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적 부모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발달특성과의 관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중심으로-

        임정하 한국인간발달학회 2006 人間發達硏究 Vol.13 No.1

        본 연구는 한국적 부모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특성 중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책임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각 발달특성에 기여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청소년의 발달단계(초기 및 후기)와 성별을 고려하여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주변 도시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 43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임정하와 정옥분(2004)의 한국적 양육행동 척도와 이차선(1999)이 수정한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용하고 Conrad와 Hedin(1981)의 사회적 책임감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및 z검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적 부모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책임감 발달과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둘째, 한국적 부모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책임감 발달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특히 부모의 관심은 자녀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기여하고, 어머니의 가르침은 자녀의 사회적 책임감 발달에 크게 기여하며 아버지의 불신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책임감 발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양육행동에서 아버지의 영향력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책임감 발달에 있어 전반적으로 청소년초기집단보다 후기집단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어머니는 자녀의 성별이나 발달단계에 관계없이 사회적 책임감 발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과 부모의 사회적 활동이 청소년의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민국인재상 수상자를 중심으로

        김효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0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activities of the youth and parents influences on their social responsibility. The research respondents are the 184 winners of the Korea Young Talent Awards from 2008 to 2010. Firstly the study occupied t-test to compare gender difference of the winners in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ir social activities and then one-way ANOVA to compar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ir social activities of parents among three different groups. Finally the study conducted stepwise regressio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nners and their parents'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results,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winners. Also, there is an significant difference in devoted time on volunteer activities among different educational history of parents. Finally, students and parents's volunteering activities influenced their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대한민국인재상 수상자들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사회활동과 부모의 사회활동이 청소년의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인재상 수상자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84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조사자료로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성별, 부모의 학력별 사회적 책임감과 사회활동의 차이를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검증하고 학생의 활동과 부모의 활동이 어떻게 청소년의 사회적 책임감에 영향을 주는가를 단계적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한민국인재상 수상자들의 사회적 책임감과 사회활동(단체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은 성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한민국인재상 수상자들은 본인과 부모의 사회활동 중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사회적 책임감이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참여보다는 부모의 봉사활동에 대한 참여가 사회적 책임감에 더 높은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사회적 책임감을 함양하기 위한 학문적․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감사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중심으로

        이수빈,이희경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altruistic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survey was conducted on 386 college students using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K-GQ-6), Altruistic behavior scale, The Social Connectedness and the Social Assurance Scale, and Social Responsibility subscale in Character Strengths Test(C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 in 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gratitude, social connectedness, social responsibility, altruistic behavi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Social connectednes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altruistic behavior. Third, Social connectedness and Social responsibility showed partial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altruistic behavior. In conclus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 본 연구는 감사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감사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원)생 386명을 대상으로, 감사 성향 및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 이타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감사, 사회적 유대감, 사회적 책임감, 이타행동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감사와 이타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감사와 이타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의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회복적 생활교육의 서클활동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경,정애리,유순화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적 생활교육의 서클활동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중 2개의 반을 실험집단(21명)과 통제집단(21명)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 한 회기에 50분씩 총 10회기의 서클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학교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의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교소속감은 심리적 학교소속감 척도(Psychological Sense of School Membership Scale)를 통해, 사회적 책임감은 청소년의 대인 및 사회적 책임감 척도(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Scales)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단순주효과 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양적 분석 결과가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회복적 생활교육의 서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교소속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적 생활교육의 서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책임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서클활동이 학교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의 향상을 통해 회복적 생활교육에서 강조하는 공동체성과 핵심 가치인 책임감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이 부족해지는 고등학교 시기의 학생들에게 서클활동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active circles program as restorative practice in schools on a sense of school membership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Method: To this end a quasi-experiment was designed targeted at two 2nd grader’s classes of a high school in B c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10 sessions of 50 minutes’ proactive circles program were implemented. For the measurement of a sense of school membership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 Psychological Sense of School Membership scale and the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scales were used respectively.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simple main effects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8.0 program along with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analysis which was expec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First, those who took a part in the proactive circles program showed an increased sense of school membership. Second, those who took a part in the proactive circles program showed increased social responsibility. Conclus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active circles program can cultivate both a sense of school membership and social responsibility, which contributes to building school community. Therefore, proactive circles programs need to be consistently implemented at high school settings where students feel less connected to their schools due to competitive academic environments.

      • KCI등재

        또래도우미 활동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사회적 책임감, 학교생활만족도 연구

        박지연,조증열,박순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of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ducted a survey on 196 students in the 4th to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include 97 students who have the experience as a peer helper and 99 students who do not have the experience in 6 elementary schools. The survey research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rade, gender, experience of helper activities, period of helper activities and satisfaction for helper activities, and the attitude to disability acceptance. The research found that, first, the children with the experiences of peer helper activities had a more allowable and positiv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than the children without the experience. Second, the children with the experience of peer helper activities had a higher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e children without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experience of peer helper activities itself can be a good opportunity to better understand and accep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ince we can spend a lot of time wit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directly interact with them through the experience. 본 연구는 또래도우미 활동에 따른 일반아동의 장애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사회적 책임감,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초등학생 4~6학년 1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으로 학년, 성별, 도우미 활동 유무, 도우미 활동기간, 도우미 활동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장애수용태도(교제영역, 생활영역, 학습영역), 자아존중감(일반적자아, 사회적자아, 가정적자아, 학교적자아), 사회적 책임감, 학교생활만족도(학교생활만족, 수업만족, 교사만족, 학생만족)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신뢰도계수, 상관분석,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또래도우미 활동을 한 아동들이 장애수용태도가 더 허용적이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도우미 활동 경험이 있는 일반아동들의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셋째, 또래도우미 활동 경험이 있는 일반아동들의 사회적 책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도우미 활동 경험이 있는 일반아동들의 학교생활 만족, 교사만족, 학생들간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일반아동들이 또래도우미 활동에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통합교사와 특수교사가 질적인 활동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알려주고 있다.

      • KCI등재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사회적 책임감, 간호전문직관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정현숙,박은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간호사의 소명의식, 간호전문직관, 사회적 책임감이 주관적 행복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간호사의 주관적 행복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J도와 G시의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190부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회귀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명의식(r=.475, p<.001), 간호전문직관(r=.575, p<.001), 사회적 책임감(r=.557, p<.001)은 주관적 행복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간호전문직관, 사회적 책임감, 직위(수간호사 이상) 순으로 간호사들의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행복감에 사회적 책임감, 간호전문직관, 직위(수간호사 이상)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체계적인 교육의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제품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은정(Eun-Jung Kim),김종원(Jong-Weon Kim) 한국산업정보학회 201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제품 구매동기인 돕는 즐거움과 사회적 책임감이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 및 기업이미지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들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회적 기업의 제품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78부의 설문으로 공변량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동기인 돕는 즐거움과 사회적 책임감은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기업이미지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이미지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illing assista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which motivate one to buy products from social enterprise, upon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company image and repurchase. To that en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customers buying social enterprise products. 178 responses were used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through covariat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lling assista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buying products from social enterprise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Second,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were presente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company image and repurchase intention. Third, company ima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 KCI등재후보

        동료수용ㆍ이해훈련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의 이타적 행동 및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효과

        김하경,최득남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4 No.2

        본 연구는 동료수용ㆍ이해훈련 프로그램을 특수학급에 입금된 학습장애아에게 적용하여 이타적 행동과 사회적 책임감을 증진시켜 학교 내 생활에서 구성원간의 사회적 관계를 원만하게 하고 교수-학습활동과 동료들간의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OO초등학교 특수학습의 학습장애아3명을 대상으로 10개월간 주 1회 24회기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ㆍ사후 검사 설계로 독립변인은 동료수용ㆍ이해훈련 프로그램은 3명의 학습장애아동의 이타적 행동과 사회적 책임감이며, 이타적 행동과 사회적 책임감 사전검사(4월)와 24회 동료수용ㆍ이해훈련 프로그램 적용후 사후검사(11월)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동료수용ㆍ이해훈련 프로그램은 3명의 학습장애아동의 이타적 행동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내 학습장애아의 개인적 특성(흥미, 동기, 성격 등), 학습장애아에게 적절한 교수방법,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과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the peer acceptance/understanding training program on the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iciencies in social cognitive function. The peer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training programs used in this study is to improve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responsibility such as help, sharing, corporation with other, and making people comfortable.

      • 예비초등교사의 SSI에 대한 사회적 책임감과 교육 태도 함양을 위한 ENACT 프로젝트 학습

        황요한,문공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80 No.-

        SSI는 과학관련 사회쟁점(Socio-Scientific Issues)의 약어로,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결과에 대한 논쟁 주제를 뜻한다. 초등 교육 분야에서 SSI 교육은 과학 교과 및 사회 교과뿐 아니라, 범교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교사가 최근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SSI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SSI 교육을 하는 이유는, 이러한 쟁점에 대해 스스로 책임감 있는 시민 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그 내용과 쟁점의 관계를 규명함에 있다. 특히 초등 교육의 경우, SSI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가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초등 교사들의 SSI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책임감 함양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대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SSI에 대한 사회적 책임감 함양을 위해 기존 개발된 ENACT 프로젝트를 한 학기간 적용하였으며, 학생들은 본인들이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5단계의 ENACT 프로젝트를 수행한 결과를 상호간에 발표하면서 다양한 SSI 주제에 대한 의견을 나누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학생들은 평소에 관심을 가지던 논점들이 과학기술로 인한 쟁점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으며, 이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 이유가 다양한 이해관계의 대립으로 인함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쟁점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문제 해결 방법을 사용해보고, 홍보 및 실천 단계를 통해 쟁점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되돌아보게 되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공학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었고,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이러한 쟁점에 대해 논의할 때 중립적이면서도 시민으로서 과학소양을 갖추고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고 하였다. 초등 교육에서 SSI로 프로젝트를 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지만, 전체 프로젝트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과 부분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SSI에 대한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ENACT 프로젝트를 초등교사교육 프로그램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소외된 아동들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책임감모형의 효과

        이안수,강경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sponsibility model on students' pro-and anti-social behavior in underserved areas. 161 participants of J elementary school 3rd-grade students in K province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responsibility model on students' social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ree classes comprised the experimental group to become the gym class for the responsibility model (78 students, 49 boys, 29 girls). The other 3 classes were used for comparison group, as a gym class controlled by a teacher (83 students, 50 boys, 33 girls). The interview group consisted of 8 males from a neglected class, who grew up in a parentless or single parent household and had problems with academic ability(study skills), behavior, peer relations and family background. They were given structured interviews consisting of 11 questions that were considered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s among 16 questions about pro-and anti-social behavior.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class records, an analysis of the related docum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of 8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in order to compar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score higher in the pro-social behavio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in anti-social behavior revealed no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 the qualitative results both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were changed positively for the 8 students. In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on a more diverse group for a longer time period. Furthermore, this research only verified effects of the responsibility model for enhancing sociality. Again, in further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verify effects of the responsibility model on not only sociality but also various other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책임감 모형의 폭넓은 현장 활성화를 위하여 소외된 지역 학교에 책임감 모형이 학생들에게 친-그리고 반-사회적 행동의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K도 J초등학교에 3학년 6개 학급 169명 중에서 조사에 불성실한 8명을 제외한 161명으로 구성하였다. 6개 학급 중 3개 학급은 책임감 모형 체육수업을 실시하는 실험집단(78명, 남=49, 여=29)으로 나머지 3개 학급은 교사 주도적인 체육수업을 실시하는 비교집단(83명, 남=50, 여=33)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 교사는 비확률 표집의 하나인 의도적 표본화 기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사회성 측정 도구인 친-그리고 반-사회적 행동에 관한 질문지 16문항을 초등학교 학생의 수준에 맞게 11문항으로 제작하였다. 사회성 증진을 위한 책임감 모형의 효과를 질적 방법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에 참가한 3개 학급의 실험 학급 학생 중 8명에게 심층 면담, 참여 관찰을 통한 현장 기록, 관련 문서 분석의 다양한 질적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들은 결손가정, 학업 능력, 문제 행동, 교우 관계에 취약한 학생들로 교사의 추천을 받아 구성하였다. 친사회성과 관련된 분석 결과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친사회성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반사회성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친사회성과 반사회성이 모두 긍정적으로 변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책임감 모형으로 체육 활동을 한 결과 소외된 아동들의 친사회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친사회성이 그동안 이론적인 내용을 통해서 가르쳐지는 것이 아니라 체육 활동 안에서도 사회성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단기간에 이루어졌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긴 연구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발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