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참여 및 학습성과에 대한 학자금 지원 효과 패널분석 : 학자금 지원 유형 및 대학 특성을 중심으로

        공희정(Gong, Hee Jung),진선미(Jin, Seonm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수혜가 4년제 대학생의 학습성과(대학학점, 이수학점)와 학생참여(교과참여, 공동교과참여, 비교과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의 출처와 성격, 대학 특성에 따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수혜 효과를 보다 세분화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장학패널(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 KOSAPS)의 1차에서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9개 학기의 데이터를 균형패널(balanced panel)로 재구성하여 4년제 대학의 총 3,854명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패널분석을 위해 이원고정효과모형(two-way fixed effects model)과 확률효과모형(random effects model)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장학금 수혜는 전반적으로 교과참여, 이수학점, 학점에 대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수혜 여부에 따른 학업성과 및 학생참여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한국장학재단의 대출 이용 시 이수학점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의 수혜여부와 유형, 대학 특성에 따른 효과가 상이하게 관찰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소득, 학교유형 등을 반영한 학자금 지원 정책방안 등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inancial aid (scholarship and loans) on college student engagement (curricular, co-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nd achievement (earned credits and GPA) in 4-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dditionally, the study provides analysis on how the effects would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aids and of colleges (location and control). The sample includes 3,854 students enrolled in 4-year institutions throughout 9 consecutive terms from a national data set from the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 (KOSAPS) by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A two-way fixed effects model and a random effects model for panel analysis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es, it was found that scholarships gener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rricular engagement, earned credits, and GPA.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depending on taking loans or not, the earned credits increased when taking a loan specifically from the Korea Scholarship Foundation. Furthermore, upon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financial aids by characteristics (e.g., need-based, merit-based, and work-study based) and institutional type and loca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ncome-based scholarship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arned credits in contrast to its negative effect on GPA and student engagement in class and co-curricular activities. The income-contingent loa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earned credits, whereas the private student loan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earned credit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생참여(student engagement) 결정요인의 실증적 탐색: 대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과 대학특성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공희정(Gong, Hee-Jung),이병식(Rhee, Byung-Shi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3

        최근 대학교육의 성과와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OECD와 미국 등을 중심으로 학생참여(student engagement)에 관한 조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들이 시작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육성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학생참여에 중점을 두고, 학생참여의 결정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현장에서 행정가들이 보다 통제 가능한 변수들에 초점을 두기 위해, 학생들이 지각하는 대학 내 학습환경에 주목하고, 이 요인이 학생참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향이 대학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일반대학 51개에 재학 중인 3, 4학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최종적으로 5,820명이 표본에 포함되었다. 분석방법은 자료의 다층 구조가 반영되는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2-Level)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이 지각한 대학의 학습환경의 수준과 대학특성은 학생의 개인적 배경 특성을 통제하였을 때, 참여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특성 변수와 학생의 지각된 학습 환경 변수 간에는 층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각 대학의 환경 및 특성에 따라 학생참여를 제고시키기 위한 전략과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collegiate educational achievements worldwide. Among the important factors that lead to student learning during college, international scholars have long recognized that the efforts of the students is important which is termed as student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In this context, a significant interest in the learning process for college students is increased and a related study is underway in Korea. However studies on college student engagement are just emerging.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actors of institutional features and student perceived learning environments that have influence on student engagement which assume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llegiate educational outcom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5,820 junior and senior students within 51, 4-yea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analyze this dat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was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 learning environment perception and the institutional featur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 engagement when controlling for other student-level variables. Furthermore, there were the cross level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tudent perceived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 engagement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o university administrators a differential strategy taking into account institutional features to the enhancement of student engagement.

      • KCI우수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대학진학 동기: 부모 환경의 영향 및 대학 선택을 중심으로

        공희정(Gong Hee Jung),박경현(Park Kyung Hyun)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4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의 다양한 대학진학 동기를 유형화하고 대학진학동기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부모 환경 변인에 초점을 두어 이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고자하였다. 아울러 대학진학 동기 유형이 대학 선택(대학설립유형, 대학소재지, 대학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중 대학진학 예정자 1,647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및 다항로지스틱 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진학 동기는 동기복합 고수준, 외재동기 중시형, 내재동기 중시형, 동기복합저수준의 네 가지 형태로 분류되었으며, 대학진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부모 양육 방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의 동기에 따라 대학 선택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등학생의 진학 동기에 주목한 대학진학지도및 학생들의 다양한 동기를 고려한 교육의 질적 제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college access,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students parental environment, among other related factors, regarding their motivation to attend college. Additionally, we examined how different motivations influence college choices, such as college control, college location, and college level.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1,647 high school students who aspired to attend college in the KCYPS 2010 dataset in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We placed high school students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high mixed-motivation, intrinsic-oriented motivation, extrinsic-oriented motivation, low mixed-motivation. We found that parenta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se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categorized were associated with college choic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ing style, as well as the parental SES background, had a pivotal role in forming motivation for college. For the practical implications, advice about college access and motivation to go to college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of promising college students to enhance access and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대학효과 연구의 최근 동향

        이병식(Rhee, Byung Shik),김혜림(Kim, Hye Rim),공희정(Gong, Hee Jung),박혜경(Park, Hye Kyeong),전민경(Jhun, Min Ky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4

        최근 들어 국내외적으로 대학교육의 성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관련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대학이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대학효과")에 관한 종합적인 문헌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최근 국내 대학효과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이 분야의 최근 동향과 주요 성과 및 과제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교육학 분야에서 발표된 학술논문들을 최대한 포함하기 위해서, Cooper와 Robinson(1997) 등이 제안한 문헌검색 방법에 기초하여 문헌을 수집했다. 그 결과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6년간 교육학 관련 등재(후보)학술지 가운데 대학 효과에 관한 논문을 게재한 21개 학술지 207편의 논문이 대상문헌으로 선정되었다. 문헌분석은 문헌검증 방법 가운데 서술적 분석과 주제별 분석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6년 동안 대학효과 관련 연구가 60% 증가하였고 방법론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다. 대학효과 연구의 ‘산출’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비인지,심리 영역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비인지, 행동 영역에서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환경변인’을 ‘산출’요인과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 조직차원, 수업 내 경험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수업 외 경험에 대한 연구가 다소 미흡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효과 연구의 향후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Whi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orldwide on how college impacts students in a range of contexts, to date there have not been any comprehensive reviews of college impact studies in Korea. This paper provides the first systematic review of Korean college impact research to understand current research trends and major achievements, and to discus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be as inclusive as possible of the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the field of education, we collected literatures according to the search methods suggested by Cooper et al. (1997). Descriptive (narrative) and thematic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for review. The results show that college impact studies increased considerably during the last 6 years, including achievements in methodologies and subjects. Analysis of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types of educational outcomes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was on the affective-psychological outcomes of higher education, calling for more attention to research on cognitive-behavioral outcomes. Additional analysis of educational outcomes regarding college environment variables show that most of the studies were on organizational features and in-class experiences with studies on out-of-class experiences lacking in compari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