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근대路 열린 인문학”

        허정애(Huh, Jeong Ae)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4 동서인문 Vol.0 No.2

        역사의 기억을 통해 근대 대구를 재발견하고, 지리적 삶과 인문적 삶을 결합함으로써 도시의 창조적 재생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위해 시민인문학 강좌, 청소년인문학콘선트, 인문체험, 인문축제 등의 활동을 추진한다.

      • KCI등재

        역병(疫病) ‘코로나19’ -그 의미, 감성, 그리고 인문치유-

        최윤경(Choi, Yoon-kyu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동서인문 Vol.0 No.14

        본 연구에서는 현 세기 ‘역병’이 함축하는 의미를 확정하고, 우리들의 감성을 살펴보며, 그 난제를 인문 치유의 관점으로 천착해 본다. 이것은 ‘코로나19’ 팬데믹의 한 가운데에서 인문학의 시대적 역할이며, 충분한 가치적 의미를 가진다. ‘코로나19’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서 트위터의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적 등위성분석(CONC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크게 네가지 의미로 집약할 수 있었다. ‘초기방역 실패’, ‘의사파업 책임’, ‘신천지 동향’, 그리고 ‘코로나19 상황 · 대책’이다. 다음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감정을 알아보기 위해서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감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어휘 총 594건이 추출되었고, 긍정과 부정은 각각 182건 (31%)과 412건(69%)으로 나타났다. 긍정의 하위 감성은 순서대로 호감(112건·18.9%)>기쁨(52건·8.8%)>흥미(18건·3.0%)로 나타났고, 부정의 하위 감성은 분노(154건·25.9%)>거부감(106건·17.8%)> 슬픔(74건·12.5%)>두려움(60건·10.1%)>놀람(14건·2.4%)> 통증(4건·0.7%)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정신적 · 정서적 ·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문치유를 제안한다. 독서, 토론, 글쓰기를 포함하는 문학치료가 있다. 아울러 정부나 공공기관의 안내문이나 캠페인의 발표에 앞서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검토를 거친 적절한 용어 사용을 제언한다. 인문치유는 반성적 성찰과 함께 그 상흔과 화해하고 치유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This study determines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plague of the 21st century, examines our emotional response, and explore related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therapy. In other words,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humanities in the ‘COVID-19’ pandemic. First, the meaning of ‘COVID-19’ is determined based on Twitter"s big data and structural equivalence analysis (CONCOR analysis), and appears to be fourfold: ‘initial quarantine failure’, ‘responsibility of the doctors’ strike’, ‘Shincheonji trend’, and ‘COVID-19 situation and countermeasures’. Second, sentiment analysis is performed using big data in order to find out the general perceptions and feelings regarding ‘COVID-19’. A total of 594 emotion-related expressions have been extracted, consisting of 182 positive (31%) and 412 (69%) negative expressions. The positive emotions are favorable impression (112 cases, 16.64%) > joy (52 cases, 8.78%) > interest (18 cases, 2.47%); the negative emotions are anger (154 cases, 29.53%) > rejection (106 cases, 17.42%) > sadness (74 cases, 11.42%) > fear (60 cases, 9.99%) > surprise (14 cases, 2.77%) > pain (4 cases, 0.99%). Finally, the paper proposed to solve the mental, emotional, and social distress caused by ‘COVID-19’ with humanities therapy, which includes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as literary therap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experts review, if necessary, the appropriate use of terms, prior to the publication of notices or campaign. Humanities therapy are seen as a way to subdue and cure the current ills with reflective introspection.

      • KCI등재

        동아시아 목간사전 DB 구축의 현황과 쟁점

        최준,남길임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2 동서인문 Vol.- No.18

        이 연구는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동아시아 목간사전 DB 구축 현황과 쟁점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동아시아 목간사전 DB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국의 목간 텍스트에 포함된 고대 한자 어휘를 대상으로 한 역사 어휘 사전 구축을 위해 제작된다. 또한 동아시아 목간사전 DB는 역사 연구에서 참조 자료로 사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백과사전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우리는 세 나라의 어휘 및 문자 자원을 아우르는 비교 연구의 기반자료로서의 DB 구축을 위해 사전 편찬 지침과 온라인 플랫폼 편찬 도구를 구성한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의 연구 과정을 소개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2장에서는 목간 사전 편찬 과정과 방법론을 다룬다. 이를 위해 2.1에서는 사전의 사전적 특성과 편찬의 일부 문제를 논의하고 2.2에서는 동아시아 목판 사전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개요를 제시한다. 3장에서는 사전의 거시구조와 미세구조를 고려한 사전 속성 측면의 쟁점을 논의하며, 4장에서는 동아시아 목간 사전 DB의 공시적 역사 어휘 사전, 다국어 어휘 사전으로서의 특성을 반영한 사전 DB 구축을 위한 플랫폼의 실제를 제안한다.

      • KCI등재

        부여 관북리 유적 연못 출토 목간과 목제품의 폐기양상

        이상일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2 동서인문 Vol.- No.19

        부여 관북리 연못은 충남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982~1983년 연못 동쪽 절반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고,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 의해 2002 ~2003년 나머지 서쪽에 대해 조사가 완료되며 전모가 파악되었다. 특히 1983년 충남대학교 박물관의 조사 당시 연못 내부 출토유물에 대해 충실한 수습이 실시되었는데, 최근 유물정리과정을 통해 신규 목간 2점과 묵서흔이 확인된 10점의 목간형 목제품을 추가로 확인되었다. 연못에서 출토된 목간과 목간형 목제품은 부찰목간이 상당량을 차지하며 폐기와 관련된 흔적이 확인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초축 연못 단계에서는 주로 세장방한 부찰형 목간과 목제품이 주를 이루는데, 부찰형 목간의 성격을 고려하면 관북리 전기 연못의 서편에 위치하고 있던 저장단지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상정된다. 또한 현재 폐기흔적이 남아있는 목간은 주로 초축 연못 단계에서 보이는 것으로 보아 사용이 종료된 목간을 연못에 폐기했을 가능성이 추정된다. 보축 연못 단계에 들어서면 출입과 관련된 종류가 출현하며 전반적인 목간이 출토량도 증가한다. 이는 왕궁 중심이 서편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 목간은 백제 멸망과 관련되어 퇴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고에서는 간략한 분석에 그쳤지만, 관북리 연못에서는 소개된 자료 외 다량의 목제품이 출토되었다. 앞으로 이에 대해 다양한 의견 제시와 실견이 진행된다면 백제 목간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지구적 자본주의와 대학개혁의 이념

        윤지관(Jikwan Yo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6 동서인문 Vol.0 No.6

        이 논문은 지구적 자본주의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미국 대학이 어떻게 대응해왔는지를 미국의 대표적인 대학인 하버드대의 경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하버드대학은 미국의 근대화가 진행되고 자본주의가 발전하는 중요한 국면마다 근본적인 개혁을 통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해왔다. 산업화가 본격화된 남북전쟁 이후 산업화시대인 19세기 후반에는 전통적인 칼리지 형태를 탈피하여 연구대학으로의 전환을 주도함으로써 미국사회가 필요로 하는 학문적 기술적 원천을 제공하였다. 고등교육이 대중화되고 미국의 세계적 헤게모니가 형성되던 시기인 20세기 전반에는 능력주의를 토대로 한 대학개혁을 진행하여 하버드대학에서 신분적 지역적 특권을 줄여나갔으며, 20세기 후반에는 1960년대의 사회운동의 요구를 반영하여 각종 차별철폐 등 대학의 민주주의를 정착시켰다. 이와 같은 하버드 대학의 지속적인 자기혁신은 자본주의체제의 발전과정에서 대학이 이에 부응하는 도구로 재편되는 과정이지만, 이 과정에서 근대대학의 본령이라고 할 이념적 지향으로서의 빌둥의 기획이 여전히 관철되고 있는 이중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proposes to elucidate how Harvard University has reformed itself in response to America’s development as a modern society and to the formation of global capitalism in the world. The reformation in the history of Harvard University has three phases.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America started to enter an industrialized stage of society, Harvard transformed itself from ‘college’ to ‘university’ and led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universities in America.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higher education became massified and American hegemony in the world system was introduced, Harvard reformed itself on the basis of meritocracy to eliminate or reduce traditional privileges. In the late 20th century, Harvard institutionalized the spirit of the 1960s social movements into the university and enhanced academic democracy and diversity. Though there is no denying that such continual renovation of the university system represented its adaptation to the different stages of global capitalism, it should be noted that it also accompanied a project of Bildung, the essence of modern idea of university.

      •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서 ‘신학적인 것’과 ‘철학적인 것’의 구분과 통일성에 관한 고찰

        이명곤(Lee, Myung G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7 동서인문 Vol.0 No.8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은 처음으로 철학과 신학을 조화롭게 통일시킨 고전이며, 이러한 통일성으로 인해 현대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연구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토마스 이전의 교부 철학자들에게 있어서 신학과 철학의 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규정은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토마스의 『신학대전』안에서는 이 관계가 ‘상호 보완적이고 대등한’ 동반자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 『신학대전』 안에서 철학이 신학과 동등하게 조화와 통일을 이루고 있다는 것은 철학이 자신만의 고유한 역할과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철학이 신학의 내부에서 발견되기는 하지만, 철학의 고유함을 전혀 손상 없이 보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신학과 철학에 대한 분명한 구분을 통해서였다. 신학대전 안에서 고려된 철학적인 것과 신학적인 것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이 계시된 진리를 근거로 출발하여 세계와 인간에 대해 이해할 만하게 ‘설명하는 것’이라면, 철학은 자연적인 이성의 논의에 의해 밝혀진 사물들의 본성에서 출발하여 믿음에 포함된 앎의 항목들의 타당성을 논의한다. 둘째, 신학이 확실한 진리, 즉 최종적인 결론을 소유한 것으로 철학에게 진리의 방향성을 지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면, 철학은 신학에 포함되어 있는 구체적인 항목들에 대해 논의와 논증을 통해서 분명한 앎(비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신학은 비록 세계와 자연을 그 대상으로 다룰 때에도 이들이 가진 신과의 관계성을 문제 삼고 있기에, 본질적으로 신을 그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반면 철학은 우선적으로 세계와 자연을 그 대상으로 하며, 그들이 가진 가장 근본적인 원리들(본성, 본질 등)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신학대전』 안에서 신학과 철학은 서로 고유한 대상과 역할을 가지고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유기적인 통일성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ca is a classic which unified and harmonized philosophy and theology for the first time. As a result, Summa Theologica became a model of research to all researchers up to the present time. Before Thomas, patristic philosophers’ general stipul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was that “philosophy was the handmaiden of theology”. But in Thomas’ Summa Theologica, this relationship is a “complementary and equal” partnership. The fact that philosophy displays harmony and unity on a par with theology in Summa Theologica means that it has its own particular role and autonomy.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uniqueness of philosophy is preserved without damage, even though philosophy is found within theology. This is made possible by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The distinction between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in Summa Theologica is as follows. First, if theology is based on the truth revealed from God and comprehensibly ‘explains’ the world and men, philosophy starts from the nature of things revealed by means of natural reason and discussion and examines the validity of items of knowledge in faith. Second, if theology, holding definite truth, that is, the ultimate conclusion, plays the role of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ruth to philosophy, philosophy offers a clear knowledge (or vision) of specific items contained in theology by means of discussion and demonstration. Third, even when treating the world and nature, theology addresses the question of their relationship with God, making God the essential object of theology. On the other hand, philosophy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world and nature, as well as their most fundamental principles (nature, essence, etc.) they have. Thus, theology and philosophy in Summa Theologica, while having their own objects and roles, are forming an organic unity through their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 KCI등재

        城山山城 木簡에 보이는 신라의 지방경영과 곡물 · 인력 관리 -城下麥 서식과 本波, 喙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현(Lee, Yonghye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7

        ① 종래 목간에 보이는 지명의 비정을 중심으로 위치미상이었던 지명을 더 비정할 수 있다. 종래 알려진 것은 榮州郡 浮石面과 順興面, 安東市와 陶山面, 醴泉郡, 義城市과 丹村面, 金城面, 尙州市 沙伐面, 金泉市 開寧面 등의 경북지역, 昌寧郡 昌寧邑 등의 경남지역, 그길고 경주시 중심부다. 새롭게 안동 일직면, 의성의 옥산, 비안, 안계, 단밀, 상주 화서 하송리, 그리고 구미 같은 낙동강 중상류 요지, 풍기, 문경 산양 등 경북 북부 내륙 낙동강 상류역, 옥천 이산 이원리, 괴산 청천, 충주 대소산면 등 소백산맥 이북 지역, 영천, 경주 양북 등 왕경과 그 인근 금호강 유역, 창녕 인근, 청도의 매전과 남안 유호리 등 로 비정할 수 있다. ② 종래 목간 관련 지명은 낙동강 중상류를 중심으로 하며, 일부 옥천도 들어 있을 것으로 비정했다. 본고에서는 두 걸음 더 나아가, 낙동강 중 상류의 본류와 지류 인근의 경북 내륙 중북부가 압도적으로 많고, 죽령과 조령 이북의 남한강 상류에 면한 단양,충주,괴산 청천, 추풍령 이북 보은, 그리고, 경남의 청도, 창녕 등 낙동강 하류지역도 보인다. 이들 지역은 대체로 신라 당대 上州와 下州지역에 해당한다. ③ 성산산성 목간의 지명은 대체로 낙동강 연안와 그 연장권역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6세기 말 혹 후반에 국가의 지방 통치와 지배, 물류와 운송에 낙동강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음을 재확인시켜 준다. ④ 城下麥 하찰 서식은 <상위지명(城) + 下 + 麥(곡물) + 수량 + 하위지명 + 인명>을 기본으로 한다. 수량은 인명 뒤 즉 제일 뒤에 오기도 한다. 下는 “아래”란 범용의 뜻이다. 城下麥 서식은 지명 혹 행정구역단위가 긴 경우 활용되었다. 下 위, 즉 문장 머리에 상급지명 주로 城명이 오고, 城 아래 하급 지명, 주로 村명은 뒤 쪽에 배치하였다. 원래 지명과 인명 뒤에 와야할 <麥(곡물) + 수량>을 <상급지명 + 下> 아래로 전진배치한 서식이다. 倒置구문이다. 상급지역과 곡물을 가시적으로 우선파악할 수 있고, 분류정리에 효율적인 궁리였다. ⑤ 城下麥서식은 甘文城(지금의 김천 개령) 즉 당시 上州였던 甘文州 甘文城을 중심으로 운용되었다. 감문을 비롯, 夷津支城(안동 관내 혹 일직), 巴珎兮城(의성 단촌면일까), 小南兮城(상주 화서 하송리)과 鐵山(충주 대소산면)에서 활용되었될 수 있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이 활용되고 있었다. ⑥ 城下麥 서식에서 下아래 오는 곡물은 대부분 麥이며, 간혹 米가 있다. 이들은 성산산성 하찰에 보이는 주요 곡물인 稗는 전혀 오지 않았다. 麥과 米는 稗에 비해 상등곡물이다. ④ 城下麥 서식의 존재는, 신라 국가가 지역 경영에서 麥,米라는 상등곡물과 稗라는 하등곡물을 구별하여 운영하였음 말해준다. ⑦ 11斗石, 15斗石, 60个石과 같이 당대 石은 용량단위임과 동시에 용기단위이기도 했다. 15斗石은 15斗 용량의 1石, 60个石은 60个단위의 1石을 의미한다. 당대 米의 1石은 11斗였고, 麥의 1石은 15斗였다. 麥의 石이 60个石, 15斗石, 石과 같이 운용되고 있었다. ⑧ 石같은 수량이 생략되기도 했는데, 麥,米와 稗의 기본 수량은 1石이었다. ⑨ 麥과 米의 조달은 上州의 治所였던 甘文城 중심으로 이뤄졌다. ⑩ 하찰에 보이는 喙와 本波는 신라 왕경 6부이며, 王私는 왕실 內省, 國王 관련을 의미한다. 州治를 중심으로 요지에 국왕과 6부의 관할이거나, 그들의 권리가 설정된 村이 존재했다. ⑪ 大村, 新村과 같이 각 지역에 체제가 새롭게 편제, 설정되었는데, 이는 新州가 설치되고 州가 개편되는 6세기 중엽경을 上限으로 볼 수 있다. ⑫ 하찰 등 목간에 보이는 지명은 上州와 下州가 중심이고, 新州의 한강하류나 비열홀주/달홀주 등의 동해안 지역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낙동강 유역 중심으로 상주, 하주가 상호 유기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⑬ 송부처에서 수신처에 직접 물품을 직송케 하여, 물류에서 오는 낭비를 줄이고 운영상 효율을 도모하였다. 물류와 국가 경영의 중심에 낙동강 水運이 있었다. Place names that have been newly determined include the upper reach of the Nakdonggang River, including Andong Iljik-myeon, Oksan, Bian, Angye, Danmil, Sangju Hwaseo Hasong-ri, main places by middle reach Nakdonggang River such as Gumi, Punggi, and Mungyeong sanyang; Okcheon Iwon-ri, Goesan Cheongcheon, Chungju Daesosamyeon and the regions north of Sobaek Mountain; Yeongcheon, Gyeongju Yangbuk-do, and the vicinity of Geumhogang River. Conventionally, place names related to wooden tablets corresponded to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part of Okcheon was not expected to be included. This paper goes a step further and includes many places surrounding the mainstream and tributaries of the middle and upper reach of Nakdonggang River, as well as the lower reach, such as Danyang, Chungju, Goesan, Cheongcheon, Chupungnyeong, Cheongdo and Changnyeong, Gyeongsangnam-do. These regions generally correspond to Sangju and Haju, i.e.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Silla period. The place names from the Seongsanseong Fortress Wooden Tablets are generally distributed around the riverbanks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their extended areas. This confirms that the Nakdonggang Riv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tate"s local governance, control,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in the late 6th century. The Seonghamaek城下麥 form consists of ‘upper place name + 下(i.e. Under) + grain + quantity + lower place name + personal name’. Sometimes, ‘quantity’ comes after ‘personal name’, that is, at the end of the sentence, and ‘下’ in that form means ‘lower’. Seonghamaek城下麥, or ‘SHM’ form, was used when personal names or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were long and when ‘grain’ referred to barley or rice. Higher-level place names mostly came at the head of the sentence, while lower-level place names were placed at the end. The form ‘grain + quantity’ usually comes after the ‘high-level place name’, but originally had to be placed after ‘lower place name + personal name’. This syntagm was an efficient device for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high-level areas and grains. The SHM form was used for Gammun fortress (now Gimcheon Gaeryeong), the central town of the Gammun state, that is, Sangju. In addition to Gammun, it could have been used in Ijinji (now iljik in Andong), Pajinhe fortress(now Danchon-myeon, Uiseong), Sonamhe fortress(now Hasong-ri, Hwaseo, Sangju), and Cheolsan (now Daesosan-myeon, Chungju). Most of the grains marked in the SHM form were barley and barley rice. Millet which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grains was not on the list for the SHM form. This means that Silla divided grains to manage into two groups, on one hand high-quality grain and on the other, low-grade grain. Just as ‘11斗石’, ‘15斗石’ and ‘60个石’, the ‘Seok石’ of that time referred to both a capacity measure and a container unit (straw bags, for example). ‘15斗石’ meant ‘1石’ in capacity of ‘15斗’ and ‘60个石’ meant ‘1石’ in units of 60. At that time, the measure of ‘1石’ was ‘11斗’ for rice and 15斗 for barley. The fact that the quantity of grains was sometimes omitted refers to the existence of capacity defined by the state Silla. The amount of payment regulation was one seok(1石). The procurement of barley and rice was mostly for Gammun fortress, which was the main town of the upper state Sangju. The ‘Tag喙’ and ‘Bonpa本波’ were two of the six ‘Bu部’ groups that were the mainstream power of the Silla royal palace. ‘Wangsa王私’, that is, the king"s private affairs and palace concerned the national king and royal officials. At the heart of the state, there was the jurisdiction of the king and the six divisions, or a ‘chon村’ for which their rights were established. The jurisdiction and rights of the king and the six Bu were established at the heart of the state ‘Ju州’. The system was newly organized and established in local regions, such as Large Town大村 and New Town新村. Reorganization and construction of local town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mid to l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