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口述性과 文字性의 사이, 메신저 대화의 談話와 文法 –메신저 대화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길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instant messages (IMs) from the corpus linguistics perspective. In particular, we examined IMs by analyzing the turn-taking units and sentence units in an IM corpus and comparing them with a spoken corpus. The principle that “media changes bring about communication changes” applies not only to changes from spoken to written language but also to IMs, a third medium. This study examined this change in terms of discourse and gramma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text per unit time of IM speech was 1/3 that of the spoken language, and the turn-taking frequency per 10,000 ecels (word space units) was less frequent than in spoken language. In addition, while the proportion of regulatory units was less than in the spoken language, the participants pursued cooperation in IM speech by actively expressing their attitudes. Conversely, the analysis of sentence unit complexity indicated that the use of short and fragmented sentences is preferred in IM speech compared to spoken language. 남길임, 2022, 구술성과 문자성의 사이, 메신저 대화의 담화와 문법, 어문연구, 196 : 5~34 이 연구의 목적은 말뭉치언어학적 관점에서 메신저 대화의 談話·文法的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메신저 말뭉치에 나타난 말차례 단위와 문장 단위를 분석하고, 이를 구어 전사 말뭉치와 비교함으로써, 談話와 文法 차원에서 메신저 대화의 특수성을 살펴본다. 매체의 변화가 의사소통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Ong(1982)의 주장은 구어에서 문어로의 변화뿐만 아니라 제3의 매체인 메신저에도 적용되는바, 메신저 언어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이러한 현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신저 대화의 단위 시간당 텍스트량은 구어의 1/3 수준이며, 단위 어절 대비 말차례 교체의 빈도는 구어에 비해 다소 적은 수준이다. 둘째, 구어에 비해 조정 단위의 비중은 적지만, 대신 메신저에서 화자는 태도를 나타내는 표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참여자 간의 상호 협력을 추구한다. 셋째, 문장 단위의 복잡성 분석에서, 메신저 대화는 구어에 비해 짧은 단문, 조각문 위주의 사용을 선호한다. 이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일상 담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메신저 대화의 談話 文法的 특성을 말뭉치의 계량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과학 텍스트 정의문의 유형 분석

        남길임 한국어의미학회 2016 한국어 의미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defining sentences in science textbooks and analyse them on the basis of their lexico-grammatical patterns as well as their roles in the text.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oncepts of ‘defining strategy’ or ‘defining sentence types’ in lexicography. In addition, the use of defining strategies appears to be more important in science prose, when describing scientific terms, than in any other field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definition in Korean dictionaries, only a few have looked into what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e science textbooks present in terms of defining strategy and what role these various patterns play in defining scientific terms.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2 deals with issues relating to the analysis of the defining sentences and presents the methodology and corpus construction. Chapter 3 classifies the Korean defining sentences by analysing the definition patterns of Korean dictionaries. Chapter 4 analyzes manually 200 defining sentences in Korean science textbooks and classifies them according to not only their lexico-grammatical patterns but also their functions.

      • KCI등재

        말뭉치 기반 국어 분열문 연구

        남길임 형태론 2006 형태론 Vol.8 No.2

        국어문법에서 분열문은 문장성분의 독립성이나 접속문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중요한 통사적 기제로 활용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언어 자료에서 분열문이 어떤 양상으로 쓰이는지, 어떤 성분이 주로 분열문의 초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연구는 말뭉치에서 분열문을 추출하여 실제 언어생활에서 쓰이는 국어 분열문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분열문과·의사분열문의 정의와 범위를 명확히 하고 분열문의 다양한 통사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분열문을 문장성분의 이동이라는 통사적 절차를 통하여 ‘강조’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사적 형식으로 정의하고 형태·통사적 기준을 통해 분열문과 의사분열문을 판별하였다. 구어·문어 말뭉치를 분석해 보면, 분열문은 구어보다 문어에서 월등하게 잦은 빈도로 실현되는데 이는 구어의 경우 분열문이라는 형태·통사적 장치 외에 음운론적 강세나 다른 별도의 통사적 구문들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또한 분열문의 초점 자리에 오는 성분은 주어>부사어>목적어>보어의 순으로 나타나며 초점 자리에 올 수 있는 조사는 뿐, 부터, 까지, 등의 제한된 보조사와 ‘에서’ 등으로 한정된다. Clefting is one way to manipulate word order in order to add focus or emphasis to a certain element in sentences. In Korean linguistic studies, cleft sentences have been used as syntactic criterion in either classifying conjunctive sentences or for testing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sentence constitu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syntactic aspects of cleft sentences and to define both cleft sentences and pseudo-cleft sentences. This study is based on approximately 200,000 words constructed from both spoken and written korean. This study notes some differences between clefts in spoken and written Korean. Thus, clefts are used much more in written corpus than in spoken corpus. This is because there are other constructions that play a similar role to clefts in spoken Korean. In our corpus, constituents that appear as highlighted elements in cleft sentences appear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as : subject>adverbial phrase>object>complement.

      • KCI등재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음식 용어 의미 주석을 위한 연구 -「음식디미방」을 중심으로-

        남길임,송현주 한국어의미학회 2008 한국어 의미학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sense tagsets for tagging to food related terms used in Joseon dynasty culinary manuscripts. In addition to the morpho-syntactic annotation, the culinary terms in the corpus are annotated with domain-specific (in this case, culinary domain) sense information. For building sense tagsets are reviewed briefly Sejong Corpus, the study of lexical classes and food terms of the culinary scholars. After due consideration, we build the proper tagsets for this specialized corpus, the tagsets carries out the analyses of lexical classes. The major tagsets of this study is culinary terminology. Therefore, most words are hyponyms of ‘FOOD’, an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od name, ingredients, seasoning, garnish, kitchen utensils, tableware, measuring unit etc.

      • KCI등재

        '프레임'의 언어학 -의미적 신어 ‘프레임’에 대한 말뭉치언어학적 분석-

        남길임,이수진,강범일 한국어의미학회 2019 한국어 의미학 Vol.65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the word ‘frame’ in Korean as a semantic neologism which has been in use for the last 30 years and further examines the collocations and semantic prosody of the word.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consists of online news articles spanning from 1990 to 2018 and compiled into two corpora (Naver News Corpus and Chosun·Dong-A News Corpus), which have been time-sliced in order to perform a time series analysis. Chapter 2 presents the methodology of web scraping corpus and discusses the issues related to semantic neology in terms of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Chapter 3 carries out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frame’ from the perspective of corpus linguistics. The results show that the word ‘frame’ in Korean first appeared in the Naver News Corpus in 2001 and its frequency dramatically increased in 2007, 2012 and 2017, which correspond to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collocates of ‘frame' within a ±3 window shows that the term mostly has a negative prosody.

      • KCI등재

        한국사전학회 20년과 한국 사전학의 과제

        남길임,안의정 한국사전학회 2022 한국사전학 Vol.- No.40

        본 연구는 2003년 한국사전학이 발간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전학이 변혁기를 거쳐 온 과정과 발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사전학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003년 한국사전학회의 창립 전후부터 지금까지 한국사전학이 도출한 성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2장), 사전학 관련 논문에서 사전학의 연구 경향을 각각 거시구조적 측면과 미시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3장), 최근 20년간의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전학계가 말뭉치 혁명과 컴퓨터와 IT의 발달, 사용자의 참여 확장 등 사회 변화에 따른 요구를 한국사전학계가 어떻게 수용해 갈 것인지를 함께 논의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모든 논문이 주요 대상이나, 『한국사전학』 이전에 사전학 전문지로서 관련 주제들을 담당했던 『사전편찬학연구』와 이외 KCI 학술지 중 현대 한국사전학의 주요 성과를 모두 포함한다. 또 분석의 체계는 사전학 이론의 내적 체계인 이론사전학과 사전편찬학의 체계를 따르는 한편, 국내외 사전학계의 주요 연구 동향을 참고하기 위해 한국사전학회, 아시아사전학회, 유럽사전학회의 주요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논의한다.

      • KCI등재

        제3의 매체–메신저 언어 연구

        남길임,황은하 한국어학회 2023 한국어학 Vol.99 No.-

        This study examines the lexical characteristics of messenger language, which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everyday language beyond the dichotomy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To investigate the macroscopic characteristics of messenger language, we utilize a customized parallel corpus of 1.4 million words of messenger raw text and its corrected text.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s the specificity of messenger language by comparing the raw text with the corrected text, Sejong spoken corpus, and Sejong written corpus.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First, in Chapter 2,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target corpus, as well as the research methodology. Then, in Chapter 3, we extract and analyze the messenger-specific forms by comparing the messenger raw text with the corrected corpus, the Sejong Written Corpus, and the Sejong Spoken Corpus. Furthermore, we categorize their messenger-specific forms based on Korean orthography,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Korean Loanwords Notation, Out-of-Vocabulary words, and emoticons. Finally, in chapter 4, we will analyze how the types of messenger-specific forms are related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essenger language, such as orality, economy, and formalit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essenger-specific forms not only serves as a primary task to observe the changing communication patterns due to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media but also provides practical resource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NLP tools such as morphological analyzers and spell checkers. 본 연구의 목적은 구어·문어의 이분법을 넘어서 일상 언어에서 중요한 지위를 가지게 된 메신저 언어의 어휘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거시적 차원에서의 메신저 언어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메신저 언어를 원시 말뭉치로 하여 구축된 140만 어절의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를 활용하기로 한다. 또한 맞춤법 교정 말뭉치의 원문을 교정문 및 세종 구어, 문어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메신저 언어의 특수성을 분석하기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연구 대상 말뭉치의 특성과 구조, 연구 방법론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세종 문어 및 구어, 교정 전후의 어절의 비교를 통해 메신저 언어의 불일치 어형을 분석하고, 규범적 관점에서 불일치 어형의 유형을 분석한다. 이때 불일치 어형의 유형은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OoV, 이모티콘의 유형으로 분석된다. 4장에서는 불일치 어절의 유형이 메신저 언어의 특성인 구어성, 경제성, 정표성 등의 기능과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한 경향성을 가지고 있음을 분석할 것이다. 메신저 언어의 특수 어형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새로운 기술과 매체의 등장으로 변화하고 있는 의사소통 양상을 살펴보는 기초적인 작업일 뿐만 아니라 형태소 분석기, 맞춤법 검사기 등 NLP 도구의 성능 향상에 대한 실제적인 자원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