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방언 한국어 교육에 대하여

        우창현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9

        This study aims at the need of dialect education of Korean on th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dapt the Korean life. The marriage immigrants keenly realize the need of dialect education through survey to them. They tell to need the dialect Korean, especial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other-in-law and them. And they mainly want to be teached speaking, listening, among the dialect Korean skills. Through survey on the approach and time to dialect education, They want to be teached two hours and tow times a day by Korean Education who graduated in the course of Korean Education in diale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alect and two times. This study, also, clarifies women immigrants by marriage are very interested in the their children education focused on the daily life of Korean. And they also, want to be received to Korean education on culture, included in the religious service, etiquette, and funeral ceremony culture. 이 글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국내 생활에 적응하는데 방언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관련해서 대다수의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가정 내 시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방언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언 교육은 주로 ‘말하기’, ‘듣기’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 교육 방법 및 교육 시간과 관련된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방언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기관이나 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등을 이수한 한국어 교사들이 이들에 대해 체계적인 방언 교육을 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교육 시간에 대해서는 여러 상황을 고려한 결과 일주일에 두 번, 두 시간씩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 교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관련해서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경우 주로 자녀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고 일상생활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한국어에 관심을 갖는 경우도 많아 이와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 문화에 대해서는 ‘제사 문화’, ‘예절 문화’, ‘장례 문화’에 대한 내용이 반영될 필요가 있다고 확인되었다.

      • KCI등재

        한국 방언자료집 편찬의 역사

        정승철 한국방언학회 2014 방언학 Vol.0 No.20

        이 논문은 한국에서 이루어진 방언자료집 편찬의 역사를 기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논의의 대상을 ‘지역방언 자료의 공공 기록물’로 한정하고, 방언자료집의 특성 및 의의를 고려하여 한국 방언자료집 편찬의 역사를 계층적으로 정리하였다. 그 결과, 우선 매체 특성에 따라 한국 방언자료집 편찬의 역사를 종이출판 시기(2000년 이전)와 전자출판 시기(2000년 이후)로 2분하였다. 다음으로, 출간된 방언자료집의 편찬 목적 및 의의에 따라 종이출판 시기를 1960년과 198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다시 3분하였다. A. 종이출판 시기(2000년 이전)(1) 한국어사 연구의 보조 자료로서의 방언형 수집·정리의 시기(1960년 이전)(2) 개별방언론 및 한국어사 연구 자료로서의 방언형 수집·정리의 시기(1960년 - 1980년대 중반)(3) 방언 분화론 및 개별방언론의 연구 자료로서의 방언형 수집·정리의 시기(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B. 전자출판 시기(2000년대 이후) 이를 개관할 때 대체로 2000년 이전까지는 한국 방언 연구의 흐름에 맞추어 방언자료집의 편찬이 이루어졌으나, 2000년 이후에는 그러한 연구의 흐름과 거의 무관하게 자료집이 출간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e dialect sourcebook publication. When we consider the quality and quantity of dialect words in that books, their history is as follows. A. the Era of the Folio Publishing(1910-2000)(1) the period in which dialect words were collected and edited for the historical linguistics on Korean(1910-1960)(2) the period in which dialect words were collected and edited for a synchronic and diachronic study on individual dialects in Korean(1960-1986)(3) the period in which dialect words were collected and edited for a study of dialect differentiation and a study on individual dialects in Korean(1987–2000). B. the Era of the Electronic Publishing(2000- )

      • KCI등재

        방송 매체와 방언-한국 방송 매체의 방언 사용에 대한 언어 태도를 중심으로-

        오새내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Broadcasting System and the regional dialect through historic newspaper archives in the 20th century. In this study, I discuss the change of language attitude of the media and dialects. Korean newspapers archives reflect the recognition of the Korea society opinion leader. This recognition is useful to analyze the social behaving of the dialect. In Korean broadcasting history, dialects were the subject of regulation because of Publicness.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ing and dialects are circulating. Using dialect broadcast drew the attention of the viewers. The government and newspapers had criticized dialect usages in the broadcasting media. It had been difficult to find dialectology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dialect in this process. After multimedia era is coming, broadcasting media and language, norms, customs and practical issues, sender, recipient, such as the various elements of the policy are intertwined. In this paper, the young generation of the region, rather than see the object of historical tradition and preserve dialect that is the attitude that embraces the language variants that use naturally in their local language community interpreted to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 tongues. If the permissive attitude towards dialects of these young people was increasing latitude for positive attention to the dialects used in the broadcasting expected to increase. 이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한국 방송 매체에서의 방언 사용을 한국 방송사와언론 보도 기록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방언에 대한 사회적 언어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논의하는 데 있다. 한국 방송의 역사에서 방언 사용은 언어 통제의 대상이 되었다. 방송언어의 규범성은 일제강점기 이후 20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 방언 사용에 대한 공식적인 규제는 1950년대에 시작되었고 텔레비전 방송이 활성화된 1970년대에 방송의 방언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언론 보도와 정부의 규제가 있었다. 방송에서 방언은 시청자들의 관심을 유발하는 요소로 사용되었고정부와 언론 매체, 정책 연구자들은 방언을 한국어의 다양한 변종이며 의사소통의 수단이 아니라 특정 지역에 대한 이미지, 감정, 태도를 자극하며 시청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해석하였다. 2000년대 이후 한국의 방송 환경과 사회 환경이 달라지고 방언에 대한 사회적 태도도 달라졌다. 앞으로 방언이 방송언어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청자의 눈에 보이는 현실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이며 젊은 방언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새로운 방언형들을 수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어 방언 접촉 양상에 대하여-중간 방언(interdialect)과 방언 균일화(dialect leveling)를 중심으로-

        김수영 ( Kim Sooyoung )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2

        이 글은 자음을 말음으로 갖는 용언 어간이 보이는 방언 접촉 양상 중에서 중간 방언과 방언 균일화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먼저 중간 방언은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가 서로 다른 방언의 접촉으로 또는 과도 교정으로 인해 형성되는 것을 뜻한다. 구체적으로는 ‘빻-(粉)’과 ‘긋-(劃)’, ‘끌-(牽)’의 다양한 방언형들 가운데 어간의 재분석과 혼효로 인해 형성된 예를 살펴보았으며 ‘부럽-’의 방언형인 ‘붋-’의 형성 과정을 다루었다. 한편 방언 균일화는 유표적인 방언형이나 방언의 특질이 소멸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동남방언의 용언 유음 탈락 현상이 중부방언에 닮아간 예 및 그 외 소수의 방언형들이 사라진 과정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concerns about Korean regional dialect contact through the change of consonant-final stems. Among various aspects of dialect contact, this paper covers interdialect and dialect leveling. First, interdialect means that a new form appears between different dialectal areas. Specifically, this paper displays the dialectal distributions of ‘ppah-(grind)’, ‘keuʔ-(draw)’ and ‘kkeul-(drag)’ and considers the formation of various dialectal forms. Second, dialect leveling means that marked and minor dialectal forms or features are eliminated. For instance, This paper covers that the final ‘ㄹ(l)’ elimination of dialect and some minor dialectal forms have been disappeared.

      • KCI등재

        조선 시대 언간을 활용한 언어변화 연구-「현풍곽씨언간」과 달성지역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안주현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ocumentary dialects and on-site dialects and to examine linguistic changes in the Dalseong region’s sub-dialect by using the Korean linguistic history’s literary material “Hyeonphung Gwak’s Eongan” and on-site dialect material “Korean Dialect Material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s “Hyeonphung Gwak’s Eongan” a documentary material in Korean linguistic history that reflects the Dalseong region sub-dialect among the Eongan(letter)s of the Joseon Dynasty. A corpus was constructed by using 167 pieces of “Hyeonphung Gwak's Eongan” in order to figure out the quantitative linguistic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Hyeonphung Gwak's Eongan”. The scale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about 14,000 words, and research was conducted by adding lemmatization, POS-tagged corpus, and phonological phenomenon annotation. Through the POS tagged corpus and phonological phenomenon annotation constructed in this way, it was possible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Hyeonphung Gwak’s Eonga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urvey results of the “Korean Dialect Materials”, which reflected the on-site dialect of the Dalseong regional language and the diachronic change of the Dalseong sub-dialect was examined. As a result, among the grammatical forms of “Hyeonphung Gwak’s Eongan,” such as particle ‘-deoreo’ and ‘-(eu)ran’ were found with high frequency in the survey,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Eongan. Moreover, the text structure of the Eongan genre could be examined through the aspect of using the sentence ending of “Hyeonphung Gwak’s Eonga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xpressions of “Korean Dialect Materials” and the expressions used in “Hyeonphung Gwak’s Eongan,” it was challenging to find a meaningful correlation. Only 47 dialect-related expressions were identified in “Hyeonphung Gwak’s Eongan,” which is significantly less, and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the fact that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Hyeonphung Gwak’s Eongan” and “Korean Dialect Materials” are different. 이 연구는 문헌 방언과 현장 방언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국어사 문헌 자료인 「현풍곽씨언간」과 현장 방언 자료인 한국방언자료집 을 활용하여 달성지역어의 언어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대상은 조선시대 언간 중 달성지역어가 반영된 국어사 문헌 자료인 「현풍곽씨언간」이다. 「현풍곽씨언간」에 반영된 언어적 특징을 계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167편의 「현풍곽씨언간」을 대상으로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규모는 약 14,000어절 정도로 대표화 및 형태 분석, 음운현상 주석을 진행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형태 분석 말뭉치와 음운현상 주석을 통해 「현풍곽씨언간」의 언어적 특징을 계량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고, 그 결과를 달성 지역어의 현장 방언이 반영된 한국방언자료집 의 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달성지역어의 통시적 변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현풍곽씨언간」의 문법 형태 중 조사에서는 ‘-ᄃᆞ려(더러)’와 ‘-(으)란’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언간이 가지는 내용적 특징과 연결할 수 있다. 또 「현풍곽씨언간」의 어미 사용 양상을 통해서는 언간 장르의 텍스트 구조를 살펴볼 수 있었다. 「현풍곽씨언간」에 사용된 어휘와 한국방언자료집 의 조사 어휘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는 「현풍곽씨언간」에 47개 정도의 방언 관련 어휘를 확인할 수 있지만 그 수가 많지 않고, 「현풍곽씨언간」과 한국방언자료집 의 자료적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생긴 결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어 문법 연구와 방언 문법

        문숙영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6

        This paper deals with the significance of dialectological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and several issues to be considered in studying dialects. Firstly, wem emphasize that dialects should be studied as one of main parts of Korean language, because Korean grammarians aim at discover all the range of variation. We should acknowledge that dialect may follow universal patterns in isolation from standard Korean. Secondly, when we try to find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dialects, standard variation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areal variation. For instance, preference for symmetric negation found in most dialects may be kind of standard variation, because people usually prefer symmetic negation to asymmetic negation when speaking. Dialect variation should focus on areal variations. Thirdly, when we compare dialect with standard Korean, we should think over whether similarities is more important consideration than differences or not. Description of Korean grammar can b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cision. 이 글은 한국어 문법 연구에서의 방언 문법의 의의와 방언 문법 연구 시 고려해야 할 점을 기술한 것으로 세 가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방언 문법은 특정 언어의 하위 문법으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탐구될 가치가 있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다른 지역어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운, 제주방언의 시상 형태의 발달 사례를 통해 방언 현상이 독자적으로 유형론의 한 패턴에 부합할 때가 있음을 보였다. 다음으로 방언 문법 연구 시 고려할 점으로 그것이 지역 변이인지 표준 변이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적어도 구어적 특징이 해당 방언의 특징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방언 문법은 지역 변이의 문제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방언의 문법 기술은 중앙어(혹은 표준 문어)와의 대조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방언 현상의 의의 및 한국어 문법 기술이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는 방언 문법이 한국어 문법 연구에 가장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례의 하나로, 방언 문법이 한국어 문법 현상의 전모를 밝히는 데 꼭 필요한 이유가 된다고 하였다.

      • KCI등재

        중부지방 방언구획과 네트워크분석

        정성훈 ( Jung Sunghoon )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2

        이 연구는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한국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을 대상으로 방언권을 구획하려는 시도이다. 한국의 중부지방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아우르는 지역인데, 한국어의 다른 방언권과는 달리,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북도 지역을 함께 다룬 방언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는 중부지방 전체에 대한 하위방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기초로 중부지방의 하위방언 간 관계를 살펴보고 군집분석을 통해 방언권을 구획하였다.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에서 핵방언권은 충청북도 중원(충주)과 경기도 용인 등으로 나타났으며, 주변방언권은 강원도 삼척, 정선, 명주(강릉) 등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은 크게 4개의 방언권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기도·강원도·충청남북도의 행정구역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vide dialects for the subdialects of the Jungbu region of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The Jungbu region of Korea encompasses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Unlike other dialects of the Korean language,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dialect divisions including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In this study, a dialect network is established for the entire Jungbu region in Korea, and based on thi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dialects in the Jungbu region, and divide dialect areas through clustering analysis. The nuclear areas among dialects of Jungbu region were found in Jungwon(Chungju) in Chungcheongbuk-do and Yongin in Gyeonggi-do, while the surrounding areas were Samcheok, Jeongseon, and Myeongju(Gangneung) in Gangwon-do. In the results of the cluster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b-dialects of Jungbu region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dialects, which were not consistent with administrative districts of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 KCI등재후보

        李崇寧 선생의 ‘洪城方言’ 노트에 대하여

        송철의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9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Hongseong dialect(洪城方言) data collected by professor Sungnyong Lee(李崇寧) in 1950. This data amounts to 39pages of note- book(roughly estimated 1,500 words). The data is transcribed in Hangeul, but sometimes in phonetic symbols when it is impossible to transcribe in Hangeul. The selected items for investga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items look like to follow Simpei Ogura(小倉進平 1944),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ose of Ogura and those of Lee. Lee collected part names or hyponyms of some items. So Lee's dialect data contains many Hongseong dialect words which are not found in Ogura(1944). Ogura(1944) contains only the dialect forms for each item. Lee occasionally presented declensional forms when it is necessary to expose stem final consonant. e.g. pat(field), pasi(pas +-isubject case marker), pasɨl (pas +-ɨlobject case maker), offered collo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ome items, mention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or between social groups, and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special dialect words which are unknown to standard Korean, and so on. Viewed in those points mentioned above, this Hongseong dialect data is excelent one for that day and age in Korea. 이 글의 목적은 지금까지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心岳 李崇寧 선생의 ‘洪城方言’ 자료 노트를 소개하려는 것이다. 이 방언 자료 노트는 1950년에 작성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대학 노트 39페이지 분량의 홍성방언 자료를 담고 있다. 조사는 이숭녕 선생이 직접 한 것으로 보이며 조사한 자료를 재정리(淸書)한 것이다. 조사항목의 분류는 대체로 小倉進平(1944)를 따른 듯하나 약간의 차이가 없지는 않다. 조사항목도 小倉進平의 것을 참조한 듯하나 그대로 따르지는 않고 어떤 항목을 조사하다가 하위명칭이나 부분명칭이 있을 때에는 확대 심화시켜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다른 방언자료집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많은 홍성방언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언 자료가 보여주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조사항목과 관련된 하위명칭이나 부분명칭이 있을 때에는 그것들을 제시하였다. 2) 각 단어의 음장을 충실하게 표시하였다. 3) 부분적이긴 하지만 체언의 어간말음이 무엇인가를 보여주기 위해서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와 결합된 곡용형을 제시하였다. 4) 이 방언의 악센트를 밝혀보려 시도하였다. 5) 조사항목과 관련된 連語 자료도 제시하였다. 6) 방언 내에서의 계층적 차이, 세대 차이 등을 언급하였다. 7) 이 지역 방언의 특이한 단어들에 대해서는 의미풀이를 제시하였다. 8) 많은 양은 아니나 형용사의 활용 패러다임을 효율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방언 자료가 이러한 특징을 가지게 된 것은 조사자가 높은 언어학적 및 국어학적 안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여겨진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의 대부분은 그 이전에, 즉 1950년 이전에 공표된 어떤 방언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었다는 점에서 이 방언 자료 노트는 한국어 방언학사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물론 당시까지의 가장 충실한 홍성방언 자료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비록 미리 준비된 질문지에 따라서 조사항목 하나하나를 빈틈없이 조사한 것은 아닌 듯하다든가, 제보자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다든가 하는 등의 아쉬움이 없지는 않지만, 이 방언 자료 노트가 일찍이 공개되었더라면 방언조사의 한 典範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 KCI등재

        표현용 사전으로서의 방언사전의 편찬 방향 모색

        장승익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6

        이 글의 목표는 최근에 간행된 방언사전들의 특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용 방언사전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방언사전은 지역의 방언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간행되어 왔다. 이러한 목적은2015년이후에 간행된 방언사전에도 동일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방언 보존’ 의 보다 적극적인 의미는 방언이 일상생활에서 쓰이도록 하는 것이다. 표현용 방언사전의 간행 필요성이 바로 이 지점에 있다. 최근 제주 방언에 대한표현용 사전이 발간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하겠다. 표현용 방언사전을 간행할 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이용 대상, 거시 구조, 미시 구조를 살펴보았다. 먼저, 표현용 방언사전의 이용 대상은 방언 비모어 화자 또는 외국인 화자이다. 이 글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표현용 방언사전에 초점을 맞춰 이후 논의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사전의 거시 구조에대해서는 표제어의 규모와 배열에 관한 문제를 논하였다. 기존 방언사전은‘사어’나 ‘이해어’도 가급적 사전에 올려두고자 하였으나 표현용 사전은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 즉 표현 어휘 위주로 표제어를 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정하는 방법으로 이 글에서는 한국어 기초어휘 목록이나 한국어학습자용 어휘 목록 등을 참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표현용 방언사전의 미시 구조와 관련해서는 뜻풀이와 용례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하였다. 뜻풀이는 모든 표제어에 제시해 주는 것이 좋으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사전임을 감안하여 쉬운 말로 풀이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사전 이용자들이 방언 어휘를 보다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문법, 화용 정보도 같이 제시해 주어야 한다. 용례는 뜻풀이에서 제시한 쓰임을잘 보여줄 수 있는 예문을 들어 주어야 한다. 그래서 인용례보다는 작성례가 적절하며, 실제 언어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화 용례도 포함되어야한다.

      • KCI등재

        방언의 문화 콘텐츠 산업화를 위한 연구 방법론 제언

        김덕호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economic value of dialects. Industrialization of dialects first as I reported to the cultural contents of economic value tha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paper was to investigate. So about three months to prove this advantage throughout South Korea in the dialect of cultural products and cultural practices or content through on-line and off-lin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statistical research results on the dialect of industrialization trends analyzed.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extinction endangered dialects (local languages) to revive the dialectology research methods is proposed. For example, considering the three-dimensional data collection methods story-telling and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taking steps to keep in mind is data analysis. Dialect of the original residents in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but it seems to be disappearing.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cognize the fact that Dialect is an important language culture content to the local residents again. To do this, dialects, as well as the emotional value and economic value of cultural values ​​also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prove. This dialects is an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commercialization and cultural content as well as the economic benefits of fun and enjoyment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you can get. For this purpose, dialectology researchers to suggest what needs to be some effort. 방언은 ‘언어적 가치’가 높은 언어이다. 방언에는 우리 조상의 말이 녹아 있다. 그러므로 우리말의 과거를 살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 언어의 역사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방언은 ‘정서적 가치’가 높은 언어이다. 객지에서 모르는 사람을 만나도 비슷한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정서적인 교감을 나누면서 마주 보게 된다. 방언은 ‘문화적 가치’가 높은 언어이다. 오랜 전부터 사용하던 지역 방언에는 그 지역성을 드러내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간직하고 있다. 우리는 그런 방언으로 소통하면서 문화적인 공감대를 만들게 된다. 그런데 방언에 다른 가치는 없는가? 일본의 방언학자 이노우에 후미오가 방언은 ‘경제적 가치’가 높은 언어라고 했다. 즉 방언을 산업화하면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고는 방언의 경제적 가치를 증명하려는 취지에서 비롯되었다. 우선 방언을 산업화가 가능한 문화 콘텐츠로 보고 이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것을 증명하기 위해 한국 전역에서 방언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나 문화 상품의 사례를 온라인을 통해 4개월 정도 수집하고, 조사된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여 방언 산업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그런데 방언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논의 자체가 한국에는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에, 일본에서 이루어진 경제언어학에 관한 이노우에 후미오의 논의를 이용하게 되었다. 일본과 비슷한 언어적 환경을 가진 한국의 경우도 일본과 유사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전국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게 되었고 이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다른 목적은 소멸 위기에 처한 방언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언학 연구 방법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즉 스토리텔링을 고려한 입체적인 자료 수집 방안이나 문화 콘텐츠 개발을 염두에 둔 자료 분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방언은 원래 지역민들의 것이었지만 지역민들의 인식 속에서 사라져 가고 있다. 본고는 지역민에게 방언이 보존해야 할 중요한 언어문화임을 다시금 인식시키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 방언에 언어적 가치, 정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도 있음을 증명해 보이는 것이 필요하다. 즉 방언은 중요한 문화자원이고 이를 문화 콘텐츠화하거나, 문화상품화하면서 재미와 즐거움뿐만 아니라 경제적 이득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방언의 보존과 활성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피력하려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