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기확산모델(AirMaster)을 이용한 울산 산단 지역의 아황산가스(SO₂) 대기환경용량 산정 연구

        구윤서,박찬희 안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4 自然科學硏究 Vol.11 No.1

        정부 주도로 추진된 중화학공업 육성시책에 따라 조성된 울산지역의 산업단지 지역은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오염물질을 대량으로 배출하였다. 특히 SO_(2)는 최근 2~3년 내에 순간 오염도도 일부 측정소에서 단기간 환경기준을 초과하였으며, 타 도시 지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울산 산단 지역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선행연구로, 울산 산단 지역에서의 SO_(2) 대기오염도 현황을 조사하고 고농도가 자주 발생되거나 그러할 가능성이 높은 기간에 대하여 배출량 기여도 평가와 함께 대기 확산 모델(AirMaster)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대기환경기준을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의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대기환경용량 유지에 적합한 대기질 배출량의 삭감량을 산정하였다. 각각의 모델 수행 기간 모두 면오염원이 약 40% 정도의 기여도를 나타냈고, 점오염원에서는 석유정제시설과 제조업-연소시설이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울산 산단 지역은 면오염원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오염도를 유지한다는 것과 점오염원 중 대형 배출 시설에 의한 오염도가 최고 농도를 결정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Ulsan industrial complex discharged various pollutants at the large facilities during long duration. Specially, it appeared that the SO_(2) emission of the Ulsan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ity area. In this research, critical loads of atmospheric environmental to meet the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were estimated by using air dispersion model-AirMaster. And it bought reduction of SO_(2) emission in order to be below air environmental standards. Among model execution results in area source, it showed about 40% effect degree, in point source, it appeared with the fact that the oil refining facility and combustion facility is the highest.

      • KCI등재

        에어러솔 대기에서 단파 영역에서의 복사전달모델들의 상호비교

        유정문,정명재,이규태,김준,이주은,허영민,김보미,이윤곤,이재화,윤종민,이원학 한국지구과학회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9 No.2

        Intercomparison among the three radiative transfer models (RTM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studies for COMS, was carried out on the condition of aerosol-laden atmospheres. Also the role of aerosols in the atmospheric radiation budget was analyzed. The results(hereafter referred to as H15) from Halthore et al.’s study (2005) were used as a benchmark to examine the models. Aerosol Radiative Forcing(ARF) values from the three RTMs, calculated under two conditions of Aerosol Optical Thickness(AOT=0.08, 0.24), were systematically underestimated in comparison to H15 in the following shortwave components; 1) direct and diffuse irradiance at the surface, 2) diffuse upward fluxes at the surface and the top of the atmosphere, and 3) atmospheric absorbance. The ARF values for the direct and diffuse fluxes at the surface was -10~-40 Wm-2. The diffuse upward values became larger with increasing both AOT and Solar Zenith Angle(SZA). Diffuse upward/downward fluxes at the surface were more sensitive to the SZA than to the atmospheric type. The diffuse downward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OT and decreasing SZA. The larger AOT led to surface cooling by exceeding the reduction of direct irradiance over the enhancement of diffuse one at the surface. The extinction of direct solar irradiance was due mainly to water vapor in tropical atmospheres, and to both ozone and water vapor in subarctic atmospheres. The effect of water vapor in the tropics was 3∼4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ozone. The absorbance values from the three RTMs agree with those from H15 within ±10%. 본 연구에서는 에어러솔 대기 상태에서 국내 COMS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세 개의 단파 복사전달모델에서 산출된 복사속 성분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대기 복사 수지에서 에어러솔 역할도 분석하였다. 국내 모델들의 평가를 위하여, 15개 모델값을 평균한 Halthore et al. (2005) 결과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두 종류 에어러솔 농도(AOT=0.08, 0.24)에서 조사된 열대 또는 한대 대기의 에어러솔 강제력은 지표에서의 하향 일사 및 상향 산란, 대기 상부의 상향 산란, 그리고 대기 흡수도의 복사 성분들에 있어서 국외 연구에 비하여 국내 결과들에서 체계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에어러솔 강제력은 지표에서의 하향 일사에 대하여 -10~-40 Wm-2 이었으며, 지표 및 대기 상부의 상향 산란의 경우에 상대적으로 큰 태양천정각과 고농도 에어러솔 상태에서 컸다. 두 종류 에어러솔 조건에서 지표에서의 하향 및 상향 산란값들은 대기 종류보다는 태양천정각에 더 민감하였다. 하향 산란은 상대적으로 작은 태양천정각과 고농도 에어러솔 조건에서 컸다. 에어러솔 농도 증가는 하향 산란 증가에도 불구하고 하향 직달 일사의 감소가 이를 초과함으로써 지표 냉각을 유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일한 에어러솔 농도 및 태양천정각 조건에서 직달일사 소산은 열대 대기에서는 주로 수증기, 그리고 한대 대기에서는 수증기 뿐만 아니라 오존에도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열대 대기에서는 수증기의 역할이 오존에 비하여 3~4배 컸다. 저농도 및 고농도 에어러솔 대기에서 대기 흡수도는 국내외 연구 간에 ±10% 내에서 일치하였다.

      • KCI등재

        기상-해양 접합모델을 이용한 단기간 대기-해양 상호작용이 한반도 강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용재,이호재,김진우,구자용,이윤균 한국지구과학회 201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0 No.6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ir-sea interactions on precipitation over the Seoul-Gyeonggi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28 to 30 August 2018, were analyzed using a Regional atmosphere-ocean Coupled Model (RCM). In the RCM, a WRF (Weather Research Forecasts) was used as the atmosphere model whereas ROMS (Regional Oceanic Modeling System) was used as the ocean model. In a Regional Single atmosphere Model (RSM), only the WRF model was used. In additi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data of ECMWF Reanalysis Interim was used as low boundary data. Compared with the observational data, the RCM considering the effect of air-sea interaction represented that the spatial correlations were 0.6 and 0.84, respectively, for the precipitation and the Yellow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Seoul-Gyeonggi area, which was higher than the RSM. whereas the mean bias error (MBE) was -2.32 and -0.62, respectively, which was lower than the RSM. The air-sea interaction effect, analyzed by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SST, dynamic convergence fields, induced the change of SST in the Yellow Sea. In addition, the changed SST caused the difference in thermal instability and kinematic convergence in the lower atmosphere. The thermal instability and convergence over the Seoul-Gyeonggi region induced upward motion, and consequently, the precipitation in the RCM was similar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observed data compared to the precipitation in the RSM. Although various case studies and climatic analyses are needed to clearly understand the effects of complex air-sea interaction, this study results provide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the air-sea interaction in predicting precipitation in the Seoul-Gyeonggi region. 본 연구에서는 지역 기상-해양 접합모델을 이용하여 2018년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한반도 서울-경기지역에 내린 강수에 대해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 기상-해양 접합모델에서 기상모델은 WRF (Weather Research Forecasts)가 사용되었으며, 해양모델은 ROMS (Regional Oceanic Modeling System)가 사용되었다. 단일 기상모델은 WRF모델만 이용되었으며, ECMWF Re-Analysis Interim 의 해수면온도자료가 바닥경계자료로 사용되었다.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가 고려된 접합모델은 서울-경기지역의 강수 및 황해 해수면온도에 대해 공간상관계수가 각각 0.6과 0.84로 이는 지역 기상모델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평균편향오차(MBE, Mean Bias Error)은 각각 −2.32와 −0.62로 지역 기상모델 보다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상당온위와 해수면온도 및 역학적 수렴장으로 분석한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는 황해 해수면온도의 변화를 유도하였고, 그 변화는 하층대기에서 열적 불안정과 운동학적 수렴대의 차이를 발생시켰다. 열적 불안정과 수렴대는 결과적으로 서울-경기 지역에서 상승운동을 유도하였고, 결과적으로 기상-해양 접합모델에서 모의된 강수가 관측과 더 유사한 공간분포를 나타냈다. 그러나 복잡한 관계에 있는 대기-해양 상호작용의 효과를 더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연구와 장기적인 분석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는 기상-해양 상호작용이 강수 예보에 중요성에 대한 또 다른 증거를 제시한다.

      • KCI등재

        대기오염확산모델을 이용한 유동인구의 대기오염 노출에 관한 연구

        박진우,박진홍,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18 국토지리학회지 Vol.52 No.2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air pollution such as particulate matter (PM10). However, existing studies on air pollution still uses low-resolution data interpolated from the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This study focused on two goals. First, we have derived high-resolution air pollution distribution from the air pollution dispersion model (CALINE4) using micro traffic volume and weather data. Secondl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rived air pollution distribution and the estimated floating population data provided by SKT Geovi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elderly people rather than younger ones, and males rather than females were more influenced by air pollution in the study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of elderly people; vulnerable to diseases in air pollution.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research using high-resolution air pollution dispersion results when making policies on air pollution.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대기오염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아직도 대기오염측정망을 사용하여 보간한 낮은 해상도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목표를 중점으로 수행하였다. 첫째, 미시적인 교통량 및 기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선형 대기오염확산모델(CALINE4)로 부터 높은 해상도의 대기오염 분포를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대기오염 분포와 SKT Geovision에서 제공하는 유동인구 추정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대기오염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미시적 수준의 분석이 가능하였다. 분석결과로써 연구지역에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젊은 층보다는 노년층의 유동인구가 대기오염에 더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대기오염관리 정책에 있어서 지역적 특성과 질병에 취약한 고령 인구의 분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낮은 해상도의 측정망 데이터를 사용하기보다는 고해상도의 대기오염확산 결과를 활용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식생Canopy모델을 적용한 대기경계층모델의 시뮬레이션

        김유봉 ( Yu-bong Kim ),라덕관 ( Deog-gwan Ra ),정상철 ( Sang-chul Ju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1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에 이용한 대기경계층 수치모델에 지표면 경계층 모델을 0차원 식생모델(Model 1)과 1차원 식생모델(Model 2)을 적용하여 그 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관측데이터와 비교 검토하였다. 일존 Kansa영역(240km×240km, 5km), 계산결과를 다중 Nesting method를 적용하여 Kobe(40km×40km, 5km)을 기상장을 2개의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고배 지역은 해륙풍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전형적인 해륙풍이 지배하는 지역이었다. 계산결과와 관측결과(10년간: Kobe, Sanda, Toyonaka, Miki, Kyotanabe)의 풍향풍속을 비교 검토하였다. 낮 시간대에는 두 모델 모두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밤 시간대에는 모델 1에서 산악지역에서 발달한 육풍이 과대평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은 모델 1에서는 단지 조도에 의한 저항만이 고려되었기 때문에 과대평가된 요인이라 사료된다. 하지만, Model 1에서는 식생 내외의 식생저항, 열, 수증기교환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모델의 정도성에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study,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model1) was combined with two vegetation models, a zero-dimensional vegetation model(Model1) and a one-dimensional plant canopy model(Model2), which give the surface boundary conditions for the 3-dimensional numerical atmospheric simulations. The models were applied to the Kansai area (240km×240km, 5km), then the nesting technique was applied to give the boundary conditions for the Kobe area(40km×40km, 5km). The Kobe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eabreeze. The simulation results of wind vectors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at Kobe, Sanda, Toyonaka, and Miki for the Kobe area. Both model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observed data in the daytime. However, Model1 overestimated the wind velocities generated from the mountain in the nighttime. It will be concluded that the 1-dimensional plant canopy model can simulate the complex relationships of the momentum, heat, and water vapor within and above the plant canopy.

      • 대기-해양 결합모델을 이용한 태풍 솔릭 모의 개선

        문지홍,차동현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태풍 솔릭은 2018년 8월 16일에 발생하여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으로, 상륙 전 예측에서 내륙지역에 큰 피해를 유발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상륙 전 급격한 약화를 겪으면서 예상보다 적은 피해를 줬다. 태풍 솔릭의 급격한 약화는 느린 이동속도와 해양의 적은 열에너지로 인한 강한 냉각 피드백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태풍과 해양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하층의 냉수가 용승하였고 해수면 온도는 8℃ 이상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해양 결합모델을 활용하여 태풍-해양 상호작용이 수치 모델에서 모의 되는지 확인하고 그로 인한 태풍의 강도 변화와 한반도 강수량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고해상도 해양 재분석자료인 HYCOM과 저해상도 자료인 OISST를 초기 해양 조건으로 비교하여 해양자료에 따른 초기화 효과도 분석하였다. 예측 실험은 대기모델로 WRF 모델을, 해양모델로는 ROMS를 결합하여 수행하였다. OISST를 초기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초기에 태풍 강도가 과도하게 강화되었고 HYCOM을 활용하였을 때에는 best-track 자료와 비슷한 강도 변화를 보였다. HYCOM에서 초기 태풍 부근의 수온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HYCOM이 대기모델과 결합된 모델로부터 생산된 재분석자료이기 때문에 태풍과의 피드백으로 인한 냉각 효과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HYCOM을 활용한 실험에서 대기로 전달되는 열에너지가 낮게 나타났고 강도 변화를 현실적으로 모의하였다. 또한 비결합모델에서는 태풍과 해양의 상호작용이 반영되지 않아 태풍의 약화가 잘 모의 되지 않지만 결합모델에서는 뚜렷한 해수면 온도 냉각을 모의하였고 그로 인해 태풍 약화를 현실적으로 모의하였다. 한반도에서의 강수는 비결합모델에서 과도하게 모의 되었지만, 결합모델에서는 강도가 잘 모의 됨에 따라 강수를 비교적 적게 모의하였다.

      • KCI등재

        대기로 확산된 방사성물질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에 의한 피폭선량을 계산하기 위한 근사화 방법

        김태욱,박종묵,노성기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1990 방사선방어학회지 Vol.15 No.2

        대기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의 대기 확산 형태를 파스킬의 대기안정도에 따른 모델인 타원형 근사화 모델로 가정하고 인체가 받을 수 있는 감마선에 의한 피폭선량률을 계산하였다. 이 결과를 대기 확산 기본 모델인 가우스플룸 모델을 적용하여 계산한 결과 및 이미 발표된 원형 근사화 모델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제시한 타원형 근사화 모델을 이용하여 피폭선량을 계산한 결과는가우스풀룸 모델의 결과와 비슷하고, 원형 근사화 모델의 경우보다 오차가 적었으며, 동시에 기본 모델인 가우스 풀룸 모델과 비교할 때 1/40정도의 계산 시간이 걸렸다. The dispersing model of radioactive plume in the atmosphere was assumed to form finite ellipseshaped volumes rather than a single plume and gamma absorbed doses from the plume were computed using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ose computed by the Gaussian plume and the circular approximation models. The results computed by the proposed ellipse-shaped approximation model were close to those by the Gaussian plume model, and more accurate than those by the circular approximation model. The computing time for the proposed approximation model was one fortieth of that for the Gaussian plume model.

      • KCI등재

        레일리 대기에서 단파 영역에서의 복사전달모델 결과들의 상호 비교

        유정문,정명재,이규태,김준,허창회,안명환,허영민,이주은,유혜림,정주용,신인철,최용상,김영미,이윤곤,이재화,윤종민,이원학 한국지구과학회 2007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8 No.3

        Intercomparison between eight radiative transfer codes used for the studies of COMS (Communications, Ocean,fluxes: 1) direct solar irradiance at the surface, 2) diffuse irradiance at the surface, 3) diffuse upward flux at the surface,and 4) difuse upward flux at the top of the atmosphere. The result (hereafter called the H15) from Halthore et al.’s study(2005) which intercompared and averaged 15 codes was used as a benchmark to examine the COMS models. Uncertaintyof the seven COMS models except STREAMER was ±4% with respect to the H15, comparable with ±3% of Halthore etal.’s (2005). The uncertainty increased under a large SZA = 75o. The SBDART model generally agreed with the H15better than the 6S model, but both models in the shortwave infrared region were equally good. The direct solar irradiance(12.1 Wm2). This reason was partially due to diferently installing the wavelength resolution in the flux integration. Thisstudy may be useful for selecting the optimum model in the shortwave region.......... intercomparison, radiative transfer model, Rayleigh atmosphere, SBDART, 6S(. . ) 본 연구에서는 레일리 ( 순수 기체 ) 대기 조건 하에서 국내 COMS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여덟 개 단파 복사전달 모델에서 산출된 네 종류 복사속 (flux) 성분을 상호비교함으로써 상대 오차를 조사하였다 . 이들 복사속 성분은 지표에서 의 직달 일사 , 하향 산란 , 상향 산란 , 그리고 대기 상부에서의 상향 산란이다 . 또한 국내 모델의 평가를 위하여 , 15 개 모델을 평균한 Halthore et al.(2005) 결과 ( 예 , H15) 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 동일한 태양천정각에서 모델 간의 불일치 는 열대 대기에서 수증기에 기인하였고 , 한대 대기에서는 오존에 기인하였다 . STREAMER 를 제외한 국내 7 개 모델의 지상에서의 하향 직달일사값은 H15 에 대하여 ±4% 내에서 일치하였다 . 이러한 상대 오차는 태양천정각이 커질 때 증가 하였으며 , Halthore et al.(2005) 에서의 ±3% 와 근접하였다 . 네 종류 복사속 분석에서 SBDART 모델이 6S 모델에 비하 여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나 , 근적외 파장역에서는 서로 비교할만하였다 . 네개 기관의 연구자들이 같은 SBDART 모델 에서 산출한 지표에서의 하향 직달일사값 간에도 12.1 Wm − 2 (1.4%) 의 불일치가 존재하였다 . 불일치의 원인은 부분적으 로 복사속 적분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파장 분해능에도 있었다 . 본 연구는 단파 영역에서 최적 모델을 선정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 KCI등재

        3D City모델과 CFD 모델을 통합한 대기환경 시각화 연구

        안승만(An, Seung Man),이호영(Lee, Ho Yeong),성효현(Sung, Hyo Hyun),최영진(Choi, Yeong Jin),우정헌(Woo, Jung H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4

        3D City 모델로부터 CFD 모델 입력자료를 생성하여 모델링 품질을 향상시키고 CFD 모델링 결과를 3D 모델과 통합하여 사실적이고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한 3D City 모델을 이용해 세밀도와 정확도가 향상된 CFD 모델 입력자료를 생산하여 적용함으로써 상세한 도시공간구조를 반영하는 향상된 CFD 모델을 생산하였다. CFD_NIMR_SNU 모델로부터 바람의 흐름과 오염물질 확산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3D City Model과 CFD 모델을 통합하여 동적으로 시각화 하였다. 본 대기환경 시각화 도구는 도시기후 계획 및 관리에 있어 의사결정을 위한 시각적 소통능력을 향상시켜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nhancing CFD model by applying detailed and accurate CFD input data produced from 3D City model and integrating CFD model with 3D city model with OpenGL, 3D city aerodynamic simulation, and visualization tool. CFD_NIMR_SNU model developed by NIMR and SNU and 3D City model produced by NGII were used as input data. Wind flow and pollution diffusion simulator and viewer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Atmospheric environment simulation and visualization tool will save time and cost for urban climate planning and management by enhancing visual communication.

      • KCI등재

        도시지역에서의 선오염원 예측모델 적합성에 관한 연구

        김진홍,박선환,장윤영 한국도시환경학회 2018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8 No.4

        Despite the limitations and difficulty in the application of CALINE3 model for air dispersion prediction of roads and tunnels construction businesses in South Korea, the model is being used in all roads construction projects. This study compared the predicted values of CALINE3 and AERMOD model that is suggested by the US EPA, to the values of GRAL model, a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model developed in Europe, by applying the models to the existing roads of the urban areas. The result showed low relevance to the actual measurement value in the case of CALINE3 model, thus displaying a low trusted value when applying to the urban areas. In the case of using AERMOD model, the predicted values were overly expressed compared to the actual measurement value, thus leading to the need of adding a No2 conversion method to the model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GRAL model, a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model, the relevance between the actual and predicted values were high as the model considers the surrounding topography and the buildings all together, thus confirming that the model can be used for air dispersion prediction of the roads in the urban areas.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testing the air prediction models in Jeongneung Measuring Station point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future studies to expand the testing areas and test the validity of the models continuously. 우리나라 도로건설사업 대기질 예측에 적용되는 CALINE3는 모델의 한계상 도심지역에서 적용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모든 도로 사업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ALINE3 및 미국 EPA에서 장래 권장 모델로 사용하고자 하는 AERMOD와 유럽에서 개발된 라그랑지안 입자추적 모델인 GRAL을 실제 도심지역 도로에 적용하여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CALINE3의 경우 실측치와의 상관도가 낮게 나타나 도심지역에 적용시 낮은 신뢰도를 보일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AERMOD의 경우 실측치에 비해 과다하게 예측되는 것으로 나타나 장래 저풍속(1m/s이하)에 대한 고려방안 마련과 함께 NOx에 대한 변환 방법을 모델 옵션에서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라그랑지안 입자추적 모델인 GRAL의 경우 주변 지형, 건물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실측치와 모델치의 상관도가 높게 나타나 도심지역 도로변 대기질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본 연구는 정릉로 측정소에 한해대기 예측 모델의 검증을 실시한 결과로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한 검증 지역의 확대와 이에 따른 모델의 타당성 검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