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의 1950년대 대한ㆍ대일 원조정책의 비교 -한국의 효율적인 ODA 정책을 위하여-

        전운성 한국농업사학회 2009 농업사연구 Vol.8 No.1

        한국과 일본은 세계 2차대전 이후 미국으로부터 많은 경제적 제도적 원조를 받았다. 특히, 한국은 한국전쟁으로 전국토가 파괴되어 미국으로부터의 경제적 원조는 전쟁피해를 복구하고 나아가 자립경제를 세우는데 일조하였다. 물론, 미국의 원조목적은 빈곤을 퇴치하는데 주목적이 있었으나, 경제적 자립을 통한 반공국가로서의 입지를 키워주는 데에도 있었다. 이는 일본에 대한 원조정책의 목적인 미국의 자본주의적인 제도를 이식시키는 과정과 맥을 같이하고 있었다. 이렇듯 전후 미국에 의한 한일 양국에 대한 정책의 기조와 내용을 비교하면서, 미국에 의한 대한ㆍ대일 원조의 성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시대 상황을 달리하고 있지만, 아시아의 경제강국으로 등장한 한일양국에 의한 개도국의 경제개발을 위한 대외원조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특히, 한국은 현재 원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입장이 바뀌었음은 물론 OECD의 개발원조위원회(DAC)의 가입을 목적에 두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과거 미국이 한국과 일본에 행한 원조의 내용과 그 성격을 구명하여 현재 원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한 한국의 원조정책이 개도국의 경제발전을 위하여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권업모범장의 설립과정과 역사적 성격

        김도형 ( Do Hyung Kim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1

        일제는 청일전쟁 이후 한국에 대한 정치적·경제적 지배를 강화하면서 한국의 미곡을 대량으로 반출하여 자국의 부족한 식량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한국의 쌀이 일본에 수출되는데 많은 문제가 있다는 점이다. 첫째는 한국의 쌀이 일본에 수출될 정도 충분히 생산되지 못한다는 점이고. 둘째는 미질이 일본시장에서 상품으로 거래되기에는 품질수준이 매우 낮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의 쌀은 양과 질 양면에서 개량될 필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제는 `농사모범장` 설치를 준비해 갔고, 그 과정에서 한국정부 주도의 농사시험장 설립이 추진되었지만 이를 묵살하고 1906년 6월 일본정부 주도의 권업모범장을 경기도 수원에 창설하였던 것이다. 권업모범장 창설 이후 자신들의 외도가 달성되었다고 판단한 일제는 이것을 한국정부에 이양하였다. 일제는 권업모범장 설립으로 그들의 목적으로 한 쌀의 안정적 공급지로서 역할을 담당시키고자 하였고, 한국에서 쌀 생산증대를 통해 양질의 쌀을 일본에 공급하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전시기 동안 일제는 이 같은 농업정책의 기조 하에 농업기술 정책이 수립되고 추진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Agricultural Technology Organization which focused on colonial agricultural as well as the supplying Japanese agricultural technical system to Korea within a Japanese imperialism framework. The Agricultural Technology Organization was a reorgan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agricultural to a colonial agriculture system. Namely, this work addresses the various agricultural experiments under the Korean Government General. This study centers around the Kwonup mobum jang(勸業模範場), later called the Central Agricultural Examination Station(農事試驗場). The beginning of colonial agriculture in Korea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gricultural Technology Station in Suwon, 1906 and the Province Field Seedling Organization in Ch`inju, Hamhung two years later. Both systems were later reorganized and expa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General. Until 1910 the aim of the Kwonup mobum jang had been to conduct a large scale propaganda campaign promoting Japanese farming techniques and to spread Japanese varieties of seeds. This organization`s main activities had been to set an example of agriculture rather than agricultural experimentation. After Japan annexed Korea in August 1910. This study reaches four conclusions regarding the experimentation and research of colonial Japan`s agrarian policies in Korea. First, the experimentation and improvements to Korean agricultural methods were determinated by the needs and demands of Japan`s population, not Korea`s demand. This is to be expected because Japan had political control over Korea. The colonial regime established and staffed the Agricultural Experiment Organization oversaw the introduction of farming techniques, seed varieties, and so forth. Second, the colonial regime imported Japanes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forced them upon Korean farmers. This ignored traditional Korean techniques which had evolved over centuries to accommodate local the soil and climate. Third, experimentation and study of agricultural techniques concentrated on the rice production. Under Japan, Korea`s agricultural production became a mono-culture based on rice. Furthermore, much of this rice was exported to Japan while the Korean population relied increasingly on other grains. Forth, the ultimate end to these policies was not Korean agricultural development, but increased food production for the Japanese population. To spread newly improved seeds that were studied in Japan, colonial bureaucrats invariably experimented on Korean lands through these technical organizations. Japan tested unproven seed varieties on Korea`s wide land, so the damage to the Korean peasantry is often ignored. Japan had experimented with varieties of rice on many farms without compensation to the participating farmers.

      • 한국사에서의 노비

        제임스 B. 팔레 한국농업사학회 2003 농업사연구 Vol.2 No.2

        17, 18세기까지 한국사회에서 전체 인구 대비 노비(노예)의 비중이 30퍼센트 이상이 되었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학계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서 그다지 주목하지 않고 있다. 그렇지만 고도로 발달된 문명사회 가운데 한 지역인 한국의 전근대 사회에서 이 정도로 노비 인구가 많이 존재했다는 점은 주목해야만 할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세계적으로 가장 대표적인 노예제 국가 혹은 사회라 할 수 있는 고대 그리스 로마나, 남북전쟁 이전 시기 미국 남부 사회에 있어서도, 노예 인구가 30% 이상을 차지했다는 점에서 이들 국가 혹은 사회를 노예제 국가ㆍ사회라 부른다는 사실은 상식에 속하는 일이다. 전근대 한국사회에서의 노비들도 그들이 무엇이라 불리던 간에 주인의 재산으로 간주되고 따라서 상속, 증여, 매매되었다는 점에서 노예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인구 비중에서 18세기 후반 이전까지 30퍼센트 이상의 항상적인 수치를 기록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18세기 이전 한국사회를 세계사적 차원에서 가장 대표적인 노예제 국가 가운데 하나로 비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들 노예들은 대체로 고려 왕조의 건국을 전후하여 대량으로 발생하였으며, 18세기 후반 이후 인구 구성에서 현격하게 그 비중이 낮아졌다는 점에서, 한국의 노예제 사회는 약 9세기에 이르는 매우 장기 지속적인 특성을 지녔다고 판단된다. 한국 역사의 독특성은 바로 여기에 있으며, 이를 통해서 왕조의 장기적 지속성, 양반 귀족층의 강고하고도 안정된 지위 등과 같은 한국 전근대 사회의 특질들에 대한 해명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그런 점에서 한국 역사에서 노비제 연구는 매우 중요한 과제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근대(近代) 한국(韓國)의 경운작업(耕耘作業) 기술(技術)의 변천(變遷) -이랑쟁기를 중심(中心)으로-

        박우풍 ( Woo Pung Park ),이운용 ( Woon Yong Lee ),김상철 ( Sang Cheol Kim ) 한국농업사학회 2011 농업사연구 Vol.10 No.2

        西洋 農業科學技術의 國內 導入은 1885年 入國한 改新敎 宣敎師인 언더우드, 아펜젤러, 스크랜턴 等이 宣敎事業의 一環으로 始作한 敎育, 醫療, 學術部門의 西洋 施設의 設立과 西洋 機械를 輸入 하면서 韓國이 서구의 近代 文化를 수용하게 되는 契機가 되었다. 이때 西洋의 機械技術이 紹介되었으나 一般에까지 擴散되지는 않았다. 1945年 2次 大戰 以後에 가솔린 엔진이 搭載된 트랙터가 國內에 紹介되면서 그 附着作業機로 西洋의 쟁기인 푸라우가 紹介되었으며 이를 利用한 耕耘作業技術이 導入되었다. 그 以後 1960年∼1970年代 韓國과 英國, 獨逸의 農業機械技術協力事業의 一環으로 本格的으로 土壤을 다루는 機械들이 國內에 紹介되기 시작했다. 國內 耕耘整地技術은 朝鮮 末期까지 따비, 쟁기, 가래, 써레, 번지 等 大部分 人力 畜力을 利用한 農器具들이었다. 畜力쟁기의 改良은 1964年까지 이어졌으며 약 15cm까지 耕耘할 수 있는 再建 쟁기가 開發普及되었다. 耕耘作業의 機械化는 1963年 動力耕耘機가 普及되면서 畜力 쟁기를 改良한 耕耘機 쟁기가 紹介되었으며, 그 以後 트랙터가 普及되면서 西洋쟁기인 푸라우를 本格的으로 使用하게 되었다. 그동안 人力과 畜力에 의한 耕耘 깊이는 약 10cm 內外로 淺耕하였기 때문에 作土層이 얕아지고 作物의 生産性이 떨어져 1970年代 政府는 農事技術로 深耕을 勸奬 하였다. 1970年代 以後, 트랙터와 西洋의 푸라우가 農家에 擴散 普及되면서 耕耘 깊이를 18cm以上 深耕하기도 하였으나, 푸라우 運轉作業技術의 未洽으로 作業 後 흙 몰림 現狀, 湛水狀態에서 整地均平作業에 어려움, 移秧作業 時 移秧機 바퀴의 沈下로 인한 作業性 低下 等의 이유로 논에서 西洋 푸라우로 深耕作業은 漸漸 줄어들었다. 小區劃 논에서 西洋의 푸라우 作業時 發生하는 問題點을 解決하기 위하여 1980年代初에 韓國의 中西部地域인 忠淸南道 웅천, 高北에서 作業性이 좋고 흙 몰림이 없는 이랑쟁기가 開發되어 最近에도 農家 普及이 活潑다. 이 이랑쟁기의 特徵은 논과 밭을 얕게 갈면서도 이랑을 만들어 深耕效果가 있으며 西洋의 푸라우로 갈아 놓은 歷土의 地表面積보다 이랑쟁기의 耕耘 後 歷土의 地表面積이 넓어지고 물 고랑이 생겨 土壤消毒은 물론 排水效果에도 優秀한 長點이 있다. 따라서 最近 이랑쟁기는 韓國의 特有한 틀 쟁기로 製作하기 쉽고 初步者도 耕耘作業이 可能하여 많은 農業人들이 親環境 土壤管理用 機械로 널리 使用되고 있다. Advanced western agricultural technology was introduced to Korean peninsula in 1885 by the mission of christion education program. But the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y was not able to show to farmers in rural area. After 1945 the Second World War, gasoline engine mounted Ford Tractor and implements were introduced to research institute & extensions office in Korea. Before 1960, the major sources of farm power in Korea were human and animal, tools used for soil tillage were animal drawn Jaenggi(Korean Plow) and manual shovels, hoes, soil chisels, spade-like plowing tool(Tabby) etc. The korean traditional original tillage tools is spade-like plowing tool(Tabby). Cow drawn Jaenggi was used for soil tillage up to 1970s in Korean peninsula. Tillage depth was about 6∼8cm deep. In 1970s, power tiller Jaenggi was introduced to rural area in Korea and the depth of tillage was 8∼10cm. Most of young men were pullout to industrial sector from agricultural sector during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Demand for farm labor during the period went up a lot of power tillers included tilling equipments were supplied to farmers. Since 80`s, tillage for paddy field has been done in depth range of 15∼18cm by plow for tractor or single row type janggi for power tiller tractor followed by irrigation, land preparation by rotary cultivator, transplanting. Deep tillage was considered to be good in terms of environment and the physic-chemical soil property improvement. However it makes not only spend so much time and labor for land leveling but put additional difficult running of rice transplanter in the paddy field. That is why Korean typical polw Irang-Jaenggi was developed by farmer in early 1980s in the middle of Korean peninsula. Irang(ridge)-Jaenggi attached to the frame both side left and right turn over the soil after tillage working. It was developed Labor requirements spent in irrigation and land preparation was reduced by shallow tillage by furrow Irang-jaenggi instead of mold board plow. Because furrow Irang (ridge)-jaenggi makes furrow ridges during operation, it doesn`t construct biased soil lump and makes leveling or transplanting easy. When operating in depth of 15∼20cm with furrow ridge janggi attached to the same tractor, tillage operation width was increased 15∼20% compared with mold board plow, air permeability and lister performance were improved. This Korean typical polw Irang-Jaenggi is widly use in the paddy and up-land for sustainable tillage tools in Korea nowadays.

      • 14세기 고려말(高麗末), 조선초(朝鮮初) 농업기술 발달의 추이 -수도(水稻) 경작법(耕作法)을 중심으로-

        염정섭 한국농업사학회 2007 농업사연구 Vol.6 No.1

        15세기 초반 태종대에 만들어진 농서로 현재 『農書輯要』가 남아 있다. 이 농서는 元代의 農書인 『農桑輯要』를 抄錄하고 吏讀를 붙여 간행한 것이었다. 간행연대가 아직 불확실하지만 15세기 초반 태종대로 추정된다. 고려말 합천에서 復刊된 『農桑輯要』가 조선 왕조가 들어선 이후에도 계속 주요한 참고 농서로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로는 조선왕조의 農政策을 수행하는 데 참고서적으로 인용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의 농업현실에 맞는 農書를 편찬하는 데 底本으로 이용되었다. 이행과 곽존중이 맡아서 편찬한 《농서집요》는 중국 華北지방의 특성에 맞추어 엮어진 농업기술서인 《농상집요》의 내용 전부를 초록하여 번역한 것은 아니었다. 《농상집요》의 일부만 발췌하였을 뿐 아니라 抄錄할 부분을 선택하고 본국 俚語로 번역하면서 《농상집요》의 내용순서가 《농서집요》에서 달라지기도 하였다. 『농서집요』의 농업기술로 먼저 벼 耕種法을 살펴보았다. 이때 『농서집요』의 벼 경종법을 回換農法이라고 규정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休閑法과 移秧法이 같이 수행되고 있다는 점을 찾아낼 수 있었다. 15세기에 편찬된 농사직설 에 정리된 벼 재배법이 水耕 直播法 중심의 連作法인 것을 감안한다면, 14세기 무렵 한국의 농업기술 발달 가운데 특히 벼 재배법은 休閑法에서 連作法으로, 그리고 直播法에서 移秧法으로 농업기술의 발달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었다. This essay aim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farming techniques in paddy-field farming during the 14th century. At first we research the method of rice farming by way of examine Nongseojipyo(農書輯要). Nongseojipyo is the first agricultural manual in Korean history. It gathered farming technology which had used during that times by peasants, and it named as Essentials of Farming Manuals(Nongseojipyo : 農書輯要), and it had published since 1409. First of all this manual`s publishers extracted some portions of Essentials of Farming and Sericulture (Nongsangjipyo : 農桑輯要), the China`s old agricultural manuals, and therefore translated it in consideration of native farming method. In 1429 Straight Talk on Farming(Nongsajiksol : 農事直說) was compiled by Jeong Cho(鄭招) and Byen Hyomun(卞孝文) under Sejong(世宗). This was designed to meet the specific conditions of Korean natural feature. We inquire into wet-field cultivation method(水田農法). In Nongseojipyo(農書輯要) the general method of plowing and seeding(耕種法) was two ways. The one is two or three field system, the other is rice transplantation method. In wet-rice cultivation method of 15th century, due to three method in Nongsa Chiksol, the principal method was the direct sowing of wet-tilled fields. Farmers irrigated wet-fields or gathered rainfall, and then tilled with plough. Beforehand the seed was soaked to pregerminate it. The second method was the direct sowing of dry-tilled fields. In case they had suffered from spring drought, they could have adapted to rice cultivation. The technic of transplant rice seedling was the third. The government of Chosun Dynasty constructed many dams(堤堰) and bo(洑) for irrigation. Therefore the number of water supply establishment had been increased in 15th and 16th century. In this point we can find the development of farming method.

      • 한국 농사시험연구의 역사적 고찰 -권업모범장을 중심으로-

        김영진 ( Young Jin Kim ),김상겸 ( Sang Kyum Kim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개국이래 1910년 일제의 강압으로 한일합방이 이루어지기 이전까지 한국의 농사시험연구의 흐름을 역사적,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문호개방이 이루어진 1870년대 이전까지의 농사시험연구는 시험연구를 전담하는 연구기관이 없었으나, 농업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적전(籍田)에서 적전을 관장하던 전농시(典農寺, 후일 奉常寺)에서 표준구(榛準區)가 없는 경험농학(經驗農學)적 방법으로 주곡중심의 농사시험연구가 이루어졌고, 희소하게나마 민간에서도 그 실적을 찾아볼 수 있다. 1884년에는 미국을 본따서 농무목축(農務牧畜)시험장이 서울 청파동(작물원예), 자양동(축산) 등 두 시험지에 개설되어 종목국(種牧局)또는 종목과(種牧課)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그 소속도 왕실직속, 농상사, 농상공부(部), 궁내부(府) 소속으로 전전하며, 1907년까지 존속하다가 권업모범장 개장과 더불어 폐장되었다. 1900년에는 비로소 전문연구기관으로 잠상시험장이 개설되어 양잠 및 재상연구가 서울 필동, 서강, 용산 등지로 전전하면서 실험농학적 방법으로 진행되어 오다가, 1910년 권업모범장에 통합되었고 1906년에는 전문 연구기관으로 원예모범장이 뚝섬에 있던 옛 농상공학교 부속 농사시험장 자리에 농상공부소속으로 개설되어 채소, 과수, 화훼연구를 실험농학적 방법으로 계속하였으나, 1910년 권업모범장에 통합되었다. 1906년 대구에 개설코자 하였던 농상공부 농사시험장은 일제 통감부의 강압으로 일제에 의해 권업모범장으로 명칭이 바뀌어 수원에서 개설준비를 하다가, 5개월 만에 농상공부로 이관되어 1907년 5월 개장식을 거행하고 종합농사시험을 근대적 방법으로 추진해왔으나 1910년 한일합방으로 조신총독부 권업모범장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flow of the agricultural experimental research between the founding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 1910 Japanese colonization historically and systematically. Until korea established an open-door policy in the 1870`s, there were no institutions specialized for agricultural experimental research. However, whenever agricultural problems arose, there were agricultural experimental studies with empirical methods done at Jeonnongsi(典農寺), which was directly under the king`s control, that focused on the main grains. Nonmu Mokchuk Siheomjang(Experimental Farm) was created in Seoul in 1884 according to the American precedent, but was combined into one when the Kwonup Mobeomjang (Model Farm) was installed in 1910. The Jamsang Siheomjang(Sericultural Experimental Farm), that was established in 1900 as a professional institution for the study of sericulture was also absorbed into the Kwonup Mobeomjang in 1910. Wonye Mobeomjang(Horticultural Model Farm), an institute specializing in horticulture -mostly vegetables, fruit trees, and flowers- was also established in 1906 before being combined into the Kwonup Mobeomjang in 1910. The Kwonup Mobeomjang that was established in 1910 was originally supposed to be started in 1906 in Suwon as a agricultural experimental farm(Nongsa Siheomjang) for the Department of Agriculture, Business and Manufacturing Industry of the Chosun dynasty. However, it opened in May of 1907 as the Kwonup Mobeomjang at the insistence of the Japanese colonizers, then became the Kwonup Mobeomjang of the Japanese Government.

      • 혼다 고노스케(本田幸介)와 『한국토지농산조사보고(韓國土地農産調査報告)』1904~1905

        구자옥 ( J. O. Guh ),김장규 ( C. K. Kim ),한상찬 ( S. C. Han ),이길섭 ( K. S. Lee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1

        Measuring by the in-outside country-affairs and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Japan around the end of 19th century, the aggress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s had logically connected with Yoshida`s contention of settlement to Korea.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Korea has just started to modernize and westernize the facilities and man-power training for his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urveyor`s report on the Arable Land and Production in Korea, 1904-1905 was investigated by Honda Gonoske and his collegues. This investigation was intended by the Japanese Department of Agriculture, Commerce, and Industry for the immediate colonization of Korea, even before the instituting of Japanese Resideucy-General in Korea.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report, the team of agricultural production survey has prepared an on-the-spot findings on the socio-economic agricultural status and farming conditions, namely crop and variety, cultural practices, farm and land size, constitution of farm labor and even their living standards and customs. Among others, the team has reported the farm managing status and settling of existing Japanese farmers before 1904, and the report should be regarded for the new Japanese farm-settlement in Korea, among others. The other one team, namely on arable land survey has reported on the fundamental status of environmental and agricultural conditions so as to the climatic, edaphic, biotic conditions, transport conditions, soil characteristics, and uncultivated land [an area not yet brought under cultivation], among others for the additional production increase in near future. Honda Gonoske was the best staff officer for Ito Hirobumi,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in Korea through the beginning of colonization of Korea. It is certain that Honda`s findings, the Report on Arable Land and Production in Korea, 1904-1905 was practically applicated and should be highly estimated to colonization of Korea and it`s agriculture. Honda, the Director of Kwonubmobeomjang[勸業模範場: Experiment Station of Korea Agriculture] and the Principal of Nonglim Hackyo [農林學校 Agricutural School] was the background of locating those institutes at Suwon, and establishing every guide-line and standards of agricultural research instruction, and education system, so as to curriculum, textbook, and school regulation, etc. It is quite out of a question that Honda not only his 『Report on the Arable Land and Production in Korea, 1904-1905』, but also his every achievements as the director of Kwonubmobeomjang and a Principal of Nonglim Hackyo was fortified for the Japenes Imperials to the colonized Korea. However, the 『Report on the Arable Land and Production in Korea, 1904-1905』 should be evaluated, as historically valuable materials which investigated were as on-the-spot findings without any reserves by modern, professional experts. And among Honda`s professional concepts and achievements during 15 years, as a director and principal of agricultural institutes in Korea, by his porfound log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should not be disregarded.

      • 서둔벌의 근대농학 교육과 과학기술 전개

        구자옥 ( Ja Ock Guh ) 한국농업사학회 2010 농업사연구 Vol.9 No.1

        한국의 근대농업교육은 1895년 고종의 교육조서로 태동된 대한제국 농상공부의 상공학교(1899. 6.), 동 농상공학교(1904. 6. 4.), 동 농림학교(1906)로부터, 조선총독부 농림학교(1910), 동 농림전문학교(1918), 동 고등농림학교(1922)와 후기 동 농림전문학교(1944)로 일관되게 이어져 왔고, 오늘의 서울대학교 농과대학(1946. 10. 15.)은 서울 수진방 재용감과 성수동의 뚝섬 및 수원의 서둔벌에 자리하여 일관되게 나라의 농학교육을 이루어 온 총본산이다. 100여년의 역사와 전통을 통하여 서둔벌의 농학교육이 이룩되어 온 성과와 교육전개의 내력을 살펴보고(광복 이후는 배제) 대략 다음과 같다. 서둔벌 위치 선정의 배경: 수원 서둔벌은 지정학적으로나 풍수적으로, 또는 정조대왕의 농업입국 정신을 받드는 입장이나 위치선정 당시의 농업환경적 입장에서 타당한 곳으로 판단된다. 특히 농사시험기관인 권업모범장과의 근접연계성은 현실적이며 능률적이었다. 한국의 근대농업교육 시작은 1895년과 1899년 고종의 교육칙서에서 시작되고 뚝섬에서 수원으로 옮겨져 수많은 명칭으로 변신되어 오늘에 이르렀지만 고종황제와 순종의 칙서에 담긴 내용을 받들어 학교의 역사와 전통을 이어 왔다. 국가적·민족적으로 대표되는 농업·농학교육의 장으로 그 정통성을 유지해 왔다. 일제강점기의 서둔벌 농학교육에 대한 일제의 의도나 한인 지식층의 의도는 한결같이 농림교육을 고등화·전문화된 교육기관으로 진화시키는데 있었고, 현실적으로 그렇게 진화되어 왔으나 양국측이 같은 의도였음에도 내면적으로 동상이몽이어서 일본측에는 부정적인 문제덩어리로 커 왔고 한국측에는 기대 이상의 귀중한 독립정신과 애국문화를 고취시켜 올 수 있게 커 왔다. 이런 양극화 동기는 일인학생의 입학과 점유비율증대를 수반하고 공학제 허용으로 비롯된 것이었다. 서둔농학의 얼과 상록수운동을 위시한 젊은 학생들의 항일 저항운동과 야학운동·고농항쟁 등은 고등전문인력들이 애국·애족 정신과 농학(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서둔벌 항쟁의 전통문화를 창조하고 역사적으로 전례가 드문 사례들로서 민족혼을 지키고 발현시킨 상록수정신으로 표출된 것이었다. 심훈의 소설『상록수』에 잘 묘사되어 있으며, 이런 까닭은 주인공 채영신을 실제인물의 모델로 내세웠던 데 있고, 이 소설의 내용은 동아일보가 창립 15주년 기념행사로 모집·당선시켜 연재하였던 바 있다. Modern agricultural education of Korea has oriented by the Royal ordinance of Emperor Kojong, Choseon dynasty(1895), and started by establishment in order of Sangong School(商工學校, 1899. 6), Nongsangong School(1904. 6), and Nonglim School(1906), respectively. This school was continually changed into newly upgraded and advanced level of education, namely as Nonglim S.(1910), Nonglim Professional S. (1918), High Nonglim S. (1922), and later Nonglim Professional S. (1944). On this respect, th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1946. 10. 15), Seodun-field, Suwon should be counted as the original home and main head campus of Korea agricultural education. Seodun-field as a Campus location? Considering the geopolitical and geomantic characteristics of Suwon, and the socio-economic reformation spirits of Emperor Jeongjo, the location choice of Nonglim school at seodun-field of Suwon would be supported as practically and efficiently responsible. Specially, neigboring with Head Experiment Sta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Kwonupmobeomjang, 勸業模範場] was also one of a logical consequence for the School to be located at seodun-field, Suwon. Orthodoxy of the School? The School, even changed many times in education systems, had observed its historical and conventional notion of agricultural mission released from the Emperor Kojong`s Royal ordinances. such a consistant achievement could be spoken for the School to held his own Upgrading of the School? The systemic phase of the School had continually upgraded by political intension of not only Japanese Imperials but also Korean intellectuals. However the advancing and professionalizing of the School was resulted nothing but a negative dream of colonization policy for Japanese Imperials, and for Korean peoples, really positive phase change for higher and strong power of young students to release devotion for their country and people. Such a both two extremes were resulted from the Japanese education policy to promote the School entrance rule and to increase the ratio of Japanese in enrolled students. Sangroksu spirits and resistance of Korean students? Originally and fundamentally, Korean student-power oriented from the same dormitory [Dongryo] could be rather easily and unifically activated their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Japanese Imperials, such as Sangroksu campaigns [a mass-education drive], teaching a night class [around the near villages of the School], and Konong-student`s resistances [mainly 3 times events for Korean students of the High Agricultural School to directly and nationwidely lead the resistance way], respectively. As well presented in Shimfun`s novel "Sangroksu", Korean students living in a dormitory [Dongryo] would be applauded as heroes who create the advanced resistance culture depending on their professional resistant movements against as an systematic aggressors, Japanese Imp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