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학습부진아동의 내․외적동기에 따른 학업적 실패내성, 우울,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순길,조증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external motive, academic failure (emotion, behavior, task preference), depression (depressive emotion, behavioral disorder, loss of interest, self-degradation and physiological symptom), and academic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basic learning, and discover the influential variables on internal/external motive, targeting 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in third and fifth grade of 10 elementary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conducted T-test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by year and carried out the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self-determination motive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and fifth graders in terms of the external motives. Second, the influential variables for external motives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included depressive emotion, loss of interest and physiological symptom. Therefore, as more third graders with underachievement study under the external motives compared to the fifth graders, it is concluded necessary to adopt a program to reduce the variables for depression that influence the external motives. 본 연구는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아동의 내․외적동기, 학업적 실패내성(감정, 행동, 과제선호도), 우울(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생리적 증상), 학업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내․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는 목적이 있다. G광역시 10개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아동 3학년과 학년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학습부진아동의 학년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하였고, 내․외적동기 예언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첫째,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아동의 외적동기에서 3학년과 5학년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기초학습부진아동은 부모의 강요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서 행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습부진 아동의 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우울정서, 흥미상실, 생리적 증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초등학생 기초학습부진 3학년 학생들은 5학년 학생들보다 외적동기에 의해 공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동기에 영향을 주는 우울 변인들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후보

        뇌성마비아의 장애유형과 조음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기능과의 관계 연구

        박순길,전헌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의 조음능력에 따라서 인지적 능력(음운 인식, 단기 기억, 시지각)과 읽기, 쓰기 기능(읽기, 쓰기, 문장 이해력, 어휘력)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뇌성마비아 30명이며, 장애유형별로 경직형(23명)과 비경직형(7명), 조음능력별로 상위집단(17명)과 하위집단(13명)으로 구분하였다. 조음능력 상위집단은 자음오류개수가 적은 집단, 하위집단은 자음오류개수가 많은 집단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 차이는 숫자 단기 기억 폭이 경직형이 비경직형보다 수행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경직형 뇌성마비아일수록 숫자 단기 기억 폭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은 조음 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음절 수 세기, 숫자 단기 기억 폭, 글자 단기 기억 폭이 높았다. 또한 뇌성마비아는 조음 능력이 높을수록 읽기, 쓰기 기능에서 어휘력 수행 능력이 우수하였다. 셋째, 뇌성마비아의 읽기와 상관이 있는 인지적 변인은 음운 인식의 음절탈락,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이고 시지각 유형에서는 시각기억, 시공간관계, 시각형태항상성, 시각계열기억, 시각전경배경으로 나타났다. 쓰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변인을 보면 음운 인식에서는 음절탈락과 음절수세기가 나타났고, 시지각 유형에서는 모든 하위변인들과 높은 상관이 있었다. 문장이해력과 유의한 상관은 음운 인식에서는 음절탈락,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이며, 시지각 하위변인들과도 높은 상관이 있었다.. 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은 음운 인식 유형, 시지각 유형, 단기기억 유형에서 모든 하위 변인들과 상관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bilities and reading and spelling skills for the cerebral palsied.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to compare cognitive and reading and spelling skills between high and low groups of articulation abilities and between spastic and non-spastic groups. The 30 cerebral palsied were recruited from a special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s(Kim, 2004) measuring the articulation ability of the cerebral palsied,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short-term memory tests, and Visual-Perceptual Skills Test-Revised(Gardner, 1996), K-SPM Raven Intelligence Test(Yim, 2004). Moreover, The Basic Learning Skill Tests(Park et al, 2001) and A Picture-Vocabulary Test(Kim et al, 1995) were also measured to identify the reading and spelling abilities of the cerebral palsi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astic cerebral palsied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short-term memory of numbers than the non-spastic cerebral palsied. Second, the cerebral palsied, those with superior articulation ability showed better ability in counting the numbers of syllables, rime-phoneme distinction, and short-term memory of both numbers and letters. The cerebral palsied, those with higher ability of articulation could bring out better results in vocabulary performanc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gnitive abilities and the reading and spelling skills for the cerebral palsied.

      • KCI등재

        읽기부진아동의 문식성 예언변인 연구

        박순길,조증열,유영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 읽기부진아동의 문식성 예언변인을 알아보고자 광주광역시 A, B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이 중 단어읽기, 받아쓰기, 단어읽기속도 3영역에서 -1.5SD 이하의 기준으로 2영역 이상 해당되면 읽기부진, 1영역만 해당되면 읽기보통, 하나도 해당되지 않으면 읽기우수 아동으로 정의하였다. 문식성과 음운인식, 시지각, 명명속도, 형태소 인식, 어휘력과의 차이 및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통한 예언변인을 알아보았다. 첫째, 읽기부진아동은 문식성, 음운인식, 명명속도, 형태소 인식, 어휘력에서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그러나 시지각 변인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읽기부진아동의 문식성 상관변인은 음운인식, 시지각, 명명속도, 형태소 인식이다. 그러나 시지각의 시각변별과 시공간관계, 음운인식의 음절탈락 변인은 읽기부진아동의 문식성과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셋째, 읽기부진아동의 문식성 예언변인은 음운인식과 명명속도이었다. 단어읽기 예언변인은 숫자명명속도이고, 받아쓰기 예언변인은 음운인식의 끝음소탈락이었다. 그러나 읽기속도 예언변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literacy of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phonological awareness, visual perception, naming speed, morphological awareness and predictor variables of these students.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 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of all, it has been found that reading underachievers showed lower ability in literacy, phonological awareness, naming speed,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compared to average and high achievers. Secondarily, the study proved that the predictor variables of literacy for reading underachievers were phonological awareness, visual perception, naming speed, and morphological awareness. Thirdly, the predictor variables for literacy of reading underachievers were phoneme awareness, number naming speed, object naming speed.

      • KCI등재

        언어치료사의 청각장애 아동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분석

        박순길,류성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9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s and demands of speech therapists on speech therapies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For this study, we implemented questionnaires using 70 subjects who work in G metropolitan city and interven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speech therapists believe that speech therapies for children have to be started immediately after hearing impairment was noticed and before starting to wear any hearing aids. The appropriate time for sign language education is when children are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speak normally and immediately after hearing impairment noticed, while the suitable time for oral approach education is before starting to wear any hearing aids and right after hearing impairment noticed. For the demands on education participation in speech therapies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interests and needs were high on parent consultations in hearing impairment, intervention methods for hearing impairment, evaluation methods for hearing impairment and uses of assessment tools. Regarding any improvements for speech therapies, demands were high on preparation for teaching aids and testing tools, enough time assignment for evaluation, various teaching materials for the disabled and developments of teaching aids. During speech therapies of hearing impairment, difficulties were reported regarding lack of knowledge about hearing impairment therapy procedures, lack of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lack of teaching aids and so on. 이 연구는 언어치료사를 대상으로 청각장애 아동에 대한 언어치료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G광역시에 근무하고 청각장애 아동을 중재하고 있는 언어치료사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치료사들은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치료의 시작 시기는 청각장애를 발견한 직후부터 그리고 청각보조기기를 착용하기 전부터 언어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수화와 구화 교육의 적절한 시작 시기로는 수화교육은 말을 정상적으로 하기 어렵다고 판단 될 때와 청각장애를 발견한 직후부터, 구화교육은 청각보조기기를 착용하기 전부터와 청각장애를 발견한 직후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치료를 위한 교육 참여 요구도에서는 청각장애에 관한 부모상담, 청각장애 중재방법, 청각장애 평가방법 및 평가도구 사용 등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가 높았다. 언어치료를 위한 개선사항으로는 교구 및 검사도구의 구비, 평가에 충분한 시간 배정, 대상자를 위한 다양한 교재, 교구의 개발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청각장애의 언어치료 시 어려움은 청각장애 치료를 위한 절차에 관한 지식 부족, 청각장애 아동을 지도하기 위한 자료, 교구의 부족 등에서 어려움이 나타났다.

      • 예술고와 전문계고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일상적 창의성과의 관계 연구

        박순길,정경희 인지발달중재학회 201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일상적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광주 광역시 A, B, C 고등학교 305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 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학습결과를 계속해서 이어가려는 경향이 있다. 예술고 학생들은 다양한 경험과 자유를 추구하려는 경향, 새로운 경험이나 생각을 기꺼 이 수용하려는 경향, 다른 사람의 생각보다는 혼자서 일을 하려는 경향이 높으며, 주변 의 사물이나 현상에 관심을 더 갖는 경향이 있다. 둘째, 전문계고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일상적 창의성 상관관계 중에서 내적동기가 창 의성과 높은 상관이 있다. 셋째, 예술고와 전문계고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주는 일상적 창의성 변인은 다 르다. 따라서 학교유형별 학생들의 학교 학습에서 동기 변인이 다르기 때문에 학교유형 별 특성을 살린 학교 학습이 필요하다.

      • KCI등재

        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조음능력과 청각능력 연구

        박순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articulation and hearing ability betwe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kindergart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40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and 40 children with general disabilities who live in Gwangju. Consonant accuracy), auditory ability (word awareness, word recogni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reliability coefficient, descriptive statistics, t -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etardation had a shorter vocalization time of about 3.5 seconds, lower articulation ability and consonant accuracy than those of normal infan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bility of articul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infants. Seco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etardation had lower word recognition than the general infan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recognition of speech. Word recognition of the developmental retarded infants was 93.24% and speech recognition was 96.6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articul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조음능력과 청각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전남, 전북에 거주하는 언어치료실 및 장애전담어린이집의 지적장애 유아, 자폐성장애 유아 40명과 광주에 거주하는 일반어린이집의 일반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조음능력(발성시간, 조음운동능력, 자음정확도), 청각능력(어음인지도, 단어인지도)를 알아보았다. 통계처리는 신뢰도계수, 기술통계, t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는 일반유아보다 발성시간이 약 3.5초정도 짧고, 조음운동능력과 자음정확도도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달지체유아는 조음능력이 일반유아보다 낮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발달지체유아는 일반유아보다 단어인지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어음인지도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발달지체유아의 단어인지도는 93.24%, 어음인지도는 96.60%로 청각능력은 정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발달지체유아의 조음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읽기 중재프로그램이 읽기부진학생의 문식성과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박순길,최유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부진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읽기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10주 동안 주 1회 중재를 실시하여 읽기 중재프로그램이 읽기부진학생의 문식성과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전라남도 G군의 ○초등학교 6학년 읽기부진학생 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읽기부진학생은 국어 학습능력이 하위 5% 이하인 학생들로 쓰기에도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었다. 방과후 시간을 활용하여 사전, 사후검사 각 2회기, 중재 8회기로 매 회기마다 40분씩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6단계에 따라 읽기 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문식성과 어휘력에서 향상을 보였다. 특히 문식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읽기 중재프로그램에 따른 문식성과 어휘력의 향상은 참여 학생 모두 비슷하게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부진학생의 읽기 중재프로그램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읽기, 쓰기와 인지처리능력 연구

        박순길,조증열,김은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liter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fy cognitive-linguistic predictors that can affect their literacy. First, the higher-grade students showed better cognitive-linguistic variables in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Second, it has been noted that the predictor variable of reading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was homeostasis in visual form, which is a sub-variable of visual perception. This implies that detained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prerequisit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recognise features and clues about the details than reading familiar words. Furthermore, learning consonants and vowels should come first rather than studying letters at the first stages of learning Korean.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을 알아보고 문식성에 영향을 주는 인지-언어적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초등 저학년 46명, 초등 고학년 39명, 전체 85명이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은 4~16년이고, 국적은 필리핀, 일본,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우즈베키스탄, 스리랑카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쓰기, 인지-언어적 변인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수행능력이 높았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예언변인이 시지각 하위변인인 시각형태항상성으로 나타난 것은 읽기의 선행조건에서 세부특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는 친숙한 단어보다는 세부특징에 대한 단서를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글을 처음 배우는 단계에서 통글자 위주의 지도보다는 자음과 모음의 특징을 인식시키는 훈련이 먼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놀이상황에서 발달지체유아의 발화능력과 어휘다양도 연구

        박순길,한재금,류성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aking ability and lexical divers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play situations, we investigated spontaneous speech(length in morphemes, phrasal length, length in words) ability and lexical diversity of 30 preschoolers residing in I city, Jeollabuk-do Province. In each group, there were 10 subjects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and brain lesions, respectively. Their spontaneous utterances were evaluated in natural situations during animal play, market play, hospital play and house play. As a result,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alyzing mean length of utterance and it appeared that the utterance length of morphemes, phrases, word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as longer than that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nd children with autism. Secondly, regarding lexical diversity, overall lexical diversity,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total number of word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vers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nd children with aut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ech program that improves the grammatic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and it will be an important direction in developmental retardation intervention. 본 연구는 놀이상황에서 발달지체유아의 발화능력과 어휘다양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I시에 거주하는 미취학 아동 중 생활연령과 언어연령, 지적능력이 동일한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뇌병변장애 유아 각각 10명씩 전체 30명을 대상으로 자발화(형태소길이, 구문길이, 낱말길이) 능력과 어휘다양도를 알아보았다. 유아에게 익숙하고 흥미와 연령을 고려하여 선정한 실물과 유사한 놀잇감을 선정하였으며, 동물놀이, 시장놀이, 병원놀이, 소꿉놀이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발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평균발화길이를 분석 하였을 때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지적장애 유아의 형태소길이, 구문길이, 낱말길이의 발화길이가 뇌병변장애, 자폐성장애 유아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휘다양도는 지적장애 유아가 전체어휘다양도와 다른 낱말 수, 총 낱말 수에서 뇌병변장애와 자폐성장애 유아에 비하여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며 발화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병병장애와 자폐성장애 유아의 문법발달을 향상시키는 발화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고, 발달지체유아 중재에서 중요한 방향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