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 교육 방안

        정다운,손다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3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한국어 말하기 전략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이란 서로 다른 문화가 대면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 참여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실시하는 의사소통을 말한다. 의사소통에서 서로 다른 문화가 작용할 때 이문화에 대한 이해와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할 수 없으면 갈등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문화의 작용으로 인해 갈등이 유발될 때 이를 극복하면서 성공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말하기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말하기 전략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 간 의사소통 단계를 ‘발견-지식 활성화-해석-조절’의 단계로 이해하고 말하기 전략은 특히 ‘조절’ 단계에 적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조절’ 단계에서 학습자는 한국 문화에 맞추어 발화하거나 혹은 대화 상대자와 협상을 시도하는 말하기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략 사용 능력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도입-분석-설명-토론-적용-마무리’의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uitable methods for teaching Korean speaking strategies to improve Korean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fers to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interacting with each other when different cultur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communicate,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basic cultural differences influe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an result in miscommunication or conflict in communication. Therefor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needed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This paper posits that speaking strategy education, which can be used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peak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understood as comprising the stages of “Discovery- Knowledge Activation-Interpretation-Adjustment.” Speaking strategies can be applied especially at the “Adjustment” stage, when Korean learners can use speaking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Korean culture or by attempting to negotiate with their interlocutors. Based on the students’ ability to use speaking strategies, the teaching model of “Introduction- Analysis-Explanation-Discussion-Application-Finishing”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nhanc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 KCI등재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문화학습에 관한 연구

        권영환(Kwon, Yung-Hwan),고지영(Ko, Jee-Yo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한 문화학습에 관한 연구에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영어에서의 새로운 개념인 문화간 의사소통능력과 언어학습에서의 문화학습의 개념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자세히 다루었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는 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함께 공유한 문화적 산물과 관습에서 출발하여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이해를 포함하는 사고방식이다.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란 다양한 문화적 상황에서 다른 문화를 바르게 판단하고 그 문화들 속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대화하고 상호작용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문화적 능력은 부인, 방어, 최소화의 자민족 중심단계와 수용, 적응, 통합의 민족 상태주의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이 단계는 다른 문화에 대한 경험과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문화가 다른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의 변화를 보이는 능력으로 발달된다. 둘째, 초등영어에서 이러한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문화학습은 목표문화인 영미문화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여 기술과 태도를 학습할 뿐만 아니라 보편문화의 지식, 기술, 태도를 지도하여 어떤 문화권 사람들과도 상호교류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 가는 과정이다. 국내외적으로 한국인의 교류가 미국 등 영미권 나라만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문화교육에서 영미권 문화를 포함한 보다 폭넓은 문화권의 지식, 기술, 그리고 태도의 문화를 지도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세계를 인식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어떤 문화권 사람들을 만나도 상호교류 할 수 있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발달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능력의 새로운 관점과 외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위치를 재조명 할 수 있는 이론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외국어교육에서 언어의 한 요소로 한정되어 있던 문화학습의 역할이 세계를 더 넓게 바라보는 인식으로 확대될 것이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발달되어 미래를 이끌어갈 세계인의 소양을 기르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culture learning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Korea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culture learning in language education are thoroughly review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e is a competence held by a member in society and can be expressed in our lives, as well as influence social interaction in a human society. This starts from shared cultural heritage and customs and evolves to a way of thinking including interaction among members and emotional understanding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one way in which we can evaluate different cultures in a variety of cultural situations and can deal, converse, and interact with diverse cultures appropriately. Cultural competence is divided into an ethnographic conditional st age of denial, defense, minimal centeredness of their own culture, adaptation, and integration. This stage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awareness of differences amongst cultural experiences and cultural differences leading to competence with which we can behave appropriately in a different cultural context. Second, in order to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language teachers need to teach techniques and attitudes of understanding of Western cultures including knowledge about the cultures. We also need to instruct how to develop interactive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the target cultures through learning universal cultur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inally, we, as language teachers, are required to set up the process of instructing our students to interact with and build cultural awareness of not only American culture but with any different cultural group in the global arena.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oretical information which can restate perspective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the placement of culture education within this framework. The role of culture learning, which has been limited to one segment of language learning, can be expanded to broader awareness of the world, Through this process, we can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ind significance in cultivating qualifications of global citizens.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사례 - 탄뎀 수업을 중심으로 -

        배고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 목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것일 것이다. 외국인 학습자는 교실에서는 다양한 문화권의 학습자들과 목표어권의 교사 사이에서 문화간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간 의사소통은 다른 문화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대화할 때 생기는 문화적 차이점을 인식하고 이를 이해하며, 상황에 맞는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으며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은 서로의 문화 차이점을 인식하여 의사소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와 갈등을 줄여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으로 탄뎀 수업을 실례로 보여주고자 한다. 탄뎀 수업은 외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학습자가 일대일 즉, 면대면으로만나 학습하는 것이므로 목표어, 목표 문화를 직접적으로 체험하고 실천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적절한 교수학습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에 세 학기 동안 탄뎀 수업을 수강한 외국인 학습자 33명과 한국인 학습자 35명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양상을 살펴보며, 또한 탄뎀 수업 운영 방식과 학습자들의 성취도와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Goal of Koreanlanguage education to foreign students is to build communication skillsneeded for their daily lives. Foreign students experience interculturalcommunication with other students from various cultures and the instructorof the target languag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is the ability to recognize cultural differences, behave properly in thegiven situation and to communicate and understand each other clearly. This study introduces tandem class as a case of a class for improving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andem class is a class thatapplies tandem language learning in which a group of two people ofdifferent mother tongues gets together to learn each other's language. Intandem class, foreign student and Korean student have one on one,face-to-face session to directly experience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therefore it is the most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33 foreign students and 35Korean students who took tandem classes for 3 semesters; how tandemclasses were managed; and how much the students improved and weresatisfied.

      • KCI등재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에 나타난 대학수학능력시험 독일어Ⅰ의 특징연구

        김유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of the German I of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for the last 4 years (2019-2022) in the field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and to find out whether the questions or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 properly the points of view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well. To this end, in this paper, firs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ulture and communication domain of the German I subject were respectively examined in the two curriculum presented above, and then the questions of the culture and communication part in the German I of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aterial of questions on culture, geography took the largest proportion, and life, language, and tradition were ask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Second, the field of questions on culture was expanded from German culture to German-speaking areas, while questions on culture that could evalua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with people from German culture were not asked. Third, the questions on the communication area were evenly asked in the basic expressions of communication in <Table 1> presented in the curriculum based on various conversation materials, on the other hand, only two questions were able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cultures. It is true that 2 out of a total of 64 questions on the field of communication for the past 4 years, or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were ask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small in number, but the example of the questions can serve as an index for developing questions that evaluat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에서 최근 4년(2019-2022) 동안의 독일어Ⅰ 수능시험의 문항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 문항이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기준인 문화 간 의사소통의 관점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위에 제시한 2개 교육과정에서의 독일어Ⅰ과목의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의 평가 기준을 각각 살펴보고, 다음으로 독일어Ⅰ수능시험의 문화와 의사소통 영역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문항의 소재는 지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생활, 언어, 전통 순의비중으로 출제되었다. 둘째, 문화 문항의 영역이 독일 문화권에서 독일어권으로 확대되어 출제되었으나, 독일어 문화권 사람과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문화 문항은 출제되지 않았다. 셋째, 의사소통 영역의 문항은 다양한 대화 소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기본표현에서 골고루 출제되었으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은 단 2개에 불과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최근 4 년간 의사소통 영역의 문항에 해당하는 총 64개의 문항 중 2문항이 문화 간 의사소통관점에서 출제되었다는 점은 수치로는 적은 편이지만, 이 문항의 사례는 향후 수능시험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 개발을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영어교실에서 문화 간 화자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실러버스와 과제 구성의 방향

        김진석,장은숙,이효신,윤웅진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적응 발달단계와 문화 간 의사소통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2개 반과 중학교 2개 반의 영어 수업에서 설계한 1, 2학기의 실러버스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 적응 단계별 실러버스 및 과제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문화 적응 발달 단계는 인식, 수용, 통합 단계로 구분한다. 각 단계들과 문화 간 의사소통 간의 관련성을 논의한 결과, 인식 단계에는 무능력이나 무지 등에 의해 형성된 문화적 장벽으로 오류를 많이 범하면서 의사소통을 하는 의사소통 전 단계를, 수용 단계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겪으면서도 문화적 장벽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단계를, 통합 단계에서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와 의사소통하는 데 문화적 장벽이 거의 없이 적절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의사소통 숙달 능력 단계를 제안하였다. 실러버스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강교사와 홍교사는 문화 간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문화 기반 활동들이 제대로 설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간 화자의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동영상 시청이나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하여 문화 간의 차이를 우리말로 설명하기, 노래와 찬트하기, 문화 TPR로 문화 간 차이 체험하기, 문화 간 비교하기, 문화동화법, 문화 퀴즈, 문화 섬 체험 등이 체계 적으로 수업 시간에 구현되도록 실러버스를 계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학교 배교사와 이교사의 경우, 대부분의 활동들이 타문화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머물고 있어서 초등학교의 문화 수업 간의 위계화나 연계성을 확보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문화의 내용을 소재로 하는 활동들을 고려하여 실러버스 및 수업 활동이 좀 더 체계적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고려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으로 시뮬레이션, 문화 주제의 소집단 토의, 홈스테이, 문화 기반 상호작용 전략 연습, 구두발표, 역할극, 미니드라마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ing syllabuses and tasks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intercultural speakers in English class, because the objective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is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speak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wo primary classes and two middle school classes were analysed in terms of the connectedness, scope, and task considering the ways of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speak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nectedness and the scop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asks between primary syllabuses and secondary syllabuses for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speakers in class were not designed and implemented effectively. Thus,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the scope of the syllabuse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designed systematically.

      • KCI등재

        아랍어·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교육 내용 연구

        조위수,윤주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9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education contents and to establish items of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Arabic-speaking Korean learners’ and Korean speaking Arabic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learners need not only linguistic skills but also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deep structure of culture and classification of thinking that enables speaking in the target language. For such a reason,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 and the composition elem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n, using iceberg model, categorized the items of the culture education by four types as follows: ‘attitude·manner’, ‘cultural base’, ‘cultural surface’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based on this items described Korean and Arabian cultural contents for culture education. Although, this research is not be able to present the detailed teaching method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which were divided into deep culture and surface culture of Korean’s and Arabian's and constructed the cultural contents by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와 아랍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해 문화교육의 항목을 설계하고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다. 이 두 언어권의 학습자들이 목표 문화권의 화자들과 원활히 소통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의 발화를 가능하게 하는 사고의 유형과 문화의 심층 구조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빙산 모델을 활용하여 ‘자세·태도’, ‘문화 기저’, ‘문화 표층’, ‘소통 기술’로 범주화한 교육 항목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문화 교육을 위한 한-아 문화 내용들을 기술하였다. 본연구는 문화 간 의사소통 수업의 구체적인 방안을 보여 주지는 못하였으나, 한국과 아랍의 문화 영역을 심층 문화와 표층 문화로 구분하여 문화 교육 항목을 설정하고, 영역별내용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학생과 유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김금숙(Kim, Gum-S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7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 학생과 유학생이 함께하는 토의 동아리 활동사례를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여 활동 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먼저 사전 면담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대학 내에서의 문화 간 의사소통 중 태도, 지식과 이해, 기술, 내적 결과 등의 차원에서 문제 상황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 학생과 유학생이 하나의 주제를 바탕으로 토의하는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을 진행하였다. 동아리 활동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해 참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면담과 관찰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서 동아리 활동이 태도, 지식과 이해, 기술, 내적 결과 등의 차원에서 학생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했다. 관찰을 통해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함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서로 간의 의사소통에 익숙해져 가고, 그 과정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기술을 익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제시한 동아리 활동의 틀은 한국 학생과 유학생을 위한 강의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bate club activities to help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irst, in the interview, respond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d problems related to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other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a debate club was formed so that Korean and foreign students can discuss the same topic. To examine the effect of club activities, two sessions of interview and observation were performed with participants. In the interview,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club activities had an effect of expanding their cultural experiences, exchange, and knowledge. Some Korean students reported change in cultural perception and attitude. Also,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were becoming familiar with communicating with other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ogether, these effects will help students change their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s different cultures in a positive direction and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 KCI등재

        수출업자의 공감능력이 문화적 역량 및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갑연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 수출 담당자들의 공감능력이 문화적 역량을 영향을 미쳐, 문화 간 의사소통역량을 높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출업자의 공감능력을 인지적, 정서적 공감능력으로 문화 적 역량을 문화적 인식, 지식, 경험으로 구분하여, 수출업자의 공감능력이 문화적 역량을 통해 문화 간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시키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표본은 한국무역협회 회원사 중 212개의 중소제조기 업 수출 업무담당자로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출업자의 인지적, 정서적 공감능력은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소 인 문화적 인식, 지식, 경험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수출업자의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소 중 문화적 인식과 지식은 문화 간 의사소통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문화적 경험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수출입업자의 호의적인 관계 증진에 있어 요구 되는 수출업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역량을 높이는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을 살펴봄으로써 중소기업이 수출업 자의 이러한 역량들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Despite the active trade between exporters and importer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n a global environment, research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international management field was insufficient. In particular, despite the fact that export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forming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importers in international trade, studies to understand the ability of exporters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exporter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SMEs) in Korea are able to improve their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thereby enha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ther words, this study divides the empathy of exporters into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to cultural awareness,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whether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of exporters improve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cultural awareness, knowledge, experience. To examine thi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12 export manager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in Daegu and Gyeongbuk.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of expor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of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such as cultural awareness, knowledge, and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ultural awareness and knowledge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cultural competence of expor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the cultural experience did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strategic plans for SMEs to enhance competencies of exporters by discovering the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required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necessary for improving the friendly relations of exporters and importers.

      • KCI등재

        독일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안 - '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신형욱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3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53 No.-

        인공지능 다문화 시대의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은 더욱 중요해졌다. 우리나라 독일어 교육이 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는 교수 방법에 따라서 문화 및 지역 사정 지식 또는 의사소통 능력 및 문화간 소통 능력으로 인식되었다. 근래에는 범세계적 담론 참여 능력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문화간 의사소통이 외국어를 통해서 이뤄지므로 문화는 반드시 언어와 함께 교육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내용은 학습자의 언어 수준과 밀접히 연관된다. 이런 점에서 우리나라 중등학교 독일어 교육의 문화 내용은 일상생활 언어문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문화간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문화는 지식이 아니라, 체험의 대상이며, 분석과 비교를 통해서 성찰에 이르도록 교육해 야 한다. '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에서는 독일어 교과의 수와 학습량이 크게 줄었는데, '독일어권 문화'에는 300 내외의 낱말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문화를 우리말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교과의 내용 체계에도 언어와 문화가 분리되어 제시된다. 교수 • 학습 방법은 주로 문화 내용을 조사 • 발표하도록 하고 있어서 자칫 문화 교육이 지역 사정 교육으로 흐를 수 있다. 우리나라 독일어 교육이 표방하는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비교 • 분석과 성찰에 바탕을 둔 체험 교육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교재 개발과 교사 양성 교육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Im Zeitalter von Künstlicher Intelligenz und Multikulturalismus gewinnt interkulturelle kommunikative Kompetenz im Fremdsprachenunterricht zunehmend an Bedeutung. Um herauszufinden, ob der Deutschunterricht in Korea den diesbezüglichen Anforderungen der Zeit gerecht wird, werden im vorliegenden Beitrag die Inhalte und Methoden der Kulturvermittlung im „2022 überarbeiteten Schulcurriculum für Deutsch" untersucht. Im Fremdsprachenunterricht wurde „Kultur" bislang je nach Lehrmethode als kulturelles bzw. landeskundliches Wissen, kommunikative Kompetenz oder interkulturelle kommunikative Kompetenz aufgefasst. Sie wird auch als „Fähigkeit zur Teilnahme am globalen Diskurs" interpretiert. Da Sprache und Kultur untrennbar miteinander verbunden sind und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über die jeweilige Fremdsprache erfolgt, müssen sprachliche und kulturelle Inhalte aneinander gekoppelt vermittelt werden. Im Fremdsprachenunterricht besteht daher eine entsprechend enge Korrelation zwischen den zu vermittelnden kulturellen Inhalten und dem jeweiligen Sprachniveau der Lernenden. In diesem Sinne sollten sich die kulturellen Inhalte des Deutschunterrichts an koreanischen Schulen auf die dem Deutschen immanente Alltagskultur konzentrieren. Aus der Perspektive der interkulturellen Kommunikation ist Kultur kein Wissen, sondern ein Erfahrungsgegenstand und sollte so unterrichtet werden, dass sie durch Analyse und Vergleich zur Reflexion führt. Im „2022 überarbeiteten Schulcurriculum für Deutsch" wurden die Anzahl der Deutschkurse und der Lernumfang deutlich reduziert, und die Anzahl der Wörter für den Kurs "Deutschsprachige Kulturen" wurde auf etwa 300 gekürzt, sodass kulturelle Inhalte gezwungenermaßen auf Koreanisch vermittelt werden müssen. Die Trennung von Sprache und Kultur spiegelt sich auch in der getrennten Darstellung der Kursinhalte wider. Die Lehr- und Lernmethode basiert hauptsächlich auf Erforschung und Präsentation kultureller Inhalte, was dazu führen kann, dass „Kulturvermittlung" auf rein sachwissenorientiertes, landeskundliches Lernen mutiert. Um interkulturelle kommunikative Kompetenz zu kultivieren, bedarf es einer „erlebnisorientierten Kulturvermittlung*, d. h., die Kultur sollten miteinander verglichen und Unterschiede bzw. Gemeinsamkeiten analysiert und reflektiert werden. Dieser Ansatz sollte auch bei der Entwicklung von Unterrichtsmaterialien und der Lehrerausbildung berücksichtigt werden.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초등영어 문화수업 모형 연구

        김진석 ( Kim Jin Seo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학습자들은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들과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기반 초등 문화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가 협의회, 설문지 분석, 현장 적합성 검토 및 심층면담 등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수업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 적합성 검토 및 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문화 모형 및 활동을 수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문가 협의회의 토론 결과를 반영한 플립 수업의 단계를 수업 전, 수업 도입, 수업 중, 수업 후로 나누고, 아울러 학습의 조건들을 바탕으로 교실 내의 학습 단계를 설정한 후, 그 단계에 구현할 수 있는 활동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초등교사 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반영하여 교실 밖의 수업 전 단계, 교실 내의 수업 도입 단계와 수업 중 단계, 교실 밖의 수업 후 단계에 구현할 수 활동들을 제안하였다. 또한, 플립러닝 기반 문화 수업 모형과 단계별 세부 활동이 교실수업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교사 5명이 참여하여 현장 적합성 검토 및 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제안한 활동들을 수정하였다. 플립러닝 기반 문화 수업의 모형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교육과정의 평가 체제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수업시간에 구현되는 활동이나 과제는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성취기준(achievement standard)의 개발이나 문화 관련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교사 자신도 목표 문화에 대한 이해가 그다지 높지 않고, 교과서나 교사용지도서에서도 문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아서 교실수업에서 문화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수업 모형은 학습자들이 사전에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교과 통합 수업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문화에서의 흥미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있는 과목들을 통합하여 학습자를 지도한다면 좀 더 비판적 사고능력과 창의력이 함양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develop cultural teaching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for improving learners`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primary English classes, and to present activities appropriate to the stages of the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recent papers on cultural teaching models and flipped models were investigated, and expert meetings composed of professors, researchers, and teachers were carried out to deliberate on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ultural teaching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Als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primary English teachers design activities in the flipped learning classrooms. The preliminary cultural teaching model composed of three steps such as motivation and language input, activation and long-term memorization, and personalization and integration(MAP) were check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5 teacher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fed back into revising the first draft.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revised MAP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activities of the MAP stages need to be applied to improve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primary English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