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동기: 부모 환경의 영향 및 대학 선택을 중심으로

        공희정(Gong Hee Jung),박경현(Park Kyung Hyun)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4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의 다양한 대학진학 동기를 유형화하고 대학진학동기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부모 환경 변인에 초점을 두어 이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고자하였다. 아울러 대학진학 동기 유형이 대학 선택(대학설립유형, 대학소재지, 대학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중 대학진학 예정자 1,647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및 다항로지스틱 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진학 동기는 동기복합 고수준, 외재동기 중시형, 내재동기 중시형, 동기복합저수준의 네 가지 형태로 분류되었으며, 대학진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부모 양육 방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의 동기에 따라 대학 선택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등학생의 진학 동기에 주목한 대학진학지도및 학생들의 다양한 동기를 고려한 교육의 질적 제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college access,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students parental environment, among other related factors, regarding their motivation to attend college. Additionally, we examined how different motivations influence college choices, such as college control, college location, and college level.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1,647 high school students who aspired to attend college in the KCYPS 2010 dataset in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We placed high school students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high mixed-motivation, intrinsic-oriented motivation, extrinsic-oriented motivation, low mixed-motivation. We found that parenta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se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categorized were associated with college choic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ing style, as well as the parental SES background, had a pivotal role in forming motivation for college. For the practical implications, advice about college access and motivation to go to college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of promising college students to enhance access and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배경, 학업성취도, 학생 동기의 구조적 관계 : 동기요인의 매개 및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세근,권동택,김현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남녀학생에 따른, 교사의 심리적 배경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배경이 학생의 내․외재적 동기를 통해 반영될 때 학업성취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한「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에서 제공되는 전국규모 표집의 2주기 2008년 초등학교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배경, 학생의 학습동기, 학업성취도를 변인으로 구분하였고,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한 경로계수 추정 및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의 심리적 배경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학생의 학습동기에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교사의 심리적 배경은 학생의 학습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교사의 열의나 사기는 외재적 동기와는 부적인 관계에 있었고, 외재적 동기가 학업성취에도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경로계수의 유의수준과 Sobel 검증결과를 살펴볼 때, 교사의 심리적 배경과 학업성취도 사이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어, 학생의 내재적 동기는 부분매개로서 역할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about the mediative effect of student's motivation, student's academic accomplishment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ackground by using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Education data. Base on the selected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factor, teacher's psychological background factor, student's academic accomplishment factor.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 : First, teacher's psychological background has direct effect on the student's academic accomplishment. Th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was more influential variable than extrinsic motivation factor on the student's academic accomplishment. Second, the mediative effect of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factor was significant. Third, the model fit, 7412.940(df=228, p<.01), TLI .873, RMSEA .054, CFI .905, NFI .902 was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standar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Sobel verification methods, the mediative effect(male intrinsic motivation Zαβ=10.1465(p< .01), extrinsic motivation Zαβ=6.8205(p<.01) / female intrinsic motivation Zαβ=8.6003(p<.01), extrinsic motivation Zαβ=5.6037(p<.01)) was significant. As based on this results, succeeding study can be more helpful with elaborate factor about student's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aspects.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에서의 배경사건과 동기조작 개념에 대한 비교 고찰

        이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2

        응용행동분석에서 선행사건/선행자극이나 후속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배경사건과 동기조작이라는 두 가지 용어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 두 용어의 개념과 관계가 관련문헌에서 명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다소 혼란스러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용어를 여섯 가지 측면(배경, 정의, 유형, 선행사건/선행자극과의 관계, 후속결과와의 관계, 출현시기)에서 살펴보고 비교한 후 결론으로 두 용어의 정의와 관계를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사건의 정의는 ‘선행사건/선행자극보다 앞서 발생하거나 그와 동시에 발생하여 선행사건/선행자극이나 후속결과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나 변인’으로 제안한다. 둘째, 동기조작의 정의는 ‘선행사건/선행자극보다 앞서 발생하거나 그와 동시에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강화물이나 벌칙의 효과를 변화(증가 또는 감소)시켜서 그 강화물이나 벌칙이 뒤따르는 행동들의 발생가능성을 변화(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조건이나 변인’으로 제안한다. 셋째, 배경사건과 동기조작의 관계는 배경사건에 동기조작이 포함되는 것으로 제안한다. Two terms of setting event and motivating operation are receiving attention as antecedents affecting antecedent events/antecedent stimuli or consequences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In the related literature, however, the concepts of setting event and motivating ope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re not only unclear but also somewhat confus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ir definitions and relationship as conclusions after reviewing and comparing them in terms of six aspects(background, definition, types, relationship with antecedent events/antecedent stimuli, relationship with consequences, time of appearance). Following we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proposed definition of setting event was ‘an condition or variable that occurs prior to or simultaneously with an antecedent event/antecedent stimulus and then influences response to the antecedent event/antecedent stimulus or consequence’. Second, the proposed definition of motivating operation was ‘an condition or variable that occurs prior to or simultaneously with an antecedent event/antecedent stimulus and then temporarily alters(increases or decreases) the effectiveness of a reinforcer or punisher and alters(increases or decreases) the likelihood of behaviors that lead to that reinforcer or punisher’. Third, the proposed relationship between setting event and motivating operation was that setting event includes motivating operation.

      • KCI등재

        훈민정음에 관한 연구의 회고 ― 창제 배경과 동기 및 목적 그리고 창제자를 중심으로

        한재영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This study aims to review existing arguments and evidence on Hunminjeongeum. It especially focuses on the background, purpose, and motivation of Hunminjeongeum’s invention and on its creator.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background of Hunminjeongeum’s invention. They have suggested several hypothetical backgrounds: 1) the history of writing systems in other countries; 2) philological and phonological background; 3)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4) Neo-Confucianism and I Ching; 5) religious aspect; and 6) writing systems used before Hunminjeongeum in Korea. There are diverse explanations for Hunminjeongeum’s invention: 1) for the sake of people, 2) for writing Chinese characters’ pronunciation, 3) for substituting the existing writing system, 4) for the propagation of Buddhism, and 5) for writing lyrics of songs precisely. It is believed that King Sejong invented Hunminjeongeum; however, researchers differ in their opinions on whether Hunminjeongeum was the sole invention of King Sejong. Since the invention of an alphabet requires tremendous work, it is doubtful that King Sejong, who had to govern the country, invented Hunminjeongeum by himself. However, King Sejong was not assumed to be directly involved in the process. There are various opinions regarding who in fact was involved in it: either the 1) royal family, 2) Jiphyeonjeon scholars, or 3) Buddhists.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future research should evaluate existing perspectives on Hunminjeongeum’s invention, drawing conclusions that support existing theories. 본고의 목적은 훈민정음과 관련한 문제들 가운데 창제의 배경과 창제의 목 적 및 동기 그리고 창제자에 관한 문제로 주제를 한정하여 그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 그들이 주장하는 바를 정리하여 보고, 그들 논의가 가지고 있는 논 지 및 근거 자료들에 관해서도 살펴보는 데에 있다. 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우 리가 알고 있는 훈민정음에 관한 지식과 정보는 아직도 그 전모(全貌)와는 상 당한 거리를 두고 있는 듯한 느낌을 떨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먼저 훈민정 음 창제의 배경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여 논지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훈 민정음의 창제 배경을 살피기 위한 그간의 시도는 실로 다각적인 것이었다. 세 계 문자사와 우리의 문자사 즉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 경험한 문자에 대한 이해라든가 당시의 음운학적인 내용이 훈민정음의 창제 배경으로 이야기되기도 하였으며, 정치·사회·문화적인 측면이라든가, 성리학·역학적인 측면 그리고 종교적인 측면 등도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으로 검토되었다.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에 대해서도 제가(諸家)의 학설은 다양하였다. 어리석은 백성들을 위한 것이라는 위민(爲民)에서 찾기도 하고, 한자음의 정리 와 발음기호로서의 표기를 위한 것이라거나 그동안 사용하여 온 차자표기의 대체가 그 동기 내지는 목적이었다고 보기도 하였다. 그밖에도 불교의 보급 목 적이라든가 악가(樂歌)의 표기를 위한 데에서 목적을 찾기도 하였다. 세종이 손수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는 명제는 이미 상식처럼 된 듯이 여겨 지기도 하지만, 훈민정음을 창제한 주체에 관한 의구심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 다. 국사만으로도 충분히 바빴을 세종이 실로 엄청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훈 민정음의 창제에 직접 관여를 할 수 있었겠는가 하는 것이 친제설(親制說)에 대한 의문의 출발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창제협찬설을 펴는 경우라고 하더라 도, 협찬에 관여한 인물과 협찬의 방식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 다. 세종이 직접 만든 것은 아니고, 학자들에게 명하여 만들었을 것이라는 설과 세종이 다른 이들의 협력을 얻어서 만들었다는 설이 그것이다. 협찬에 의한 것 이라는 주장의 경우에도 구체적인 협찬자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여, 왕실과 집 현전 학사 그리고 불교계 등 각기 다른 견해를 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다양한 견해에 대한 옳고 그름의 판단 작업이 우리의 새로운 과제로 남 겨진 셈이 되었다. 제시되었던 기존의 논의들이 각각 그만큼씩의 진실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 그들을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결론을 찾아나서는 것이 우리가 밟아가야 할 다음 여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박물관 관람객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방문동기가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립대구박물관 관람객을 중심으로-

        공은화 ( Eun Hwa Gong ),배진희 ( Jin Hee Ba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국립대구박물관을 중심으로 박물관 관람객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방문동기가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총 180 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응답지 150 부를 분석에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 배경에 따른 관람객 만족도의 통계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에서는 남성보다 여성, 연령대에서는 60 대 이상, 소득에서는 500 만원에서 600 만원, 학력에서는 대학원 졸업, 박물관 방문횟수에서는 11 회이상의 방문이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박물관 관람객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방문동기가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소득과 학력은 관람객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방문동기는 관람객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박물관 방문동기의 하위변수가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네 가지의 하위변수 중 친화동기가 관람객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방문동기 중에서 친화동기가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박물관의 친화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가족단위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시민들과 소통하는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social background and motivation of visit of museum visitors on their satisfaction rate. For this purpose,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multi-regression analysis. Total of 18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150 copies were analyzed. Following results were revealed. Firstly, regard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atisfaction rate by variables, the highestsatisfaction rates were shown among the people who are females, above in their 60s, having income between 5 and 6 million, graduating post graduate school or have visited museum more than 11 times. Secondly, it was shown that there isno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educational background and satisfaction rate of visitors while motivation of visi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rate. Lastly, among the 4 sub-factors, affiliation motiv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rate of visitor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motivation of visit and satisfaction rate. This research presented that affiliation motive needs to be emphasized. Therefore, programs for families need to be developed and communication with people needs to be enforced to strengthen affiliated function of museum.

      • KCI등재

        컴퓨터 사용자의 데이터 백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종기(Jongki Kim),김지윤(Jiyun Kim)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7 연세경영연구 Vol.54 No.3

        인터넷과 정보기술(IT)서비스의 활성화로 보안위협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그 심각성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컴퓨터 사용자의 데이터에 대한 보안위협을 줄이고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대응방법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기술적 보안대책만으로 보안위협을 완벽히 방어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백업과 같은 추가대응을 통해 데이터를 복구함으로써 정보보호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컴퓨터 사용자의 백업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개인의 백업행동을 유발하는 과정에 선행하는 배경요인에 주목한다. 일상에서 형성된 보안습관과 다른 사람의 보호행동을 접한 결과인 가시성을 배경요인으로 설정하고 보호동기를 일으키는 개인의 평가를 통해 개인의 백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측정항목을 구성하고 분석도구로는 SPSS 21.0과 Smart PLS 2.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컴퓨터 사용자의 백업의도에 대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평가가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컴퓨터 사용자의 인지적 평가에 대한 배경요인의 강한 중요성을 확인했다. 셋째, 위협평가에 대하여 보안습관이 가시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2배 이상의 중요한 역할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평가의 간접적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보호동기이론의 전체 모형 관점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정보보호를 위한 보호조치 중에서 상대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던 개인적 관점의 데이터백업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보호동기이론의 전체 모형에 대한 접근을 바탕으로 보다 넓은 범위에서 컴퓨터 사용자의 인지구조를 이해하고자 했음에 의의가 있다. 백업을 통한 데이터 보호는 컴퓨터만의 문제가 아니므로 다양해진 IT기기에 적용함으로써 폭 넓은 연구로 발전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uses overall model of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test empirically what people make back up data on their personal computers. To address this, we integrated security habit and visibility as the background factors with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o investigate sources of information antecedent to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process.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constructed based on prior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SmartPLS 2.0. The results showed that threat and coping appraisals had power of explanation on back up inten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background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reat and coping appraisals.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security habit and visibilit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intention of back up. The effect of security habit is more than twice as big as visibility. In the field of the countermeasures for information securit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ata backup researches from the personal perspective, which have not been relatively dealt with. Also,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omputer users’ structure of cognition more widely, based on the approaching method for the overall model of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Data security through the backup is not only the problem of computer but also the diversified IT instruments. It contributes to the wide use of backup and lead to improve the level of security and develop the wide research against the threat of security.

      • 개화기 농서의 편찬 배경과 편찬 동기

        김영진 ( Young Jin Kim ),이길섭 ( Kil Seob Lee ) 한국농업사학회 2008 농업사연구 Vol.7 No.2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개화기 농서의 편찬 배경과 편찬 동기를 살피고자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32종의 개화기농서를 분석 고찰 하였다. 그 결과 개화기 농서의 편찬배경은 1876년 한·일 수호조약에서 비롯된 문호개방과 이에 따른 세계열강과의 잇따른 수호조약체결 및 문물교류가 주된 배경이었다. 개화기농서의 편찬자들은 전문적 농학교육을 이수하거나 직업적으로 권농경험이 축적된 노년층이 아니라 비교적 젊은 20-30대의 개화에 민감한 청장년층 이었다. 또 편찬자들은 농서편찬을 정부로부터 위촉받거나 사후보장을 기대하지 않은채 개인적 자발적 노력으로 편찬하였는데 그 뜻은 서양의 실험농학적 성과인 우수한 농업생산기술의 도입정착으로 생산 기술개혁을 이룩하면서 농업도 자급자족적 경영에서 벗어나 수지타산을 목표로 하는 상품생산을 실현함으로써 부국강병의 재정적기초가 되는 농업진흥을 조속히 이룩하고자 한 것이다. 그 내용은 경험농학이 수세기에 걸쳐도 이룩하기 어려운 기술혁명적 내용이며 이를 한국인 스스로의 노력으로 성취한데 더 큰 의미가 있다. 궁극적으로 개화기농서는 개화파 인사들의 애농(愛農)을 통한 애국사상의 자발적 표현이 농서로 나타난 것이다. The authors studied and investigated backgrounds and motivations of editing 32 agricultural books in the period of transitional period of Late Yi Dynasty. The backgrounds of editing these agricultural books are the open-door policy from the treaty of ami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1876 and culture exchanges with the world powers. The editors of these agricultural books are not the elderly who have studied special agricultural sciences or experienced farming methods but the 20-30 years old young generations who are susceptive of enlightenment. The editing of these agricultural books were from their own accords without any compensation from the government. The editors thought that these agricultural technologies from western contries would helpful for revolution of farming methods and for the transit to commercial farming from self sufficient farming. Their final aim was the realization of rural development which would be the basement of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These agricultural books contained the technology revolutionary contexts which could not be made from the conventional farming methods for many centuries. It is very meaningful these books were edited by efforts of Korean themselves. To conclude,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se agricultural books were edited by the voluntary efforts of the progressive patriotic Koreans.

      • KCI등재

        지방공무원의 자원봉사태도에 미치는 요인

        이은희,박희봉 한국공공관리학회 2022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6 No.4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volunteer attitude of local public officials in order to find a way to utilize retired public officials who have various expertise and are capable of volunteering in various fields. We analyzed how the personal background, job satisfac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local public officials affect volunteer attitud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attitude of volunteering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of local public officials. In other words, the three factors of volunteer attitude, such as activeness, public interest, and effectiveness, appeared different according to position, length of service, marital status, and age. In addition, when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background of local public officials and volunteering attitude, female public offic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volunteering activity as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than male public officials did. Second, although many studies report that job satisfaction affects volunteer attitudes, this study found that only som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ffect some volunteer attitude factors. Among various job satisfaction factors, only job interest had a positive effect on volunteer activity, and satisfaction with remuneration had an effect on the public interest in volunteering. Third, a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public service motives affect volunteer attitud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is could be accepted. It was found that all public service motivation factors, such as public policy preference, consideration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self-sacrifice, had a direct impact on volunteer activity. 본 연구는 다양한 전문성을 보유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봉사활동이 가능한 퇴직공무원을 자원봉사에 활용하는 방안을 찾고자 지방공무원의 자원봉사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지방공무원의 개인적 배경, 직무만족, 공공봉사동기가 자원봉사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관악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12명의 설문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방공무원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자원봉사태도가 다르게 나타났고, 직무만족의 일부 요소가 일부 자원봉사태도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태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공봉사동기였다. 공공정책 호감도, 사회약자 배려, 자기희생 등 모든 공공봉사동기 요인이 자원봉사 적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공정책 호감도를 제외한 사회약자 배려와 자기희생은 자원봉사 공익성과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공무원 선발 시 공공봉사동기가 높은 후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를 높일 수 있는 교육 및 학습이 필요함을 정책적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모죽지랑가〉의 창작 동기와 정치적 배경

        서정목(Suh, Chung-Mok)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서강인문논총 Vol.0 No.37

        이 글은 鄕歌모죽지랑가의 창작 동기와 정치적 배경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 노래는 得烏가 竹旨郞사후에 지은 輓歌이다. 이 노래 창작 시기의 孝昭王은 16살에 왕위에 올라 26살에 돌아가셨다. 여기에 관한 한 『삼국유사』의 기록이 옳고 『삼국사기』의 기록은 신빙성이 떨어진다.효소왕은 太宗武烈王의 손자(神文王)과 외손녀(神穆王后)사이에서 태어났다. 신목왕후의 아버지 金欽運은 『삼국사기』 ‘열전’의 金歆運과 동일인이다. 그는 태종 무열왕의 사위로서 655년 백제군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 때 그에게는 어린 딸이 있었다. 이 딸은 28살도 더 되었을 683년에 신문왕과 혼인하였는데 그 전에 그들에게는 세 아들[孝昭王, 寶叱徒太子, 聖德王]이 있었다. 이 아들들이 신문왕의 國舅金欽突의 亂의 원인이다. 이 난으로 일부 화랑도 출신 귀족들이 誅戮되고 逐出되었으며 화랑도가 폐지되었다. 이것이 신라 귀족 사회의 분열의 원인이 되어 국가 興亡盛衰에 영향을 미쳤다. 이 노래는 화랑도 출신 귀족인 죽지랑이 화랑도가 폐지되고 동료들이 축출되는 정치적 상황에서 불우하게 만년을 보내고 효소왕 치세 초반에 이승을 떠난 후에, 得烏가 죽지랑의 초상 날 장례 때나 대상 날 탈상재 때에 사용할 輓歌로 지은 것으로 보인다. 이 노래가 『三國遺事』 ‘紀異篇’에 실려 있는 것은 이러한 사연이 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신라 본기’는 이와 관련된 기록에서 누락이 있고 소루한 편이다.이에 반하여 『삼국사기』 ‘열전’ 金歆運조는 ‘본기’의 기록이 보여 주지 못하는 정보를 싣고 있어 그의 외손자들과 관련된 史實에 빛을 비추고 있다. 그 빛은 모죽지랑가의 정치적 배경과 창작 동기를 밝히려는 우리의 추리에도 주요 열쇠가 되어 주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motivation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of the hyangga Mojookjirangga. This song is the elegy which Silo created for the funeral ceremony or the ending ceremony of mourning period of Jukjirang’s death. The King Hyoso of Shilla of the era related to this song succeeded the throne when he was 16 years old and died when he was 26 years old. Regarding on this fact, the record of the ‘Samkookyoosa’ is correct and the record of ‘Samkooksagi’ is unbelievable. He was born between a grandson(King Shinmoon) of King Thaejongmuyeol and one of his granddaughters in law(Queen Shinmok). Kim Heumoon, the father of Queen Shinmok is the same person recorded as Kim Heumoon in the ‘Samkooksagi’ Yeoljeon. He was one of sons in law of King Thaejongmuyeol, and died a glorious death on the battle field against Baekje in 655 A.D. He left an infant daughter. She married King Shinmoon in 683 A.D. when she was over 28 years old, and she gave births to three sons(King Hyoso, Prince Bojildo, King Seongdeok) before her marriage. The existence of these sons was the cause of Kim Heumdol’s rebellion who was the father in law of King Shinmoon. Because of this rebellion a certain group of nobles from Hwarangdo was killed or expelled, and the Hwarangdo system was abolished. This made the society of nobles of Shilla split, and affected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This song seems to be created by Silo in order to be used at the day of the funeral ceremony or ending ceremony of mourning period of the death of the noble Jookjirang, who had lived for about 15 years in obscurity in this political situation of expelling. It is the reason why this song is recorded in the ‘Samkookyoosa’ Kiiphyeon. In ‘Samkooksagi’ Shilla Bongi, there might be some omissions and distortions of the records about this fact. On the contrary, ‘Samkooksagi’ Yeoljeon Kim Heumoon article gives a light to the historical fact of his three grandsons in law. This light illuminated the narrow path of this study to clarify the motivation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of creation of the song Mojookjirangga.

      • 어린이 권장도서의 머리말 내용 분석

        이희영 한국독서교육학연구회 2008 독서교육연구 Vol.- No.2

        본 연구는 ‘2007 어린이 권장도서 목록’에 수록된 초등학교 1~6학년 대상 권장도서의 머리말 실태를 파악하고, 머리말의 유형을 분석하여 머리말 읽기가 읽기 전 활동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 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사)어린이도서연구회가 발행한 ‘2007 어린이 권장도서 목록’에서 초등학교 1~6학년 대상 권장도서 총 548권 중 미확인 도서 11권을 제외한 537권이었다. 연구 과제를 검 증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도서의 머리말 유무 실태를 분야별, 국가별, 학년별, 텍스트 유형별로 분석한 후, 머리말이 있는 도서를 대상으로 머리말 내용에 따라 동기유발, 배경지식, 읽기전략, 저자개인사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머리말은 연구 대상 전체 도서 총 537권 중 35.6%에 해당하는 191권에서 읽기 전 활동의 읽기 자료로서 확인되었고, 머리말 내용은 동기유발(88%), 배경지식(72.8%), 읽기전략 (33.5%), 저자개인사(23%)유형 순으로, 읽기 전 활동의 목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읽기 전 활 동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