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업무환경 변화에 따른 모빌오피스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미경,김주연,안진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4 No.1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집과 사무실 그리고 장소와 시간의 경계가 없어진 네트워크가 되고 있다. 사회, 경제구조가 변화함으로써 나타나는 대안 오피스 중 전통적 오피스에서 탈피한 모빌오피스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환경이 변화하면서 기업의 창의력을 높이는 사무환경을 하기위해 모빌오피스가 어떻게 공간 활용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오피스 공간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업무환경변화에 따른 모빌오피스의 특징을 살펴본 후 업무 공간 전략의 기초로 업무환경을 구성하는 기초요소별로 모빌오피스의 업무공간 계획요소와 그 공간의 특징을 사례 분석한다. 정확한 업무환경변화에 따른 공간 활용을 분석하여 업무효율을 높이며 창의력을 올리는 모빌오피스의 확립에 기초를 두고자 한다. There comes a network without a boundary between homes and offices and between space and time owing to develop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We are going to take a look at a mobile office away from a traditional office among future alternative offices appearing as society and economical structures are changing. This research grasps how a mobile office utilizes a space to compose an office environment enhancing business creativeness while changing work environments. This study is supposed to take a look at features of a mobile office pursuant to changes in work environments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an office space and then to analyze work space planning elements of a mobile office by fundamental elements comprising work environments based on work space strategy and cases for features of that space. It is supposed to focus on establishing a mobile office that enhances work efficiency and raises creativeness by analyzing space utilization pursuant to exact changes in work environments.

      • KCI등재

        칼더 서커스(Cirque Calder)와 초기 모빌(Mobiles) 간의 조형적 연관성

        안혜리(Hyeri AH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8

        이 연구의 목적은 독자적인 키네틱 조각을 개척한 조각가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의 작품 세계의 출발점으로서 그가 파리 시기(1926-33)에 제작한 <칼더 서커스(Cirque Calder)>(1926-31)를 재조명하면서, <칼더 서커스>와 초기 (1930-36)의 기하학적 추상 모빌 간의 조형적 연관성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유년기부터 놀이와 장난감을 좋아하고 서커스를 즐기던 칼더는 파리에 머물던 시기에 <칼더 서커스>로 불리는 서커스 축소 모형을 만들어 당시 파리에서 활동하던 예술가와 문인들 앞에서 공연하였다. 1930년 경에 칼더는 몬드리안의 추상 형태와 색채에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칼더 서커스>에서 벗어나 기하학적 추상 모빌을 창안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칼더 서커스>와 초기의 추상 모빌 간에는 조형적 연관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그 연관성은 추상성(abstractness), 운동성(mobility), 공간성(spatiality), 유희성(playfulness), 연극성 (theatricality)의 다섯 가지 특징으로 요약된다. 즉 <칼더 서커스>와 초기의 모빌 간에는 첫째, 사실과 상징을 넘나드는 ‘추상성’, 둘째, 계산과 즉흥이 어우러지는 ‘운동성’, 셋째, 축소된 우주와 균형을 보여주는 ‘공간성’, 넷째, 놀이와 실험에 깃든 ‘유희성’, 다섯째, 총체예술을 지향하는 ‘연극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알렉산더 칼더가 그의 작품 전반에서 탐구하였던 추상성, 운동성, 공간성, 유희성, 연극성은 <칼더 서커스>에 뿌리를 두며, 이 다섯 가지 특징들은 그의 초기 추상적 모빌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 on pioneering kinetic sculptor Alexander Calder’s Cirque Calder, which was created during his Paris years (1926-33) and became a starting point for his work, and to examine the artistic connections between Cirque Calder and the early mobiles (1930-36) as geometrical, abstract sculpture. Calder who loved play and toys and enjoyed the circus from his childhood had created a miniature circus called Cirque Calder, and presented it to many artists and writers during his stay in Paris. He invented his geometrical, abstract mobiles departing from Cirque Calder, while he was influenced by abstract forms and primary colors of Mondrian around 1930. However, the artistic connections between Cirque Calder and early mobiles can be summarized by the five characteristics of abstractness, motility, spatiality, playfulness, and theatricality. First, Cirque Calder and early mobiles commonly exhibit an ‘abstractness’ that crosses the borders of fact and symbol, second, a ‘mobility’ that encompasses calculation and spontaneity, third, a ‘spatiality’ that displays a microcosm and balance, fourth, a ‘playfulness’ based on play and experimentation, and fifth, a ‘theatricality’ that is directed toward a total work of art. The abstractness, mobility, spatiality, playfulness, and theatricality that Alexander Calder explored throughout the entire scope of his works have their roots in Cirque Calder, and these characteristic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is early abstract mobiles.

      • KCI등재

        콘크리트 교면 덧씌우기를 위한 SB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성 평가

        윤경구,이주형,홍창우,김기헌,김태경 한국도로학회 2001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3 No.4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덧씌우기를 위한 SB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성 평가를 위해 현장에서 모빌믹서를 이용하여 배합실험 하여 작업성, 강도발현특성 및 투수특성을 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실험변수는 라텍스 혼입률(0, 5, 10, 15, 20%), W/C (31, 33, 35 37%), S/a(55, 56, 57, 58%) 를 선정하였으며, 초기슬럼프, 슬럼프 손실, 공기량,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 발현특성, 염화이온 촉진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모빌믹서차량을 이용해서 SB라텍스개질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배합하였을 때 충분한 작업성 및 양질의 콘크리트를 생산 할 수 있었으며 목표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모빌믹서 차량을 이용한 배합은 실내실험에서 제시된 최적배합의 동일한 작업조건을 얻기 위한 물-시멘트비가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배출 슬럼프 19±3cm을 얻기 위한 실내실험 배합은 물-시멘트비 37%였으나, 모빌믹서차량을 이용한 경우는 33%의 물-시멘트비를 나타내었다. 또한, 현장 적용에 있어서도 모빌믹서를 이용한 정확한 계량 및 라텍스의 혼입으로 양질의 콘크리트 생산 및 성능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SB latex-modified concrete (LMC) for concrete bridge deck overlay using mobile mixer. The main experimental factors were water-cement ratio(31, 33, 35 37%), latex contents(0, 5, 10, 15, 20%), and fine aggregate ratio(55, 56, 57, 58%) in order to evaluate the work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property of LMC. The slump loss, air content, compressive and flexible strength tests were used to evaluate LMC workability and strength properties. Also, the rapid chloride permeability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ve permeability of LMC. As a results, the LMC with enough workability and good quality was produced when it was mixed in field using mobile mixer, satisfying the target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The required water-cement ratio of LMC for same workability when mixing with mobile mixer was less than that when mixing in laboratory. Increasing the amount of latex produced concrete with increased flexural strength by mobile mixer. The required cement-water ratios for same initial 19±3cm slump were 37% and 33% at laboratory and mobile mixer, respectively. The mobile mixer was accurately calibrated satisfying the required specification.

      • 콘크리트 교면 덧씌우기를 위한 SB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성 평가

        윤경구,이주형,홍창우,김기헌,김태경,Yun, Kyong-Ku,Lee, Joo-Hyung,Hong, Chang-Woo,Kim, Ki-Hyun,Kim, Tae-Kyong 한국도로학회 2001 한국도로포장공학회 논문집 Vol.3 No.4

        This study focused on the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SB latex-modified concrete (LMC) for concrete bridge deck overlay using mobile mixer. The main experimental factors were water-cement ratio(31, 33, 35 37%), latex contents(0, 5, 10, 15, 20%), and fine aggregate ratio(55, 56, 57, 58%) in order to evaluate the work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property of LMC. The slump loss, air content, compressive and flexible strength tests were used to evaluate LMC workability and strength properties. Also, the rapid chloride permeability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ve permeability of LMC. As a results, the LMC with enough workability and good quality was produced when it was mixed in field using mobile mixer, satisfying the target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The required water-cement ratio of LMC for same workability when mixing with mobile mixer was less than that when mixing in laboratory. Increasing the amount of latex produced concrete with increased flexural strength by mobile mixer. The required cement-water ratios for same initial $19{\pm}3cm$ slump were 37% and 33% at laboratory and mobile mixer, respectively. The mobile mixer was accurately calibrated satisfying the required specification.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덧씌우기를 위한 SB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성 평가를 위해 현장에서 모빌믹서를 이용하여 배합실험 하여 작업성, 강도발현특성 및 투수특성을 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실험변수는 라텍스 혼입률(0, 5, 10, 15, 20%), W/C (31, 33, 35 37%), S/a(55, 56, 57, 58%) 를 선정하였으며, 초기슬럼프, 슬럼프 손실, 공기량,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 발현특성, 염화이온 촉진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모빌믹서차량을 이용해서 SB라텍스개질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배합하였을 때 충분한 작업성 및 양질의 콘크리트를 생산 할 수 있었으며 목표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모빌믹서 차량을 이용한 배합은 실내실험에서 제시된 최적배합의 동일한 작업조건을 얻기 위한 물-시멘트비가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배출 슬럼프 $19{\pm}3cm$을 얻기 위한 실내실험 배합은 물-시멘트비 37%였으나, 모빌믹서차량을 이용한 경우는 33%의 물-시멘트비를 나타내었다. 또한, 현장 적용에 있어서도 모빌믹서를 이용한 정확한 계량 및 라텍스의 혼입으로 양질의 콘크리트 생산 및 성능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6-9세 어린이들의 균형 개념에 관한 연구

        천선(Cheon S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3 No.-

        이 연구는 어린이가 구성주의 환경에서 놀이감으로서 균형된 모빌의 균형에 대해 경험하는 과정에서 전논리가 어떻게 형성되어지는지 관해 조사ㆍ탐구하고, 어린이들의 균형 개념 발달을 촉진하는데, 있어서의 모빌 구성 활동의 유용성에 대해 탐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열명의 1학년들과 열 두명의 3학년들에게 기본 저울과 막대 저울을 사용한 사전실험과 사후실험이 실시되었고, 세번의 모빌 구성이 개입(intcrvcntion) 활동으로 실시되었다. 보상 (compensation)과 가역성 (reversibility), 응집 (coherence), 협응(coordination), 그리고 사고의 모순 (contradiction) 에 관한 근거가 Jean Piaget이의 이론을 기초로하여 성립한 조작적 정의에 의해 측정되었다. 개입 활동 이후, 기본 저울을 평행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높이 올라간 쪽에 더 많은 무게가 주어져야하고 막대의 평행과 평행점으로부터의 거리와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어린이들의 수가 증가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children's construction of protologic in the context of experience with balance mobiles in a constructivist setting and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making mobiles in promoting children's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balance. Pretest and posttest used a primary-and a beam-balance and three sessions of making mobiles as the intervention were given to 10 first-and 12 third-graders. Evidence of compensation and reversibility, coherence, coordination, and contradiction were assessed during interventions using operational definitions developed by Jean Piager. After the interventions, more children showed consistently their belief that higher side needs more weight to make ban; balance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dea that distance from fulcrum is related to balance.

      • KCI등재후보

        뮤지카 모빌리스: 기술복제시대의 음악적 매체성 -1970~80년대 카세트 문화를 중심으로

        송화숙 ( Haw Suk Song ) 한국음악학학회 2013 음악학 Vol.21 No.1

        뮤지카 모빌리스는 “자신의 원천으로부터 빠져나와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음악, 음악적 원천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의 육체적 이동에 따라 배치되는 음악”으로 정의되며, 이 단어가 함의하듯 이는 음악경험이 하나가 아닌 다양한 콘텍스트 형성과정, 즉 탈콘텍스트화-재콘텍스화에 둘러싸이게 됨을 지칭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가장 최신의 MP3에까지 이르는 여러 층위의 ‘뮤지카모빌리스’가 공유하는 지점이다. 이와 같은 뮤지카 모빌리스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1970년대와 80년대 한국의 카세트 문화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카세트는 1970년대를 거치며 80년대에 접어들면서 한국음반시장에서 가장 주도적인 매체로 부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미디어에 관한 연구는 작가나 히트곡 중심의 서술, 연대기적 접근 등에서 배제되어왔고, 특히 음반이라는 의미가 ‘원반 형태로 이루어진 작품의 총체’나 ‘작가나 예술적 진정성을 담보하는 텍스트’로 굳어져가면서 카세트는 주변적이거나 소모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왔다. 다른 어떤 미디어보다 카세트가 ‘움직임’과 관련한 뮤지카 모빌리스의 특징들을 음악적으로 매체화하며 변화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시기 동안 카세트를 중심으로 펼쳐졌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를 둘러싸고 형성되었던 새로운 미디어 문화의 의의를 확인함으로써 ‘또 다른 음악미디어의 역사’에 접근하고자 한다. “Music, which anytime and anywhere can be reproduced” means that the one-off musical experience could beyond the limit of specific time and space. It indicates, on the one hand, mass replication and boundless reproduction of music based on the invention of recording technology and on the other the impossibility of musical experience fixed to an only one coordinate. According to Hosokawa Shuhei, who the idea in his theoretical study on walkman conceptualizes, musica mobilis signifies “music whose source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moves from on point to another, coordinated by the corporal transportation of the source owner(s)”. As the definition, musica mobilis implies that the musical experience surrounded in not the one, but the different processes of context-construction, namely decontextualisation-recontextualisation. It is the characteristic that divers layers of musica mobilis from portable radio (cassette) to MP3. Based on such discussion about musica mobilis, this paper focuses on cassette culture in the 1970s and 1980s. Even though cassette emerges in this time as the decisive music media, existing researches, that mainly concentrate on authorship hit songs, and chronicle, have dismissed cassette culture. Especially since the recording is regarded as ‘the unity of artistic works in discoid form’ and ‘the text ensuring of authenticity author or artistic quality’, cassette is seen as subordinated and wastingly. As the counterpose, this study try to critically examine discourses about cassette culture in this times, verify the importance of this media culture, and consequentially attempt to approach to “the others history of music media”.

      • KCI등재

        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를 통해 모빌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박현욱,신용원,김진엽,공기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11

        In this paper, we deal with a system that provides temperature, humidity and fine dust data around infants to parents through Arduino and Raspberry Pi.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s remotely through applications. Android applications can perform the following functions. First, the infant's surrounding temperature, humidity and fine dust data are received. Second, mobile controls the smart mobile remotely. Third, recording and playing the voices of parents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parenting. Through the experiment of measur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remote control module,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can quickly access the system. Existing products on the market do not provide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infants and application that has various functions. The system cover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improve child-rearing convenience by providing parents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infants, remotely controllable function and convenient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본 논문은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를 통해 모빌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다루었다. 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빌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안드로이드 앱의 기능은 첫째, 유아의 주변 온도, 습도, 미세 먼지 데이터를수신하고, 둘째, 모빌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셋째, 목소리를 녹음하고 재생한다. 원격 제어 모듈의동작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에서 시스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 시중의 제품은 신생아 주변의 환경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여러 기능을제공하지 않는다. 본 시스템은 부모에게 유아 주변의 환경정보를 제공하고, 원격 제어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편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제품 대비 육아의 편의성을 향상할 것으로 기대한다.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통정책 방향

        김채만,빈미영,송제룡,김점산,박경철,김병관,한아름 경기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2020년 1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갑자기 우리에게 왔다. 사람들의 삶의 방식이 많이 바뀌었다. 이 변화는 출근과 재택, 등교와 비대면 수업이 공존하게 되었고, 직장 동료 및 친구들과의 모임은 인원수가 제한되었다. 또한 대규모 사람들이 직접 관람하는 공연, 운동경기, 종교행사, 결혼 및 장례식 등이 불가능하거나 인원수 제한 하에 허용되었다. 사람들의 삶의 방식 변화는 소비와 통행행태의 변화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3개의 분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코로나19로 인한 사람들의 삶의 형태(통행, 재택, 비대면 소비 및 배달 오토바이 등)및 선호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에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1월 이후 한 해 동안의 모든 교통수단에 대한 통행량을 2019년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 19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기술변화와 글로벌 교통정책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통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전염병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간과 공존할 것으로 전망한다. 2021년 새로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출현은 이 전망의 신빙성을 높이고 있다. 지금까지 코로나19가 사람의 통행행태 및 교통분야의 환경 변화에 미친 영향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코로나19 감염위험이 사람들의 교통수단 선택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다음으로 세계 대도시는 새로운 감염병 바이러스 출현의 방지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으로 자동차형 도시를 보행과 자전거 친화형 도시로 변화시키고 있다. 마지막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사람들의 새로운 요구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교통수단 및 교통서비스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변화된 사람의 삶의 방식을 수용하고, 새로운 감염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통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설문조사, 2020년 1년 동안의 도시의 교통관련 빅데이터 분석 및 세계 대도시의 새로운 교통정책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 새로운 교통정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4가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코로나19 이후에도 재택근무가 유지되기를 원한다. 특히, 젊은이 중장년층보다 재택근무 유지를 더 많이 희망한다. 둘째, 사람들은 감염병 위험을 출근통행 수단선택의 중요 요인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현재 대중교통 수단의 차내 혼잡률은 감영병 위험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다. 셋째, 보행자와 차량이용자는 택배 및 배달 플랫폼 노동자의 오토바이로 인한 교통사고 위협을 경험하고 있다. 이 위협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오토바이 교통사고 증가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계 대도시의 시장들은 기후변화가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 출현의 원인으로 인식하고 교통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현재 세계 대도시의 교통정책의 핵심은 “기후변화 대응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통정책 방향을 설정하였다. 우선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통정책의 비젼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비젼은 “감염병에 안전하고,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을 늘리는 도시교통 시스템 구축”으로 설정하였다. 비젼을 구현하기 위한 목표는“친환경 교통수단 이용률 10% 증가"로 설정하였다. 비젼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통정책 방향으로 5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도로의 횡단 구성을 차량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바꾼다. 둘째, 대중교통 차량 용량을 재설정하여 공급을 확대한다. 셋째, 65세 이상에게 무상대중교통 요금제를 시행한다. 넷째, 경기도형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을 추진한다. 다섯째, 배달플랫폼 시대에 맞는 오토바이 안전대책을 시행한다. 이 같은 전략의 시행에 따라 4가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대중교통수단 이용시 전염병 감염률 제로이다. 둘째, 전염병 감염위험이 낮은 도보, 자전거와 개인형이동수단(PM : Personal mobility) 이용률 증대이다. 셋째, 포스트 코로나시대 개인교통수단에서 친환경 대중교통수단으로 회귀 증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로 증가한 배달 교통수단의 안전 운행이다. In January 2020, the COVID-19 suddenly came to us. People"s way of life has changed a lot. This change led to coexistence of work and home, school and non-face-to-face classes, and the number of meetings with co-workers and friends was limited. In addition, performances, sports events, religious ceremonies, and weddings and funerals attended by large crowds were either impossible or permitted under a limited number of people. Changes in people"s way of life appear as changes in consumption and travel pattern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it into three fields. First, we investigated changes in people"s lifestyles(travel, at-home, non-face-to-face consumption, and delivery motorcycles, etc.) and preferences due to COVID-19. Next, the traffic volume for all modes of transportation for the year since January 2020, when COVID-19 occurred in Korea,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2019. Finally, technological chang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COVID-19, and changes in global transportation polic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the direction of transportation policy in the post-corona era was presented. Infectious diseases experts predict that the COVID-19 virus will coexist with humans. The emergence of a new COVID-19 mutant virus in 2021 raises the credibility of this outlook. So far, the impact of COVID-19 on people"s travel behavior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One is that the risk of infection with COVID-19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people"s choice of transportation. Next, large cities around the world are transforming automobile-type cities into pedestrian- and bicycle-friendly cit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o prevent the emergence of new infectious disease viruses. Lastly, global companies with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re working hard to develop new transportation means and transportation services to respond to the new demands of people and climate change caused by COVID-19. This study proposes a transportation policy direction in the post-corona era that can accommodate people"s changed lifestyles due to COVID-19 and suppress the occurrence of new infectious diseases. As a result of research and analysis of surveys, urban traffic-related big data analysis for one year in 2020, and new traffic policies in large cities around the world, four meaningful results that can set a new traffic policy direction were derived. First of all, most workers want to keep working from home even after COVID-19. In particular, young people are more likely to want to keep working from home than middle-aged people. Second, people have come to recognize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as an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a means of commuting to work. People feel that the current congestion rate in public transport is not safe from the risk of influenza. Third, pedestrians and vehicle users are experiencing the threat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he motorcycles of courier and delivery platform workers. This threat has emerged as an increase in motorcycle traffic accidents since the COVID-19 pandemic. Finally, the mayors of large cities around the world are establishing transportation policies, recognizing that climate change is the cause of the emergence of viruses such as COVID-19. At present, the core of transportation policies in large cities around the world is “climate change countermeasures”.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ransportation policy in the post-corona era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ransportation policy in the post-corona era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irst, the vision and goals of transportation policy in the post-corona era were set. The vision was set to “Establish an urban transportation system that is safe from infectious diseases and increases the use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 KCI등재

        화상회의 플랫폼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줌, MS 팀즈를 중심으로-

        황보연,김승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asures to enhance non-face-to-face communication platform services by measuring the user experience elements of major videoconferencing platforms in the non-face-to-face era. As a method of research, the platform of Zoom and MS Teams was select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 experience were evaluated in combination with task and Think Aloud, and seven Honeycomb models of Peter Mobil were reconstructed to be analyz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for each paragraph. Studies have shown that Zoom has high usability, usability, accessibility and searchability, and MS Teams have excellent attractivenes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uidelines for video conferencing platform servic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interface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the usability of videoconferencing will be improved, and that various related studies will proceed as follow-up studies.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의 주요 화상회의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측정하여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에서 사용이 많은 줌과 MS 팀즈의 플랫폼을 선정하고, 사용 경험이 없는 피험자 8명에게 사용자 경험의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태스크와 씽크얼라우드를 병행하여 수행 평가를 진행하였고,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형 7가지를 재구성하여 각 항문 별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줌은 유용성, 사용성, 접근성, 검색성이 높으며 MS 팀즈는 매력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화상회의 플랫폼 서비스의 가이드라인 제공과 인터페이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화상회의의 사용성이 개선되고, 다양한 관련 연구가 후속 연구로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시니어 세대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사용성 평가 연구 - 국내 유통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희,손원준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8 No.-

        Korea is exp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in 2025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after 2020. Recently, as non-face-to-face online transactions have been activated and direct interactions have been minimized due to the pandemic situation, the Internet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economic activity. As a result, the online consumption of the senior generation has surged. On the other hand, most mobile applications are currently concentrated on relatively low-age user-centered design structures, so design development studies reflecting the needs of seniors are not activ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derive mobile usability problems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focusing on Homeplus and E-Mart Mall applications, and to suggest mobile application user interface guidelin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senior generation. As a research method, first, user behavior was identified and problems were derived through task execution. Second, us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by substituting the evaluation method using Peter Moville honeycomb model into each of the six elements. As a result of usability analysis, the highest type in Homeplus was useful, and E-Mart Mall was found to be searchable. In both applications, the lowest type was usability, and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purchase process and the readability of the overall icon and text size and thickness of mobile devic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pecialized mobile application UX guide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nd readability of functions in consideration of senior user needs and visual characteristics through identification of mobile application problems and usability evaluation.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experimental research and evaluation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e design that improves the problems derived from usability evaluation to present basic guidelines for senior generations. 우리나라는 2020년 이후 지속적인 고령인구 증가로 2025년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팬데믹 상황으로 비대면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되고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최소화되면서 인터넷은 경제활동의 중요 수단이 되었다. 그에 따라 온라인 유통시장의 규모가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시니어 세대의 온라인을 통한 소비가 급증하였는데 이들의 소비 형태는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 구매 구조로 크게 변화되었다. 반면, 현재 대부분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비교적 저 연령 사용자 중심 디자인 구조에 편중되어 있어 시니어의 니즈를 반영한 디자인 개발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홈플러스, 이마트몰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사용성 평가 비교 분석을 통해 모바일 사용성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시니어 세대의 특성 과 니즈를 고려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유저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태스크 수행을 통해 사용자 행동의 파악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을 활용한 평가 방법을 재구성된 각 6가지 요소에 대입하여 사용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용성 분석 결과, 홈플러스에서 가장 높은 유형은 유용성이며 이마 트몰은 검색성으로 나타났다. 두 어플리케이션 모두 가장 낮은 유형은 사용성이며 구매 과정의 프로세스와 모바일의 전반 적인 아이콘과 텍스트 크기, 굵기의 가독성의 문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점 파악 과 사용성 평가를 통해, 시니어 사용자 니즈와 시각적 특징을 고려하여 기능의 인지와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특화된 모바 일 어플리케이션 UX가이드를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용성 평가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한 설계를 바탕으로 실 험연구와 평가를 진행하여 시니어 세대를 위한 기초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