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06년~1910년 재일본 유학생 잡지 연구―『대한흥학보』를 중심으로―

        이은선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대한흥학보』는 1909년 3월 20일에 창간, 1910년 5월 20일 제13호로 종간되었다. 대한흥학회는 각 회를 총합한 일본유학생계의 최대 단체였고, 『대한흥학보』는 대한흥학회의 최대기관이었다. 「대한흥학회취지서」에 따르면 각 지방 학생이 연합하지 못하고 각자 분립해 있다가 작년 봄에 연합의 론이 생겨, 대한학회를 만든 바 있다. 그러나 태극학회, 공수학회, 연학회는 여전히 분립하였고, 대한흥학회에 이르러서야 대한학회, 공수학회, 연학회가 하나가 되었다. 대한흥학회의 인적 구성 및 회원들의 활동은 대한유학생회․대한학회의 인적 구성과 함께 추적해야 한다. 재일본 유학생 단체의 인적 구성과 통합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대한흥학회의 성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어서 『대한흥학보』의 ‘휘보(彙報)’란․‘문원(文苑)’란․‘소설’란의 구성 및 편집 체재의 변경 과정을 검토하였다. 특히 ‘휘보’란은 유학생 단체의 기관지라는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었는데, 10호부터는 일본 경시청에서 금지하여 정지된다. ‘휘보’란을 중지하는 대신 ‘요록(要錄)’란과 ‘담총(談叢)’란을 만들어 이에 대응하고 있다. 13호의 「본회금석지감(本會今昔之感)」에서는 대한흥학회의 성립 당시를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재일본 유학생 단체의 성립과 활동을 역사화하는 시도가 나타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1910년 8월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될 때까지 일본 유학생의 대표적 단체로 활동하고 있었다는 후대의 평가를 스스로 정립하고 있었던 것이다. The Daehanheunghakbo published its 1st issue on March 20, 1909, and ceased publication after publishing its 13th issue on May 20, 1910. Daehanheunghakhoe was the largest organization in the community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and the Daehanheunghakbo was Daehanheunghakhoe’s largest institute. According to the “prospectus of Daehanheunghakhoe”, students in individual regions had not been united and had independent organizations, until a union was formed in the spring of and Daehanhakhoe was established. However, Taegeukhakhoe, Gongsuhakhoe, and Yeonhakhoe were still independent and Daehanhakhoe, Gongsuhakhoe, and Yeonhakhoe only became united when Daehanheunghakhoe was established. The personnel composition of Daehan heunghakhoe and the activities of the members should be traced, together with the personnel compositions of the Daehan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 and Daehanhakhoe, because the nature of Daehanheunghakhoe can be better understood by identifying the personnel compositions of the organizations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as well as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composition and editing system of the “bulletin” column, “literary world” column, and “novel” column of the Daehanheunghakbo will be reviewed. In particular, the “bulletin” column depicts the nature of the Daehanheunghakbo in terms of its being a magazine of an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is column was prohibited by the Japanese police from the 10th edition. In response to the prohibition of the “bulletin” column, the Daehanheunghakbo developed a “particulars(要錄)” column and a “collection of discourses(談叢)” column. The article “Sentiment caused by the contrast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of this organization(本會今昔之感)” in the 13th issue emphasize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Daehan heunghakhoe’s establishment and indicates an attempt to historicize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rough this attempt, Daehanheunghakhoe set up its own evaluation by the later generation that it was, until it was dissolved forcibly by the Japanese Empire in August 1910.

      • KCI등재

        근대계몽기 『대한학회월보』의 편집 전략과 서사적 특징 연구 - 일본 유학생 잡지의 통합과 서사 양식의 접합 -

        전은경 ( Jun Eun-kyung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9 No.-

        『대한학회월보』는 1908년 1월에 대한유학생회, 낙동친목회, 호남학회가 통합하여 설립된 대한학회의 기관지였다. 『대한학회월보』는 1908년 2월 25일 창간호부터 1908년 11월 25일 9호까지 발간되었다. 대한유학생회가 어느 정도 일본 유학생회의 단합을 이루기는 했으나 실제적인 단체의 통합은 대한학회부터 시작되었다. 또한 대한학회는 태극학회와 공수학회와도 통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대한흥학회라는 일본 유학생회 전체의 통합을 이루어냄으로써 대한학회의 기관지인 『대한학회월보』는 통합을 위한 과도기의 학회지 역할을 수행했다. 따라서 『대한학회월보』는 여러 유학생회를 통합하며 각 유학생회의 양식적 특징을 접합하면서도 다양한 서사를 실험할 수 있는 문예의 장으로서도 기능하고 있었다. 일본 유학생들이 많이 활용했던 역사 전기물, 몽유록계 서사물, 대화체 서사물을 활용하여 당대 서사물의 집산지로서의 역할을 해주었다. 또 그 가운데 통합 학회인 『대한흥학보』로 가는 과도기적 학회로서 각 학회의 특징을 통합하여 표현해내고, 이를 바탕으로 『대한흥학보』에서 <소설> 표제가 등장하기까지 그 중간과정 속에서 새로운 문학, 근대의 문학을 추동해 오는 역할을 감당해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학적 장치와 실험은 『대한흥학보』로 이어지면서 근대문학을 탄생시키는 계기로 작동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society in Japan,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literature accordingly.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was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Academy, which was established in January 1908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Student Association, Nakdong Friendship Association, and Honam Society.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was published on February 25, 1908 through November 25, 1908. Although the Korean Student Association formed some unity of the Korean students society in Japan, the actual integration of the group began with the Daehanhakhoi Academy.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Academy, served as a transitional journal for integration. Therefore, the Journal Daehanhakhoiweolbo was also functioning as a place of literature where students can experiment with various narratives while integrating various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s and combining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international student association. It served as a collection center for historical narratives of the time by using historical biographies, Monglyulok narratives, and dialogue narratives that were frequently used by Japanese students. Also, among them, as a transitional society leading to an integrated society, the Journal DaehanHeunghakbo, which integrates and exp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ety, based on this, new literature in the middle process from the DaehanHeunghakbo to the appearance of the title of < novel >, it can be said that it has played a role in driving modern literature. It can be said that these literary devices and experiments acted as an opportunity to give birth to modern literature, leading to the Journal Daehan Heunghakbo.

      • KCI등재

        잡지를 통해 본 한말 지식인의 주권인식 연구

        왕신 ( Wang Che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1 사총 Vol.102 No.-

        1870년대를 전후하여 서양 근대 주권개념은 『만국공법』을 비롯한 여러 경로를 통해 한반도로 전래되었다. 1919년 9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제1차 개헌에서 『대한민국임시헌법』을 공포한 것은 한반도 역사상 처음으로 ‘주권’이란 용어가 헌법에 명시된 획기적인 일이다. 이러한 서양 근대 주권 개념이 조선에 전래, 정착되는 과정에서 조선인의 주권 인식은 시기와 계층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상실됨에 따라 국가와 민족의 앞날을 우려했던 사람들은 국권회복을 위하여 앞장섰다. 이후 한반도 내에 다양한 학회지가 창간되었으며, 여러 논설에서 ‘주권’이라는 용어가 빈번히 사용되었다. 이 중에서 조완구, 박은식 등 인사들은 후일 임시정부 시기에도 적극적으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주권 관련 논설들에서는 당시 지식인들의 근대 주권 개념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임시헌법』에서 주권 용어 사용 문제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905년 을사조약 체결 이후부터 1910년 한일병합 전까지 한반도에서 지식인들이 창간한 『대한자강회월보(大韓自强會月報)』, 『대한협회회보(大韓協會會報)』, 『서우(西友)』, 『서북학회월보(西北學會月報)』, 『기호흥학회월보(畿湖興學會月報)』 등 5가지 잡지를 중심으로 주권 및 관련 용어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일부 지식인 계층의 주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주권이 국가의 구성요소라는 기본 인식이다. 『서우』, 『서북학회월보』, 『기호흥학회월보』 등 5종 학회지에서는 주권이 인민, 토지와 같이 국가 구성의 삼대요소로 다루어진 논설이 많은 편이며 당시 지식인들에게 국가 구성요소로서의 주권 인식이 기본적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 주권의 국가와 사회, 정체와 국체 등의 구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셋째, 일부 지식인들이 주권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를 습득하고 한반도에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넷째, 대내적으로 군주주권 인식이 드러났다. Around the 1870s, the concept of sovereignty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such channels as the legal book of Wanguogongfa(萬國公法), newspapers, and other writings. On September 11, 1919,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romulgated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term “sovereignty” w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for the first time. While the Western concept of sovereignty was being introduced and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people's understanding of it varied depending on class and time period. In 1905, with the signing of the Eulsa Treaty, the diplomatic power of the Korean Empire was infringed upon and some intellectuals who were worried about the country’s future actively called for the restoration of state power. Since then, many periodicals and magazines have been created in various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term “sovereignty” is utilized often. In these articles on sovereignty, we can glimpse the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oncept of sovereignt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sovereignty of Korean intellectuals from 1905 to 1910, taking the Daehanjaganghoe Wolbo, Daehanhyeophoe Hoebo, Seowoo, Seobukhakhoe Wolbo and Kihoheunghakhoi Wolbo journals as the objects of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analysis. First, among the journal articles that related to the subject of sovereignty, there are many discussions that introduce sovereignty as the constituent element of a state. Second, the importance of sovereignty in distinguishing state from society, state system, and political system is emphasized. Third, some of the intellectuals were interested in the concept of sovereignty and attempted to learn about and spread it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Fourth, the internal interpretation of sovereignty exhibits a tendency towards Monarchy.

      • KCI등재

        대한제국 시기 학회지에 나타난 흥학 개념의 변화와 과학 담론의 영향

        이정용,문한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4

        본고는 대한제국기 학회지에 수록된 관련 글들을 통하여 ‘흥학’의 본질적인 지향과개념 변화 양상을 추적하고,변화한 ‘흥학’ 개념에 반영된 근대적 담론 체계는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대한제국기 학회지들을 살펴볼 때 흥학은 대한제국의‘식산’의 부흥과 ‘부국’ 진입의 기초로 강조되고 있다.이는 ‘흥학’=서구 열강의 ‘근대교육’이라는 등식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이 지점에서 ‘흥학’이라는 용어는 근대 교육을흥하게 하는 것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한편 이와 같은 학문 진흥과 근대 교육은 구체적인 실천 덕목으로 ‘부국’과 ‘자강’을 전제로 한 ‘실용’에 초점이맞추어 졌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학’ 역시 실용으로 연결되게 되는데,이 과정에서‘과학’이라는 개념에 실증과 관련된 본질적인 조건은 생략되고 실용만이 강조되는 논리적인 비약이 발견된다. 문제는 당대 대한제국의 교육체제가 이러한 흥학의 움직임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는 점에 있다.근대 교육을 통한 단계적이고 보편적인 발전이 불가능한상황 속에서 흥학의 개념은 점차 실용으로 축소되고 만다.그렇다면 이때 흥학이 꿈꾸었던 근대 국가는 실용만으로 성취될 수 있는가.흥학이 바라던 이상과는 다르게 실용으로 축소된 흥학으로는 국민의 계몽에도 과학 기술 발전을 통한 부강함에도 다다를수 없다.결국 대한제국시기 지식인들이 급하게 꿈꾸었던 근대 국가의 모습은 제한된흥학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이상으로만 남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김홍량의 생애와 민족운동

        이동언(Lee Dong-Eo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4

        김홍량은 1885년 9월 20일 황해도 안악에서 태어나 어려서 일찍이 부친을 여의고 조부 김효영의 슬하에서 자랐다. 조부의 권유로 1904년 일본에 유학하여 명치학원을 졸업한 후 조도전대학 정치경제학부 예과에서 수학하였다. 일본 유학생단체인 태극학회와 대한흥학회 임원으로 활동하면서 유학생들과 교류를 통해 안악지역 교육진흥을 위해 매진하였다. 김홍량의 활동을 요약해 보면 안악면학회 설립, 양산학교 운영, 해서교육총회 결성, 안악고보 설립, 경신학교 인수 · 경영 등 교육을 통한 구국운동에 투신하였다. 또한 일본유학생 단체인 태극학회 · 대한흥학회 등 유학생들이 조직한 학회에서 임원으로 활동하였다. 신민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특히 안명근과 함께 독립운동 자금 모금을 주도한 안악사건으로 15년 형을 언도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동아일보 안악지국을 운영하였으며 모범농촌운동과 김농장 건설에 매진하였다. 그 외에도 김구를 비롯한 독립운동가와 그 가족들을 후원하는 등 다양한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김홍량의 독립운동 방략은 안악면학회 설립목적과 일치한다. 안악면 학회의 설립목적은 ‘국권회복운동의 장기전으로 신교육과 민지계발로 청소년을 계몽하여 독립사상을 고취하고 많은 학교를 세워 교사들을 양성하며, 농사기술을 개량하고 공업을 장려하여 산업진흥을 도모한다’는 것이었다. 김홍량이 고향인 안악을 중심으로 추구하고자 한 국권회복을 위한 실천방안 모델이 바로 안악면학회였다. 김홍량은 안악면학회 설립목적을 평생 실천하면서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였다. Kim Hong-Ryang’s was born in Anak, Hwanghae Province on 20th of September, 1885. When he was young, he lost his father and was raised by his grandfather, Hyo-Young Kim. As his grandfather recommended him to study abroad, he started to study in Japan in 1904. Graduating from Meiji school, he studied the preparatory course of the department of political economy, Waseda University. Participating in Taegeukhakhoi(Great absolute academic society), an association of the students studying in Japan and Daehanheunghakhoi(Korean Education Promotion Society) as an executive member, he strove to develop education in Anak area through an exchangeprogram with the students studying in Japan. To make his activities short, he devoted himself to a save-the-nation drive by education like the establishment of Anakmyeonhakhoi(Anak Study Society), Yangsan School management, organization of Haeseo Educational Convention, establishment of Anak High School, Gyeongshin School takeover and management, etc. Also he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societies like Taegeukhakhoi, Daehanheunghakhoi as an executive member, which were organized by the students studying in Japan. As he participated in Shinminhoi(a secret society for recovering the sovereignty of Korea). Due to the Anak case in which he led the fund raising for an independence movement with Myeong-Geun Ahn, he received 15 years in prison and languished in Seodaemun Prison. He managed Anak branch office of The Dong-A Daily News and strove to participate in an exemplary farm villag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KIM farm. In addition, he started various national movements like supporting independence fighters including Kim Goo and their families, etc. His independence movement stratagem coincides with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Anakmyeonhakhoi.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Anakmyeonhakhoi was as follows; to enlighten young boys and girls and instill independence ideology into their hearts by new education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intellect for a long war for the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lots of schools,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industry by improving farming technology and encouraging industrial production. The model of the practice program for the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which he pursued with Anak, his hometown as the center was Anakmyeonhakhoi. He was a independence fighter who practiced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Anakmyeonhakhoi throughout his life and performed the campaign for the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 KCI우수등재

        근대계몽기 서북지역 잡지의 편집 기획과 유학생 잡지의 상관관계

        전은경(Jun, Eun-kyung)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3

        근대계몽기 지식인들은 서양의 문학 개념과 일본이 받아들인 문학 개념을 그대로 모방하고 답습한 것이 아니라 이 문학 개념에 대해 변형하면서 수용했다. 이 논문은 그러한 개념 정립의 과정을 국내 잡지와 유학생 잡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해 보고자 했다. 서북도인들을 중심으로 국내 학회지를 간행한 『서우』와『서북학회월보』가 유학생 잡지 『태극학보』와 『대한흥학보』 등에 어떠한 영향을 받았고, 또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국내 학회지는 유학생 잡지와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문학적 장치와 편집 체계를 받아들였다. 또한 이 가운데 그대로 모방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그 개념을정립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문예>면에는 한문체 산문이나 논설류 등을 포함시키고, <담총>, <가담>에는 새로운 문학적 가능성이 보이는 글을 배치했다. 이러한 구분은 국내 지식인들 스스로 이전 글과 대화체 서사 등의 글이 “다르다”라고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또한 이러한 “다름”에 대한 인식은 이들이 유학생들과 교류하며, 유학생 잡지에 직접 참여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근대문학은 한순간 갑자기 성립된 것이 아니라, 이러한 새로움에 대한 발견과 “다름”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시각을 정립해 가는 과정에서 진행되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a birth of modern concept about modern literatures in modern enlightenment era. The goal of this theory is to study the establishing process about the concept of modern literature between magazines for students studying in Japan and those for intellectuals in Joseon. The magazine Seowoo(『西友』) and Seobukhakhuiwolbo(『西北學會月報』) had influenced on the birth of modern novels and had made various narratives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These magazines were published by intellectuals who had lived in north-west area in Joseon. The magazine Seobukhakhuiwolbo had two editors; one was Park Eun-sik who was a Confucian scholar, the other was Kim Won-keok who had studied in japan. The editor, Kim Won-keok had established new titles of the magazine Seobukhakhuiwolbo as he had been influenced by the magazine Taegukhakbo(『太極學報』) that had published by students studying in Japan.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had tried to formulate the concept of the modern literature, and also domestic intellectuals had tried to established the concept of new literatures. Therefore, domestic intellectuals had made the column of <liberal arts> and <conversation collection> as the title of magazine. They had included dialogue narratives that had implied in various contemporary lives.

      • KCI등재
      • KCI등재

        1910년 이전의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

        안남일(An, Nam-I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 (『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12)의 후속 연구이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에 대한 고찰은 당대 지식인의 변동과 사상계의 동향을 읽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구의 문화와 예술을 받아들여 우리의 새로운 예술과 문화를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한국유학생들의 실천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잡지의 ‘창간사’와 ‘발간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창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을 드러내는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재일본 한국유학생의 사상과 시대적 인식을 응축해 놓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자료는 1910년 이전에 발행된 <친목회회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대한유학생회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의 총 8종의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이다. This research is a follow-up study on "Korean students magazines in Japan". The research on this magazine is significant in two ways. One is that this represents how Korean students studying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under Japanese colonial era, which is peculiar external situation. The other reason, which is more important, is that based on the contemplation on the study, we can figure out the change and the trend of intellects at that time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practice that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create our new culture and arts with accepting foreign’s. Based on this study, we can figure out the results of the endeavor and recognition which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overcome their reality. Those is self-establishment, awareness of time, willingness to solve the immediate problems and modern recognition, etc.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ing more on ‘publication’ of the magazine. With publication, we can measure the whole direction of the purpose or intention of issuing magazine. This is the compressed data which represents the Korean students’ ideology and awareness of the er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nmokhoe-Hoebo(Bulletin of Chinmokhoe)>, <Taegeuk-hakbo(Bulletin of Tae Geuk)>, <Gongsu-Hakbo(Bulletin of Gongsu)>, <Daehanyuhaksaeghoe-Hakbo(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Dongin=Hakbo(Bulletin of Dongin)>, <Nakdongchinmokhoe-Hakbo(Bulletin of Nakdong-Chinmokhoe>, <Daehanhakhoe-Wuelbo(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Daehanhung-Hakbo(Belletin of Daehan-Hung)>.

      • KCI등재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발간사> 연구

        안남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4 No.-

        This research is the roundup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First Publication) in Japan’ and the follow-up study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Jouranl of Korean Studies”55,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5) and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 Before 1910’(“Jouranl of Korean Studies”58,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6). This research takes its subjects of following volumes: 5 volumes of Hakwoo(Classmate), which is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in Japan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Meiji University), 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Chuo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Kyoto Imperial University), Dongchanghoe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Waseda University), and 10 volumes of Nakdongchinmokhoe-Hakbo(Bulletin of Nakdong-Chinmokhoe, Daehanhakhoe-Wuelbo(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Daehanhung-Hakbo(Belletin of Daehan-Hung), THE HAK KIE BO(Bulletin of Academic World), Geundae-Sajo(Modern Trend), Hakjigwang, Yeojagye(Women’s World), Samkwang(Three Light), Hyundai(Modern Times), Geumgangjeo(Vajra), Hakjo, THE KAICHUCK, Hakhae except 8 volumes of Chinmokhoe-Hoebo(Bulletin of Chinmokhoe), Taegeuk-hakbo(Bulletin of Tae Geuk), Gongsu-Hakbo(Bulletin of Gongsu), Daehanyuhaksaeghoe-Hakbo(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Dongin=Hakbo(Bulletin of Dongin), published before 1910. The ‘First Publication’, which is focused on this research, is essential data for guessing the direction of the magazine, since it contains the purpose, intention and the way of publication. Especiall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magazine, representative keyword of each magazine is identified and the meaning inside is presented. The research of the contemporary magazine has its meaning on that it is the outcome of exploring how Korean international student recognized the reality and overcame it under the specific circumstance of Japanese colonial era. 본 연구는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12)와 「1910년 이전의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12)의 후속 연구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의 종합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일본 대학 소속 한국유학생 잡지인 <학우>, <회보>(명치대학조선유학생동지회회보), <회지>(일본중앙Chuo대학우리동창회회지), <회보>(경도제국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회보), <동창회회지>(조도전대학우리동창회회지)의 5종 잡지와 1910년 이전에 발행된 <친목회회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대한유학생회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의 8종 잡지를 제외한 나머지 10종(<학계보>, <근대사조>, <학지광>, <여자계>, <삼광>, <현대>, <금강저>, <학조>, <개척>, <학해>)의 ‘창간사 및 발간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창간사’와 ‘발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이 녹아있는 만큼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특히 연구 대상 잡지의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를 통해서 각 잡지의 대표적 키워드를 확인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였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개화기 송당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전민호,신현정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김성희의 경력과 함께 그의 언론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일반과 정치・경제・농업교육에 관한 주장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의 언론 활동을 전반적으로 보면 한국을 식민지화하려는 일본을 독일・영국・프랑스와 같은 선진 문명국으로 인식하고 한국이 본받아야 하는 대상국으로 이해하였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메이지 유신의 정신적 지도자가 된 요시다 쇼인을 학회지에 소개하면서 한국도 개혁을 통해 강력한 근대 국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일본이 교육의 종지를 추구하여 강대국이 되었기 때문에 한국도 근대교육을 시행하여 문명국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즉 일본을 저항해야 하는 대상이 아닌 적극적으로 본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러일전쟁 이후 한국을 식민지화하려는 의도를 표면적으로 드러낸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유지해야만 하는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김성희는 언론을 통해 일본을 본받아야 하는 주요 대상국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역사 인식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한국의 독립을 위해 일제에 적극적으로 저항해야 하는 국면에서 상황을 주체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개화기의 친일적 신지식인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