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역량 비교분석 연구 : 스마트폰은 곧 잘하는 김유리! 업무에선 왜 그럴까?

        김유리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4차 산업혁명이 가져다준 기술적 발전 덕분에 우리의 삶은 많은 부분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일어나고 있으며 COVID-19으로 인한 온라인 서비스의 확대는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역할이 매우 증대되었으며 생활 속의 많은 부분과 직장 업무까지 스마트폰에 의존하여 처리하게 되었다. 한편 우리나라의 기업들도 이러한 변화 속에서 디지털 전환을 위한 노력을 많이 기울여왔다. ERP, CRM 등 업무 효율성을 위한 솔루션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클라우드처럼 새로운 기술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도입에 힘쓰고 있다. 그런데 최근 IMD에서 발표한 디지털 경쟁력 순위에서는 뜻밖의 결과가 나타났는데 우리나라 기업들의 디지털 역량 수준이 평균을 밑돈다는 것이었다. 특히 중소기업의 상황은 더 좋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에 착안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의 스마트폰을 통한 디지털 역량, 가정에서의 디지털 역량, 그리고 기업 내 시스템을 활용한 디지털 역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종사하는 기업의 규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직장인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사용 능력이 직장에서 업무에 사용하는 디지털 사용 능력보다 더 뛰어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업들이 내부 시스템에는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50% 이상의 직장인들은 따로 디지털 교육을 받지 않는 것으로 응답했다. 이 밖에도 비대면 시스템 제공, 사내 디지털 시스템의 만족도 등에 관한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스킬 못지않게 직장에서 업무 용 디지털 스킬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미국의 주 단위 역사 표준시험과 성적책임제

        김유리 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논집 Vol.49 No.-

        In the United States, the No Child Left Behind(NCLB) Acts requires that individual states to develop academic standards for all students and to implement statewide standards-based tests in reading-language arts, math and science. However there is not mandated standards-based tests in history, this testing depends on decision of state government. But some states still implement standards-based history tests. I've researched on this article, how many states have implemented the statewide standards-based history tests and why that states choose to make effort to do this?According to Education Week under the series of Quality Counts, during 1997~2012 the number of states reporting standards-based history tests has held average 21.3 per a year, 40% of the 50 states and Washington DC. Even though after NCLB, the number was still held 19~24 every year. I argue that standards-based history tests have been an index of the accountability system. Before the NCLB, some of states made some sort of student-level accountability, in part, on the basis of standards-based history test as well as English, math & science tests. The other states make school-level accountability, in part, on the basis of standards-based history test. After NCLB, despite the fact that NCLB does not target history tests as a primary accountability lever, some of states are utilizing the data to measure Adequate Yearly Progress(AYP). Standards-based history tests have been important for accountability discussions at various levels, at least among the 40% of the USA currently utilizing them.

      • KCI등재

        시니어 근거리 재능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액티브 시니어창업 지원사업에 관한 연구

        김유리 한국전산회계학회 2022 電算會計硏究 Vol.20 No.2

        초고령 사회 진입 및 급격한 사회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시니어 인력 활용 방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노인일자리 지원사업은 단순하고 일회적인 일자리 창출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다. 이에 시니어만의 특화된 기술, 지식, 노하우 및 과거의 경험과 경력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생활권 안에서 시니어의 경험과 지혜를 전수받고 싶어 하는 이들에게 재능을 공급할 수 있는 근거리 IT기반 플랫폼을 운영하여 시니어에게 지속 가능한 경제활동 기반을 제공하는 지원사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업 추진과정을 요약하면, 시니어 참여자를 모집하여, 시니어에 특화된 창업 커리큘럼(시니어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교육 및 소통교육+창업기초교육) 교육훈련을 이수하게 하여 ‘액티브 시니어’로 양성한다. 이후, 교육과정 수료자를 대상으로 창업 아이템 1:1 멘토링, SNS 홍보교육 및 현장 실무경험 지원 등으로 창업을 돕고, ‘시니어 근거리 재능공유 플랫폼’에 재능판매자로 등록한다. 즉, ‘근거리 시니어 재능공유 플랫폼’으로 민․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액티브 시니어’의 사회진출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근거리 경제활동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시니어들은 일을 통한 적극적 사회참여 태도와 소득 창출, 건강 증진의 기회를 얻고, 사회적으로는 다양한 노인문제에 대한 사전 예방 및 노인 인력 활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민간 참여 도모 등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학습공동체 형성을 통한 e-러닝 효과성에 관한 실험 연구

        김유리 신라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6 경제경영연구 Vol.7 No.-

        정보기술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하여 온라인 러닝(Online-Learning)이 기업 및 학교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존의 온라인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극대화시키고, 중도 탈락률을 낮추며, 학습자의 고립감을 해소하여 학습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학습공동체는 기존 학습조직이론에서 나온 실행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개념을 e-러닝에 도입한 것으로 실행공동체는 지식경영에서 지식의 공유와 활용측면에서 효과성을 보인다고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공동체 형성을 통한 e-러닝의 효과성 측면에서 기존의 온라인 교육방법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점을 갖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대안적인 교육방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사이버강좌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공동체 형성을 통한 e-러닝은 기존의 온라인 교육보다 학습 참여도 및 학습 성취도 향상에 일정 수준 기여하고 있으며, 학습 만족도의 향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공동체 형성과 같은 학습자 구성원 간 커뮤니티 형성에 대한 지원과 학습 문화 형성에 대한 노력이 e-러닝의 성공적 운영에 중요한 관건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Ow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network, Online-Learning is being presented as new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company and school. However, the effect of existing Online-Learning is recently being questioned. As its alternative, it may be necessary to maximize social interaction so as to improve the effect of e-Learning and to activate Community of Learning by reducing the rate of middle drop out and eliminating learner's sense of isolation. While Community of Learning introduces the concept of Community of practice derived from the existing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into e-Learning, Community of practice is evaluated to be effective in sharing knowledge and utilization in the aspect of knowledge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 of e-Learning through the formation of Community of Learning with that of existing Online-Learning so as to analyze their difference and verify whether it can be fixed as alternative method of education. Analyzing the students of cyber lectu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is verified that e-Learning through the formation of Community of Learning contributes to th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improv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at certain level, being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with learning, compared to the existing Online-Learning. This study shows that support for formation of community among learners such as formation Community of Learning and effort for formation of learning culture can be essential factor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e-Learning.

      • KCI등재

        성과 관계 교육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건강한 관계 형성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성적 의사결정 기술에 미치는 영향

        김유리,최아름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xuality and relationship education on self-efficacy for healthy relationships and sexual decision-making skills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0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10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The sexuality and relationship education consisted of 12 sessions.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nd if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tained 10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Results: The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self-efficacy for healthy relationships compared to one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was maintained for 10 weeks. They also improved sexual decision-making skills relative to controls, but the effect was not maintained for 10 weeks.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d comprehensive sexuality and relationship education systematically to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s positive effects were evaluated by measurements that would have a practical impact on the daily live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2014년 6․4 지방선거 주요 정당 및 시도당선자의아동정책 공약 분석

        김유리,고주애,정익중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5 학교사회복지 Vol.0 No.31

        The manifesto movement in Korea has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easure to improve the feasibility and expertise of policy pledge and to share the related information with voters. However, the manifesto movement focusing on child policy pledge is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ild policy pledge of the major political parties and the elected persons from provincial elections of city and province in June 4, 2014 by utilizing MPP evaluation indicator. First, in order to evaluate the horizon of MPP portfolio, this study selected the child policies based on the election materials, the pledges, and 5-main policies suggested by the major political parties and the elected persons. As a result from analyzing the horizon portfolio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child policy, the child policies suggested by the major parties and the elected persons from provincial elections were mainly concentrated on children’s right of protection, while the policies on children’s right of participation were found to be relatively lacking. Because the depth did not properly reflect the performance mean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compared to the form of pledge, the feasibility of pledge might be predicted to be low.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rights and child welfare; and to make voters and candidates pay more attention to child policy.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공약의 전문성과 실현가능성을 높이고 유권자에게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매니페스토 운동이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아동정책 공약만을 바탕으로 한 매니페스토 활동과 공약 분석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PP(Manifesto Portfolio & Positioning)지표를 활용하여, 2014년 6․4 지방선거 주요 정당과 시도당선자의 아동정책 공약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주요 정당 및 시도당선자가 제시한 선거공보, 선거공약서, 5대 공약을 바탕으로 아동정책 공약을 선별하여, MPP 공약 포트폴리오를 평가하였다. 아동정책 분류틀을 통해 공약지평을 평가한 결과, 주요 정당 및 시도당선자들이 제시한 아동정책은 보호권 영역에 치중되었고, 참여권 영역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약심도에서는 공약형성에 비해 공약 이행수단, 공약 이행평가가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않아, 공약 실현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차기 선거 후보자들의 아동인권, 크게는 아동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유권자 및 후보자들이 아동정책에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