를 다시 지적함으로써 ‘세계문학’을 차이가 아닌 위계화된 ‘수준’으로이해하는 인식을 여전히 드러내고 있다. ‘세계문학전집’의 지도 안에서 조선문학의 로컬리티를 탐색하는 한 ‘조선문학’의 식민성을 벗어나기는 어렵다. 문제는 ‘식민성’이나 ‘이국성’ 자체에 대한 재구성이 아니라 ‘세계문학전집’의 프레임을 해체하거나 초월하는 패러다임의 변화일 것이다.

      • KCI등재

        세계문학으로서의 이청준 문학

        김종회(Kim, Jong-hoi)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0

        ‘세계문학으로서의 이청준 문학’이란 논의는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에서 출발해야 한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개념과 연접해 있는 이 논의 체계는 이미 많은 담론을 생산한 바 있고, 특히 근래에 와서는 문학 번역의 문제와 결부하여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글의 중심 목표는 작가 이청준과 그의 작품세계가 이룰 수 있는 세계화라는 명제이다. 한 작가의 작품을 평가하고 문학사적 의의를 확립하며 더 나아가 세계문학에 이르는 소통과 공유의 맥락을 이끌어 내자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청준 문학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고, 그 자체로서의 문학적 의의와 성과를 검토할 것이다. 이는 작가의 작품이 한국문학의 전체적인 구도 속에서 어떤 좌표를 점유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절차이다. 다음으로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현장에서 그 존재증명을 도모할 수 있는 논리, 국내에서부터 주목을 유발할 수 있는 문화산업적 전략, 그리고 세계적 소통을 향해 지금까지 이청준 문학이 번역되어 국외로 확장된 현황을 점검한 다음, 앞으로의 방향 설정에 대해 기술하려 한다. 그러자면 한국문학에서 대표적 작가로 인정받고 있는 이청준의 작품 세계를 다시 검토하고, 그 문학의 특징적 성격 및 다른 작가와 구별된 가치가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어서 한국문학의 세계화와 그 확산의 방안을 살펴보아야 한다. 여기에서는 실제적인 방향 제시에 있어 글의 목표에 부합하는 전략적 방안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하나는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국내의 이청준 문학에 대한 관심을 효율적으로 증폭하자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청준 문학의 번역을 활성화함으로써 언어의 벽을 넘는 독자 수용을 확대하자는 것이었다. 이청준 문학에 대해 12개 언어권에서 46권의 번역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그동안 이 작가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결코 허술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 글의 논의는 바로 그러한 바탕 위에서 이청준 문학의 세계화를 구현해 나가자는 주장을 내포한다. 이청준 문학이 번역된 그 실상을 조명해 보면, 앞으로 이 사업을 어떻게 뒷받침 할 것인가에 대한 답안도 거기에 함께 있다. 좋은 작품을 창작하는 것은 작가의 몫이지만, 그렇게 창작된 작품의 가치를 구명하고 세상에 확산하는 것은 동시대에 있어서의 그 역할을 맡은 문학 일반의 책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Yi Chong-jun"s literary works in the context of world literature. It would be virtually impossible to discuss his works in terms of world literature without referring to a broader notion of ‘Korea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or without considering the issue of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fact, a great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recent years on the subject, generating much debate and compelling discours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ranslation practice. Indeed, translation plays an exceptionally crucial role in world literature. In World Literature and Translation Studies, Laurence Venuti defines world literature through translation, asserting that “world literature can not be conceptualized apart from translation”. Translated texts are discussed, transmitted, circulated, communicated and received by the international audience beyond cultures and across borders. As one of the most predominant modern Korean writers, Yi Chong-jun has attained a considerable world recognition. 46 of his literary works have been translated into 12 distinctive languages worldwide. We shall begin this study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Yi Chong-jun"s works and by identifying his place in Korean literary history. Further, we shall bring to light the distinctive traits that set him apart from his contempories and his precedessors. A close and attentive reading of his works will allow us to discover dynamic and coherent literary creativity and intelligence, far reaching and far exceeding the national and local constraints. In this study, we present a cultural strategy to facilitate global transmission and expansion for Korean literature and to promote international circulation and reception for Yi Chong-jun"s literary works. David Damrosch concludes his book What is World Literature? by stating that it is “not a set of canon of texts but a mode of reading.” It"s not the canonic writing but the mode of reading which is far more important in the paradigme of world literature. Readers and the cultural consumers in general, we are also responsible for re-examining, re-defining and expanding Yi Chong-jun"s creative works.

      • KCI등재

        한국문학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노대원(Noh, Dae-won)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한국문학의 세계화 담론은 문화산업적 수출을 지향하는 정책적 저널리즘적 성격이 강하며, 문화적 콤플렉스와 세계화의 당위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이 논문은 중요한 국내외 세계문학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하나지만 동등하지 않은’ 세계문학론(프랑코 모레티)에서 ‘평등하며 다양한’ 세계문학론으로 이행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해본다. (1) 상업주의나 자국중심주의를 넘어서 세계의 수많은 작품들, 작가와 독자 들의 연계망(network)과 대화가 되어야한다. (2) 유럽중심주의나 정전중심주의의 한계를 벗어나 탈식민주의적인 관점, 타자와 소수자의 관점까지 포용해야 한다. (3) 새로운 이론적 가설과 방법론을 생산하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 논문은 한국문학은 일방향적인 번역 사업과 상업적 성공만 추구할 것이 아니라 세계를 향한 경청과 진정한 대화적 자세를 지향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 대화적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최근 외국에서의 한국문학 수용과 비평적 견해를 검토해본다. The discourse around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tends to be policy- and journalism-oriented in terms of cultural exports. It is also the result of cultural inferiority complex and the need for globaliz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critically the ‘Theory of World Literature’ both within the country and around the globe, focusing on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and takes a step in the direction of a new perspective on the World Literature: (1) It is required to go beyond commercialism and nation-centrism in order to build a network of literature, authors, and readers across the world. (2) It should embrace the perspectives of “the others”, minorities, and postcolonialism, defying eurocentrism and canon-centric perspectives. (3) Scholars in academia need to create new hypotheses and methods of research, and apply them into practice. Most importantly,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at Korean Literature should seek the importance of dialogical relationship with the world, not unilateral projects by translation institutes and commercial success.

      • KCI등재

        김억의 세계문학 지향 (1) : 岸曙 문학의 내재적 논리를 찾아서

        김연경(Elizabeth Yeonkyung Kim ; 金延暻)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40

        기존의 김억 연구는 1925년 이후 김억의 문학이 서구문학에서 민족문학으로 전환하였다는 일종의 ‘방향전환설’을 기정사실화 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방향전환설에 문제를 제기하고 김억의 문학을 관통하는 것이 서양과 동양이라는 이분법적 구도가 아님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렇게 될 김억의 문학적 궤적에서 방향전환은 없었으며, ‘세계문학’을 추구하기 위해 단일한 방향으로 나아갔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김억에게 ‘세계문학’은 그 자체가 하나의 방법론이었고, 그러한 내적 논리 속에서 일관된 궤적을 보이고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김억은 세계문학과 조선문학의 밀접한 관계 사이의 긴장을 충분히 인식하고, ‘보편’과 ‘특수’ 혹은 세계문학과 조선문학이라는 함의를 치열하게 고민한 문인이었다. 약소국가였던 조선의 현실에서 김억이 생각할 수 있는 세계문학의 방법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지만, 끊임없이 이분법을 교란시켜 하나로 통합시키려는 노력을 보였다. 그러한 노력 속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거둘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김억은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의 세계문학을 추구해왔다. 이것을 가능케 하는 것은 바로 국제공통어 에스페란토어였다. 그가 꿈꾼 세계 문학이란 에스페란토어를 통해 他민족들과 향유될 수 있는 것이었으며, 모든 나라를 포괄하는 것이었으며, 민족문학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동반하는 것이었다. This paper proposes to interpret Kim Ŏk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literature. This way, Kim Ŏk, heretofore understood as a writer that had taken a literary ‘shift’ in 1925-from his previously Western-style works to those works realizing the ideology of the 1920’s national literature movement-can be understood within an internal logic, instead of the binary opposition of the West vs. East, and the modern vs. traditional. This internal logic is ‘world literature,’ which stands on the well-known premise that ‘world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like two sides of a coin, are two concepts in a mutually reinforcing, dynamical relationship that subsumes the works of Kim Ŏk in one large frame. Here, the former is usually identified as the ‘universal,’ and the latter, the ‘particular.’ This is to say that, Kim Ŏk, despite his repertoire of seemingly contrasting works, had been aiming for the same ultimate purpose consistently throughout his literary life, namely the ideology of world literature. Indeed, evidence found in his theories and criticisms calls for a new understanding of Kim Ŏk as a writer whose primary literary orientation was ‘world literature.’ The reason why he had devoted much of his career to advocating Esperanto and conducting translations, then, also comes to make sense in this new perspective. While much can be said about the idealistic picture of world literature which he dreamt of and carefully planned to carry out, it will suffice to point out that, most importantly, this picture of world literature was one of a model inclusive of national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