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치류 관련 어휘 연구 - 2008년 민족 생활어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

        홍기옥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4

        This study is about the result of a survey on ‘Gimchi’ which is a basic item of the second year’s survey that was implemented in the latter half of 2008 according to the medium and long-term plan for ethnic living word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intended to organize basic data related to Gimchi after looking into the lexicon by each category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survey on living words regarding Gimchi which was progressed in 2008. The lexicon related to Gimchi was surveyed through an ethnographic survey method by dividing 24 informers from Jeju island, the northern and eastern part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soung Gyeongsang province, north Chuncheong province, south Chungcheong province, Gey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south Jeolla province area and ethnic Koreans living in 3 castles located at northease of China into categories such as names of Gimchi, materials, tools, methods, types and others etc. As mentioned earlier, it is tru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lexicon by regions but the expanded lexicon could be collected diversly for related regions by this survey method. As a result, total 1610 words related to Gimchi could b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of researchers and 943 words out of them were not registered at the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20 audio materials containing conversations with informers were collected, and all verbal data were copied by utilizing a copy program. 1221 images and 109 videos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as images and video materials.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민족 생활어 조사 중장기 계획(2007∼2015)에 따라서 2008년도 하반기에 실시한 제2차년 조사의 기본 항목인 ‘김치’에 대한 조사결과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2008년 진행된 김치에 관한 생활어 조사 내용을 토대로 각 범주별 어휘를 개괄적으로 살펴 김치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정리하였다. 제주도, 경상북도 북부․동부, 경남,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기도, 강원도, 전라남도 지역, 중국 동북 3성지역 조선족 등 제보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김치명칭, 재료, 도구, 방법, 종류, 기타 등의 범주로 나누어 김치 관련 어휘를 민속지적 조사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 방법으로 앞서 언급하였듯이지역별로 어휘 조사 결과물의 수위가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관련된 지역별로는 확장 어휘를 다양하게 수집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연구원들의조사를 통해 김치와 관련된 어휘를 총 1,610개의 수집할 수 있었으며 이중 943 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미등재 어휘였다. 음성자료로는 제보자들과의 대화 내용을 담은 구술자료 20개 파일을 수집하였으며, 구술자료는 전사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두 전사하였다. 영상자료로는 김치와 관련된 사진 1,221장, 동영상 109편을 수집, 정리하였다.

      • KCI등재

        병원 위탁급식 종사원의 직무특성이 일-가정 갈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운영형태의 조절효과 -

        홍기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8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3 No.1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work-family conflict relation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moderating effects in accordance with operation type, by targeting 245 dietitian/cooks working for contract foodservice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nomy and feedback had negative (−) effects on work-family conflict while functional diversity had positive (+) effects on work-family conflict. Job identity and job importance had no relation with work-family conflict. Second, work-family conflict had negative (−)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ork-family relation, job support, general happiness, and job environment while having positive (+) effects on job stress. Third, in all paths except for the path with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job stres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shops operating 365 days and the group of shops operating 5 days a week. It would be helpful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human resources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management for companies with shops operating 365 days and shops operating 5 days a week, as well as managing employees’ job characteristic factors, work-family conflict, and even quality of life.

      • KCI등재

        전남지역 김 관련 어휘의 분화 양상 연구

        홍기옥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9

        laver is a familiar food right to our table for long periods of time these days showing interest in food when in a foreign count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inished products in categories ranging from the steaming process to form the vocabulary related to these laver, it aims to organize and systematize the vocabulary list related to laver. Most of them residents have been engaged in seaweed farming in order, the typical products of the town conducted a 1 year on-site survey of local natives in the area songjimyeon Haenam, Jeollanam-do. Vocabulary related incidentally is' laver making farms (materials, time, activity, type, method), spores digging (materials, tools, actions), laver raising (activity, status), laver Groom (time, tools, location, activity) laver finished product (names, units, food, Coolangatta) were categorized as such by the investigation. Investigated a total of 169 words and vocabulary during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and <Korean language dialects Information Appliance> is not included 125 words. This process is more and more tradi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laver in a situation where mechanization of work through, of course, was able to collect the lives of fishermen vocabulary, which is that if the opportunity to expand your vocabulary chapter by laver 김은 오랜 기간 동안 우리의 식탁에 오른 친숙한 먹거리로, 요즘은 외국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식재료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김과 관련된 어휘를 현장조사를 통해 김을 양식하는 과정에서부터 완성품에 이르기까지 범주별로 정리하여, 김과 관련된 어휘의 분화 양상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주민 대부분이 김 양식업에 종사하고 있고, 마을의 대표적인 생산품이 ‘김’인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지역에서 지역 토박이들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김에 관련 어휘 연구 중 ‘김 양식장 만들기(재료, 종류, 행위), 김 기르기(행위), 발장치기(명칭, 재료, 도구, 행위), 김 손질하기(도구, 장소, 행위), 김 완성품(명칭, 단위, 기타) 등 범주에 관련된 어휘를 정리, 분석하였다. 조사한 김에 관련된 어휘의 전체 범주는 ‘김 양식장 만들기(재료, 시기, 종류, 행위 방법), 포자 캐기(재료, 도구, 행위), 김 기르기(행위, 상태), 발장치기(명칭, 재료, 도구, 행위), 김 손질하기(시기, 도구, 장소, 행위), 김 완성품(명칭, 단위, 음식, 기타) 등이나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범주 내용을 다루었다. 조사된 어휘는 총 169개이며 이 어휘 중에는 『표준국어대사전』이나 <한민족언어정보화 방언검색기> 수록되지 않은 어형은 125개였다. 어휘 자료 외에도 구술 자료(2), 분절 음성(169), 사진(8), 동영상(1)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점점 조업 과정이 기계화되는 상황에서 김 양식과 관련된 전통 어휘는 물론, 어민들의 생활 어휘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전남지역에서 사용하는 김 양식 관련 어휘목록을 정리할 수 있었다. 또한 김과 관련된 의미장 연구뿐 아니라 한국의 해양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해양문화‘채낚기’관련 어휘 연구 - 경남 통영시 욕지도 지역을 중심으로 -

        홍기옥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ummarize the vocabulary related to ‘fishing-Chaenakgi’, which is a fishery method that has been descended 100 years ago, from local villagers. The objective is to collect the vocabulary of the fishing gear through the field survey and catalog the related vocabulary by category. This can be regarded as a basic work for establishing a vocabulary database (DB) related to ‘fishing’ and establishing a vocabulary field related to fishing methods in fishing villages. The lecture-related vocabulary surve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categories into categories such as ‘fishing-related name, catching of fishing, idiom’ by selecting 5 local residents around Yokjido area in Tongyeong- si, Gyeongnam. Through this study, 191 vocabularies related to ‘fishing- Chaenakgi’ were collected. We also collected and sorted the fishing related salmon expressions used in the local area. Through this, I hope that it will be a basic work to organize vocabulary related to fisheries law in the marine culture of Korea. 우리나라는 국토의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지형적 인 특징은 바다라는 환경에 적응하여 그와 관련된 여러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는 지역이 많음을 나타낸다. 또한 해양문화를 담고 있는 언어가 다양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처럼 어촌 지역의 생활 문화를 담고 있는 말을 어촌 생활어라 한다. 여기에는 어촌 지역의 환경, 전통사회, 경제, 문화 활동과 연계된 어휘, 표현이 들어 있고, 또한 그것을 운용할 수 있는 수많은 문법적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해양 생태계의 변화와 어촌 사회의 급격한 도시화, 이로 인한 경제 형태의 변화는 이와 관련된 어촌 생활어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 결과 전통 어촌 생활 문화를 담고 있는 언어는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의 해양문화를 담고 있는 어촌 생활어에 대한 정리는 관련 문화의 DB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는 욕지도에 사람이 모여 살기 시작한 100여 년 전부터 내려오는 어업방식인 ‘채낚기’와 관련된 어휘를 지역의 토박이 화자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한 후 범주별로 정리하여 관련 어휘를 목록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채낚기’와 관련된 어휘의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어촌지역의 어법(漁法)과 관련된 어휘장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볼 수 있다. 채낚기 관련 어휘 조사는 경남 통영시 욕지도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토박이 화자 5명을 제보자로 선정하여 ‘채낚기 관련 명칭, 고기 잡기, 고사 지내기, 관용 표현’ 등으로 범주를 나누어 조사,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채낚기’에 관련된 191개 어휘를 수집하였고, 이 중 141개는 『표준국어대사전』이나 <한민족언어정보화 방언검색기>에 수록되지 않은 어형도 있었다. 어휘 외에도 관련 음성자료(구술자료 10, 분절음성 191), 영상자료(사진 23, 동영상 2)를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현지에서 사용하는 채낚기 관련 연어 구조의 표현도 수집,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해양문화 중 어법(漁法) 관련 어휘장을 정리할 수 있는 기초 작업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부산 가덕도의 어촌지역 생활어휘 연구- 전통어법 ‘숭어들이’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

        홍기옥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llect related vocabularies related to the methodology of ‘Catching mullets’ which are maintained in the traditional way in Korea. It can be regarded as a basic work for establishing a vocabulary related to the pronunciation of fishing villages by cataloging vocabularies related to ‘Catching mullet’ and building a related database (DB). The related vocabulary survey was conducted by choosing the native fishermen who are engaged in fishery, mainly in Busan Gadeokdo, where fishery using ‘Catching mullet fish’ is being performed.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names of Catching mullets (full name, partial name, employee name), catching (timing, location, behavior, catch, unit, tool, taboo), And ‘idiomatic expressions’, and organized the vocabulary list of ‘Catching mullets’. Through the survey, 169 vocabularies related to ‘Catching mullets’ were collected, 136 of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or the Korean dialect of dialect of Korean language. 본 연구는 부산 가덕도의 어촌지역 생활어휘 중 현재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육소장망(六艘張網), 숭어들이’ 어법에 관련된 어휘를 조사, 수집하여 관련 자료를 정리,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숭어들이’와 관련된 어휘를 목록화하고 관련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어촌지역의 어법(漁法)과 관련된 어휘장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볼 수 있다. 숭어들이 어법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가덕도에서 명맥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노년층 중심으로 그 방법이 이어져 오고 있고, 어로 방식에서도 현대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와 관련된 어법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불투명하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어휘를 조사,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작업은 시급한 일일 수 있다. 관련 어휘 조사는 현재도 전통적인 방법으로 ‘숭어들이’ 이용한 어로가 행해지고 있는 부산 가덕도를 중심으로, 숭어들이 어업에 종사하는 토박이 제보자들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조사는 숭어들이에 관해 ‘명칭(전체 명칭, 부분 명칭, 종사자 명칭), 고기 잡기(시기, 위치, 행위, 어획물, 단위, 도구, 금기), 고사 지내기(명칭, 대상, 장소, 행위, 상차림), 관용 표현’ 등으로 범주를 나누어 조사하여 ‘숭어들이’에 관한 어휘 목록을 체계화 하였다. 조사를 통해 ‘숭어들이’에 관련된 169개 어휘를 수집하였고, 이 중 136개는 『표준국어대사전』이나 <한민족언어정보화 방언검색기>에 수록되지 않은 어형으로 숭어들이 관련 연구에서 발굴되지 않은 어형도 있었다. 어휘 외에도 관련 음성자료(구술자료 7, 분절음성 167), 영상자료(사진 35, 동영상 3)를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현지에서 사용하는 숭어들이에 관련된 연어 구조의 어형과 관용 표현, 관련 어휘를 포함하고 있는 문장 또한 수집, 정리하였다. 이는 해당 어휘의 사용 양상을 그대로 보여주기 위함이다. 조사를 통해 전통 어로인 숭어들이 관련 어휘장을 정리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SCIESCOPUSKCI등재

        경기지방 소의 Buxtonella sulcata 감염 실태

        홍기옥,윤희정 대한기생충학회 1995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Vol.33 No.2

        In order to survey the prevalence of Buxtonelln sulcatc in Kyonggi-do in 1984 and 1994, the feces of cattle were collected and examined. Of 792 cattle in 1984 and 293 in 1994, cysts of B. sulcata were detected from 266 (33.6%) and 101 (34.5%) cattle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were 85.9% and 64.2% in breeder cattle, 44.8% and 9.4% in dairy cattle, 7.5% and 14.9% in Korean cattle and 1.8% in beef cattle. In spring, the cyst positive rates were 62.5% in 1984 and 27.8% in 1994; 20.1% and 66.7% in summer; 21.3% and 0% in autumn; and 34.8% 64.6% in winter. More cattle, 69.1%(184) and 55.5% (56) in 1984 and 1994, had diarrhea among the cyst postive cattle than those of cyst negative, 37.6% (198) and 32.3% (62). 1984년도와 1994년도에 경기지방의 소분변 792두와 293두분을 조사한 결과 266두 (33.6%)와 101두(34.5%)에서 Buxtonelaa sulcata의 포낭이 분리되었다. 역종별로 조사한 바 종모우가 85.9%와 64.2%. 유우가 44.8%와 9.4%. 한우가 7.5%와 14.9% 그리고 비육우가 1.8%의 감염율을 보였다 계절별로 조사한 결과, 봄철은 62.5%와 27.8%, 여름은 20.1%와 66.7%, 가을은 21.3%와 0%, 겨울은 34.8%와 64.6%의 감염율을 보였다. 소분변의 성상에 따라서 조사한 결과 B. sulcata가 감염되지 않은 소 526두와 192두 중 37.6%(198두)와 32.3%(62두)가 그리고 감염우 266두와 101두 중에서는 69.1% (184두)와 55.5% (56두)가 설사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원시 어법 ‘죽방렴’ 관련 어휘 연구- 죽방렴 관련 명칭과 제작, 보수하기 관련 어휘 -

        홍기옥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硏究 Vol.-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cabularies related to ‘Bamboo Screen’, which is a native language used mainly on the southern coast, using the difference of tides. It can be regarded as a basic work for establishing a vocabulary related to the pronunciation of fishery area by cataloging the vocabulary related to ‘bamboo Screen’ and building a related database (DB). The related vocabulary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ing informants who own bamboo and engaged in three related fisheries, mainly in Samdong-myeon area of ​​Namhae-gun, Gyeongsang nam-do. Through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in the region, the name of the bamboo flute called “foot, field”, the part, the worker, the name of the unit, the bamboo building and fishery activities, the related vocabulary related to repairing, the processing of the catch, We investigated and arranged vocabularies related to bamboo. Through the survey, 222 vocabularies related to ‘Bamboo Screen’ were collected, 180 of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or the Korean language linguistic informatics dialect searcher. In addition to vocabulary, related voice data (dictation 7, segmental voice 212), image data (picture 35, video 3) could be collected. 본 연구는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하여 남해안에서 주로 행해졌 던 원시 어법(漁法)인 ‘죽방렴’에 관련된 어휘를 현장조사를 통해 정리,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죽방렴’과 관련된 어휘를 목록화하고 관련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어촌지역의 어법과 관련된 어휘장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볼 수 있다. 원시 어법인 죽방렴을 통한 어로가 몇 몇 지역에서 명맥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죽방렴 어업이 노년층 중심으로 그 방법이 이어져 오고 있고, 어로 방식에서도 현대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와 관련된 어법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불투명하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어휘를 조사,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작업은 시급한 일일 수 있다. 관련 어휘 조사는 현재도 죽방렴을 이용한 어로가 행해지고 있 는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지역을 중심으로, 죽방렴을 소유하고 관련 어로를 3대째 하고 있는 제보자들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조사를 통해 지역에서는 ‘발, 밭’으로 불리는 죽방렴 전체 명칭, 부분․종사자․단위 명칭, 죽방렴 만들기와 어업행위, 보수하기 관련 어휘, 어획물 처리, 고사지내기와 관련된 어휘, 관련된 관용표현 등의 범주에 따라 죽방렴과 관련된 어휘를 조사, 정리하였다. 조사를 통해 ‘죽방렴’에 관련된 222개 어휘를 수집하였고, 이 중 180개는 『표준국어대사전』이나 <한민족언어정보화 방언검색기>에 수록되지 않은 어형으로 죽방렴 관련 연구에서 발굴되지 않은 어형도 있었다. 또한 현지에서 사용하는 죽방렴 관련 연어 구조의 어형도 수집,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원시 어법인 죽방렴 관련 어휘장을 정리할 수 있는 기초 작업이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