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실행에 대한 인식과 요구

        이선애(Lee, Sun-Ai),강혜경(Kang, Hye-Kyeo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2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과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휴게시간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의 설립유형별 보육교사로 각 4명씩 연령과 교육경력을 고려하여 24명을 선별하였다. 연구방법은 교사별 개인 인터뷰형식의 FGI질문법을 활용하였으며 질적인 분석을 위해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는 휴게시간 시행을 정책적인 문제로 인식하였고 현장에서 휴게시간 시행은 보육교사의 직무 특성상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휴게시간 실행에 대한 보육교사인식은 현실적인 어려움, 가짜 휴게시간 환경조성, 업무의 과중, 원장과의 트러블 발생, 보육의 질 저하, 제도 자금 낭비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은 조기 퇴근의 필요성, 쉼에 대한 인식의 개선, 보육교사에게 시간적 여유의 제공, 복지제도의 필요, 영 · 유아 안전보장대책의 필요, 인력 지원을 요구하였다. 장기적으로는 법적 보육시간의 수정이 필요하며 보육교사의 근무시간과 보육수요를 분석하여 2교대나 근무환경의 수정을 요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개선은 대체교사활용과 초과근무수당의 지급으로 휴게시간 운영을 지원하고 장기적으로는 보육교사의 근무시간과 보육시설이용시간에 대한 보육지침의 수정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는 보육수요자의 환경을 분석하여 다양한 보육서비스로 분류하고 보육현장의 근무 탄력제나 2교대 근무제를 수용하는 등 수요자와 공급자에 대한 맞춤형 정책과 인프라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We will execute an in-depth interview(called FGI) to the daycare center teachers. We can show how to improve the teachers’ rest period by researching on the actual conditions. It is for giving the basis to the policy improvement by suggesting the methods of making better working conditions for the teachers who can’t rest in field. The objects of study are 24 daycare center teachers from Seoul-Incheon area, 4 people each from the groups based on the age and experience. We interviewed each teacher in depth using FGI method, and drew the research question by categorizing the interview contents. It turned out that the daycare center teachers’ rest period policy has a problem and it can’t be solved in the field. Also the intensity of labor is high and rest time is lacked compared to the other occupation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children and service. Putting substitute teachers in field, flexible working system and overtime payment would be the solutions. And in the long term, the working hours and the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by analyzing the demand in the field. The cognition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rest period has been known before, but it has been ignored because of the field conditions. For example the policy of rest time has been worked, but it didn’t work properly in reality. In other words, there was out of comprehension about the daycare occupation and its environment. Also the working hours are long and the intensity of the labor is high compared to other jobs.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put the substitute teachers and give the overtime payment. In the long-term, we suggest an amendment of working hours and related policies. And the government should classify the daycare services into the groups and make flexible working system, and overall infrastructure.

      • KCI등재

        보육교사의 팀티칭 경험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수준 분석

        최윤희,김현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팀티칭 경험 유무와 기타 팀티칭 관련 경험적, 운영적 특성의 하위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권리보육)에서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담임교사로 근무하는 보육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가 진행된 해당 보육년도에 팀티칭 운영 경험이 있는 교사, 당해 팀티칭을 운영하지 않았지만 이전 팀티칭 경험이 있는 교사, 팀티칭 경험이 전무한 교사 집단 간 교사효능감과 권리보육 수준을 비교한 결과, 교사효능감에서는 팀티칭 운영 집단이 팀티칭 경험 전무 집단보다, 권리보육에서는 팀티칭 운영 집단이 나머지 두 팀티칭 미운영 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팀티칭 관련 기타 경험적, 운영적 특성에 있어서는, 팀티칭 경력이 높고 팀 교사와 교수 신념 및 접근법이 유사할수록, 그리고 역할분담이 분명하고 정기적인 회의 시간을 가진 경우 교사효능감과 권리보육이 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있어 팀티칭이 기능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팀티칭 운영 방향에 대한 유용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t levels of teacher efficacy and childcare practice (rights-securing childcare) depending on preschool teacher’s team teaching (TT) experiences and related experiential and procedural variables. Survey included 230 preschool teachers working at pre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with TT experiences during the given curriculum year scored higher on teacher efficacy than those with no TT experience and also scored higher on rights-securing childcare than those currently non-participating in TT but having prior experience as well as those with no TT experience. The study also found that levels of teacher efficacy and rights-securing childcare were generally higher with more experience in TT, with similar teaching beliefs and approaches among TT teachers, with clearly defined and assigned roles among TT teachers, and with regular meeting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efficacy of TT on preschool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childcare practice respecting children’s rights, and offer practical tips for effective operation of TT system in preschool settings.

      •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서은희,백영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보육신념, 교수창의성,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상관을 밝히고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 보육교사 34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연구도구는 보육신념 검사도구, 교수창의성 검사도구,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보육신념, 교수창의성,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상관관계는 서로의 변인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의 하위요인 각각의 요소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보육신념, 교수창의성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위해 보육신념과 교수창의성을 높이는 다양한 방법의 실적적 지원과 더불어 효율적인 역할수행 향상을 위한 꾸준한 연구가 지속 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따른 보육실습생의 역할인식 차이

        박은주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따른 보육실습생의 역할인식 차이를 살펴보는 것은 예비보육교사에게 보육실습 현장에서 보육실습생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고,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예측하게 한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따른 보육실습생의 역할인식 차이를 파악하는데 있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교사 교육원, 3년제 대학,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 400명에게 설문조사를 한 후, SPSS 21.0을 이용하여 384부를 분석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따른 보육실습생의 역할인식 차이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보조자・정서적 지원자・교직능력함양자・생활지도자로서의 역할에서는 보육실습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보육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에 보육실습생의 역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이나 관련 대학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따른 보육실습생의 역할인식 차이와 관련된 이론적 지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육실습 현장에서 보육실습 동안 예비보육교사로서의 역할과 보육현장에서 근무하는 동안 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Looking into the difference in the role perception of child care student teacher according to the experience in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is necessary, as it allows them to perform the role of child care student teacher effectively and to predict their roles at the child care practice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role perception of child care student teacher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After surveying 400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of 3-year and 4-year college students in Gwangju, a total of 384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s program SPSS 21.0.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y sub areas, the role of assistant teacher, emotional applicant, teacher training capacity cultivator and life leader was found higher in the role perception of child care when having the experience in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results intend to provide the training institutes or colleges concerned not only the pertinent theoretical knowledge following the practical experiences but the practical help enabling the students to perform the role efficiently as a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 while experiencing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in the site, and as a child care teacher while working.

      • KCI등재

        보육교사의 스트레스와 영유아 돌봄에서 연기에 대한 인터뷰

        김종두,김은종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보육교사와 학부모에 대한 인터뷰와 매스컴의 자료들을 통해 보육교사의 스트레스와 연기 의 의미를 도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어린이집의 대처방안이 필요하다. 보육의 상황에서 문제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차원에서 보육교사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문화생활 지원 즉, 영화관람권, 콘서트 입장권 등의 제공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부모들이 보육교사를 대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보육교사들의 가장 많은 스트레스는 학부모 와의 관계형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린이집에서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개특강과 같이 어린 이집 운영과 학부모간의 신뢰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운영하는 것도 학부모로 인한 스트레스 를 줄이는 좋은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들은 원장과의 갈등으로 인해 스트레 스를 받으며, 동료교사들과의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들의 영유아 돌봄은 사명감과 직업관이 강할수록 연기 활동에 익숙하며, 또 밝은 표정과 친근한 행동이 몸에 배여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부모는 기본적으로 어린이집을 신뢰하여야 한다. 매스컴에 나타나는 일부 어린이집들의 행태에 대해 너무 부화뇌동하지 않아야 한다. 여섯째, 학부모도 보육교사를 대할 때 연기 가 필요하다. 학부모 또한 일상생활이 항상 즐거울 수는 없으며, 기분이 좋지 않는 날에도 보육교사를 대 할 때는 밝은 표정을 짓는 연기 활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에서 보육교사들이 받는 업무적 스 트레스와 대안에 대해 알아보고, 영유아들의 돌봄 과정에서 연기의 적용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와 더불어 학부모의 어린이집에 대한 인식을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Through interviews and media sources, the study draws on the need and meaning of daycare center operations and the performance of daycare teachers, and aims to co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a need for daycare centers to cope with stress relief for day care teachers.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from occurring in the context of childcare, the government needs to deal with them by providing movie tickets for cultural life and concert tickets. Second, it is necessary to teach parents how to deal with child care teachers. The most stress of day care teachers was shown by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a good way to relieve stress by operating daycare centers and creating and operating programs to build trust between parents, such as open special lectures for parents. Third, day 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are stressed out by conflict with their principals, and stress with their fellow teachers is relatively low.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tronger the sense of mission and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teachers, the more familiar they were with acting, and the brighter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friendly acts were on their bodies. Fifth, parents should basically trust daycare centers. The behavior of some daycare centers appearing in the media should not be too hatching. Sixth, parents also need to act when dealing with child care teachers. Parents can't always be happy, but even on bad days, they need bright-faced acting when dealing with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조남예,문재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co-system factors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to verify whether the eco-system factors of the childcare teachers play a role as a control variable between the turnover intentions.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20, 2017 to August 20, 2017. Data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 20 program according to purpose of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self-esteem,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negative self-esteem did not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better the family relations of daycare teachers,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daycare teachers. Third,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leader who is the middle system variable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ourth, the higher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daycare teachers. Fifth,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thics and professional perception about infants, the lower the intention of leaving the daycar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guarantee and compensation for working hours of childcare teache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for providing pleasant and safe physical environment,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upport of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respectively. In addition, practical guidance was provided to ensure that childcare teachers are guaranteed working hours, improved treatment,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ethics in teaching, and suggested policy direct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long-term employee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생태체계요인과 이직의도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이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이직을 줄이는데 있다 경기도소재 법인 단체 등 어린이집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 민간 어린이집 직장 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에종사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부를 배부하여 부를 회수하였으며 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에 결과에 의하면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에서 근무시설의 유형과 보육교사의 자격 정도에 따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미시체계 요인과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관계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이직의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중간체계 요인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근무시간과 물리적 환경만이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거시체계 요인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를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과 교직윤리 의식은 이직의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거시체계인 교직윤리의식의 하위변인 중 자율성 사회경제적 지위 영유아에 관한 윤리의식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일반적으로 보육교사의 근무시간과 물리적 환경 전문성 인식과 교직윤리 의식 자율성 사회경제적지위 영유아에 관한 윤리의식은 이직의도에도 영향이 클 것이라고 기대되나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교사 개인에 대한 개입보다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보육교사의 근무시간에 대한 보장과보상 그리고 쾌적하고 안전한 물리적 환경 작업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강구되어야하며 보육교사의 근무시간에 대한 보장과 처우개선 그리고 전문성 인식 및 교직 윤리의식을 함양할 수있도록 실용적인 관리지침의 확립하고 이에 종합적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보육교사 핵심역량에 관한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 간의 인식 차이

        김병희,김언진,윤미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핵심역량을 조사하고,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강원도와 대구·경북 지역에 근무 중인 어린이집 교사 59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핵심 역량의 요소를 추출하였고, 같은 지역 어린이집 교사 290명과 학부모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문항별 신뢰도와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간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1.5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핵심역량 중 자질과 태도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핵심역량중 능력과 역할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핵심역량 전체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도출된 보육교사 핵심역량은 예비 보육교사의 보육교사로서의 역량 발휘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 간의 인식차이를 근거로 보육교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육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러한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보육교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 KCI등재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초임보육교사의 배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유계숙 ( Gye Sook Yoo ),김수경 ( Soo Kyung Kim ),강경화 ( Koung Hwa Kang ),박지혜 ( Ji Hye Park ),황지영 ( Ji Young Hw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의 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이 초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80개의 국공립보육시설과 151개의 민간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1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초임보육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임보육교사는 전반적으로 높은 교사효능감을 보고했고, 직무스트레스는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각 유형(개발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 위계문화)에 대해 다소 높게 지각하였다. 한편 초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중 합리문화, 근무경력, 담당아동연령은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냈고,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 근무시간, 교사효능감은 초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centers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tress among novice child care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231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80 national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151 privat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ll of them were newly appointed teachers with less than a year of employm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novice child care teachers showed high levels of teacher efficacy and slightly low levels of job stress. They also perceived high levels of development, rational, group,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enters where they worke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perceived levels of r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hild care centers, lengths of employment, and ages of children under car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s of novice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The levels of teachers` job stress were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by the perceived levels of group, rational,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centers, their working hours, and levels of teacher efficacy.

      • KCI등재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현장에서의 보육교사 리더십

        이선미 ( Sun Mi Lee ),변혜원 ( Hye Won Byun ),김혜리 ( Hye Rhee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리더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이들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7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리더십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리더십 정의, 리더로서의 자기 인식, 리더십 발현의 형태의 세 범주로 나뉘어 구분되었다. 보육교사가 생각하는 리더십의 정의는 지도와 융합의 리더십, 사랑과 표현의 리더십, 상호?수평적 리더십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교사의 개인적 측면, 사회적 측면, 물리적 측면, 인적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보육교사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측면의 하위 내용으로는 보육교사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자기계발을 위한 교육 및 연수 경험, 리더십 증진에의 노력이 있었고, 사회적 측면에서는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보육교사의 낮은 보수 및 열악한 근무여건, 부족한 리더십 교육 기회로 나타났다. 물리적 측면으로는 기관의 물리적 환경 요인이 있었으며, 인적 측면에서는 보육시설장의 신뢰와 지지, 동료교사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ay about teacher`s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setting. The study was conducted by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mainly worked in the early childhood field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By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the result indica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leadership as facilitative and cooperative leadership. Teachers indicated that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hey used leadership to interacting with young children and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Moreover, teachers mentioned that support from director, co-workers helped them to use leadership in teaching and develop their leadership ability. However, teachers indicated that low expectation from the society, low paying, and lack of gett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related to the leadership was the main element to improve their leadership skill in early childhood setting.

      • KCI등재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노동유형에 미치는 영향

        신동주,엄소명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and underst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allow child care teachers to function in the institutions positively. To address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92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o investigate how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sub-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were higher than normal. Except autonomy of psychological well-being, all other sub-factors were higher than normal. Also, according to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child care teachers conducted more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and less surface acting.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general tendencie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ypes of emotional labor, all the sub-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re found to be above the medium level, Regarding psychological well-being, sub-factors excluding autonomy are found to be above the medium level. Also, regarding the types of emotional labor, child care teachers are often involved in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and their surface acting is found to be less than those.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re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rd,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ree types of emotional labor were examined, revealing that, as predictors, social relations, humanity, performance of teacher’s duties, sub-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self-acceptance and positive relation,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ffect the natural acting. Creative personality and social relations as predicto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urface acting but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relations as predictors had negative impact on surface acting. Also, social relations, creative personality and purpose in life and self-acceptance were found as the predictive variables for affecting deep acting. Autonomy had negative impact on deep act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teacher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hild care teachers’ performance of emotional labor.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노동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가 기관에서 긍정적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개인특성들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정서노동유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노동유형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 본 결과 보육교사 인성의 모든 하위요인은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은 자율성을 제외한 나머지하위요인 모두 보통 수준 이상이었다. 또한 보육교사는 정서노동유형 중 자연행동과 내면행동을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표면행동은 그보다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대부분의 하위요인은 정서노동 유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보육교사의 인성 중사회관계, 인간애, 직무수행태도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중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정서노동 유형 중 자연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창의․인성, 사회관계는 정서노동 유형 중 표면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안녕감 중 개인적 성장과 긍정적 대인관계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인성 중 사회관계, 창의․인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 긍정적 자아개념은 내면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안녕감 중 자율성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수행에 있어서 교사 인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