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从韩国语专业毕业论文主题看韩国学的关注动向

        梁??(Yang, Dong-Ho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6 No.-

        본 논문은 한국학에 대한 관심동향을 파악함으로서 이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학과 교육과 발전, 그리고 한국학 정보 구축을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한국학은 다학문적이면서도 응용적인 면이 많은 학문으로 학문연구가 광범위하면 자칫 모호해 질 수 있으며 반대로 실천성을 강조하면 학문연구의 본질을 소홀히 할 수 있다. 이에 학문에 대한 본질 해소와 현장에서의 만족도 해결을 위해서라도 관심 동향 파악은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년 5월에서 2018년 5월까지 발표된 길림대학교 주해캠퍼스 한국어학과 369명의 졸업논문을 대상으로 한국학 관심 동향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학 교육 방향 정립과 한국학 정보 구축의 토대를 갖추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a study based on grasping the trend of interest in Korean Studies was performed for educa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information construction of Korean Studies. Korean Studies is not only multidisciplinary but also highly applicative, and if scholastic research is extensive, it can be a little misleading, and on the contrary, if practicability is reinforced, the essence of scholastic research can be neglect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grasping the trend of interest is an important part for solution to the essence of learning and for solution to satisfaction in schools. Accordingly, this study identified the trend of interest in Korean Studies with the graduation theses of 369 students which were released from May 2015 to May 2018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Zhuhai College of Jilin University, and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a scholastic significance in that a foundation of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information construction for Korean Studies were prepar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학의 개념과 세계화의 방안

        전성운(Chun Sung-wo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2 No.-

        이 논문은 한국학의 개념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학 세계화의 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학은 명칭, 영역과 범주, 공간 등에 따라 그 개념과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한국학은 국학의 정서적 주관성을 극복하고 보편적 학문 영역 속에서 한민족과 그 국가의 특수성과 개별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학문 분야로 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한국학의 세계화는 하드 파워에 근거한 국가 경쟁력과 문화요소, 일정한 규모 이상의 인구 요소가 확보되어야 달성 가능하다. 그러므로 국제어 혹은 광역소통어의 능력을 갖춘 역량 있는 한국학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근본적이고 원칙적인 차원에서 한국학의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conception of Korean study and its way of globalization. The Korean study called diverse names, for examples native study, national study and Chosun study etc according to the time and background of research. So the Korean study have to overcome the subjective aspect of researching the Korean and to select the objective attitude of studying the Korean. This means that the Korean study should be the local study from the point of world but it also be a the only and special study from the point of the Korean.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study could not accomplished all at once. The Korean should do their best for globalization. And it also needs for the hard powers based on the nation's competitive, generally it concluded the military, the diplomatic and the economic power, the population scale and cultural brand power etc. Based on these factors, we should educate experts studying the Korean and they could communicate with foreigners without any difficulties. We have to find ways of globalizations of the Korean study at the fundamental and principle levels. And we try to develop our exchange value of the Korean and its cultures.

      • KCI등재

        사회학에서의 한국학 연구동향

        임현진(Lim, Hyun-Chin),정일준(Chung, Il-Jo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21세기 한국 사회학의 올바른 자리매김은 ‘홀로서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세계 학계와의 ‘관계맺기’를 위한 방법과 논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우리 현실을 바탕삼아 새로운 사회이론을 만들 수 있도록 한국 사회에 관한 문제틀, 메타이론, 방법론을 제시해야 한다. 첫째, 사회과학의 분야별 영역주의를 타파하여 우리 사회에 독특한 주제에 관한 융합과 통섭의 총합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이때 학제적 연구를 넘어 초제적 또는 탈제적 접근을 추구해야한다. 사회과학 내부에 인위적으로 구획된 장벽을 낮춤으로서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사이의 대화를 촉진하여 보다 열린 지식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학은 역사학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한국 사회에 관한 부분사적ㆍ전체사적 연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 사회에 대한 분석을 보다 심화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연구가 외래 이론에 의해 계도된 사실분석이었다면, 앞으로는 한국 현실에 대한 ‘짙은 묘사’를 바탕으로 ‘제한된 일반화’를 시도함으로써 우리 이론을 만들고 바로 세우는 작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학은 다른 국가, 문화, 지역과의 비교연구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 연구의 국제화와 지역연구의 국내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지평에서의 논의도 평가할 수 있다. 우리의 문제를 우리의 시각에서 정립하고 또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때, 나아가 세계의 문제를 우리의 준거를 가지고 정의하거나 재해석 할수 있을 때, 한국학의 세계화가 가능하다. The right positioning of 21st century Korean Sociology lies on the one hand in ‘standing alone’ of Korean sociology, and on the other hand in ‘reaching out’ to global sociology. In order to develop Korean sociological theory based on our own experiences, we should elaborate problematique, meta-theory and methodology for studying Korean society. First, by dismantling disciplinary divisions, we should pursue comprehensive approaches in our unique research topics. Inter-disciplinary, trans-disciplinary, and post-disciplinary approaches are needed. We should promote dialogues among political science, economics and sociology within social science discipline thereby establishing more opened knowledge system. Second, sociology should strengthen its ties with history department. By using particular and total knowledges accumulated in history, we can delve into Korean society more intensively. So far the study of Korean society is mainly guided by the imported foreign theories, we can try ‘limited generalization’ based on ‘thick description’ of Korean realities. Third, we should lead comparative researches with other nation-states, cultures, and regions. In order to do that, globalizing national researches and nationalizing regional researches are precede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ies can be evaluat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grounds. We can globalize Korean studies only on these conditions: We could problematize our own problems upon our own perspectives and show solutions of our own making. Furthermore, we can define or interpret global problems from our own reference point.

      • KCI등재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발간사> 연구

        안남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4 No.-

        This research is the roundup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First Publication) in Japan’ and the follow-up study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Jouranl of Korean Studies”55,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5) and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 Before 1910’(“Jouranl of Korean Studies”58,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6). This research takes its subjects of following volumes: 5 volumes of Hakwoo(Classmate), which is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in Japan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Meiji University), 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Chuo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Kyoto Imperial University), Dongchanghoe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Waseda University), and 10 volumes of Nakdongchinmokhoe-Hakbo(Bulletin of Nakdong-Chinmokhoe, Daehanhakhoe-Wuelbo(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Daehanhung-Hakbo(Belletin of Daehan-Hung), THE HAK KIE BO(Bulletin of Academic World), Geundae-Sajo(Modern Trend), Hakjigwang, Yeojagye(Women’s World), Samkwang(Three Light), Hyundai(Modern Times), Geumgangjeo(Vajra), Hakjo, THE KAICHUCK, Hakhae except 8 volumes of Chinmokhoe-Hoebo(Bulletin of Chinmokhoe), Taegeuk-hakbo(Bulletin of Tae Geuk), Gongsu-Hakbo(Bulletin of Gongsu), Daehanyuhaksaeghoe-Hakbo(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Dongin=Hakbo(Bulletin of Dongin), published before 1910. The ‘First Publication’, which is focused on this research, is essential data for guessing the direction of the magazine, since it contains the purpose, intention and the way of publication. Especiall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magazine, representative keyword of each magazine is identified and the meaning inside is presented. The research of the contemporary magazine has its meaning on that it is the outcome of exploring how Korean international student recognized the reality and overcame it under the specific circumstance of Japanese colonial era. 본 연구는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12)와 「1910년 이전의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12)의 후속 연구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의 종합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일본 대학 소속 한국유학생 잡지인 <학우>, <회보>(명치대학조선유학생동지회회보), <회지>(일본중앙Chuo대학우리동창회회지), <회보>(경도제국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회보), <동창회회지>(조도전대학우리동창회회지)의 5종 잡지와 1910년 이전에 발행된 <친목회회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대한유학생회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의 8종 잡지를 제외한 나머지 10종(<학계보>, <근대사조>, <학지광>, <여자계>, <삼광>, <현대>, <금강저>, <학조>, <개척>, <학해>)의 ‘창간사 및 발간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창간사’와 ‘발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이 녹아있는 만큼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특히 연구 대상 잡지의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를 통해서 각 잡지의 대표적 키워드를 확인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였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근대기 도미타 기사쿠(富田儀作)가 구현한 청자재현의 메커니즘과 그 식민성 연구

        엄승희(Eom, Seunghu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7 No.-

        도미타 기사쿠(富田儀作,1858~1930)는 19세기 말엽 대한제국으로 도항하여 다양한 이권사업을 전개시킨 인물로서, 특히 한국의 도자문화에 대한 깊은 관심이 반영되어 청자재현사업을 구현하고 성공시켰다. 그의 청자사업은 시기적으로 개성 일대의 고려고분 발굴이 최고조에 이르는 시점에 구상되었으며, 일련의 연구과정과 최고의 제작기술력 확보를 통해 시작되었다. 이 시기 청자재현의 메커니즘은 고려청자가 지니고 있는 심미적, 기술적 가치를 본연 그대로 표현하는데 있었다. 특히 비색(翡色)을 창출하기 위한 노력이 그가 전개시킨 청자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관문이었다. 재현청자들은 상업성을 강하게 표출하기 시작한 1920년대 초반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도미타가 이룩하고자 했던 ‘재현적 가치’와 ‘전승’이라는 고유성을 이식시키는 것에 초점 맞춰졌다. 그러나 이후 청자 제작이 이윤사업으로 점차 전환되어 감으로써, 다방면에서 재현의 본질을 상실시키거나 변질시키는 문화가 만연해졌다. 따라서 근대기 도미타 기사쿠의 청자재현은 한국 도자 그 자체에 대한 그의 열정이 제작에 이르게 하여 도자의 새로운 장르를 형성시키는데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올바른 재현문화를 구현시키는 과정에 식민지적 근대성을 부여함으로써, 올바른 전승문화를 이룩하는데 많은 한계를 남겼다. Tomita Gisaku(1858-1930) was a person who traveled to the Korean Empir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developed various interest projects. In particular, his deep interest in Korean ceramic culture was reflected, and he implemented and succeeded in the celadon reproduction project. His celadon business was conceived at the time when the excavation of Goryeo tombs in the Kaesong area reached its peak, and began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processes and securing the best manufacturing technology. At this time, the mechanism of celadon reproduction was to express the aesthetic and technical values of Goryeo celadon. In particular, efforts to create colorimetric color were the most important gateway to the celadon reproduction project he developed. Until the early 1920s, when the audience began to express their commerciality strongly, the focus was on grafting the uniqueness of the ‘reappearance value’ that Tomita sought to achieve into ceramics. However, as the production of reproduction celadon gradually turned into a profit business, the culture of losing or altering the essence of reproduction in many ways became widespread. Therefore, the reproduction of celadon by Tomita Gisaku in the modern period led to the production of his passion for Korean ceramics itself,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new genre of ceramic art. Ultimately however, it left many limitations in achieving a correct tradition of tradition by giving colonial modernity to transplanting the correct representation culture into the Joseon.

      • KCI등재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문학과 개설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김용범,구려나,량빈,장람,김현정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pla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16 Chinese universit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y the way, according to the 2016 standard, all of these universities are belong to '211 universities' or '985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can be analyzed from the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the universities which offere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re mainly located in coastal areas adjacent to Korea. Second, professors in Chinese universities are mainly Chinese(96.1%, 147), and 84.3% (129) of them hold doctor’s degree. Especially, 51%(78)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Korea, and 33.3%(51)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Chin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professors' professional distribution, the number of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Language is the largest, with a ratio of 33.3% (51). Followed by the professors of Modern Literature, with a ratio of 22.2% (34). Finally, Classical Literature and other(History, Philosophy) professional professors have a 15% ratio(23). Here we have some suggestions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have been proposed before. First,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 policy of the One Belt One Road’, expan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iscipline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exchanges. Second,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e should expand the education curriculum too. In particular, is necessary to improved the teaching methods of profess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orean researchers with objective information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China at the present stage, to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previous information. 이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 개설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대학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을 제안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분석 대상으로 삼은 중국 대학은 2016년 기준으로 ‘211대학’(116개)과 ‘985대학’(39개)에 포함되어 있는 대학 중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16개 대학(중국전매대학 제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들은 주로 한국과 인접한 해안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교수들은 주로 중국인(96.1%, 147명)이었으며, 박사학위 소지자는 84.3%(129명)에 이른다. 학위취득 국가로는 한국이 51.0%(78명)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경우는 33.3%(51명)였다. 교수진의 전공은 국어학이 33.3%(5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대문학이 22.2%(34명), 고전문학과 기타(역사, 철학 등) 전공이 각각 15.0%(23명)로 나타났다.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으로는 ‘일대일로’라는 중국의 정책에 따른 한국어문학과의 확대 및 국제교류 활성화와 함께,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을 보다 확대할 것을 제안해 보았으며, 특히 개별 교수자의 교수법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중국에 개설된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한국 연구자들에게 중국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넘어서

        박성창(Park Sung Cha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연구 Vol.28 No.-

        동양과 서양의 문학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유사정과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는 이른바 ‘동서 비교문학’은 서로 다른 문명권에 속해 있으며, 서로 이질적인 사상과 표현 체계를 지닌 문학들을 비교한다는 점에서 서구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비교문학이나 한국ㆍ일본ㆍ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비교문학과는 그 이론적인 지향점이나 체계가 다를 수밖에 없다. 비교문학의 서구 중심적 시각을 벗어나 동서 비교문학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정립하는 것은 한국학의 일환으로서 한국 비교문학의 중요한 과제이다. 한국문학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가 동아시아 문학과 세계 문학의 이론적 틀 속에서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전제에서 ‘동서 비교문학’이라는 명칭 아래 그 이론적 틀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서구 비교문학이론 가운데 동서 비교문학 연구방법론과 관련해 중요한 쟁점들을 보여주는 작업들을 검토한 다음, 동양과 서양의 서로 이질적인 텍스트들을 어떤 이론적 근거에 기반하여 비교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해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한국학의 일환으로서 한국비교문학은 한편으로 세계문학의 틀과 다른 한편으로는 동아시아 문학의 틀 속에서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넘어서서, 보편성과 상대성, 공통점과 차이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관계를 사유해야 할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erious effort to systemize the study of East-West literary relations has just begun to be initiated in the recent field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 main obstacle to the study of East-West literary relations and even to that of intra-Asian relations has been and still remains the 'Eurocentric' im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Western comparative literature. Advocating the problematic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we argue for the expan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beyond what Rene Etiemble calls 'European or Eurocentric chauvinism', while going beyond those nagging questions of inequality between influence and indebtedness, center and periphery, the West and the rest, and so forth.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does not mean simply to put together disparate texts without any grounds for comparaisons. Questions of literary theory become important in providing the basis for wide-ranging comparison between East and West. To establish the problematic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closely two main issues of this problematic. It can be formulated in the terms of binary opposition: cultural universalism / relativism (pluralism), orientalism / occidentalism. As a branch of Korean Studies,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should be studied within two theoretical frames of reference: World literature and East Asian literature.

      • KCI등재

        한양 北里 淸風溪의 장소적 의미와 鄭敾(1676~1759)의 〈淸風溪圖〉

        이순미(Lee, Soon-m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2 No.-

        한양의 문사들은 17세기를 전후해 재야의 山林과 달리 스스로를 ‘城市山林’이라 인식하며 현실의 공간에서 명공과 처사의 삶을 동시에 실현하고자 하였다. 성시산림의 공간이었던 金尙容의 淸風溪는 탈속과 충효의 이념성을 지니며 조선후기 한양 北里 문예활동의 대표 장소였다. 鄭敾과 청풍계와의 관계는 그의 고조부 鄭演이 청풍계 집안과 교류하며 시작되었고 그가 활동할 당시까지 지속되었다. 김상용의 출처에 영향받았던 그는 청풍계에서 이병연 등의 한양문사들과 학문과 시회 등의 모임을 공유했고 청풍계주인 金時保로부터 학문과 작화활동 등에 영향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학교박물관소장 〈淸風溪圖〉는 1731년 10월 국가가 劉希慶에게 旌閭門을 하사한 사건과 관련되어 제작된 정선의 〈劉村隱林庄圖〉와 함께 한양 유거지 그림에의 관심을 확대시켰을 것이다. 정선은 청풍계의 자연적인 경관과 김상용의 절조 등의 이념성을 조화시키고자 강한 필치와 독특한 구도를 사용하여 청풍계도 를 제작하였다. 1732년경의 작품들은 이후의 청풍계도 제작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정선의 말년 작품인 《壯洞八景帖》의 〈청풍계도〉에서는 간략한 구도와 빠른 필치로 장소의 특징만을 간일하게 그렸다. 정선의 〈청풍계도〉는 한양진경산수화풍의 성립과 전개 방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Unlike the intellectuals in the countryside around the 17th century, the intellectuals in the capital recognized themselves as “Sungshi Sanlim” (Crowd of intellectuals in the capital city) and tried to realize a life of fame and achievement along with a hermit in a real space at the same time. Kim Sang-yong’s Cheong-poong-gye became a symbolic place of escaping-reality-like literary activities in Hanyang Buk-ri of late Chosun dynasty as the space of escaping reality of Sungshi Sanlim, in addition of emphasizing the ideology of loyalty to king and par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heong-poong-gye and Chung Sun was established when his high-grandfather, Chung Yean interacted with the family of Cheong-poong-gye, and the relationship continued during the time of his activities. Cheong-poong-gye to Chung Sun was the gathering place where he shared his academics and poetry with the friends like Yi Byung-yeon, including the staying and hiding from reality (Chool-Cheo) of Kim Sang-young, while Kim Shi-bo, the master of Cheong-poong-gye, was assumed to be the person who influenced Chung Sun’s academic establishment and painting activity. He harmonized the natural scenery of Cheong-poong-gye with the philosophy of Kim Sang-yong, such as controlled in tune, in production of Cheongpoonggyedo featuring strong brush-strokes and a unique composition. His paintings around 1732 had a continuous influence after establishing typification. In particular, the Cheongpoonggyedo in 《Jangdongpalkyungcheop》, a fine work of his later years, featured the characteristics of a simple composition centered on scenic objects and high-speed brushwork, as if he wanted to tell only the features of the place. Chung Sun’s Cheongpoonggyedo can be a representative work that specifically show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Hanyang Chingyong landscape painting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