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AP 인증 기준 개편에 따른 사회후생 변화 추정

        남경수,교일양,심환희,안병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농촌경제 Vol.43 No.2

        This study analyzes social welfare changes as a result of improving the GAP certification standard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the consumer and producer side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analysis, we set hypotheses for improving the GAP certification standards in three directions, including promoting consumption, pursuing internationalization, and accelerating popularization. Also, we calculated social welfare changes following each scenario of the improvement of GAP certification standards. Our analysis shows that social welfare associated with all agricultural products is likely to increase along with enhanced GAP certification standards.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측면과 생산자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GAP 인증 기준 개편 시나리오를 보급활성화, 소비촉진, 국제화 추구 등으로 설정하였다. 각 개편 방향 시나리오에 따라 식량작물, 과일류, 과채류, 채소류로 구분하여 GAP 인증기준 개편에 따른 사회후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식량작물에 대한 GAP 인증 개편은 대부분의 사나리오에서 사회후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급 활성화로 인한 사회후생증가는 크지 않았다. 과채류, 채소류 그리고 과일류는 소비 촉진 또는 국제화 추구와 같이 인증 기준을 강화하는 것이 사회후생을 증가시키는 방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중장기적으로 GAP 인증 기준을 강화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GAP 인증제도 활성화의 바람직한 방향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농산물우수관리제도 (GAP) 적용을 위한 고추농가의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남민지,허록원,이원경,김경열,정도영,김정숙,심원보,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icrobiological risk factors in hot pepper farm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ultivation environments and utensils, plants, workers, and air at 3 hot pepper farms located in Cheongsong, Korea and were tested to detect sanitary indications [aerobic plate bacteria (APC),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foodborne pathogens, and fungi. APC, coliform, and fungi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0.7~6.2, 0.2~4.7, and 0.4~4.3 log CFU, respectively, in the three farms. Four (4.4%; l leaf, l irrigation water, and 2 soil) of 90 samples collected were revealed to be E. coli positives. F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only detected at 1.0 log CFU/100 cm2 in the worker's cloth of B farm,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t the levels 1.0~2.5 log CFU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s and utensils and worker of B and C farms. However, other pathogens were not dete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potential microbiological risks for hot pepper cultivated in the farms. Therefore, a management system to minimize the microbial risk such as GAP is required to ensure the safety of hot pepper. 본 연구에서는 고추재배 농가에 대한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수행하였다. 경북 청송에 위치한 고추재배 농가 3곳을 선정한 후 재배환경·도구, 작물, 작업자 및 공중낙하균에 대하여 시료를 수집하였고, 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및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곰팡이는 3 곳의 농가에서 각각 0.7~6.2, 0.2~4.7, 0.4~4.3 log CFU 수준으로 확인되었고 총 90점의 시료 중 4점의 시료(작물 잎 1점, 농업용수 1점 및 토양 2점)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B 농가의 작업복에서만 1.0 log CFU/100 cm2로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는 B와 C 농가의 재배환경·도구와 작업자에서 1.0~2.5 log CFU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다른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한계이하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추에 대한 잠재적인 미생물학적 위해가 확인되었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 예를 들면 GAP와 같은 관리시스템이 미생물학적 위해로부터 고추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농산물우수관리제도 확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딸기농장 재배단계의 위해요소 분석

        이치엽,이원경,송정언,김경열,심원보,윤요한,김윤식,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딸기 GAP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부경남에 소재한 딸기 농장 세 곳을 선정하여 딸기의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 화학적(중금속) 및 물리적(이물)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먼저 작물, 재배환경, 개인위생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한 결과,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경우 재배환경에서 최대 7.3 및 5.6 log CFU/g, 개인위생에서 6.3 및 5.4 log CFU/hand or 100 cm2, 잎에서 5.3 및 4.7 log CFU/leaf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Bacillus cereus가 토양에서 최대 6.1 log CFU/g, Staphylococuus aureus가 작업자 손에서 5.4 log CFU/hand로 검출되어 이들 병원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중낙하균의 경우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 (Cd, Pb, Cu, Cr, Zn, Ni, Hg 및 As)은 모두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유리조각, 캔 등의 일반쓰레기나 경작지 폐기물 등으로 확인되었다.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f strawberry farms at the cultivation stage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 syste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lants, cultivation environments(water, soil and air), and personal hygiene (hand, glove, and clothes) of three strawberry farms(A, B, and C) and were tested to analyze physical, chemical (heavy metals and pesticide residue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and foodborne pathogens) hazards. Physical hazards such as insects and pieces of metal and glass were found in the strawberry farms and can be potential bow for strawberry products. Heavy metal and pesticide residue as chemical hazards were detected at levels lower than the regulation limit. In case of biological hazards, total bacteria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1.6~7.3 and 1.3~5.6 log CFU/g, leaf, mL, hand or 100 cm2. However, Escherichia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uus aureus were detected at levels of ≤ 1.1~6.1 log CFU and 4.7~5.4 log CFU/g, mL, hand or 100 cm2, wherea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various harzards were in strawberry farms at the growing stage. Therefore proper management such as GAP is need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the hazards revealed in this study.

      • KCI등재

        농산물우수관리제도 확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딸기농장 재배단계의 위해요소 분석

        이치엽,이원경,송정언,김경열,심원보,윤요한,김윤식,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3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f strawberry farms at the cultivation stage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 syste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lants, cultivation environments(water, soil and air), and personal hygiene (hand, glove, and clothes) of three strawberry farms(A, B, and C) and were tested to analyze physical, chemical (heavy metals and pesticide residue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and foodborne pathogens) hazards. Physical hazards such as insects and pieces of metal and glass were found in the strawberry farms and can be potential bow for strawberry products. Heavy metal and pesticide residue as chemical hazards were detected at levels lower than the regulation limit. In case of biological hazards, total bacteria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1.6~7.3 and 1.3~5.6 log CFU/g, leaf, mL, hand or 100 cm2. However, Escherichia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uus aureus were detected at levels of ≤ 1.1~6.1 log CFU and 4.7~5.4 log CFU/g, mL, hand or 100 cm2, wherea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various harzards were in strawberry farms at the growing stage. Therefore proper management such as GAP is need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the hazards reveal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딸기 GAP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부경남에 소재한 딸기 농장 세 곳을 선정하여 딸기의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 화학적(중금속) 및 물리적(이물)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먼저 작물, 재배환경, 개인위생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한 결과,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경우 재배환경에서 최대 7.3 및 5.6 log CFU/g, 개인위생에서 6.3 및 5.4 log CFU/hand or 100 cm2, 잎에서 5.3 및 4.7 log CFU/leaf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Bacillus cereus가 토양에서 최대 6.1 log CFU/g, Staphylococuus aureus가 작업자 손에서 5.4 log CFU/hand로 검출되어 이들 병원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중낙하균의 경우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Cd, Pb, Cu, Cr, Zn, Ni, Hg 및 As)은 모두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유리조각, 캔 등의 일반쓰레기나 경작지 폐기물 등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GAP모델 확립을 위한 사과 재배단계의 화학적, 생물학적 위해평가

        심원보,김경열,김정숙,윤요한,김장억,심상인,김윤식,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경남에 소재한 GAP 미인증 사과농장 3곳을 선정하여 재배단계에서 화학적(중금속), 생물학적 위해요소(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은 재배환경 중 토양에서만 국내 허용치 이하 수준으 로 Cu, Pb, Zn 및 Ni이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재배환경에서 각각 0.8~6.1과 0.0~5.0 log CFU/g(or mL), 사과와 잎에서 0.4~3.6과 0.0~3.5 log CFU/g(or leaf), 개인위생에 서 3.2~5.3과 0.4~2.7 log CFU/hand(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병원성 미생물은 S. aureus가 작업자의 손에서 최대 4.4 log CFU/hand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사과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범위로 검출되었 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는 모든 시료에서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안전한 사과를 생 산하기 위한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에 있어 재배환경 및 재배단계에서의 위해요소를 파악하 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ssessed chemical(heavy metal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and fungi) hazards at the growing stage of apple farms uncertified GAP for the establishment of GAP in the production of apple. A total of 9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apple farms located in Gyeongnam and tested for the analysis of hazards.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soil, but their levels were lower than Korean regulation. For biological hazards, APC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8~6.1 and 0.0~5.0 log CFU/g(or mL)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respectively. Also, they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4~3.6 and 0.0~3.5 log CFU/g(or leaf) in the crops and 3.2~5.3 at 0.4~2.7 log CFU/hand(or 100 cm2) on the workers, respectively. But Escherichia coli was not founded in any samples. In case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4.4 log CFU/hand on the workers' hand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t the level of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except the apple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 level of fungi were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as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analyze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n the development of GAP model to produce a safe apple.

      • KCI등재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복숭아 GAP모델 개발을 위한 재배단계별 미생물 오염도 조사

        심원보,김정숙,김경열,윤종철,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icrobiological safety of peach farms, a total of 24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peach farms located in Yeongdong, Chungbuk provinces. Aerobic plate bacteria(APC)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1.0~7.4 and 0.0~5.4 log CFU/g(or mL, leaf, hand, 100 cm2), respectively. Five(2 agricultural water, l leaf, 1 cloth and 1 glove) of 240 samples collected were revealed to be Escherichia coli positives. In case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0.3~0.9 log CFU/hand(or 100 cm2) on the workers’ hands and gloves. Bacillus cereus was maximum detected level of 6.4 log CFU/g in soil. However,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Fungi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0.0~5.1 log CFU/g(or mL, leaf, hand, 100 cm2) in all the samples.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복숭아 GAP 모델 개발에 필요한 미생물 위해분석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충북 영동에 소재한 3곳의 복숭아 농장을 대상으로 재배단계별로 총 240점의 시료를 수집하여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1.0~7.4 및 0.0~5.4 log CFU/g(or mL, leaf, hand,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240점의 시료 중 농업용수 2점, 복숭아 잎 1점, 작업복 1점, 장갑 1점 등 총 5점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S. aureus는 작업자 개인위생에서만 0.9 log CFU/hand(or 100 cm2) 이하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토양에서 최대 6.4 log CFU/g까지 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는 모든 시료에서 0.0~5.1 log CFU/g(or mL, leaf, hand, 100 cm2) 범위로 검출되었다.

      • KCI등재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GAP모델 확립을 위한 사과 재배단계의 화학적, 생물학적 위해평가

        심원보,김경열,김정숙,윤요한,김장억,심상인,김윤식,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경남에 소재한 GAP 미인증 사과농장 3곳을 선정하여 재배단계에서 화학적(중금속), 생물학적 위해요소(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은 재배환경 중 토양에서만 국내 허용치 이하 수준으로 Cu, Pb, Zn 및 Ni이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재배환경에서 각각 0.8~6.1과 0.0~5.0 log CFU/g(or mL), 사과와 잎에서 0.4~3.6과 0.0~3.5 log CFU/g(or leaf), 개인위생에서 3.2~5.3과 0.4~2.7 log CFU/hand(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병원성 미생물은 S. aureus가 작업자의 손에서 최대 4.4 log CFU/hand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사과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는 모든 시료에서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안전한 사과를 생산하기 위한 위해요소관리 중심의 사과 GAP 모델 개발에 있어 재배환경 및 재배단계에서의 위해요소를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ssessed chemical(heavy metals)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and fungi) hazards at the growing stage of apple farms uncertified GAP for the establishment of GAP in the production of apple. A total of 9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apple farms located in Gyeongnam and tested for the analysis of hazards. Heavy metals were detected in soil, but their levels were lower than Korean regulation. For biological hazards, APC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8~6.1 and 0.0~5.0 log CFU/g(or mL)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respectively. Also, they were detected at the level of 0.4~3.6 and 0.0~3.5 log CFU/g(or leaf) in the crops and 3.2~5.3 at 0.4~2.7 log CFU/hand(or 100 cm2) on the workers, respectively. But Escherichia coli was not founded in any samples. In case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4.4 log CFU/hand on the workers' hand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t the level of 0.0~5.2 log CFU/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except the apple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 level of fungi were 0.0~4.9 log CFU/ g(or leaf, mL, hand or 100 cm2) in all the sampl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as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analyze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on the development of GAP model to produce a safe apple.

      • KCI등재

        GAP 모델 확립을 위한 토마토 농장 수확단계의 위해요소 조사 및 분석

        이채원,이치엽,허록원,김경열,심원보,심상인,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4

        Samples collected from six tomato farms(A, B, C : soil culture, D, E, F : Nutriculture) located in Gyeongsangnam-do were tested for the analyses of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major foodborne pathogens, fungi), chemical(heavy metals, pesticides) and physical hazards. The highest levels of total bacteria(7.5 log CFU/g) and coliforms(5.0 log CFU/g) in soil culture farms were higher than those of nutriculture farms(total bacteria: 2.5 log CFU/mL, coliforms: 0.6 log CFU/mL). In crops and personal hygiene soil culture farms showed a slightly higher contamination levels. From all farms, the levels of fungi in soil farms were higher than those of nutrient solution. In case of major pathogens,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in all sample with the exception of nutrient solution. Meantime,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E.coli O15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For airborne bacteria, soilculture farms showed less contamination than nutriculture farms. A piece of glass and can was confirmed asphysical hazards. Heavy metal(Cd, Pb, Cu, Cr, Hg, Zn, Ni and As) and pesticide residues as chemical hazards were detected, but their levels were lower than the regulation limi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otential hazards on harvesting stage of tomato fam were exposed. Therefore, proper management is needed to prevent biological hazards due to cross-contamination, while physical and chemical hazards were in appropriate levels based on GAP criteria.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토마토를 생산하기 위한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e Practices; GAP) 모델 확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에 소재한 토마토 재배 농가 중 토경 재배 3 농가와 양액 재배 3 농가를 대상으로 수확단계에서의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 화학적(중금속, 농약) 및 물리적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먼저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결과,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토경재배 농장의 토양에서 최대 7.5 및 5.0 log CFU/g으로 양액재배 농장의 양액보다 0.1~2.8 log CFU/g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그 외 다른 시료에서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의 경우 토경재배 농장에서는 1.7~6.5 및 0.3~2.9 log CFU/g, leaf, mL, hand or 100cm2로 검출되었고 양액재배 농장에서는 각각 1.1~5.7 및 0.1~4.0 log CFU/g, leaf, mL, hand or 100cm2로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곰팡이의 경우 전체적으로 0.2~5.0 log CFU/g, leaf, mL, hand or 100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Bacillus cereus와 Staphylococcus aureus만 양액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공중낙하균은 토경재배 농장에서 0.4~1.6 log CFU/plate, 양액재배 농장에서 0.1~1.0 log CFU/plate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Cd, Pb, Cu, Cr, Hg, Zn, Ni 및 As)과 잔류농약은 모든 시료에서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다른 위해요소에 비해 발생가능성은 낮지만 유리조각, 캔 등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콩 GAP 모델 확립을 위한 재배환경의 위해요소 조사 및 분석

        김경열,김정숙,심원보,정찬식,박금룡,정덕화,송정언,허록원,이원경,남민지,길중권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6

        Soybean farms in Changnyeong were selected for hazard analysis to establish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of soybean, and physical, chemical(heavy metal) and biological(sanitary indications, foodborne pathogens) hazard analysis for cultivation environment (soil, water) was carried out. First, bow which is able to be mixed in soil and water was confirmed as physical hazard. Levels (Cd:0.01~0.103, Cu:0.001~6.036, As:0.006~3.045, Hg:ND~0.041, Pb:0.003~3.952, Cr+6:0.007~0.496, Zn:0.001~66.500, Ni:0.003~18.010) of heavy metals in soil and water were appropriate for GAP criteria. In biological hazard, APC and coliform in soil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6.0±0.3 and 3.6±1.6 log CFU/g, and levels of water were 3.5±0.7 and 1.9±0.7 log CFU/mL, while E. coli wasn’t detected in all sample. However, coliform in water wasn’t appropriate for criteria, and E. coli O157 was detected about 22% in some farms, so it needs ways to prevent contamination by human and animals excrements. In conclusion, it needs proper management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of hazards although physical and chemical hazard level were appropriate for GAP criteria while biological hazard wasn’t. 콩 GAP 모델 확립을 위해 경남 창녕에 소재한 콩 재배농가 3 곳을 선정하여 각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중금속) 및 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위해요소를 분석하였다. 재배환경에 대한 물리적 위해요소로는 토양과 농업용수에 혼입될 수 있는 이물 등으로 확인되었고, 화학적 위해요소 중 토양과 농업용수에서의 중금속 (Cd:0.01~0.103, Cu:0.001~6.036, As:0.006~3.045, Hg:ND~0.041, Pb:0.003~3.952, Cr+6:0.007~0.496, Zn:0.001~66.500, Ni:0.003~18.010)이 모두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위생지표세균은 토양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6.0±0.3 및 3.6±1.6 log CFU/g, 농업용수는 3.5±0.7 및 1.9±0.7 log CFU/mL 수준으로 각각 검출되었고, E. coli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그러나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고, E. coli O157도 토양 중에서 약 22%가 검출됨에 따라 분변오염 방지를 위한 적절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재배환경 중 물리적 및 화학적 위해요소 (중금속)의 오염수준은 허용기준에 적합했지만,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이 기준치를 초과함에 따라 최종산물로의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