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신저 대화에 나타나는 응답표현 연구

        백미경(Baek Mi-kyung)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1 No.-

        이 논문은 메신저를 통해 이루어지는 대화에서 사용되는 응답표현의 종류를 분석하여 응답표현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신저 앱의 사용이 생활화되면서 사람들은 메신저로 많은 대화를 나누고, 감정을 전달한다. 메신저를 사용한 대화에서는 면 대 면이 아닌 상황에서 실시간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다 보니 청자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응답표현이 사용되며, 응답표현의 여러 가지 변이형 또한 나타나게 되었다. 메신저에서 사용되는 응답표현은 글로 작성된다는 점에서 문어와 유사하지만, 실시간으로 상대방과의 대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구어와 유사한 부분도 있다. 일반적으로 메신저 대화에서는 구어와 비슷한 언어가 사용될 것이라고 짐작될 수 있지만, 메신저 대화에서 사용되는 응답표현에 대해서는 그동안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이러한 응답표현의 사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메신저에서 사용되는 응답표현의 유형과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한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메신저 앱인 카카오톡에서 이루어진 대화를 활용하였다. 주제는 주로 일상적인 대화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대화에서 나타나는 응답표현의 사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카카오톡에서 사용된 실제 대화 내용을 활용하여 응답표현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다양한 응답표현에 대한 분석 결과는 의사소통에서 실제 한국인이 사용하는 응답표현의 상당 부분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국인이 한국인과 의사소통을 할 때에 상황이나 화계에 맞는 적절한 응답표현의 사용이 중요하므로 응답표현의 분석 결과는 한국어 교육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sponse expressions used in messenger conversations. As the use of messenger apps increases, people also begin to use them to communicate and convey emotions more frequently. In conversations using messengers, it is difficult to express emotions because communication takes place in real time, not face-to-face. Therefore, various types of response expressions are used, and many variants of response expressions have appeared. The response expressions used in chat communications are written, but bear many colloquial features. In general, people think that the response expressions used in messenger conversations will be similar to those used in spoken language.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discussion about the response expressions used in messenger convers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how the usage pattern of these response expressions actually appears. In order to reveal these characteristics, the response expressions used in messenger conversations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s used the actual logs from KakaoTalk, a messenger app that is the most widely used in South Korea. A study using the messenger conversations can show a significant part of the actual communication of Koreans. In particular, this study can be usefu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use it is important to use appropriate response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en foreigners communicate with Koreans.

      • KCI등재

        口述性과 文字性의 사이, 메신저 대화의 談話와 文法 –메신저 대화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길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instant messages (IMs) from the corpus linguistics perspective. In particular, we examined IMs by analyzing the turn-taking units and sentence units in an IM corpus and comparing them with a spoken corpus. The principle that “media changes bring about communication changes” applies not only to changes from spoken to written language but also to IMs, a third medium. This study examined this change in terms of discourse and gramma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text per unit time of IM speech was 1/3 that of the spoken language, and the turn-taking frequency per 10,000 ecels (word space units) was less frequent than in spoken language. In addition, while the proportion of regulatory units was less than in the spoken language, the participants pursued cooperation in IM speech by actively expressing their attitudes. Conversely, the analysis of sentence unit complexity indicated that the use of short and fragmented sentences is preferred in IM speech compared to spoken language. 남길임, 2022, 구술성과 문자성의 사이, 메신저 대화의 담화와 문법, 어문연구, 196 : 5~34 이 연구의 목적은 말뭉치언어학적 관점에서 메신저 대화의 談話·文法的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메신저 말뭉치에 나타난 말차례 단위와 문장 단위를 분석하고, 이를 구어 전사 말뭉치와 비교함으로써, 談話와 文法 차원에서 메신저 대화의 특수성을 살펴본다. 매체의 변화가 의사소통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Ong(1982)의 주장은 구어에서 문어로의 변화뿐만 아니라 제3의 매체인 메신저에도 적용되는바, 메신저 언어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이러한 현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신저 대화의 단위 시간당 텍스트량은 구어의 1/3 수준이며, 단위 어절 대비 말차례 교체의 빈도는 구어에 비해 다소 적은 수준이다. 둘째, 구어에 비해 조정 단위의 비중은 적지만, 대신 메신저에서 화자는 태도를 나타내는 표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참여자 간의 상호 협력을 추구한다. 셋째, 문장 단위의 복잡성 분석에서, 메신저 대화는 구어에 비해 짧은 단문, 조각문 위주의 사용을 선호한다. 이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일상 담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메신저 대화의 談話 文法的 특성을 말뭉치의 계량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모바일 메신저 대화 언어에 나타난 명사형 어미 ‘-(으)ㅁ’ 종결문의 사용 양상

        김가연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7 텍스트언어학 Vol.43 No.-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sentences ending in nouns with the nominalizer ‘-(으)ㅁ’ as observed in conversations on Mobile Messaging Application(MM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oup conversation data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of Korean on Kakao Talk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interpret the context and function of sentences ending in the form of ‘-(으)ㅁ’ in relation to the purpose and topic of the conversation and the level of politeness and closeness of relationship. Findings reveal that sentences ending in the form of ‘-(으)ㅁ’ were used in an informal context of online MMA conversation adding the narrative and the assertive tone of the utterance. Even without a proper sentence ending particle, the speaker could control the psychological distance, the level of politeness and familarity between the conversation partners by using the nominalizer ‘-(으)ㅁ.’ In comparison, however, it seemed that Korean learners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olloquial meanings and functions of sentences ending in ‘-(으)ㅁ’ in the context of online communication. 본 연구는 온라인 모바일 메신저 대화의 문장 종결 현상을 명사형 어미 ‘-(으)ㅁ’ 종결문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간략하게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바일 메신저 대화를 분석하여 명사형 어미 ‘-(으)ㅁ’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으)ㅁ’ 종결문의 사용 맥락과 화자의 의도를 논의하고, 이어서 명사형 어미 ‘-(으)ㅁ’ 종결문이 모바일 메신저 대화 상황에서 가지는 기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대화에서 명사형 어미 ‘-(으)ㅁ’ 종결문이 어떤 양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명사형 어미 ‘-(으)ㅁ’ 종결문이 비격식적인 모바일 메신저 대화 맥락에서 서사와 단언적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모국어 화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카카오톡 대화 자료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서법, 양태 등과 화자-청자 관계, 공손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종결어미를 생략하고도 화자는 ‘-(으)ㅁ’을 사용하여 상황과 맥락에 따라 청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조절하며 그 공손성과 친밀도를 달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사형 어미 ‘-(으)ㅁ’ 종결문은 화자가 이미 일어났거나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건에 대해 현장감을 더해 서술하는 서사 기능과 함께 화자의 의견과 판단에 대한 단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 메신저 대화에서 ‘-(으)ㅁ’ 종결문의 사용은 전반적으로 비격식적인 느낌을 주며, 경어법이 실현되지 않아 공손성이 모호해진다. 이러한 모호한 공손성은 연장자나 나이가 어린 사람 모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데, 비격식적인 친목 관계에서 공손성을 조절하여 친밀감을 유발하는 일종의 의사소통 전략으로도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격식적인 관계나 상황에서는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어 잘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모바일 메신저 대화의 ‘-(으)ㅁ’ 종결문 사용에 있어서, 외국인 학습자들은 모국어 화자보다 소극적이고 불완전한 사용을 보이지만, 보다 정확한 사용 의도와 맥락 이해에 대한 학습 의지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온라인 언어 사용 양상 분석에 그쳐 보다 깊은 교육적 논의로 나아가지는 못했지만, 온라인 한국어 교육 논의에 대한 시도로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현재 일상생활에서 급속히 면대면 대화를 교체해 나가고 있는 온라인 의사소통에 대한 본 연구의 시도가 한국어 교육의 관심을 온라인 언어, 모바일 메신저 대화 언어로까지 확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머신러닝을 이용한 독일어 일상 대화의 화행 자동분류 - 왓츠앱(WhatsApp)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구영은 한국독어학회 2023 독어학 Vol.48 No.-

        화행 분석은 화자의 발화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과정이며, 감성 분석, 요약, 질의응답, 챗봇 개발등 다양한 대화 연구 및 기술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독일어 일상 대화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SNS 메신저 왓츠앱의 대화 데이터로 구성된 MoCoDa2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일상 대화의성격이 강한 SNS 메신저 대화를 목적 지향 대화인 수업 대화와 비교하여 두 대화에 등장하는 화행 유형의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업 대화 분석을 바탕으로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화행 분류 방법론을독일어 일상 대화에 적용한 기계학습 실험에 수행하여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발화를 세부화행이 아닌 대표화행 유형으로 분류하거나, 차원축소 기법으로 선택한 최적의 자질 조합으로 분류하는 실험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독일어 일상 대화를위한 화행 자동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In dieser Arbeit wurde eine linguistische Analyse zur automatischen Klassifikation von Sprechakten in deutschen Alltagsgesprächen durchgeführt. Zu diesem Zweck wurden für diese Studie MoCoDa2-Daten gesammelt, bestehend aus Texten vom SNS-Messengers WhatsApp, und ein Korpus deutscher Alltagsgespräche erstellt. Mit diesem Korpus wurden Sprechaktmuster, die in alltäglichen Gesprächen auftreten, sowie die Methodik zu deren Analyse untersucht. Insbesondere durch den Vergleich von SNS-Messenger-Gesprächen, die keine zielorientierte Gespräche sind, mit Unterrichtsgesprächen, die zielorientiert sind und bereits in früheren Untersuchungen behandelt wurden, wurden die Sprechakttypen, in zwei verschiedenen Arten von Gesprächen analysiert. Ein Experiment mittels maschinelles Lernen wurde durchgeführt, um zu überprüfen, ob die Methode früherer Forschungen in verschiedenen Studien verwendet werden kann. Im Experiment wurden die in der vorherigen Studie vorgeschlagenen Sprechakttypen und linguistische Merkmale der Sprechaktklassifikation auf die automatische Klassifikation von Sprechakten in deutschen Alltagsgesprächen angewendet. Um das Problem der Ergebnisse von Experimenten zu lösen, wurden zusätzliche Experimente durchgeführt, die Sprechakttypen auf repräsentative Sprechakte reduzieren und die optimale Kombination von Merkmalen durch Dimensionsreduktion auswählen.

      • KCI등재

        메신저 대화에서의 방언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홍미주 ( Hong¸ Mi-ju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3 No.-

        본고의 목적은 메신저 대화에서 방언의 사용 양상과 정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40대 여성 화자들로 구성된 카카오톡 대화방의 대화에서 관찰되는 경상방언형과 표준어형의 사용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메신저 대화에서 실현되는 전체 방언형 중 음운, 문법, 어휘 층위에서 실현되는 방언형의 비율은 문법(88.6%), 음운(7%), 어휘(4.4%) 순으로, 방언형 사용은 거의 문법 층위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방언형 중 표준어에 대한 사용 정도는 문법형태에 따라 상이하였다. 그리고 표준어화의 변화 속에서도 방언형이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를 방언형이 대화 상황에서 수행하는 기능에서 파악하였다. 방언형이 담화적 기능을 수행할 경우, 그 방언형은 표준어형으로 대체되지 않고 계속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메신저 대화에서의 방언형과 표준어형의 사용 양상을 대조적으로 살피고, 방언형이 담화적 기능을 수행함을 논의하여, 현재 지역 화자들의 방언 사용 양상과 기제를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use of standard and dialect forms by female speakers living in Daegu, in terms of their aspects, extent of use, and discourse function, when contact emerges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local dialect. The various Gyeongsang dialect forms that appear in KakaoTalk chatrooms were classified by types and the frequency of their uses was analyzed. Although mobile messenger conversations are written language, they provide semi-verbal data that fully reflect everyday spoken language. The usage patterns of standard and dialect for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evels of analysis, namely phonology, vocabulary, and grammar, so as to determine the type of dialect forms and to examine the extent of use of standard forms and dialect forms. In addition, this paper finds that the reason why dialect forms are still used despite the social prestige that standard language has, lies in the discourse function of dialect forms. The main contents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cal speakers use dialect forms in everyday conversations despite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that entails strong changes in the language. Second, dialect forms are realized at various levels: grammar (88.6%), phonology (7%), and vocabulary (4.4%), and dialects are most active at the grammatical level. Third, the interrogative verb ending ‘na/no/ka/ko’ appeared in almost all of the questions and was not replaced by a standard form. In contrast, the dialect coordinative ending ‘-aka’, which indicates the cause or the sequence of actions, was rarely used and instead, its standard equivalent ‘-ase’ was generally realized. Fourth, in the case of the dialect forms which are combined with sentence endings, they are used for their discourse function as they express the speaker’s intention in a more euphemistic, friendly, and non-categorical manner. When a dialect form has the value of discourse function, it is most likely that it will not be replaced by a standard form and will remain in usage.

      • 중학교 3학년의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 대화 구조 연구

        조성은 국어교과교육학회 2016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8 No.-

        본 논문은 현대 청소년들의 주된 언어 소통 수단으로 자리 잡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의 대화 구조를 분석하여 그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모바일 인스턴트 메 신저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의사소통 매체로 자리매김하였다. 현대 청소년 들 역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활발한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청소년들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소통에 대한 고찰을 해보아야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 저 대화 구조의 양상을 밝혀냄으로 현대 청소년들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 저 소통을 이해하는 첫 걸음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광주광역시 A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71명을 대상 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연구 목적에 동의한 학생들에 한하여 그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의 일부 내용을 수집하였다. 그리 고 수집한 내용을 ‘시작부-중심부-종결부’의 구조로 나눈 후, 각 단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양상들을 정리하였다. 시작부는 크게 ‘호출/ 질문/ 요청/ 진술’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이 때 여러 유형별로 뒤섞여 나타나는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중심부는 대화의 중복과 동시 화제 진행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며, 잦 은 화제 교체로 인해 화제의 지속 시간이 짧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뿐 만 아니라, 발화의 휴지에도 불구하고 화제가 지속되며 대화가 전개되는 양상을 보인다. 중심부 역시 시작부와 마찬가지로 앞선 현상들이 서로 맞물려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매우 복합적이고도 산발적인 양상으로 대화가 전개 된다. 종결부는 뚜렷한 종결의 신호나 표지 없이 갑작스러운 대화의 종결이 일 어난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analyze and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of conversations going on in group chat rooms on Kakaotalk, a mobile instant messenger which has now become the main communication tool between teenagers nowadays. With the advancement of communications technology, smartphones are widely used and mobile instant messengers have become an important communication tool in this modern society. As our teenagers nowadays also actively communicate on mobile instant messengers, there is a need for studies to be conducted on our teenagers’ communication on a mobile instant messenger. In this sense, this study intends to take the first step in understanding today’s teenagers’ communication on a mobile instant messenger by analyzing and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of conversations happening on a mobile instant messenger.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71 third graders at A middle school in Gwangju and only from those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 collected part of their communication that was going on in their group chat room on Kakaotalk. After that, I divided the collected contents into “beginning part, body part and concluding part” and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that repeatedly appeared in each stage. The beginning part of the conversation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which included “call/question/request/statement” and these types were often mixed, making it a complex conversation. In the body part, the conversations overlapped, the participants talked about several topics at the same time and they frequently changed the topics they were talking about, so one topic lasted on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Not only that, even when there were pauses in utterance, the topics and conversations continued to go on. As in the beginning part, in the body part as well, the phenomena, such as the overlapping of conversations, several topics going on at the same time and continuation of topics and conversations despite pauses in utterance, were often mixed, creating very complex and scattered conversations. What was characteristic of the concluding part was the conversation ended suddenly without any noticeable signals or signs of conclusion.

      • 모바일 메신저 대화 연구 동향 : 2015~2022년 국내 연구 중심으로

        한진희,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대화와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모바일 의사소통의에 대한 연구 방향을 확 인하고자 하였으며,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21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도별 연구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7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으로 는 모바일 메신저 대화를 분석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의사소통과 관련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분석 과제 유형으로는 표헌언어와 모바일 메시지 대화에서 대답하기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 으며, 연구 대상자 유형으로는 성인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 초등학생,청소년이 많았고 미취학 아동이 가장 적었다.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 기를 시사한다.

      • KCI등재

        사건 관련 정보 선별을 위한 자연어 처리 기반 메신저 대화 내 개체명 인식 기법 연구

        박재하,이상진,박정흠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3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7 No.3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모바일 메신저의 이용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범죄 활동의 수단으로 악용하는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메신저 대화 내용은 디지털 포렌식 수사에 필수적인 분석 대상이 되었으나, 방대한 자연어 데이터에서 수사에 필요한 주요 정보를 식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은 최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많은 성능 향상을 이끈 사전 학습된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메신저 대화 내용에서 육하원칙 정보, 범죄 키워드와 같은 중요정보를 빠르게 식별하고 시각화하는 자연어 처리 기반 디지털 포렌식 조사 방법론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현하고 실제 대화 내용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해당 방법론이 유효함을 입증한다. As a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increases, the number of users of mobile messengers is steadily increasing, and cases of abuse as a means of criminal activity are also increasing. Therefore, the content of messenger conversations has become an essential analysis subject for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s, bu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key information necessary for investigations from vast amounts of natural language data. This paper proposes a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methodology based on Pre-trained Language Models(PLM), which have recently led to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s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NLP), to quickly identify and visualize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5W1H information and criminal keywords in messenger conversations. This paper also implements an application software based on the methodology and proves the validity of the methodology by experimenting with actual messenger conversations.

      • KCI등재

        차별과 혐오 표현의 식별과 사전 활용의 쟁점 -메신저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송현주,고예린,남길임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2 동서인문 Vol.- No.20

        이 연구의 목적은 대화형 인공지능의 학습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구축 시 윤리적 쟁점이 될 여지가 있는, 차별과 혐오 표현의 식별과 이를 위한 사전 활용의 쟁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약 140만 어절 규모의 메신저 대화에 나타난 차별과 혐오 표현을 전수 검토하여 그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고, 어휘 정보 중심의 사전만을 활용하여 차별과 혐오 표현을 식별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논의한다. 먼저, ‘어떤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편향적, 부정적 태도를 나타내는’ 차별과 혐오 표현은 메신저 대화에서, ‘인종/국가, 성별, 질병/장애, 나이, 계층, 정치/종교, 지역, 외모’로 8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이들 차별과 혐오 표현 식별을 위한 사전 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는데, 미등재어의 문제, 뜻풀이 등 미시구조 부족 등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다. 차별과 혐오 표현의 식별에 기여하는 사전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현재 사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필요하며, 거시구조 차원에서의 표제어 확충, 정교한 뜻풀이와 사용상의 주의 사항 등을 보다 명시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