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놀이 중심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환경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홍경섭(Hong, Kyoung Sub),장상옥(Jang, Sang 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놀이 중심 관점에서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환경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2월 중에 실외놀이터가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35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고,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정 등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터의 환경 실태는 기관유형 및 기관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위치 및 접근성에서 일조, 위치, 가시성은 우수하나 전이공간 및 장애유아의 접근성은 미흡하였다. 놀이영역 및 놀이자료에서 기관에 따라 놀이영역의 개수는 다양하나 바닥재료의 종류가 제한된 편이며, 지형이 편평하고, 빈 개방공간, 정적 공간은 구비되었으나 놀이를 할 때 숨을 수 있는 공간, 개별공간 및 비구조적인 열린 자료(Loose Parts)가 미흡하였다. 부대시설 및 안전관리에서 안전관리는 대체로 우수하였고, 휴식 및 수도시설은 상당수 있었으나 실외화장실 및 놀이기구 보관창고가 미비하였다. 환경구성에서는 원장과 교사 주도적 환경구성으로 환경의 변경이 적었고, 환경의 관찰 및 연구도 미흡하였다. 놀이터 운영에서 놀이횟수는 주 3-4회, 놀이시간은 30분-1시간, 놀이는 유아의 자유놀이와 교사의 계획으로 운영되었다. 둘째, 실외놀이터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부대시설 및 안전관리, 놀이터 환경구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놀이터 운영, 놀이영역 및 놀이자료, 위치 및 접근성의 순으로 인식하였는데, 실외놀이터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연령, 학력 및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놀이 중심 관점의 실외놀이터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rom the young children·play based perspective. As a result, first, outdoor playgrou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had good sunlight, location and visibility in location and accessibility, but had less transfer space and difficult access for disabled young children. The number of play areas and play materials varied, but the number of floor materials were small, and the terrain was flat, open spaces, static spaces were provided, but there were less hiding spaces and loose parts. There were rest facilities and safety management, but there were few outdoor restroom and safe play equipment storage. Safety management was generally excell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environment, the director and teachers created the environment, and there were few changes, environmental observations, and research. The playground was operated free play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 plans. Second, the teacher s perception of the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recognized auxiliary facilities and safety management, and the construction of the playground environment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playground operation, play area and play materials, and location and accessibility. The teacher s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education and care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easures were discussed to create an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 KCI등재

        유아-교사 관계와 놀이환경지원이 남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평경효 ( Pyung Kyung Hyo ),이완정 ( Lee Wan Jeong ) 한국아동권리학회 2024 아동과 권리 Vol.28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애착 안정성 기반의 유아-교사 관계와 인적환경 및 비 인적환경의 놀이환경지원 정도가 남녀 유아의 놀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는 것이었다. 방법: 유치원과 어린이집 12개소를 유의표집하여 유아-교사 관계, 놀이환경지원, 유아의 놀이성을 조사한 후 최종적으로 377부를 분석하였다.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남아와 여아 하위집단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성에서 여아는 남아보다 주도적 참여와 인지적 유연성이, 남아는 여아보다 즐거움의 표현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 관계, 인적환경과 비 인적환경의 놀이환경지원 정도는 남녀 유아의 놀이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교사 관계, 놀이환경지원 정도는 유아의 놀이성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다. 성별 하위 집단로 구분하여 확인한 결과, 남아의 놀이성에는 연령, 유아-교사 관계, 비 인적환경의 놀이환경지원 정도가, 여아의 놀이성에는 유아-교사 관계, 인적환경의 놀이환경지원 정도가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교실에서 유아-교사 관계, 놀이환경지원 정도가 남녀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supportiveness on the playfulness of preschool boys’ and gils’ in ECEC settings. Methods: Twelve ECEC settings were sampled, and the playfulness,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supportiveness of 337 preschoolers were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First, girls were more intimate with teachers than boys. Second, the playfulness of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Third, whereas age,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human environmental supportive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layfulness of boys,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non-human environmental supportive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layfulness of girls.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environmental supportiveness have an influence on the playfulness of preschool boys’ and gils’ and that play-centered curriculum is important in ECEC settings.

      • KCI등재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 계획의 친환경적 평가에 관한 연구

        마현 ( Xuan Ma ),어성신 ( Sungsin Eo ),김지현 ( Jihyeon Kim ),황연숙 ( Yeonsook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은 다양한 커뮤니티가 일어나고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공간으로 거주자의 건강과 쾌적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적 요소가 적용된 실외 놀이 공간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지면서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환경을 배려하는 친환경 실외 놀이 공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단지 내 실외 놀이 공간의 질 향상과 개선을 위해 실외 놀이 공간에 나타난 친환경적 계획요소를 평가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의 친환경적 계획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조사대상으로는 서울시에 위치한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 7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한 사례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친환경에 관한 선행연구 및 친환경 인증 제도를 바탕으로 추출된 친환경 요소를 통해 실외 놀이 공간의 친환경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조사대상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놀이 공간의 친환경적 요소를 평가하였으며 친환경적 요소를 토지이용 및 교통, 생태환경, 에너지 및 환경부하 감소 부문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사례에서 기존 자연지형을 활용한 놀이 공간의 조성이 계획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놀이 공간으로 접근하기 위한 자전거도로와 보행자 전용도로의 사용에 있어서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녹화기법 적용의 경우 측면녹화나 입면녹화의 형태로 조성되어 있는 반면에 녹지축 형성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자원 절약을 위한 우수부하 감소에 대해서는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지만 우수활용에 여부에 대한 계획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에너지 이용 및 쓰레기 처리공간에 대해서도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놀이 공간 계획시 놀이 공간의 보행자 전용도로와 자전거도로를 분리시켜 아동들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기존의 자연형 녹지를 활용한 녹지축 조성과 더불어 다양한 생태조경을 통해 자연 친환적인 놀이 공간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우수활용 시스템을 통한 수자원 절약과 에너지 시스템을 설치하여 자원절약 방안을 도입하고, 주변의 경치와 어우러지는 태양광 조명시설과 청결성 유지를 위한 분리수거형 쓰레기 처리공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향후 이를 근거로 하여 친환경적 실외 놀이 공간의 디자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Outdoor play spaces are often the most frequently used public spaces in apartment housing, and places where various communities are formed and residents` health and comfort can be improved. This interest in outdoor play spaces, combined with growing emphasis on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nd energy conservation, has expand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outdoor play spaces that are in harmony with and protective of th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relevant to outdoor play spa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outdoor play spac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provide baseline data related to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measures for future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es. (Method) This study targeted seven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es located in Seoul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through on-site survey.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preceding environment-friendly research and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 system, and, based on the elements, a checklist was made for environment-friendly evaluation of outdoor play spaces. Then, on-site surveys were performed at the seven target spaces using the checklist. (Results) This study, which evaluated seven play spaces and classified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land use, traffic, ecological environment, energy, and environmental load, found that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ing houses appeared to have inadequately considered the environment in their planning stages. First, although plans for play spaces utilizing the existing natural terrain were established in most cases, some had problems in the use of bike lanes and exclusive pedestrian roads near and directed toward the play space. Second, with respect to the artificial greening technique, side greening and facade greening were well applied, but the axis of the green belt was insufficiently considered. Third, although the systems for both rainwater load reduction for water resource conservation and trash and garbage disposal turned out to be relatively favorable, there was no plan for the use of rainwater, and the energy use and garbage disposal spaces we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Conclusions) When play spaces are planned, a primary goal should be to promote children`s safety. This includes creating separate bike lanes and pedestrian roads towards play space. It also requires more attention paid to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in the play space, including creating the green axis using the existing green belt as well as various types of ecology. Sustainability must also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Plans for outdoor play spaces should include water and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through rainwater use systems, water resource conservation systems, energy systems, and solar-powered lighting and recycling-type garbage disposals in harmony with adjacent landscapes to maintain cleanliness.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specific measures to utilize the study results as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environment-friendly outdoor play spaces.

      • 환경의 구조와 조직을 넘어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창조적 놀이역량에 대한 탐구

        류미향,박경금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놀이는 유아의 인지·사회·정서뿐만 아니라 창조성, 상상력 등의 발달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위한 가장 훌륭한 교수방법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유아 놀이를 확장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놀이환경으로 놀이공간, 놀잇감, 놀이시간과 같은 환경의 요소에 내재하는 구조나 놀잇감의 사용, 놀이공간의 활용방법과 같은 놀이를 조직하는 특성은 유아 놀이에 색을 입힐 수 있는 독특한 질료 역할을 한다. 그러나 놀이가 가진 본질은 즐거움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놀이하는 유아는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느끼는 과정에서 환경의 구조나 조직적 특성 등의 영향을 넘어서서 놀이를 지속시킬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하는 유아의 창조적 역량이 환경의 구조와 조직적 특성을 넘어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유치원 만5세 두 개 학급을 대상으로 25회기, 28회기 각각 관찰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읽기와 범주화를 반복하는 질적분석 과정을 거쳤다. A유치원 유아들은 구조화된 환경과 교사의 엄격한 놀이규칙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놀잇감 사용규칙 바꾸기, 놀이공간으로부터의 탈주를 통해 놀이환경의 구조성과 엄격한 놀이규칙의 틀을 깨고 새로운 놀이를끊임없이 만들어내고 유희하고 있었다. 때로는 교사의 눈을 피해 만들어 내는 규칙의 파괴와 새로운 규칙의 창조는 유아들로 하여금 놀이에 대한 즐거움을 만끽하게 하였고, 새로운 놀이로의 확장을 가능케 하였다. 한편 B유치원 유아들은 놀잇감의 변신, 놀이 주제의 리좀적 생산을 통해 늘 똑같은 놀잇감과 변화없는 물리적 환경에서 차이를 생성해 내며 새로운 놀이환경으로 변신시키며 즐기고 있었다. 매일 똑같은 놀잇감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놀더라도 유아들은 놀이역할 바꾸기, 놀이주제 변형하기, 놀이참여자의 변화 등의 다양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새로운 차이를 만들어 내는 등 자율적인 놀이 창조자의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유아들의 창조적 놀이역량은 환경의 구조나 조직 특성과 상관없이 나타나고 있었고, 이러한 유아의 모습은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놀이자로서의 유아의 모습을 반영하는 만큼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이자정(Ja-Jung Lee),김경숙(Kyung Sook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G시 및 J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유아교사 200명이었다.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전문성 지원환경, 놀이지원 실행은 유아교사가 직접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인적 배경(인적 특성, 보육경력, 학력)에 따라 놀이신념, 전문성 지원환경 및 놀이지원 실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중 긍정적 놀이신념은 놀이지원 실행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부정적 놀이신념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전문성 지원환경과 놀이지원실행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긍정적 놀이신념은 놀이지원 실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쩨,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이 긍정적 놀이신념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및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신뢰롭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인들을 통해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실행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their play support practic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city and J province. The play beliefs,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nd play support practices were evaluated directly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WIN 29.0.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lay beliefs,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nd play support practices based on their background(age, childcare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 working places).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play support practices, but their negative play beliefs di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lay support practices. In addition, their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y support practices.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nd positive play belief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play support practices. Fourth,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had relatively greater effect on teachers’ play support practices than the positive play beliefs di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more reliably understanding about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play support practic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could develop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practices by enhancing their play beliefs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 KCI등재

        만 5세반 유치원 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을 통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김태희,김미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2

        This action research examined the proc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mplementation of a play-oriented curriculum and its meaning that focused her practice on provision of play environment to support children’s play. For data collection a kindergarten teacher in C city, Korea worked with 17 five-year-old children, applying four-stage circulation process to her teaching which includes ‘plan-execution-observation-reflection’ process model developed by Kemmis and McTaggart(2005). Through this repetitive process, data from children’s play observation notes, play activity recordings and its transcribed materials, photo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teacher’s daily pla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s findings included three steps of the teacher’s practice. They were supporting a play environment led by children(first step), supporting a play environment that sustains children’s play(second step), and supporting a play that children can deviate from conventional play(third step). The analysis of data categorized the meanings of teacher’s practice into teacher’s support that the teacher and children both lead the play, teacher’s support that the teacher enjoy the play, and teacher’s support as a boundary between standards and autonomy.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based on teacher’s reflection and learning through her performance of teach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teachers of 5-year-old children to reflect on their practice and rethink of the direction of their implementation unde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본 연구는 만 5세 유치원 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을 통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실천과정과 그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에서 유아 교사가 가지고 있는 실천 고민을 해결해나가기 위한 실행연구이다. 이를 위해 충북 C시에 소재한 행복유치원 5세 초록반 담임교사가 17명의 유아와 함께 Kemmis와 McTaggart(2005)의 실행연구 모형을 활용하여 ‘계획-실행-관찰-반성’을 포함하는 4단계의 순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였다. 실행을 반복하면서 유아 놀이 관찰 기록, 놀이 활동 녹화 및 녹음자료, 사진 자료, 놀이 성찰 기록(반성적 저널), 놀이 계획안을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5세 초록반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을 통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실천은 유아 주도적인 놀이 환경 지원하기(1차실행), 유아의 놀이를 지속시키는 놀이 환경 지원하기(2차 실행), 익숙한 놀이에서 벗어나는 놀이 환경 지원하기(3차 실행)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실행과정을 통한 유아 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의 의미는 ‘교사와 유아가 함께 이끄는 놀이로서의 지원’, ‘교사가 즐거운 놀이로서의 지원’, ‘기준과 자율성과의 경계로서의지원’이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교사 실행과 그 의미를 통한 교사의 반성과 배움을 중심으로논의되었다. 첫째, 교사의 지원은 유아도 교사의 교육과정 실천을 지원하는 상호 호혜적인 지원을 이끈다는 것, 둘째, 교사의 고민과 딜레마는 놀이 안에서 유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과 상호 비례한다는 것, 셋째, 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의 실천은 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실천임과 동시에 교사 자신의 배움을 깨닫는 실천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면서 교사 지원의 역할을 고민하는 5세 유아 교사들이 자신의 실천을 되돌아보고 실행 방향을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환경동화에 기초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채영란,임성혜,박유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using environmental-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44 young children who attended a kindergarten in G cit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7.56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Dramatic play using environmental-fairy tales' whil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Discussion activity using environmental-fairy tales'. It used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Test' and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Test' in the collection of data an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ignificant effects of experimental treatment were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 the post-tests core of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In conclusion, the result soft his study suggested that dramatic play using environmental-fairy tales which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relatively effective to develop young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and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본 연구는 환경동화에 기초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태도 및 환경보전지식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4명으로 실험집단은 환경동화에 기초한 극놀이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환경동화에 기초한 자유토론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허윤정(2002)이 사용한 환경친화적태도 검사도구와 한태현(2001)이 제작한 환경보전지식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환경동화에 기초한 극놀이 활동이 자유토론활동을 실시한 집단보다 유아의 환경친화적태도와 환경보전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생태놀이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인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은우,최경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regular eco-play based on an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and to provid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for kindergarten.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is based on eco-play from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influences children's pro-environmental and environment-preservation attitudes. These are a subcategory of three-year-old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twenty children aged three at A kindergarten located in Eun-Pyung-Gu, Seoul. The children were exposed to eco-play based on an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once a week for ten weeks. The analysis tool for the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was CATES-PV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Preschool Ver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eco-play based on an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showed improvement in their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Second,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eco-play based on an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ir nature-friendly attitudes. Third,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eco-play based on an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ir environment conservation attitud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숲 방문을 통하여 생태놀이를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환경친화적인 태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은평구에 소재하는 A 유치원의 만 3세 유아 20명이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는 2012년 4월부터 10주간 진행되었으며 한 주에 한 가지씩 주제를 정하여 생태놀이를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사전검사, 프로그램 실시, 사후 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를 번역하여 유아들이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재구성하여 사전․ 사후 환경친화적인 태도를 측정하였고,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태놀이를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실시로 유아의 환경친화적인 태도가 향상되었으며, 유아의 환경친화적인 태도의 하위 영역인 자연친화적인 태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유아의 환경친화적인 태도의 하위 항목인 환경보전태도가 향상되었다

      • KCI등재

        가상 환경과 실제 환경의 병행 강화학습을 통한 실내 자율주행

        정유석(Yuseok Jeong),이창우(Chang Woo Lee) 한국산업정보학회 2021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6 No.4

        강화 학습을 통한 실내 자율주행을 위해 가상 환경과 실제 환경에서 학습을 병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환경에서만 학습을 진행했을 경우 80시간 정도의 소요 시간이 필요하지만, 실제 환경과 가상 환경을 병행하며 학습을 진행했을 경우 50시간의 소요 시간이 필요하다. 가상 환경과 실제 환경에서 학습을 병행하면서 빠른 학습으로 다양한 실험을 거쳐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내복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상 환경을 구성한 후 데스크톱으로 선행학습을 진행하였고 실제 환경에서의 학습은 Jetson Xavier를 기반으로 다양한 센서와 연결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또한, 실내복도 환경의 반복되는 텍스처에 따른 정확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도 벽의 아랫선을 강조하는 특징점 검출을 학습하여 복도 벽 객체를 판단하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학습을 진행할수록 실험 차량은 실내복도 환경에서 복도 중앙을 기준으로 주행하며 평균 70회의 조향 명령을 통해 움직인다. We propose a method that combines learning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a real environment for indoor autonomous driving through reinforcement learning. In case of learning only in the real environment, it takes about 80 hours, but in case of learning in both the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it takes 40 hour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optimized parameter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rough fast learning while learning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a real environment in parallel. After configuring a virtual environment using indoor hallway images, prior learning was carried out on the desktop, and learning in the real environment was conducted by connecting various sensors based on Jetson Xavier.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ccuracy problem according to the repeated texture of the indoor corridor environment,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rridor wall object and increase the accuracy by learning the feature point detection that emphasizes the lower line of the corridor wall. As the learning progresses, the experimental vehicle drives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rridor in an indoor corridor environment and moves through an average of 70 steering commands.

      • KCI등재후보

        실외놀이에서 유아의 물리적 환경 활용 실태와 실외놀이 내용에 대한 질적 연구

        이상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9 No.3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uses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outdoor play at educational agencies for young children by adopting qualitative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interviewed teachers in charge of four- and five-year-old classes at three kindergartens and two childcare centers of similar physical environments and size with respect to outdoor play, as well as observed young children at outdoor play. The children played outdoors around the given environment and discovered and applied the play materials needed for activiti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utilizing the physical environments in their own ways. In the process, diverse types of play emerged during outdoor play including role play and block play in addition to simple physical activities. The ecological activities performed outdoors made both th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the subjects of outdoor play.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for more diverse physical environments for outdoor play, the teacher's roles to promote and encourage the thoughts of young children as the organizers of play environments, and various outdoor activities to give the children experiences of nature.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와 관련하여 유아의 물리적 환경 활용실태와 실외놀이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외놀이를 위한 물리적 환경과 규모가 비슷한 유치원 3곳과 어린이집 2곳을 대상으로 만 4, 5세 유아들의 실외놀이 상황을 관찰하고, 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실외놀이시 고정놀이시설이나 교사가 제시한 환경을 활용하여 놀이를 진행했고, 유아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활동에 필요한 놀잇감을 발견하고 응용하며 유아 나름대로 물리적 환경을 활용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외놀이는 단순히 신체활동뿐 아니라 역할놀이나 블록놀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놀이가 나타났다. 또한,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산책활동과 생태활동은 유아, 교사 모두를 실외놀이의 주체로 만들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외놀이를 위한 다양한 물리적 환경마련, 놀이환경 구성자로서의 유아의 사고를 촉진하고 격려하는 교사의 역할 그리고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실외활동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