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사학적 비평과 독자의 불안 -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독해 -

        노대원 ( Noh¸ Dae-won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9 No.-

        이 논문은 불안의 문학 텍스트를 독자 지향의 소통적 독서 과정에 의해서 의미가 발생한다는 전제 아래 이청준의 단편소설 「병신과 머저리」를 분석한다. 정신분석학적 논의에 따르면, 불안은 위험 신호로서, 속이지 않는 유일한 정동이다. 불안이란 정동은 수신되고 해석되기를 기다리는 하나의 신호로서 소통의 수사학적 과정에 놓인다. 문학 텍스트의 불안은 작가의 불안과 사회적 불안의 영향 속에서 표현되지만, 동시에 문학적으로 제어된 결과물이다. 즉, 독자가 문학 텍스트에서 감지하는 불안은 작가의 수사학적 전략과 미학적 고려를 통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고 전달된 정동이다. 또한, 독자의 독서 과정은 ‘문학적 전이행동’으로 나타난다. 「병신과 머저리」에서 주인공 ‘나’는 화가로서 미술 작업을 중단한 채 불안 초조에 시달리고 있다. 이청준의 주인공이 ‘쓸 수 없음’을 쓰며 느끼는 불안은 독자에게 전달된다. 주인공의 불안에 대한 의문은 서사적 공백(gap)이 되어 텍스트의 독자에게 또 다른 해석의 불안을 야기하는 동시에 독서의 동력이 된다. ‘나’가 형의 소설을 읽는 독서행위는 정신분석의 분석과 전이 과정에 대응된다. 또한 소설 텍스트 바깥의 독자의 독서행위를 함축하여, 독자 자신의 불안을 직시하거나 성찰하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Lee Cheong-jun’s short story “The Crippled and the Fool” under the premise that the meaning of the literary text of anxiety is generated by the reader-oriented communicative reading process. According to psychoanalytic discussion, anxiety is a red flag, the only affect that does not deceive. The affect of anxiety is placed in the rhetorical process of communication as a signal waiting to be received and interpreted. Anxiety in literary texts is express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riter’s anxiety and social anxiety, but at the same time it is a result of literary control. In other words, the anxiety that the reader perceives in a literary text is an affect that is embodied and conveyed in literature through the writer’s rhetorical strategy and aesthetic consideration. In addition, the reader’s reading process appears as ‘literary transference behavior’. In the text, the main character ‘I’ is suffering from anxiety and nervousness while stopping art work as a painter. The anxiety that Lee Cheong-jun’s protagonist feels while writing that he can’t write The question of the protagonist’s anxiety becomes a narrative gap, causing the reader’s anxiety of another interpretation and at the same time becoming the driving force of reading. The act of reading ‘I’ older brother’s novel corresponds to the analysis and transfer process of psychoanalysis. In addition, by implying the reader’s reading behavior outside the text of the novel, it can contribute to allowing the reader to face or reflect on his or her own anxiety.

      • KCI등재

        이청준 소설의 자서전적 텍스트성 - <가위 밑 그림의 음화와 양화> 연작을 중심으로 -

        노대원 ( Noh Dae-w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4 국제어문 Vol.62 No.-

        이 논문은 휴 J. 실버만(Hugh J. Silverman)이 해체적 해석학적 기호학의 관점에서 자서전적 텍스트성을 논의한 연구를 참조하여 이청준의 연작소설 <가위 밑 그림의 음화와 양화>의 자서전적 텍스트성을 분석하면서 동시에 기존 자서전 이론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한다. 첫째, 이 연작 텍스트는 소설(픽션)과 자서전(논픽션)의 경계면에 놓이는 `경계 장르`(limit genre)이다. 연작의 곁텍스트들은 허구성을 강조하나 역설적으로 실제세계와의 지시 관계를 강조한다. 둘째, 이 텍스트는 `파편적 자화상`의 양식으로서 자기 탐구를 수행한다. 따라서 자서전 텍스트의 일반적인 연대기적 시간 질서가 아닌 파편적 시간질서의 시간성을 지녔으며, 이 시간성은 또한 공간성과 함께 주어지고 상호배치 된다. 셋째, 자서전적 텍스트가 개인 삶의 진술이라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개인성과 사회성의 경계의 지점에 놓인다는 점을 텍스트 읽기/해체를 통해 지적했다. “개성적 삶과 사회적 삶의 동시적 드러냄”이라는 이청준의 소설적 윤리와 이상은 이 연작에서도 타인들의 삶을 자신의 삶과 더불어 성찰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자서전적 텍스트성은 단순히 진술의 내용도 아니고 진술의 형식도 아닌, 양자가 함께 주어진 것임을 살펴보았다. 소설 텍스트를 자서전적 텍스트로 읽을 때 진술의 내용뿐만 아니라 부재자의 텍스트를 읽는 액자식 구성 등 진술 형식과 문체, 특이한 징후적 대목이야말로 작가의 자서전적 텍스트성이 발현되는 지점이다. 자서전적 텍스트성의 경계적 특징, 또는 미결정적인 특징은 이청준의 텍스트뿐만 아니라 다른 작가의 다른 텍스트에도 접근 가능한 비평 모델이라는 점에서 자서전 이론 및 텍스트성 이론의 확장에 기여한다. This study deconstructs Lee Chung-jun`s Novel series, The Negative and Positive of Picture Under Scissor, with Hugh J. Silverman`s view of deconstructive hermeneutic semiology. Lee`s text is, first, the limit genre which is placed in interface between novel(fiction) and autobiography. Second, the temporality of this text is constituted fragmentarily. And autobiographical textuality is the co-giveness of temporality and spatiality. Third, autobiographical text is not an confession of individual`s life, but it is placed between individuality and sociality. Lastly, autobiographical textuality is the interleaving of contents and form. This study will be a contribution to research of autobiography theory and textuality theory, because of its theoretical expandability.

      • KCI등재

        1960년대 한국 소설의 심신 의학적 상상력 -서정인의 「후송」과 김승옥의 「차나 한잔」을 중심으로-

        노대원 ( Noh Dae-w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3 No.-

        본고는 서사 텍스트에서 정신 - 육체 - 언어의 세 심급을 각각 분리하지 않고 상호 관계를 중시하면서 해석하기 위한 시론(試論)이다. `삼선 의학 (psychosomatic medicine) `은 “정신과 신체(mind and body) 혹은 양자 간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학문”으로 본고의 이론적 참조점이 된다. 이 논문의 서사 분석 방법론은 주로 삼신 의학의 삼신 이론과 전인론적 모델(holistic model)을 주요한 근거로 삼고 정신분석학과 의료문학 몸 담론을 종합적으로 참조한다. 동서양 심신 의학의 문화사를 탐색하면서, 심신과 언어, 심신과 서사 간의 중요한 관련성을 검토한다. 한국에서 1960년대는 문화적 현대성 혹은 일상적 현대성이 (재)구조화되던 시기이다. 1950년대의 한국인들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심신의 고통을 겪었던 것에 비해, 60년대에는 현대 사회 · 문화의 복합적인 병리성에 의해 심신 의학적 증상이 발병하기 시작한 때이며, `스트레스`라는 용어가 널리 소개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구체적으로 서정인의 「후송」 (1962) 에 나타난 귀울림, 김승옥의 「차나」한잔 (1964) 에 나타난 배앓이를 중심으로 1960년대의 한국 소설들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남성 주체들의 삼신 의학적 질병 모티프 들을 논의한다 This article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focuses on relationship among mind, bed, and language in narrative text. Psychosomatic medicine is a medical science that studies `mind and body` or `interaction` of mind and body. As psychoanalytic criticism is based on theories and practices and of psychoanalysis, critical method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ories and practices and of psychosomatic medicine. This study explores eastern and western cultural history of psychosomatic medicine, and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between mind-body connection and narrative. South Korea in the 1960`s was a period that (re)structured the cultural modernity or modernity in everyday life. In 1950`s, Koreans suffered mental and physical pain directly, because of Korean War. Whereas in 1960`s, psychosomatic illnesses appeared and the term `stress` was widely known in this period, because of complex problems of modern society and culture. This article analyzes psychosomatic illnesses motif in 1960`s Korean short stories, including the tinnitus in Soe Joeng in`s “evacuation” and the stomach ulcer in Kim Seung-ok`s “how about a cup of tea”.

      • KCI우수등재

        포스트휴먼, 바이러스, 취약성

        노대원(Noh, Dae-won),황임경(Hwang, Im-kyung)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코로나19 팬데믹은 포스트휴먼 시대를 가속화한다. 첫째, 인류세적 위기 속에서 팬데믹의 근본 원인에 대한 생태적 인식은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과 탈-인간중심주의(post-anthropocentrism)를 확산시켰다. 둘째, 팬데믹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포스트휴먼-이즘(posthuman-ism)’으로서, 인공지능과 의료기술에 대한 기대가 고조된다. 셋째, 학계는 비대면 온라인 강의와 초학제적 연구를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휴먼 대학으로 변모한다. 또한, 신종 바이러스, 기후 변화 등 전 지구적인 위기 속에서 ‘취약성’(vulnerability)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상한다. 인간의 존재론적 취약성은 물론, 사회구조로 인한 다양한 취약성의 조건들이 비판적으로 성찰되어야 한다. 기술 발전과 인간 향상(human enhancement)에 대한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취약성을 비롯하여 인간의 다양한 취약성은 제거될 수 없다. 그보다는 상황적 취약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취약성이 연대와 사회적 상호 의존의 윤리로 나아가도록 해야 한다. 포스트휴머니즘 생태학(posthumanist ecology)은 인간 역시 생태계의 한 구성원임을 강조한다. 인간-동물-환경의 건강을 아우르는 원헬스(one health)도 포스트휴먼 과학의 중요한 사례이다. 그러나 팬데믹에 대한 성찰에는 탈인간중심주의적(post-anthropocentric) 생태론에 더해 사회정치적 조건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팬데믹은 생태계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자본주의의 문제이고, 생물학적, 의학적 현상이면서 동시에 사회정치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포칼립스 SF와 인류세 서사는 이 시대의 위기를 사실적으로 재현한다. 팬데믹-포스트휴먼의 시대에 취약성을 공유하는 인간과 비-인간 환경의 연대는 전 지구적으로, 행성의 윤리로 확장되며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해체한다. 이러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윤리는 새로운 희망의 서사를 만들어나갈 것이다. The COVID-19 pandemic accelerates the posthuman era. First, the ecological thought of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pandemic in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spread “post-humanism” and post-anthropocentrism. Second, as “posthuman-ism”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pandemic, expecta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dical technology are heightened. Third, universities are transformed into posthuman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features non-face-to-face online lectures and trans-disciplinary research. In addition, “vulnerability” emerges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mid global crises such as novel viruses and climate change. The conditions of various vulnerabilities due to social structure, as well as human existential vulnerabilities, should be critically reflected. Despite expectations of transhumanism for technological advances and human enhancement, various human vulnerabilities, including physical vulnerabilities, cannot be eliminated. Rather, it should improve the conditions of situational vulnerabilities and allow them to move toward the ethics of solidarity and social interdependence. Posthumanist ecology emphasizes that humans are also a member of the ecosystem. ‘One Health’ that encompasses the health of humans, animals and environments is also an important example of posthuman science. However, in reflection on the pandemic, the recognition of socio-political conditions is needed in addition to post-anthropocentric ecological theory. Pandemic is not just ecosystem problem, but also capitalist problem,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biomedical phenomenon and a socio-political problem as well. Apocalyptic science fictions and Anthropocene narratives realistically reproduce the crisis of this era. In the era of the pandemic-posthuman, the solidarity of human and non-human environments that share vulnerabilities globally, extends to the ethics of the planet, and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is critical posthumanist ethic will create a narrative of new hope.

      • KCI등재

        길 위의 포스트휴먼 - 박미하일 소설 『예올리』의 포스트휴먼 디아스포라

        노대원 ( Noh Dae-w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7

        고려인 소설가 박미하일의 『예올리』는 창조자 남성과 여성 로봇의 남녀 관계를 축으로 서술된다는 점에서, 피그말리온 신화를 원형 서사로 삼은 소설이다. 안드로이드 로봇 예올리는 예술가 소설의 주인공들이 자신의 창조적 산물인 예술 작품을 향해 품고 있는 낭만적 상상력과 대응된다. 그녀는 공학기술로 만들어진 로봇이지만, 인간처럼 자유로운 생명력을 지닌 존재로 그려진다. 이는 예술에 대한 작가의 자의식과 관련된다. 예올리는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인인 포스트휴먼으로서 혼종성(hybridity)을 지녔다. 그녀는 허구적인 삶의 이력을 만들어내서, 디아스포라 난민의 불안정하고 취약한 주체(vulnerable subject)로서의 정치적 조건을 스스로 부여한다. 『예올리』의 모험적 플롯은 러시아 SF 『양서류 인간』에서 영향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SF의 주인공 이흐티안드르는 인간과 동물, 인간과 악마의 경계선에 위치한 타자적 존재로 억압 받고 착취당한다. 예올리 역시 자본주의적 세계화의 포스트휴먼 조건에서 노동 착취의 대상이 되는 포스트휴먼이란 점에서 공통적이다. 예올리의 정체성 혼란, 고충과 시련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사회의 혼란과 관련된다. 『예올리』는 이질적인 주체들의 수평적인 연대와 환대의 윤리를 통해 이러한 혼란상을 상상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서사이다. In the sense that Goryeoin novelist Park Mikhail's Easy River Journey is narrated around the male-female relationship between a male creator and a female robot, it is a novel based on the myth of Pygmalion as a prototype narrative. The android robot Yeoli corresponds to the romantic imagination of the protagonists of the artist's novel towards the work of art that is their creative product. Although she is a robot made with engineering technology, she is portrayed as a being with free life force like a human. This is related to the artist's self-consciousness about art. Yeoli has hybridity as a posthuman,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By creating a fictional life history, she gives herself political conditions as an unstable and vulnerable subject of diaspora refugees. The adventurous plot of Easy River Journey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Russian science fiction Amphibious Man. The main character of this sf story, Ichthyander, is oppressed and exploited as an other being on the borderline between humans and animals, humans and demons. Yeoli are also common in that they are posthumans who are subjected to labor exploitation in the posthuman conditions of capitalist globalization. Yeoli's identity confusion, hardships and trials are related to the chaos of Russian society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Easy River Journey is a narrative that attempts to imaginatively overcome this confusion through the ethic of hospitality and horizontal solidarity between heterogeneous subjects.

      • KCI등재

        서사의 작중인물과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인물 이론-

        노대원 ( Dae Won Noh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1

        이 논문은 작중인물의 서사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관점의 도입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인지 심리학과 인지 서사학의 관점, 그리고 미하일 바흐찐의 대화주의적 소설론 등 다양한 이론적 시각을 참조하는 학제적 프로그램을 통해서 신체화된 상호주체성의 현상학을 논의하여, 서사의 대화적 윤리학을 위한 새로운 지평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그 동안 작중인물의 이론은 쇠퇴 일로에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서사의 미학적 경험과 독자의 인지적 해석 과정, 수사학적 효과에 주목하는 포스트-고전서사학의 부상으로 ‘작중인물의 부활’이 목격된다. 특히 문학적 인물을 언어적 구성물로 보기 보다는 현실적 인물과의 유사점에서 출발하는 논의들은 인물 이론을 갱신하는 데 유용하다. 실제 서사 현상에서 독자들은 작중인물을 이해하고 공감하고, 최종적으로 서사에서 문학적 감동을 일으키는 인간다움(humanness)을 지닌 실제적인 존재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인지 심리학에서, 독자가 서사 텍스트로부터 작중인물을 구성하고 인지하는 과정은 일상생활에서 자신과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 즉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으로 설명될 수 있다. 마음 읽기 또는 사회적 인지(social cognition)는 생존을 위한 진화론적 기제로, 상호주관적 관계에서 언어보다 더욱 근본적이다. 우리는 언어나 대화없이도 얼굴 표정과 몸짓 등으로 타인의 내면을 헤아릴 수 있으며, 이는 신경과학의 거울 뉴런(mirror neuron)으로도 설명된다. 텍스트 세계 내에서도 인물들은 신체화된 상호주체성을 기반으로 서로 ‘접촉’하면서 서사적 주제와 의미를 생산해낸다. 독자 역시 이러한 인지 과정 속에서 서사적 인물을 인격적 존재로서 받아들이면서 그들과 공감하면서 문학적 대화에 참여한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narratological character theories, and proposes a new cognitive literary theory. 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cognitive narratology, theories of fictional characters also seem to have been revived. Readers feel sympathy and understanding for the characters, and accept them as real human beings. Ultimately, suc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mind and a novel``s characters can create a particular literary affect. In cognitive psychology, the reader``s process of configuring characters from the narrative text is described as, "theory of mind," which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oneself and another person``s mind in everyday life. Such mind-reading―or social cognition―is an evolutionary mechanism for survival, more fundamental than language in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In the "text world", fictional characters can also "touch" each other, on the basis of "embodied intersubjectivity."

      • KCI등재

        이인성 소설에 나타난 소통의 불안 ― 『한없이 낮은 숨결』과 『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을 중심으로

        노대원 ( Noh Dae-w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5 No.-

        이인성의 소설 『한없이 낮은 숨결』과 『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은 타인과의 소통을 주제로 삼고 있는 관계 맺기의 서사이며, 분열되고 해체된 정체성의 통합과 소통을 희구하는 서사이다. 이인성의 두 소설에서, 첫째로, 예술적 소통의 문제가 제기된다. 『한없이 낮은 숨결』은 인물과 서술자로 변신한 작가를 통해서 소설의 창작과 독서에서 완전한 소통을 추구한다. 『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에서는 시의 창작과 독서에서 진실한 소통의 이상을 추구한다. 그러나 예술의 이상적 소통은 소설의 허구적 규약이 갖는 제약이나 시인의 불행한 상황 등 다양한 복합적인 요인들 때문에 끊임없이 좌절되고, 그로 인해서 이 소설들에 등장하는 예술가 서술자와 인물은 불안해한다. 둘째로, 타자와의 관계에서 소통의 문제가 제기된다. 『한없이 낮은 숨결』은 소설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수행하는 소설로, 소설의 허구적 만남을 통하여 실제 작가와 실제 독자들이 진실한 소통을 이루고자 할 때의 어려움들을 입체적으로 탐구한다. 『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에서는 서술자-주인공과 미친 여자와의 불행한 소통, 그리고 첫사랑의 여자와의 소통 불능 등이 다뤄지고 있다. 타인들과 철저히 고립된 주인공의 고독한 상황과 전화 통화 사건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여자들과의 관계는 소통의 상황이 이 소설에서 중요함을 확인하게 한다. 셋째로, 자아 내부의 소통 문제가 제기된다. 이인성 소설에서 ‘나’들은 모두 불안으로 인해 자아의 분열을 경험한다. 『한없이 낮은 숨결』에서 작가 및 서술자는 잠재적인 독자의 기대와 반응, 현실의 문학 담론, 자신만의 문학론, 구체적인 소설 창작 과정에서의 선택 문제 등 쓰고자 하는 소설을 둘러싼 복잡한 조건들에 의해 극심한 내적인 갈등과 분열을 보인다. 『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에서는 주인공은 과거의 ‘너’, 현재의 ‘나’, 미래의 ‘그’로 분리되어 서술된다. 이 소설에 나오는 거울은 이러한 근대적 자아의 존재론적 분열과 관련되어 상징성을 획득하고 있다. Yi In-seong's novels, The Infinite Deep Breath and I Want to Go Crazy, Cannot Go Crazy are narratives of relationship, with the theme of communication threading through them along with others. They are also narratives desiring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of divided and disorganized identities. In Yi In-seong's two novels, first, the problem of artistic communication is explored. The Infinite Deep Breath pursues perfect communication in novel creation and reading through writers transformed into characters and narrators. I Want to Go Crazy, Cannot Go Crazy pursues the ideal of true communication in poetry creation and reading. However, ideal communication in art is constantly frustrated by various complex factors such as the fictional constraints of the novel and the unfortunate situation of the poet in these novels. Hence, the artist narrators and characters appearing in these novels seem to be always anxiety ridden. Second, in these novels,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arises in relation to the other person. The Infinite Deep Breath is fundamental reflection on novels and explores the difficulties in real communication between real writers and actual readers through fictional encounters of novels. In I Want to Go Crazy, Cannot Go Crazy, the unhappy communication between the narrator-hero and a crazy woman and an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a past lover are expressed. The loneliness of the hero, who is completely isolated from others, and his relationship with the women around the phone conversation makes crucial to this novel. Third, in these novels,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ithin the self is also raised. In Yi In-seong's novel, various "I"s experience division of self due to anxiety. In The Infinite Deep Breath, writers and narrators are subject to the intricate conditions surrounding the novels they want to write, such as potential readers' expectations and reactions, literary discourses of their own, literary theories of their own, conflict. In I Want to Go Crazy, Cannot Go Crazy, the main character is described as "you" of the past, "me" of the present, and "him" of the future. The mirror in this novel acquires symbolism in relation to the ontological division of this modern self.

      • KCI등재
      • KCI등재

        소설 가르치는 로봇 - 생성 AI를 활용한 문학교육 교수‧학습 전략과 사례

        노대원(Noh Dae-won)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90

        이 논문은 생성 AI, 특히 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 모델(LLM) AI가 교육 분야, 구체적으로 문학교육에 미칠 영향과 그 활용 전략을 탐구한다. 서론에서는 이 연구는 OpenAI의 GPT-4와 같은 LLM AI의 최신 발전을 검토하고, 이 모델들이 어떻게 일상생활과 업무에 점점 더 통합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AI가 교육 분야에 가져올 변화와 충격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생성 AI가 문학 창작 같은 창의적인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지 그 영향력에 대해 고찰해본다. Ⅱ장에서는 인간과 AI의 협력 모델을 검토하며, 문학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논한다. ‘휴먼 인 더 루프’, ‘공동 창의성’, ‘켄타우로스와 사이보그’ 개념을 중심으로, AI와 인간 협력 모델을 문학교육에서 어떻게 적용할지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생성 AI를 활용한 문학교육의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본격적으로 제시한다. 학생들이 LLM AI를 학습에 활용하는 7가지 방법의 교육적 이점과 한계를 고찰하고, 문학교육에 적용할 방안을 새롭게 제시한다. 이 방법에는 AI 튜터, AI 코치, AI 멘토, AI 팀원, AI 도구, AI 시뮬레이터, AI 학생 등이 포함된다. 또한, 교수자가 강의에 AI를 활용할 수 있는 5가지 교수 전략을 설명하고, 문학교육에 적용할 방안을 제시한다. 다양한 예시, 학생의 오개념 파악, 빈번한 저부담 시험, 학생 학습 평가, 분산 학습 등의 전략이 문학 이론과 문학 텍스트수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문학교육의 교육 과정에 따른 AI 활용 방안과 학생 중심의 문학 교수학습 활동에서 AI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각각의 AI 활용 교수‧학습 전략은 특유의 장점과 한계를 지니며, 교육 조건에 따라 적절한 전략의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비영어권 교수자와 학습자에게는 AI학습 데이터의 한계에 따른 환각(작화증)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문학교육에 생성 AI를 활용하는 경우 지식 위주의 수업보다는 학생들의 창의적인 활동에 적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generative AI, particularly large language model (LLM) AI such as ChatGPT, on the field of education, specifically literacy education, and strategies for its utilization. First, it reviews the latest developments in LLM AI, such as OpenAIs GPT-4, and explores how these models are becoming increasingly integrated into our daily lives and work. It highlights the changes and impacts that AI will have on education, and examines the impact of generative AI in creative fields such as literary creation. Chapter Ⅱ reviews models of human-AI collaboration and discusses how they can be applied to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the concepts of human-in-the-loop (HITL), co-creativity, and centaurs and cyborgs, I explore how AI and human collaboration models can be applied in literary education. Chapter Ⅲ presents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using generative AI in literary education. Based on the work of Mollick and Mollick, I explore the pedagogical benefits and limitations of seven ways students use LLM AI for learning, and suggest ways to apply them in literary education. These methods include AI tutors, AI coaches, AI mentors, AI team members, AI tools, AI simulators, and AI students. In addition, this paper describes five teaching strategies that instructors can use to incorporate AI into their courses, and suggests how they can be applied to literary education. I discuss how strategies such as using multiple examples, identifying student misconceptions, frequent low-stakes testing, assessing student learning, and distributed learning can be applied to literary theory and literary texts. The paper concludes with suggestions for the use of AI in the curriculum of literary education and in student-centered literar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ach AI-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has its own strengths and limitations, and the appropriate strategy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teaching context. In particular, non-English-speaking instructors and learners should be wary of hallucinations (confabulation) due to the limitations of AI training data. In addition, when applying generative AI to literary education, it is recommended to apply it to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knowledge-oriented lessons.

      • KCI등재

        사이코패스 소설의 신경과학과 서사 윤리

        노대원 ( Noh Dae-won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7 No.-

        신경과학의 발전과 대중적 수용에 따라 소설과 영화에서도 신경과학 지식과 소재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신경과학적 지식과 상상력을 작중인물의 형상화 및 사건과 플롯 구성, 주제 구현 등 소설의 전반적인 요소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소설인 ‘신경과학 소설(neuronovel)’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한국 문학과 영화에서는 사이코패스(psychopath) 인물이 가장 대표적인 신경과학과 관련되는 서사적 소재다. 사이코패스 소설은 신경과학, 진화심리학, 현대 심리학, 윤리학, 서사 비평 등의 서로 다른 분과 학문의 지식과 관점을 입체적으로 사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생물문화적 접근’(biocultural approach)의 방법론을 요구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사이코패스를 신경과학과 현대 심리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사이코패스 서사 현상을 생물문화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한국 소설 가운데 사이코패스를 1인칭 서술자로 등장시킨 대표적인 텍스트인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2013)과 정유정의 『종의 기원』(2016), 그리고 사이코패스 소설의 사회적 의미가 효과적으로 표현된 박민규의 「루디」(2010)을 중심으로 사이코패스의 신경과학과 서사 윤리를 초학제적으로 분석한다. As neuroscience develops and is widely accepted, neuroscience knowledge and materials are used in various ways in novels and movies. “Neuronovel” is emerging that actively utilizes neuroscientific knowledge and imagination in the general elements of the novel, such as the formation of objects in the work, the composition of events and plots, and the realization of the subject. In particular, in Korean literature and movies, psychopath character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narrative material related to neuroscience. Psychopath novels require a methodology of 'biocultural approach' that aims to think three-dimensionally about the knowledge and perspectives of different disciplines such as neuroscience, evolutionary psychology, modern psychology, ethics, and narrative criticism. This thesis is a study to understand psychopaths from the perspectives of neuroscience and modern psychology, and to understand psychopath narrative phenomena bioculturally based on such problem consciousness. Specifically, among Korean novels, the representative texts that featured psychopaths as a first-person narrator, Kim Young-ha's The Murderer’s Memorial Method (2013), Jeong Yoo-jeong's On the Origin of Species (2016), and the social meaning of the psychopath novel are effectively expressed Focusing on Park Min-gyu's “Rudi” (2010), this course analyzes the neuroscience and narrative ethics of psychopaths interdisciplin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