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中國東北三省投資環境變化及對韓國企業的啓示

        임반석,서평,서평 한국중국문화학회 2009 中國學論叢 Vol.27 No.-

        이 글은 먼저 중국 동북3성 지역이 중국경제에서 점하는 경제적 위상과 여러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동북3성 재개발 계획 전략과 주요 계획들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 작 업을 통해 동북 3성의 전반적인 투자환경을 평가한 뒤 동북진흥을 통해 한국이 맞게 될 기회와 위협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분석한 뒤 그러한 분석판단이 한국기업에 어떤 의미를 던져주는지를 생각해 본다.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초기에는 투자가 산동성 연해 도시와 동북3성에 집중되었고, 2000년대 들어서는 남방지역으로 남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중공업 지대인 동북3성은 사실상 개혁개방 이후 발전 기회를 잡지 못한 채 오랫 동안 낙후된 공업지대로 남아 있었다. 다른 지역에 비해 철도 상황이 양호하고 대형 중화학 공업 기반이 탄탄하다고 평가받아 온 동북3성은,개혁개방 이후 소유제 면에서 대부분의 주요 기업이 국유 대기업이라는 점,지역 전체의 공무원과 기업 간부들의 시장 마인드가 부족하다는 점 등으로 인해 실업과 비효율의 대명사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있는 동북지역은 후진타오 주석에 의해 동북진흥이 주창되면서 국내외적으로 주목을 받았고, 재도약의 계기를 맞게 되었다. 한국기업의 중국투자를 살펴보면, 한국기업의 동북3성 진출은,개혁개방 초기의 투자편중 현상에도 불구하고 현재 연해 도시지역에 비해 부진한 편이다. 2000년대 들어 장쩌민의 서부대개발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고,다시 후진타오 체제가 확립되면서 동북3성에 대한 재개발이 본격화되면서 동북3성 지역의 투자환경이 개선되기 시작하였다. 다른 한편 동북3성은 북쪽으로는 러시아와 몽골, 남쪽으로는 북한, 한국, 일본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동북아시아 지역 의 경제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비교적 양호한 입지인 것도 사실이다. 개혁개방 초기부터 199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기업의 중국투자는 국내에서 경쟁력을 상실한 경공업이 중심을 이루었고, 동북3성 투자기업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탄탄한 경제기반, 양호한 인프라 같은 유리한 조건을 구비한 동북3성의 투자환경이 점차 개선되면서 이전에 비해 중소 경공업 이외 기업의 진출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개선되어 가는 동북 3성의 투자환경을 잘 활용할 경우 한국과 동북3성의 경제협력을 가속시키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동북3성의 양호한 환경을 한국 기업이 선점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더욱이 동북3성은 북한과 인접한 지역으로서 남북경협과 통일 후 한중경제 관계 활성화를 위해서도 유리한 지역이다. 이 글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동북3성 개발에서 우리가 동북아 개발금융을 주도할 기회를 잡을 수 있다. 둘째, 동북3성의 개발에 러시아, 중국과 함께 3각 경협을 활용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이고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국기업의 동북3성 진출은 중국의 다른 지역과 다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동북3성은 다른 경제권과 달리 내수시장 개발이 아직 미흡하고 투자여건도 창강삼각주나 연해 도시와 비교할 때 열악하다. 뿐만 아니라 동북3성은 대규모 국유기업이 큰 비중을 점하는 지역으로서 시장마인드가 부족한 지역이다. 동북 3성은 성 별로 산업구조, 공업기반이 다르다. 랴오닝성의 경우 동북지역에서 공업기반이 가장 양호한 지역이고 투자여건도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해안의 항구도 ...

      • KCI등재

        한국기업의 중국 동북 3성 진출 역사와 시사점

        양영수(Young Soo Yang),박영렬(Young Ryeol Park),이재은(Jae Eun Lee) 한국경영사학회 2017 經營史學 Vol.84 No.-

        본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전개된 한국기업의 중국 동북 3성에 대한 해외직접 투자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왔으며, 어떤 특성을 보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적합성(strategic fit)의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기업의 동북 3성 해외직접투자 패턴이 동북 3성의 환경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를 분석한다. 먼저 역사적 관점에서 동북 3성에 대한 한국기업들의 투자시기를 태동기(1990년~1998년), 성장기(1999년~2002년), 활성화기(2003년~2008년), 조정기(2009년~2014년)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시기적 구분은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피투자국 중국의 제도와 정부정책의 큰 변화를 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각 시기별로 한국기업의 산업별 특성, 기업규모별 특성, 투자목적별 특성, 투자형태별 특성, 설립형태별 특성, 투자지분율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기업들의 동북 3성에 대한 해외직접투자는 산업 측면에서 태동기, 성장기, 활성화기에는 2차 산업 위주의 특성을 보였으나 조정기에 들어서면서 3차 산업으로 변화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기업규모별 특성을 살펴보면, 태동기와 성장기에는 중소기업 위주의 투자가 진행되었으나, 활성화기와 조정기에는 대기업의 투자 비중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동기와 성장기에는 한국기업들이 동북 3성에 대한 투자 목적이 수출촉진이나 저임활용 목적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현지시장 진출의 목적이 많아지고 있다. 투자형태는 동북 3성 투자 초기인 태동기에는 합작투자가 선호되었으나, 성장기, 활성화기, 조정기를 거쳐 단독투자의 형태를 선호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신규법인 설립에 있어서 대부분의 기업들이 전 기간에 걸쳐 인수를 통한 설립보다는 신설법인 설립의 형태로 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기업들의 투자자지분율은 100% 소유지분율의 형태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략적 적합성의 관점에서 동북 3성에 대한 한국기업의 해외 직접투자를 역사적으로 고찰해보고, 동북 3성의 정치적, 경제적 변화에 따라 한국기업들의 해외 직접투자 전략이 변화되어 왔음을 제시함으로써 의미 있는 경영사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ies of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made by the Korean firms to Dongbei area in China. From perspectives of business history and strategic fit, we categorize the Korean FDI into four stages: quickening stage (1990~1998), growth stage (1999~2002), vitalization stage (2003~2008), and adjustment stage (2009~2014). The classification of these periods is based on major changes in Chinese institutions and government policies that can affect foreign direct investment by Korean firm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the Korean FDI by characteristics along with stages categorization such as investment industry, firm size, investment motive, investment type, establishment type, and investment ownership. Our finding show that Korean FDI has been moving from manufacturing industries to service industries, and the size of firms also has been moving from small and medium corporation to large corporation. The motives of Korean FDI have been moving from export promotion and the use of low wage to entry into host market. The Korean FDI has been conducted by full ownership instead of the joint venture with partial ownership and preferred green field investment over acquisition.

      • KCI등재

        균형발전정책 추진에 따른 중국 동북3성과 한국의 경제협력 강화방안

        송용호(SONG Yong Ho)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3 신아세아 Vol.20 No.1

        중국 정부는 “12.5규획”시기부터 국부(國富)를 위한 경제성장 보다는 민부(民富)를 위한 경제발전을 중시하는 ‘균형발전’을 중점 정책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동북3성의 각 지방 정부들도 발전방식의 전환과 내수시장의 확대를 핵심목표로 적극적인 경제개발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중국 정부의 균형발전정책에 부응하고 한ㆍ중 경제협력의 질적 향상을 위해 동북3성 각 정부의 지역개발 사업에 적극 협력하면서 효율적 산업협력과 내수시장 마케팅을 강화하는 전략의 수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균형발전정책 실시라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순응하는 한국과 중국 동북3성의 경제협력의 방안으로 내수시장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마케팅의 강화, 기술무역의 활성화, 동북3성 지역개발사업에 적극 참여, 투자의 지역, 업종, 방식, 규모의 다양화, 동북3성을 경유한 북한과의 경제교류 확대, 중국 동북3성 기업의 대한국 투자 유도 및 경영컨설팅 실시, 종합적 인재양성 시스템의 운영과 활성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From the 12th Five-Year Plan period, the Chinese government determined to reform the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gradually from emphasizing on the economic growth of the ''wealthy nation" to emphasizing on achieving balanced development of "rich people"(balance and allocation). The local governments of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have established and actively promoted the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of changing development patterns and expanding domestic demands. To adapt to the Chinese government's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 and comprehensively improve South Korea and China's economic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dvocated by the Chinese northeastern provinces' governments and to establish the efficient industrial collaboration and strengthened domestic demands marketing strategies. To conform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brought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balanced development strategy,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countermeasure to strengthen South Korea and northeast China's economic cooperation. including : (1) Strengthen the strategic marketing to improve the proximity of domestic market; (2) Activate the technology trade; (3)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4) Diversify investment area. field, form and scale; (5) Exp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rough the Chinese northeastern regions; (6) Actively introduce Northeastern Chinese enterprises to invest in Korean investment and activate enterprise management consulting activities; and (7) Establish and operate a comprehensive personnel training system.

      • KCI등재

        중국 동북3성 기점 국제복합운송루트 개발과 발전 방안

        이충배(Choong-Bae Lee),박선영(Sun-Young Park) 한국항만경제학회 2007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3 No.4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추세는 물동량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와 중국 국내뿐만 아니라 동북아 나아가 국제물류시장의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은 동북아는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 물류수요를 창출하는 원천이며, 이에 따라 글로벌 물류네트워크가 중국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중국의 동북3성(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은 중국의 동북부, 동북아 지역의 중심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한반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국제무역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동북3성은 지리적 환경의 제약으로 물류환경이 열악한 상태이며, 중국 동북부에 위치한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은 항구가 없는 내륙지역으로 두 성은 대외거래화물의 대부분을 랴오닝의 다롄항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두 성으로부터 다롄항까지는 거의 1,000km이상 되기 때문에 많은 운송시간과 비용이 들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 극동지역에 위치한 자루비노항을 통한 새로운 국제운송모델은 내륙운송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시켜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송 단계별 비용과 시간을 추정하여, 새로운 국제복합운송루트의 경쟁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자루비노항의 개발을 통한 새로운 국제복합운송의 구축은 동북3성의 화물에 경쟁력을 증가시켜 줄 것이며, 또한 우리나라는 극동러시아의 항만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게다가 부산항은 새로운 국제운송루트로부터의 증가하는 물동량의 이익을 얻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cargoes from and to China are growing significantly. The 3 Northeast Provinces of China(named Liaoniang, Jilin, Heilongjiang provinces), bordering the Korean Peninsular, is not exception in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rade. However long distance from the 3 Northeast Provinces to seaports generates huge transit time and costs because Dalian port is far away almost 1,000km from Jilin and Heiloongjiang Provinces. The new intermodal transport route through the port of Jarubino located in the Russian Far East is under way to reduce the costs incurred from inland transpor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new international intermodal transport route from the 3 Northeast Provinces in terms of transit time and transport cos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international intermodal transport with development of Jarubino por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rade cargoes from the 3 Northeast Provinces while Korea has a good opportunity to join the port development in the Russian Far East. Futhermore the port of Busan is also benefited the growing transit cargoes from the new intermodal transport route.

      • KCI등재

        중국 동북3성 지역 남・북・중 삼각협력 방안-일대일로와 新북방정책 연계를 중심으로-

        방성운 대한정치학회 2022 大韓政治學會報 Vol.30 No.1

        Just as China promotes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the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many countries in Northeast Asia are adopting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South Korea has been promoting the New Northern Policy since 2017 to secure future growth engines, stabilize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diversify diplomacy. And Russia is promoting a New Eastern Policy and Mongolia is promoting a The Steppe Road. There is a common point of contact in the policies of the four countries, which is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are regions that can be directly linked to regional development in Northeast Asia, including North Korea, and are the largest beneficiaries of peace settlement in Northeast Asia. And are strategic points necessary for the realization of new economic initiatives on the Korean Peninsula promot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 for triangula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China. Examine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y directions of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and the two Koreas, and discuss feasible cooperation in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China, which are important political and economic hubs. In the realization of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and the New Northern Policy, a plan to induce North Korea's realistic participation first is proposed. And Korea and China are also proposing cooperation in areas of interest. 중국이 일대일로를 통해 주변국과 협력을 추진하는 것과 같이 동북아시아 지역의 다수 국가들도 지역협력을 통한 국가 발전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한국은 미래 성장 동력 확보, 한반도 정세 안정, 외교 다변화를 위해 2017년부터 新북방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러시아는 新동방정책을, 몽골은 초원의 길 정책을 추진 중이다. 네 국가의 정책에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접점지역이 존재하는데 바로 동북 3성 지역이다. 동북3성은 북한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지역개발과 직접 연계될 수 있는 지역으로 동북아 평화 정착 시 최대 수혜 지역이면서 한국정부가 추진하는 한반도 新경제구상 실현을 위해 필요한 전략적 요충지이다. 본 연구는 남・북・중 삼각협력을 위해 중국의 동북3성 지역에 주목한다. 동북3성과 남북한의 발전전략과 정책 방향을 살펴보고, 정치・경제의 중요 거점지역인 중국 동북3성에서 우선 실현가능한 협력을 논의해 보려고 한다. 그리고 일대일로 전략과 新북방정책의 실현에 있어 선이후난(先易後難)의 전략으로 북한의 현실적 참여를 우선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한국과 중국 역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서 협력을 제안하는 것이다.

      • KCI등재

        북한과 중국의 국경물류에 관한 연구

        김웅진 ( Woong Jin Kim ) 한국물류학회 2011 물류학회지 Vol.21 No.4

        우리나라는 그동안 북한과 경제협력을 추진하여 왔으나 최근 천안함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으로 인하여 중단상태에 있다. 장기적으로 우리나라가 동북아중심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남북한 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북한과 중국은 18개 출입처를 통하여 인적, 물적 교류가 이루어져 왔으나, 향후 나진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도문-남양 출입처와 개산둔-삼봉 출입처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한 압록강과 두만강에 인접한 이른바 동북3성에는 커다란 변화가 있다. 이른바 동북3성 개발계획에 따라 동북아중심으로의 거대한 발전계획이 중국 정부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 러시아 또한 나진항 지역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이른바 중국은 동국3성 진흥계획의 일환으로 장길도계획(長吉圖計劃)이 추진 중이며, 이 지역을 둘러싼 한·중 및 북·중간 역사적 관계를 고려해볼 때 단순한 중국내 지역개발전략 이상의 정치 경제학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장길도 개발계획의 경제학적 의미는 장춘-길림을 일체화하여 산업도시 클러스터를 만들고, 이것을 성장의 배후지로 해서 연길-용정-도문을 개발의 최전방으로, 훈춘-나진을 창구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한편 정치적으로는 두만강개발계획을 주도하고, 동북아국가들보다 앞서 지정학적 이득을 선취하고자 하는 전략이 내포되어 있으며, 중앙정부 차원의 국가개발전략추진을 통해 개발을 거부해 왔던 북한을 끌어당기고 북한지역을 동북3성 지역경제권에 일체화시키려는 의도도 내포되어 있다. 이외에도 동북아에서의 미·일 중심 국제정치구도를 중국 중심의 국제정치구도로 전환시키고자하는 의도도 내포되어 있다. 장길도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북한의 자진선봉지역에 위치한 나진항의 활용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데 그 이유는 중국이 가지고 있는 다롄항은장길도 지역에서 떨어져 있고, 물류 포화상태를 맞이하고 있으며, 동해로의 수송로 확보와 물류비 절감을 위하여 장길도 인접지역인 나진항의 사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나진항은 동북3성의 출해구(出海口)이자 한반도종단철도(TKR), 시베리아횡단철도(TSR), 만주횡단철도(TMR) 등이 만나는 지역에 위치한 부동항(不凍港)으로 개발잠재력이 크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 통일 이후의 한반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우리나라는 중국중심의 동북아경제권 구축을 지향하는 중국의 ``동북진흥계획``, ``장길도 개발계획``에 대해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위치를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중국 물류시장에 진출함은 물론 한반도경제권 구축과 물류의 효율화 측면에서 이에 대한 대응전략수립이 필요하다. Our country have propelled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North Korea meantime but there is in suspended state lowering by the latest Cheonan Warships(天安艦) case and Yeonpyung island artillery case. Our country will have to become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to become Northeast Asia in the inner parts country for long-term. North Korea and China have been human traces, physical alternating current through 18 beats meantime, but practical use of Domun(圖們)-Namyang(南平) entrance and exit place and Gaedunsan(開屯山)-Sambong(三峰) entrance and exit place located in place that is near geographically with Najin(羅津) hereafter is expected to increase. There is big change to so-called Northeast 3province(東北3城) that adjoin to the latest North Korea Yalu River(鴨綠江) and Tumen River(豆滿江). What is called, huge development project of Northeast Asia in the inner parts is attained by the Chinese government according to Northeast 3province development project, and is expressing interest in Russia and me sailing out area. What is called, China is damp JangGilDo Plan(?吉?計劃) as part of Northeast 3province promotion Plan, and when consider North Korea·China`s historic relation with Korea·China that enclose this area, contain politics economics meaning more than area development strategies in simple China. Because economics meaning of JangGilDo Development Project makes industrial city cluster, and does this by hinterland of growth embodying Jangchun(長春)-Gillim(吉林)-Yanji(延吉)-Yongjung(龍井)-Tumen(圖們) to front line of development, it is compensation which make Hunchun(琿春)-Najin(羅津) by window. Strategy that wish to one politically Tumen River Development Plan lead, and preempt ahead geopolitic gains than the Northeast Asia countries was contained, and draws the North Korea that have refused development through country development strategies propulsion of central government dimension and intention to embody North Korea area in Northeast 3province area economic bloc was contained. In addition, intention that wish to do to convert from America·Japan in the inner parts international politics composition to international politics composition of China in the inner parts in Northeast Asia was contained Because Dalian Port(大連港) that saying too much is not even though hang in Najin port(羅津港)`s practical use that JangGilDo Plan is located to North Korea`s Najin Seonbong(先鋒) area to be propeled successfully but the even speak has China need Najin port(羅津港)`s employment that JangGilDo is away from area, and meet logistics saturation, and JangGilDo is contiguity area for transport route security to Eastern Sea and Logistics cost reduction. Moreover, as well as Najin port(羅津港) is a harbor that can advance by sea of Northeast 3province, development potential energy is big to ice-free port located in area that Trans Korean Railroad(TKR), Trans-Siberian Railroad(TSR), Trans-Mongolian Railroad(TMR) etc. meet. To solve Korea Peninsula problem since this change and connection through, our country keeps own place of our country for long-term about Chinese ``East-north promote plan(東北振興計劃)``, ``JangGilDo Development Project(?吉?開發計劃)`` that intend Northeast Asia economic bloc expulsion of China in the inner parts, and advance to China Logistics market stably need confrontation strategy establishment in reply in efficiency woe side of Korea Peninsula economic bloc expulsion and logistics of course.

      • KCI등재후보

        중·러 무역이 중국의 동북3성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상욱,왕암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4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8 No.2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Northeast China'strade with Russia of the impa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inNortheast China. Since China and Russia geographically have closed,so not only from the economic viewpoint of the regional economicgrowth, but also from the regional cooperation viewpoint withneighboring countries has the important significance. This paper is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and different from the anotherresearch, tried to improve the research methods, and attempt tomerge the effect of the trade, establish a panel regression models. The regression model is based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model, and includes labor and capital , and includes the export andimport. According to the results, Northeast China and Russia'sexports, and impor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egional economicgrowth in Northeast China, an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canbe seen in Northeast China's trade with Russia on regional economicgrowth is important, from a regional perspective, Heilongjiang province is relatively more obvious regional economic growth. 본 논문은 중국의 동북3성 지역과 러시아의 무역이 동북3성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다. 중국의 동북3성의 러시아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으며 지역경제성장이라는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리 주변 국가와의 지역협력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차별성을 가지기 위해 개별 지역을 통합하는 동북3성 지역의 패널회귀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회귀분석모형은 노동력과 자본을 포함하는 지역경제성장모형에서 수출, 수입, 그리고 수출입을 변수로 채택하고 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러시아와의 수출, 수입, 그리고 수출입은 모두 동북3성의 지역경제성장에 양(+)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이는 동북3성과 러시아의 교역이 지역경제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별 지역적인 측면에서는 흑룡강성의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현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의 신 비즈니스 거점화(NBH: New Business Hub) 전략에 대한 연구 : 五點一線', '長吉圖'지역개발 전략과 동북 3성의 투자환경을 중심으로

        박상수,두헌 대한중국학회 2011 중국학 Vol.40 No.-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동북진흥전략 특히 '5점 1선 연해경제벨트' 전략과 '창지투 개발·개방 선도구' 전략에 따른 "중국의 신 비즈니스 거점화 전략"을 동북지역의 투자환경 평가를 통해 그 가능성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동북 3성은 러시아 몽골 한반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입지조건(Location advantage)를 바탕으로 교통․물류의 중심지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는 만큼 동북아 경제협력의 허브(Hub)로서 역할 잠재력이 큰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첫째 오는 2020년까지 대련이 동북아국제항운센터와 국제물류센터로 건설될 경우 '5점 1선' 연해경제벨트는 국제경쟁력을 갖춘 臨港 산업글러스터로 부상할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창지투 개발·개방 선도구' 전략은 두만강 개발계획(TRADP)과 연계되는 만큼 두만강지역 배후권역(러시아의 동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중국 동북지역 북한 한국의 동해안 일본의 서해안)의 교통 및 물류 발전 잠재력이 크기 때문이다. 셋째 중앙정부의 동북진흥정책과 함께 동북 3성의 지방정부 역시 각자의 상황을 고려한 지방정부 차원의 개발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다자간 지역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역내 국가들 간의 경제적 상호보완성이 강화될 경우 동북 3성은 "과거=심천" "현재=상해 포동"에 이어 "미래=동북"이라는 중국정부의 "신 비즈니스 거점화: NBH(New Business Hub)" 전략은 그 목표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This paper is designed to study on a Single-line economic-belt along five coastal cities the Chang-Ji-Tu development strategy and the investment enviroment of north-eastern reg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feasibility of NBH(New Business Hub) in China.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Possibility of NBH in North-eastern Regions so called DongBei-SanSheng(東北三省) is highly estimated as follows. First A Single-line Economic-belt along Five coastal cities is also going to become a coastal industrial cluster due to Dalian will be a north-eastern hub port & logistics center by 2020. Second the Chang-Ji-Tu development strategy linked in GTI(TRADP) has much developing and cooperating potentials with neighbor countries; north & south Korea and Rusia Mongolia. Finally Each DongBei-SanSheng(東北三省) has its developing strategies such as the Liaoning Plan to strengthen industrial cooperations with neighbor countries and the Jilin Plan to build up the border trade zones the Heilonjiang Plan to be Asia gate of Europe etc. So through above multi-cooperation plans to tie up intra-nations' complementation the North-eastern Regions will be stepped up the NBH which is compared to "Past=Shenzen Present=shanghai Pudong Next=DongBei(東北)".

      • KCI등재

        중국 일대일로 정책의 10년 평가와 전망: 동북3성을 중심으로

        문익준 ( Moon Ikjoon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23 중국지식네트워크 Vol.21 No.-

        본 연구는 중국 동북 3성의 일대일로 정책 10년을 평가하고 전망하였다. 중앙정부의 일대일로 정책에 협력하기 위해서 동북 3성은 각자 기존의 지역발전전략을 발전시켰다. 일대일로 정책이 2018년 이후 기존의 서진전략에서 동진전략을 병행하기 시작하면서 동북3성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다가왔다. 동북 3성은 지난 10년간 중앙정부의 일대일로 정책에 적극 협력하여 왔다. 랴오닝성은 지리적 이점과 경제적 여건을 바탕으로 일대일로의 효과를 가장 많이 누리고 있다. 지린성은 기존의 동북진흥정책, 창지투개발선도구사업, 광역 두만강 개발계획 등을 일대일로에 연계시켰다. 헤이룽장성은 대러시아 협력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의 일대일로에 협력해 왔으며, 향후에도 중요한 위치를 선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북 3성중에서 랴오닝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으며,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은 긍정적인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동북 3성의 일대일로 무역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일대일로 연선국가들의 경제규모가 크고,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수출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운, 철도, 항공 거리를 모두 고려한 결과, 거리가 짧아질수록 수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해운 거리를 단축시키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결론내었다. 이는 동북 3성이 바다를 이용한 수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분석되었으며, 향후 북한과의 경제협력이 핵심이다. This study evaluates and forecasts the first decade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n China's three Northeast provinces. In order to cooperate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have developed their own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Since 2018,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has begun to include both a westward strategy and an eastward strategy, creating new opportunities for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have been actively cooperating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Belt and Road Initiative for the past decade. Liaoning province has benefited the most from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due to its geographical and economic advantages. Jilin province has linked its existing the Northeast Revitalization Plan, the ChangJiTu Development Pilot Project, and the Greater Tumen Initiative to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Heilongjiang province has been cooperating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Belt and Road Initiative, centered on cooperation with Russia, and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Among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Liaoning province is the most positively impacted, while Jilin and Heilongjiang provinces are not so obviously affected. To understand the trade effects, we use a gravity model to empirically analyze the trade effects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n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larger the economic size of the countries along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he closer the physical distance, the more the exports. Considering shipping, rail, and air dista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horter the distance, the more exports increase. In particular, it was concluded that shortening the shipping distance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is means that exports by sea are the most important for China’s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and future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is key.

      • KCI등재

        북·중 무역의 현황과 남북경협에 대한 시사점

        윤승현 한국무역보험학회 2009 무역보험연구 Vol.10 No.3

        최근 북·중 무역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990년대 초부터 북한의 최대 교역상대국인 중국은 2005년부터 북한의 대외무역(남북교역 제외)에서 절반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2008년에는 73%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북·중 무역관계는 과거의 단순 교류 및 중국의 대북 지원과 같은 차원을 넘어서서 양국간 경제관계 확대를 위한 제도적 협력을 모색하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이와 같이 북·중 무역관계 의 확대로 인해 북한의 대중 의존도는 북한경제의 중국 예속을 가져올 수 있을 정도로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 향후 어떤 이유에서든 대북 영향력을 행사한다면 그것이 북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지대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북·중 무역관계의 확대는 북한경제뿐만 아니라 남북경협에 있어서도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남북경협은 북·중 무역관계의 확대를 경계하고 이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북·중 무역관계가 상호 보완적으로 추진되어 동북아 역내 협력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동북아경제공동체가 구축되어 나아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