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바람길숲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

        박주현,엄정희,손정민 한국환경생태학회 202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변화하는 도시 및 환경 문제,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바람길숲 조성과 관련하여 바람길숲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화 방안 및 부처별 연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바람길 관련 용어를 포함하고 있는 법·제도를 검토하여 관련 계획 내에서 요구되는 바람길의 역할 및 상호관계를 파악하였으며, 바람길숲 관련 상위계획 및 바람길숲 기본계획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현재 조성되고 있는 바람길숲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바람길숲 관련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길숲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은 크게 바람길숲 법제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과 바람길숲의 실효성 있는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 나누어 법률 정비 및 보완 사항을 제안하였 다. 먼저 바람길숲 법제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는 1)용어의 정립 및 법적·제도적 근거 마련, 2)관련 계획과의 위계 정립 및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법적 근거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바람길숲의 실효성 있는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는 1)지도화 된 공간자료 구축에 대한 법‧제도적 근거 마련 방안, 2)바람길숲 기본계획 수립지침 및 바림길숲 조성‧관리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과 그 내용적 범위 등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자료는 바람길숲 관련 법·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제도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체계적인 바람길숲 조성과 관련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for institutionalization and its inter-departmental linkag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wind corridor forests in response to changing urban environmental issues and climate change.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laws and regulations containing terms related to urban wind corridors, identified the roles and relationships of wind corridor forests required in relevant plans, and assessed high-level and basic plans for wind corridor forests to identify issues in the current establishment of wind corridor forests and derive key issues related to them. Based on these results, institutionalization measures for legislating wind corridor forests and their effectiveness methods were suggested. This study proposes 1) defining terms and establishing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and 2) establishing hierarchies with related plans and a legal basis for the basic plan for wind corridor forest as an institutional plan for legalization of wind corridor forest, and 1) establishing a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constructing spatial data like analysis maps and 2) establishing the guidelines for the basic plan and for creating and managing wind corridor forests and their contents as an institutional plan for effective revit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wind corridor forests and can contribut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research of basic plans. It is also hop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ystematically constructing wind corridor forests.

      • 발음각 및 미끄러짐각 센서를 이용한 무인기 바람 측정 시뮬레이션

        최형식,이상종,김성욱,김재은,현정욱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바람은 비행중인 무인기에 외란으로 작용하여 비행체의 자세 및 속도의 변화를 일으킨다. 한편으로 무인기로 바람을 측정할 때는 바람에 의해 순간순간 변하는 동적 상태로 바람을 측정해야 하므로 고정된 정적 상태에서 바람을 측정하는 것보다 이해하기가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바람이 무인기에 주는 상호 영향성 및 바람을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검증하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바람과 항공기의 상호 작용을 실제 탑재 센서의 관점에 입각하여 모델링 하고, 바람 측정 관계식을 모델에 근거하여 명료하게 정리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angle of attack 및 side slip 의 측정값이 정확할 경우 무인기의 제어방식과 관계없이 바람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simulation of wind measurements taken from an airborne UAV. The wind acts as a disturbance on the flying UAV by altering its attitude and velocity. Therefore, the airborne measurement should be taken dynamically to reflect the instantaneous motion of a vehicle that is affected by wind. In order to understand and validate the algorithm that measures win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wind and the UAV, an investigation on simulations is extremely valuable.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confirm that, if the accurate measurements for angle of attack and sideslip are available, the wind can be accurately measured regardless of the control scheme used in flight.

      • 도시환경 여건분석에 기초한 바람길숲 조성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성욱제(Sung, Uk-Je),엄정희(Eum, Jeong-Hee),손정민(Son, Jeong-Min),김주은(Kim, Ju-Eun),민진규(Min, Jin-Kyu),마동욱(Ma, Dong Uk),김진우(Kim, Jin Woo),정동수(Jung, Dong Soo),김성규(Kim, Sung Kyu)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최근 폭염, 미세먼지 등 도시의 환경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가운데, 산림청에서는 도시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전국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길숲 조성사업 추진 도시 중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바람길숲 조성 여건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바람길숲 조성계획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환경취약지역 분석, 바람길 분석, 바람길숲 분석을 진행했으며, 이를 종합하여 대구광역시의 전반적인 바람길숲 조성 여건 파악 및 세부 권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광역시는 외곽에 위치한 바람 생성숲이 풍부하여 바람형성이 원활했으나, 시가지 내부의 디딤·확산숲 및 연결숲이 부족하여 찬공기의 흐름이 도심까지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계획마련이 요구되었다. 또한 권역별 특징에 따라 적합한 바람길숲 조성 전략을 제시했는데 그 중 중부권의 경우 신규 바람길숲 조성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므로 기존 건축물을 대상으로 옥상녹화 및 벽면녹화를 제안했으며, 신천대로, 달구벌대로 등 주요 도로 및 하천의 식재를 보완함으로써 바람흐름을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구광역시의 원활한 바람길숲 조성사업 추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 내 녹지를 체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관련 사업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바람과 제주도 영등신앙

        하순애(Soon Ae Ha) 제주학회 2010 濟州島硏究 Vol.33 No.-

        이 글은 제주도에 있어서 바람이라는 자연적 요소가 어떠한 신앙문화를 형성하였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은 공기의 흐름 이라는 물리적 현상이며, 신앙문화는 신성(神性)에 대한 집단심리적 현상이다. 물리적 현상이 심리적 현상으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물리적 현상을 신성화하는 형식 즉 신화와 신앙의례라는 상징형식이 매개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이글은 세 단계의 논의를 전개한다. 첫째, 신화적 사유에서 바람 은 어떠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 신격으로 등장하며, 각 문화권의 신화적 상징에 보편성이 있는가를 고찰한다. 둘째, 제주도에 있어서 바람신 즉 영등신에 대한 인식 내용을 다각적으로 고찰하면서, 영등신에 대한 제주도와 다른 지역의 인식 차이를 정리한다. 셋째, 제주도의 영등신앙이 어떠한 형태로 전승되어 왔는지를 사료를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근대화과정에서 영등신앙의 변화양상을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우선, 바람에 대한 신화적 해석은 모든 문화권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드러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세계의 모든 신화에서 바람 은 신격을 지니는데 이러한 바람신은 단지 자연현상을 관장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명과 풍요라는 초자연현상의 근간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신화적 사유로써 세상을 이해했던 사람들은 바람신을 섬기면서 바람신의 위협을 잠재우고 동시에 바람신의 생명력에 주술적 기원을 하였던 것이다. 바랑의 신격화, 바람신에 대한 신앙은 한국문화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바람신-영등신에 대한 인식적 관점에 있어서 제주도는 육지부와 차이를 드러낸다. 바람신의 성별, 성격, 기능, 출현방식, 내력담 등에 있어서 나타나는 인식 차이는 곧 제주인의 생활의식 및 생활문화의 반영이라 할 것이다. 한편 제주도영등신앙은 제주도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상관성을 지니면서 마을굿의 형태로 전승되어 왔으나, 근대화과정에서 영등신앙은 약화·변모되고 그 의례절차도 많이 간소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지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영등신앙을 강하게 존속시켜 온 제주도의 문화적 특이성, 제주도 영등굿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세계적 관심 등을 감안할 때, 제주도 영등신앙의 향후 전망은 섣불리 예단하기 어렵다. 이 글의 전개를 통해 필자는 바람신에 대한 신화적 사유의 심원한 의미 그리고 영등신앙문화에 내재된 제주인의 생태적 인식 즉 자연과는 조화와 화해를, 사람살이와는 대동과 안녕을 이루고자 한 생활의식의 의미가 재인식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wind as a natural element built up a folk belief in Jeju. Wind, a stream of air is a physical phenomenon while mythos is a collectiv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deity. A physical phenomenon turned to be a psychological phenomenon needs to he mediated by divinization, that is, symbolization such as myths and religious rituals. This paper is discussed on this subject, taking the following 3 steps. First, wind is considered to be a universal mythical symbol in each culture, coming up to divinity with some symbolic meanings in the mythical thinking. Second, Yeongdung as a wind goddess is considered from different viewpoints in Jeju and examined how differently she is recognized between Jeju and the mainland. Third, Yeongdung belief of Jeju is considered how to be handed down on the basis of historical records and also how to be chang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rough this discussion, it makes sure that mythological meanings of wind are similar in all cultures. In other words, there is wind that has divinity in all myths of the world. The wind god/godess not only controls natural phenomena, but also is the root of life and prosperity which is supernatural. Thus, people who took the worldly affairs based on mythical thinking served the wind god/goddess, appeasing his/her anger and praying to his/her mercy at the same time. The divinization of wind and wind-god beliefs are the same in Korea culture.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Jeju and the mainland in the cognitive viewpoint that a wind god equals Yeongdeung. The cognitive differences in gender, character, capacity, ways of emergence, stories, etc. are seen to reflect daily life culture and sense of Jeju people. Yeongdeung belief of Jeju which has an interrelation with its socio-cultural background is handed down as Maeulgut (a village exorcism), but it is weakened and changed and its ceremonial procedures is also simplified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presuppose the future of Yeongdeung belief of Jeju when the cultural peculiarity which the belief exists in, compared with that of other regions, and world interest in its cultural value are considered. Exploring the profound meaning of mythological thinking about a wind god, Jeju people are considered to have the ecological consensus to be in harmony with nature and the living consciousness to unite them and be well off.

      • KCI우수등재

        바람 명칭 ‘하늬’에 대한 재고찰 -동해안을 중심으로-

        김지숙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89

        동안 서풍으로 보고된 ‘하늬바람’이 동해안에서는 서풍 외에도 북풍, 남서풍, 남풍을 가리킨다는 점에 주목해 이 지역에서 ‘하늬’의 의미는 무엇인지 또 이러한 이유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근대와 현대의 자료, 현지 조사 자료를 통해 ‘하늬바람’이 동해뿐만 아니라 남해와 서해에서도 다른 의미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고유어 바람 명칭의 의미 유연성이 없어지면서 동해안에서 ‘하늬’는 원래 의미 대신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의미 변화도 나타나게 된 것이다. 또 바람의 구분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 일차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동시에 불어오는 바람의 종류에 따라 방위에 대한 지각이 후차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바람 명칭과 이에 대한 구분은 어휘적 차원을 넘어서 사람들이 방위의 구분에 대한 지각을 습관적으로 행하는 사회, 문화적 수단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지방풍(地方風)인 ‘하늬바람’이 해안과 내륙의 지형적 환경 차이로 바람의 방향이 달라져 각 지역마다 다른 개신형으로 대체되었고 표준어와도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지방풍 중에 표준말로 변한 샛바람, 하늬바람, 마파람, 높바람, 높새바람, 샛마파람 등이 지역에 따라 가리키는 방위가 다르고 이에 따라 표준어와 차이가 나타나는 것도 같은 이유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어촌 바람명의 명명적 특성 연구

        박원호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3

        Wind is an important part in basic life at fishing village; thus, study on names of wind need to be thought in conjunction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focusing on close relationship of wind and basic life. However, in the former studies, wind was only studied as concept of wind direction. This study, research on names of wind used at fishing village, focuses on relation of informa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names of wind surveyed in Ethnic Living words Research2, 2013. Moreover, this study discovers the regional difference founded in names of wind at fishing village and examines the meaning of words, based on the result discovered in Ethnic Lving words Research2, 2013. According to that book research, some wind has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the region. For example, ‘Duibaram’ is usually used as ‘North wind’ while that means ‘west wind’ at east coast of Korea. In the following examples-’ Sacheonnaegi(yokjido)’, ‘Wonsannaegi(Gangneung)’- which name wind by surrounding geographic feature, subdivided wind direction of each region reflects direction recogni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discuses the necessity of attention to cognitive element of direction in the region. In naming wind method, the difference among wind names surveyed in each region reflects narrators(informants)’ subjective direction cognition which relates to surrounding environment (geographic feature). If cognitive research is accompanied by ethnographic research on surrounding environment in ‘name of wind’ study, verification problems of coinage, meaning, or origin of words could be solved. In this study, words representing subjective direction cognition of surveyed words were classified with ‘space’ and ‘time’ types. The former includes ‘An(內: Anmasatbaram), Nopda(Nopsaebaram), Matda(Matbaram), Cheojida(Cheojingal)’ and the latter explains ‘Neutda(Neutmaparam), Gal(秋: Neutgal). 바람은 어촌의 기층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바람 이름 연구는 바람이 기층 생활과 밀접한 요소인 것을 주목하여 주변의 환경과 결부하여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이전까지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소홀히 하고, 바람을 방위 개념으로만 국한하여 조사하는 데 그쳤다. 따라서 이 글은 어촌에서 쓰이는 바람 이름 연구로서,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에서 지역(방위)마다 조사된 바람 이름이 제보자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관계가 있음을 주목한다.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를 검토하는 데에서 발견한 사실을 토대로 어촌 지역의 바람 이름에 드러나는 지역적 차이를 발견하고 달리 나타나는 어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의 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부 바람이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나타났다. 그 중 한 예로 ‘뒤바람’이 대체로 ‘북풍’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동해안 지역에서는 ‘서풍’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변 특정 지역에서부터 불어오는 것으로 바람 이름을 명명하는 ‘사천내기(욕지도)’, ‘원산내기(강릉시)’의 용례로 미루어보아, 각 지역마다 불어오는 지역에 따른 인식도 반영될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이 글은 조사 지역 안에서 방향에 대한 인지적인 요소에도 주목할 필요성을 논의한다. 지역마다 조사된 바람 이름 간의 차이는 바람의 이름을 명명하는 방식에서 있어 화자(제보자)의 주관적인 방향 인지 양상이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바람 이름의 연구에서 민족지학적 연구와 그에 따른 인지적 연구가 동반되어 이루어진다면 조어 규칙이나 의미 및 어원에 대한 검증 문제가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글에서는 조사된 어휘 중 주관적 방향 인지가 나타나는 어휘를 ‘공간’ 개념과 ‘시간’ 개념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전자는 ‘안(內: 안마샛바람), 높다(높새바람), 맞다(맞바람), 처지다(처진갈)’와 같은 명칭을, 후자는 ‘늦다(늦마파람), 갈(秋: 늦갈)’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 KCI등재후보

        Envi-met에 의한 바람길 해석 및 건물배치 계획

        유병로 ( Byong-ro Ryu ),고은아 ( Eun-ah Ko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0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1 No.4

        부지의 효율성과 이용율 극대화에 치중하는 오늘날의 개발사업은 바람길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는 바람의 유동을 저해하고, 단지개발에 사용되어진 콘크리트 등과 같은 포장재료를 통해 흡수한 열에너지를 신속히 확산시키지 못하고 단지내에 그대로 머무르게 한다. 이러한 현상은 아파트단지 내 기류의 온도를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되어 에어컨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이는 많은 전력사용을 의미하는 바, 결국 온실가스 사용량 또한 증가 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 또한 바람길이 막혀있어 대기오염 물질 또한 정체시키게 되어 주거지 쾌적성을 저해하고 이는 주민 건강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므로, 공동주택단지 개발시 미기후환경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바람길을 고려한 공동주택 단지를 재배치시켜 Envi-met을 이용해 미기상 모의실험을 통해 바람대기의 온도변화와 바람의 흐름변화를 살펴보고 최적의 공동주택 단지배치의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단지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 중 인근 하천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높은층의 아파트가 막고 있어 바람의 유동을 저해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에 위치한 강변아파트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현재 아파트 배치 형태인 판상형 형태에서 바람길을 고려하여 단지를 재배치하여, 미기상 프로그램인 Envi-met을 이용하여 모의실험하여 공동주택의 배치유형별 공동주택 단지별 열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제 기온 측정값과 Envi-met을 이용한 모의실험에 의해 얻어진 기온 값과의 비교를 통해 Envi-met 모델의 타당성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공동주택 배치유형별 온도변화 및 바람의 흐름변화를 살펴보고, 열환경 저감을 위한 최적의 공동주택 단지배치를 제안하였다. 실제 연구 대상영역의 지형을 고려해 수치 모의한 Envi-met 모델의 계산 값과 실제 측정한 값과의 비교한 결과 상대오차 범위가 0.71% 이내로 모의실험 결과 값이 신뢰성이 있는 자료일 것이라는 판단을 할 수 있다. 현 연구대상지 아파트 배치형태인 판상형(A)는 아파트 단지가 밀집되어 있고 높은 층의 단지가 인근 하천에서 발생하는 바람통로를 차단하고 있어 단지내 바람의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바람길을 고려하여 단지를 재배치한 탑상형(B)는 (A)보다 아파트 단지별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게 분포하고 있어 연구대상지 내·외부적으로 평균 0.44K, 0.18K 온도가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물의 형태변경에 있어서는 판상형의 건물 배치보다 탑상형의 건물 배치가 공기의 흐름을 개선되어 온도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 전력량을 저감시켜 경제적 비용에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CO2 발생량 또한 줄어 온실가스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 development projects, unfortunately, only focuses on maximizing efficiency and coefficient of utilization of sites impede the wind flow due to indiscreet development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wind passage. Not only that but it also results in inability for thermal energy absorbed through pavement materials such as concrete to quickly diffuse. Today`s development projects that only maximize efficiency rate and coefficient of utilization of sites impede the wind flow due to indiscreet developments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wind passage and also remain within a housing complex unable to quickly diffuse thermal energy absorbed through pavement materials such as concrete used in developments of a housing complex. Besides, due to obstruction of the wind passage, atmospheric pollutants come to stagnate, as this causes to hamper comforts of residence and is closely related with health of residents, when developing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it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ing microclimate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features of thermal energy by types of layout of an apartment housing and by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by simulation using Envi-met, a program for microclimate, with relocation of a housing complex considering the wind passage in a plate-type block, which is the current apartment layout by selecting Kangbyun apartment located in Mannyundong, Seogu, Daejeon city as a subject of the study. Apartment used as example is known to impede a wind flow with its high-floor apartment blocking winds generated from nearby river among urban areas populated with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The validity of Envi-met was inquired into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value of measurement of actual temperature and the value of temperature obtained by simulation using Envi-met. The changes in temperature and in the wind flow by types of layout of an apartment housing were looked into on the basis of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nd optimal layout of an apartment housing was suggested for reduction of thermal environment. Considering topography of areas of subjects of actual stud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calculated value of numerically simulated Envi-met and the actually measured values, it could be judged that the value of result of simulation with 0.71% of relative error could be reliable data. The plate-type block(A), the current layout of apartments that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shows that an apartment housing complex is populated and a complex with high floors is obstructing the wind from nearby river, causing impeding the wind flow within the complex. In addition, since tower-type block(B) that was relocated considering the passage of wind showed the smoother distribution of the flow of wind by blocks than (A), it showed that the temperature of inside and outside of the site as a subject of this study was lowered average 0.44K, 0.18K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n change of forms of buildings, it showed that the effect of reduction of temperature was higher in tower-type block layout than in plate-type block layout with the improvement of air flow, which reduces the amount of power necessary for cooling. Thus, it`s not only efficient in economical expenses but also can obtain the effect of reduction of greenhouse gas with the reduction of emissions of CO<sub>2</sub>.

      • KCI등재

        동해안 어촌 생활어에 나타난 바람 명칭 명명법 연구

        김지숙 ( Ji Suk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이 글은 동해안 어촌 지역에서 사용되는 바람의 명칭을 대상으로 어휘의 분화 기제를 살펴보고, 분화 기제에 따라 명칭을 나눈 후 이에 따른 어휘의 분화 양상과 그 명명 방법을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바람 명칭은 사전상에 제시된 ‘동풍, 남풍’과 같은 어휘 외에도 다양한 어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어촌 생활어에서 나타나는 바람의 명칭을 모두 추출하여 그 의미 유형별로 구분한 결과, ‘방위’를 중심으로 한 의미와 형태를 바탕으로 ‘속도 및 세기, 모양과 성질, 위치, 지명, 계절, 시간’으로 어휘 확장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실질적인 어휘 조사를 한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어촌의 독특한 환경이 바람 명칭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고 바람 명칭을 명명 방식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새로운 점을 가장 많은 어휘가 나타난 방위 관련 명칭을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높새’와 ‘된새’는 모두 각각 북쪽과 동쪽을 의미하고 있어하나의 방위가 아니라 두 개, 동쪽과 북쪽의 방위를 모두 지칭하고 있었다. 둘째, ‘새대’와 ‘마대’의 ‘새’와 ‘마’가 방위를, 뒤에 붙는 ‘-대’는 ‘쪽, 편’을 의미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갈바람’의 하위 범주에 ‘동갈, 남갈, 댄갈, 처진갈’이 있으며, ‘갈바람’은 서풍 외에도 남풍을 가리킨다고 정리할 수 있었다. 넷째, ‘설악산내기, 설악산바람’은 모두 위쪽에서 불어오는 샛바람의 일종인 ‘웃고(굴)새’의 하위 범주이다. ‘웃고(굴)새’는 설악산이나 원산이 있는 북서쪽 또는 북쪽의 위쪽 지역에서 오는 바람을 가리키는 말로 바람의 진원지에 따라 그 명칭은 ‘원산내기(내이)’와 ‘설악산내기(바람)’로 분화되었다. 다섯째, ‘내바람’의 다른 명칭 중 특이한 것은 울릉도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청풍’이다. ‘댄갈청풍’과 ‘북청’과 관련된 ‘청풍’은 서쪽에서 부는 바람을 가리키는 말로 맑고 상쾌한 바람을 가리키고 있었다. 바람의 명칭은 방위 외에도 속도 및 세기, 시간 및 계절, 모양과 성질, 위치, 지명의 범주와도 어울려 동해안의 특성을 보여주는 명칭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As a subject of study on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of a word, this study examines everyday words of naming wind used at fishing villages in the east coast of korea. Words of representing wind are classified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patterns and the nomenclature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mechanism. As a result, nomenclature of wind is confirmed to exist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dictionary words such as “east wind, south wind, and etc”. When names of wind in everyday words at fishing villages are all retriev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aning pattern, it is found that the word extended to various words representing velocity, intensity, shape and characteristics, direction, places, season, and timing, based on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 focussed on the wind direction. Through substantial on-site survey of words performed i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pecial environment at fishery villages affects the nomenclature of wind and so names of wind can b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way of naming.

      • KCI등재

        남해안 어민들의 바람에 대한 인지 양상 연구-전남 해남, 경남 욕지도, 경남 가덕도의 바람을 중심으로-

        홍기옥 비교민속학회 2020 비교민속학 Vol.- No.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mmarize the 'cognitive classification system for fishermen's winds' through surveys of wind-related expressions used by fishermen in areas of Haenam-gun, Jeollanam-do, Yokji Island Gyeongsangnam-do, and Gadeok Island, Busan. Since 2011, 19 reporters surveyed the expressions related to wind used by fishermen to summarize their perception of wind. The fishermen's perception of wind was classified according to defense, evaluation, season, weather and harvest. The name of the wind according to the defense wa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ird, honey, horse’ and ‘wind’, which are the native words. The name of the wind reflects local people's perception of wind, such as [direction], [speed], [intensity], [concentration], [influence], [high and low], [region], [evaluation], based on the naming base appear. In addition, fishermen assessed the winds based on their experience with fishing activities. The winds used for fishing activities were classified as good winds, but otherwise, bad winds. Folk knowledge of climate change caused by wind is based on tradition and experience. The wind blowing varies from season to season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ason, some of the winds are useful for fishing, but some are unfavorable. In addition, the distinction related to weather and harvest due to wind has been solidified with an idiomatic expression in fishing villages, and has been transmitted and learned. 본 연구는 남해안 어촌지역인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중리/ 어란리),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도 동항리, 부산시 가덕도 대항동에서 어민들이 사용하는 바람에 대한 어휘 조사를 통해 ‘어민들의 바람에 대한 인지 양상’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2011년부터 19명의 제보자를 대상으로 개방형 면담 조사를 통해 어민들은 바람에 대해 방위(정방, 간방), 평가, 계절, 날씨․수확에 따라 구분하여 인지함을 확인하였다. 방위에 따른 바람 이름은 고유어인 ‘새, 하늬, 마, 노(높-)’ 어형을 핵어인 ‘바람’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바람 이름에 바람의 [방향], [속도], [세기], [농도], [영향], [고저], [지역], [평가] 등 지역민의 바람에 대한 인지 양상이 명명 기반으로 반영되어 나타났다. 또한 어민들은 어업 활동과 연관하여 전승된 경험을 바탕으로 바람을 평가하였다. 어업 활동에 도움이 되는 바람은 좋은 바람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나쁜 바람이라 구분하였다. 바람으로 인한 기후 변화에 대한 민속지식은 전승과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계절에 따라 부는 바람이 다르고 그 특성도 다르다. 계절에 따라 부는 바람 중 어떤 바람은 어로 활동에 도움이 되지만 어떤 바람은 불리하다. 또한 바람으로 인한 날씨․수확에 관련된 구분은 어촌지역에서는 관용 표현으로 굳어져 전승, 학습되고 있다.

      • KCI등재

        이애주(李愛珠) <바람맞이>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本性)

        김경은(Kim, Kyung-eun)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바람맞이>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구체적인 몸짓으로 빚어지게 되었는지, 이 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바람맞이>춤의 생성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바람맞이>춤의 구성과 내용은 무엇이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셋째, <바람맞이>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은 무엇이며, 어떠한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내기 위하여 <바람맞이>춤을 춘 이애주의 춤 인생, 이 춤이 추어진 당대의 사회 · 역사적 상황, 문화운동의 특성 등을 고찰하였고, 이와 함께 <바람맞이>춤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 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을 탐색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바람맞이>춤에 관한 자료(인터뷰, 공개강의, 신문 및 잡지 기사, 논문, 단행본, 공연포스터 등)를 수집하여 귀납적 범주분석의 질적 분석 방법을 토대로 기술, 분석, 해석하였고, 이를 결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바람맞이>춤은 1) ‘진정한 춤은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이 반영된 삶의 몸짓이자, 소통’이라는 이애주의 춤 철학, 2) 1950년부터 1980년대까지의 사회 · 시대적 상황, 3)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피어난 민속과 민중문화 그리고 4)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움직임 등의 네 가지 맥락적 관계에 의해 탄생되었다. 둘째, <바람맞이>춤의 구성은 1) 씨춤, 2) 물춤, 3) 불춤, 4) 꽃춤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춤판의 상징적 의미는 1) 씨앗으로 표현된 역사의 주인이자 기둥인 ‘민중’이 생명의 탄생과 성장으로 상징화된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그들의 ‘생명과 권리’를 2) 과도한 물과 불, 그리고 혹독한 바람으로 표현된 정부의 ‘독재체제’에 대항하여 3) 중심과 뿌리를 굳건히 새움으로써 새로운 생명인 꽃으로 피어나는 것으로 상징화된 민중의 ‘자주와 권리의 회복’이자 ‘희망’으로 해석된다. 셋째, 이 춤에 내재된 한국춤의 본성은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된다. 1) 기능적(機能的)차원으로 표현성(表現性), 소통성(疏通性), 상징성(象徵性), 공명성(共鳴性), 살풀이성(煞풀이性), 치유성(治癒性), 해방성(解放性)이다. 2) 시의적(時宜的) 차원으로 사회성(社會性), 역사성(歷史性), 민중성(民衆性), 현장성(現場性)이다. 3) 계승적(繼承的) 차원으로 민족성(民族性), 전통성(傳統性), 정통성(正統性)이다. 4) 미학적(美學的) 차원으로 자연성(自然性), 생명성(生命性), 역동성(力動性), 즉흥성(卽興性), 창조성(創造性), 신명성(神命性)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Ae-joo Lee’s 〈Barammaji〉 dance was created and the essential qualities of Korean dance that inhere in that dance. There are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is dance; second, what are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is dance and its meaning; and third, which essential qualities of Korean dance are included in it.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I examined Ae-joo Lee’s life in terms of dance, the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 in Korea from 1950 to 1980 in the context of social movements and the 〈Barammaji〉 dance, and also analyze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at dance to thoroughly extract the essential qualities of Korean dance which it contains. This study mainly relied up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used documents such as books, papers, articles, seminars, notes from interviews and a documentary about her. I segmented the files by codes, and conceptualized subjects based on assigned co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the 〈Barammaji〉 dance arose from Lee Ae-joo’s dance philosophy, that authentic dance should spring from human life and reflects social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which developed throughout her lifetime, encompass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 in Korea from 1950 to 1980, and from the college students’ social movements, especially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Secon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Barammaji〉 dance come from themes of four source dances; 1) seed dance, 2) water dance, 3) fire dance, and 4) flower dance. This dance symbolizes 1) the vitality of the common people, who are the main drivers of history, illustrated by the sprouting and growth of the seed, 2) how they prevail even though their rights are taken away by dictatorial government, illustrated by the effects of too much water, fire, and wind, and 3) how they finally emerge stronger and flourishing through regaining their independence, rights, and hope, illustrated by the strong roots and beautiful flowering of the plant. And third, the essential qualities of Korean dance that inhere in the 〈Barammaji〉 dance are found in four dimensions. 1) Expressiveness, Communication, Symbolism, Resonance, Consolation, Healing, and Liberation as the functional dimension; 2) Sociality, Historical Reference, Populist Relevance, and Situational Accuracy as the timeliness dimension; 3) Ethnicity, Traditionality, and Authenticity as the inheritable dimension; and 4) Naturalness, Vitality, Dynamic Energy, Improvisation, Creativity, and Exhilaration as the esthetic dim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