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울증으로 오진되었던 이차성 부신기능저하 : 증례 보고

        문덕수,강원섭,백종우,송지영,김종우,Moon, Duk-Soo,Kang, Won-Sub,Paik, Jong-Woo,Song, Ji-Young,Kim, Jong-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1 정신신체의학 Vol.19 No.2

        연구목적: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이상은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과 연관이 있으며, 우울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뇌하수체 기능저하 및 이차성 부신기능저하와 연관된 두통, 무의욕, 무기력, 정신운동 저하, 식욕 저하, 불면 및 걱정 등의 우울 증상을 주소로 정신과에 입원한 71세 남자 환자에 대해 증례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정신과 입원 후 두통, 불면, 불안 및 소화기 증상은 호전되었으나, 무기력감은 지속되었다. 퇴원 후 고열 및 의식 혼탁으로 감염내과에 재입원을 하였으며, 부신기능 저하소견을 동반한 범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진단되었고, 코티졸 투여로 전반적인 증상이 호전되었다. 뇌하수체 기능저하에 따른 갑상선 기능저하, 부신기능저하, 성장호르몬 저하 등은 무기력, 피곤, 불면, 체중 감소, 식욕 저하 등의 여러 가지 비특이적 증상들을 나타내고, 임상에서 이러한 비특이적 우울 증상을 가진 환자의 경우, 내분비 질환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다. The abnormalities in Hypothalamic-pituitary-adrenal(HPA) axis are associated with many psychiatric symptoms including depression. We present a report of a 71 year old man who was admitted to the psychiatric department presenting symptoms of headache, avolition, loss of energy, psychomotor retardation, poor appetite, insomnia, anxiety resulting from adrenal insufficiency and hypopituitarism. Hypothyroidism and electrolyte disturbance were managed and headache, insomnia, anxiety, GI symptoms were improved. But he remained in anergic state. After discharge, he was readmitted to infection department with high fever and drowsy mentality. Adrenal insufficiency was recognized and he was treated with corticosteroid replacement therapy. Finally his diagnosis was made as panhypopituitarism and overall symptoms were resolved. In this case, we showed how the atypical symptoms resulting from hypopituitarism develop and progress. Hypothyroidism, adrenal insufficiency, and growth hormone deficiency resulting secondarily from panhypopituitarism were associated with various nonspecific symptoms such as loss of energy, fatigue, insomnia, weight loss, decreased appetite etc. In clinical situation, differential diagnosis with depression is needed when clinicians were met a patient with these nonspecific symptoms. It is important that laboratory tests and differential diagnosis with endocrine diseases should be conducted, especially in geriatric patients with nonspecific symptoms like anergia, fatigue, poor appetite and so on.

      • KCI등재후보

        내분비 ; 한국인에서 sunitinib 치료 후 발생한 갑상선기능저하의 특성

        안화영 ( Hwa Young Ahn ),이은경 ( Eun Kyung Lee ),최훈성 ( Hoon Sung Choi ),이은정 ( Eun Jung Lee ),이유진 ( You Jin Lee ),김경원 ( Kyung Won Kim ),이세훈 ( Se Hoon Lee ),임석아 ( Seock Ah Im ),박영주 ( Young Joo Park ),박도준 ( D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1

        목적: Sunitinib 치료 후 발생하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은 흔한 부작용이다. 발병 기전으로 sunitinib에 의한 파괴성 갑상선염, 갑상선으로의 요오드 운반 억제, 갑상선호르몬 합성과정의 억제 등이 제시되었다. 이는 요오드 섭취 정도에 따라서도 sunitinib에 의한 갑상선기능이상의 발생률이나 임상적 특성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오드 풍부 지역의 하나인 한국인에서 sunitinib 투여로 인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생률 및 특성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sunitinib을 투약했던 환자 중 sunitinib 치료 기간 혹은 후에 갑상선호르몬을 측정한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3명은 sunitinib 투여 기간 혹은 후에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의심할 수 있는 임상상을 보여 갑상선호르몬을 측정하였고, 12명은 임상상에 관계없이 추적관찰 위해 sunitinib 치료 기간 동안 갑상선호르몬을 측정하였다. 결과: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의심할 수 있는 임상상을 보여 갑상선호르몬을 측정한 13명에서는 모두 갑상선기능저하증 소견을 보였으며(현성 9명, 무증상 4명), 임상상에 관계없이 sunitinib 투여 기간 중 갑상선호르몬을 측정한 12명에서는 6명이 갑상선기능저하증 소견을 보였고(현성 2명, 무증상 4명), 2명이 갑상선중독증 소견을 보였다. 19명의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들을 현성과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나누어 비교해 본 결과 갑상선자극호르몬 상승이 발견된 시기가 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들에서 유의하게 늦게 나타났고(44.5 대. 14.8주, p<0.05), sunitinib 누적 투여량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8050±3211 대. 3718±1961 mg, p<0.05). 19명의 환자에서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치와 갑상선자극호르몬 상승시까지의 sunitinib 투여 기간 및 투여 누적량 사이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Sunitinib 투여 후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생률은 50% 이상일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다른 지역에서 시행된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요오드 섭취 정도가 sunitinib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 발병에 영향을 준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결과를 보였다. 갑상선 기능저하증 정도는 sunitinib 투여기간 및 용량에 비례하였다.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해 정확한 발생률 및 요오드 섭취에 의한 영향을 평가해 보는 것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Aims: Hypothyroidism is a common side effect induced by sunitinib. Studies have suggested that sunitinib induces destructive thyroiditis or inhibits iodine uptake by the thyroid or anti-thyroid peroxidase activity. Therefore, the amount of iodine intake will also influence th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ypothyroidism after sunitinib treatment. We evaluat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ypothyroidism after sunitinib treatment in Korea, an area where iodine is abundant. Methods: Between November 2005 and July 2007, 25 patients who had thyroid hormone levels measured during or after sunitinib treatment were included. Of the 25 patients, 13 had thyroid function tests (TFT) because they had symptoms suggesting hypothyroidism and 12 underwent TFT independent of symptoms for screening. Results: All 13 patients who had symptoms suggesting hypothyroidism were hypothyroid (9 overt, 4 subclinical), 6 of 12 patients who had TFT independent of symptoms were hypothyroid (2 overt, 4 subclinical), and two had thyrotoxicosis. Of the 19 hypothyroid patients, the 11 overt hypothyroid patients took longer for a diagnosis of TSH elevation (44.5 vs. 14.8 weeks, p<0.05) and had a greater cumulative sunitinib dose (8050±3211 vs. 3718±1961 mg, p<0.05) compared with the subclinically hypothyroid patients. At the point of detecting TSH elevation, the TSH level correlated with the period and cumulative dose of sunitinib. Conclusions: The anticipated incidence of sunitinib-induced hypothyroidism is more than 50%.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performed in other areas, the iodine intake did not affect the incidence of sunitinib-induced hypothyroidism. (Korean J Med 76:37-43, 2009)

      • KCI등재후보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과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및관상동맥석회화점수와의 연관성

        조성경,고현민,문진숙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Background: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ubclinical hypothyroidism (SCH) and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AC). This study investigated this association in patien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15. Serum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level, free thyroxine level, and the CAC score (CACS) 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euthyroid and SCH groups. An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d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atient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serum TSH levels (serum TSH level <4.0, 4.0–10, and >10 μIU/mL), and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linical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TSH level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atients with CACS=0 were classified into the non-calcification group, and those with CACS >0 were classified into the calcification group. The odds ratios of SCH to CAC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erum TSH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he risk of obesity, diabetes, and high triglyceride levels (>150 mg/d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H group. Moreover, the SCH group with TSH levels >10 μIU/mL showed a significant risk of CAC (odds ratio, 3.18; 95% confidence interval, 1.10–9.21). Conclusion: SCH with TSH levels >10 μIU/mL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CACS. 연구배경: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과 관상동맥 석회화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그 결과 또한 논란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과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 및 관상동맥석회화 점수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위해 일개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혈청 갑상선 기능검사와 MDCT를 시행한 성인 5,3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TSH 농도에 따라 정상갑상선기능군과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군으로 분류하였고 두 군의일반적인 특성 및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 T 검정, chi-square 검정을 사용했다. TSH 농도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어(0.4≤TSH<4.0,4.0–10, >10 µIU/mL) 임상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하였다. 혈중 TSH 및 Free T4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후 편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MDCT를 통해 계산하여 0인 경우 비석회화군, 0을 초과하는 경우를 석회화군으로 분류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상동맥석회화에 대한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교차비를 분석하였다. TSH 농도에 따른 세 군들에서의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의 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하였다. 결과: 혈중 TSH는 심혈관계 관련 인자인 BMI, 허리둘레, HDL-C, 중성지방과 유의한상관관계를가지며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군에서 비만, 당뇨병, 중성지방이 150 mg/dL 이상일 위험도가 유의하게높았다. 또한 TSH 농도가 10 µIU/mL 이상인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군은 연령을 포함한 모든 변수를 통제한 후 교차비가 3.18 (95%confidence interval, 1.10–9.21)로 관상동맥석회화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혈중 TSH가 10 µIU/mL 이상인 중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은 관상동맥석회화점수와 독립적으로 연관성이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갑상선기능저하와 만성 신질환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 자료를 바탕으로

        장석영,양예슬,윤준영,윤재문,배우경,김춘영,김주영,이기헌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Background: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yroid and kidney functions, especially the high prevalence of hypothyroidism in chronic kidney disea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hypothyroidism on kidney function in Korean adults by using data from a representative nationwide survey.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composed of 5,250 individuals aged ≥19 years who were enrolled i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patients with euthyroidism, subclinical hypothyroidism, and overt hypothyroidism according to thyroid function. Chronic kidney disease was defined as having a decrease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of <60 mL/min/1.73 m2.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adjusted odds ratio (aOR) of chronic kidney disease. Results: Compared with the euthyroidism group, the subclinical and overt hypothyroidism groups showed higher prevalence rates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both sexes. This tendency was significant in the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ubclinical hypothyroidism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djusted odds ratio [aOR], 1.78; 95% confidence interval [CI], 0.82–3.87) from the euthyroidism group. In the overt hypothyroidism group, the aOR of chronic kidney dis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aOR, 5.90; 95% CI, 1.73–20.15) than that in the euthyroidism group. Conclusion: Overt hypothyroidism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eGFR and may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hronic kidney disease. 연구배경: 갑상선과 신장은 체내 여러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장기로, 갑상선기능과 신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 만성 신질환에서 갑상선기능저하의 높은 유병률이 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인구표본의 대표성이 확보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갑상선기능저하에 따른 사구체여과율을 분석함으로써, 만성 신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하여 갑상선 검사를 받은 만 19세 이상 성인 중, 갑상선질환 치료 중이거나, 갑상선기능항진, 중추성 갑상선기능저하, 비갑상선 질환 등이 고려되는 대상자를 제외한 5,250명을 분석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 사구체여과율 60 mL/min/1.73 m2 미만일 경우 만성 신질환으로 정의되었다. 대상자를 정상군,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군, 명백한 갑상선기능저하군으로 나누어 성별, 연령대별 만성 신질환 유병률을 분석하였고,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만성 신질환의 보정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단변량 분석 결과, 남녀 모두와 특히 65세 이상 노년층에서, 갑상선기능이 저하될수록 만성 신질환의 유병률은 높게 나타났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군은 정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adjusted odds ratio [aOR], 1.78; 95% confidence interval [CI], 0.82–3.87). 명백한 갑상선기능저하군은 정상군에 비해 5.90배 높은 만성 신질환의 보정교차비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aOR, 5.90; 95% CI, 1.73–20.15). 결론: 명백한 갑상선기능저하는 신기능저하와 관련이 있으며, 만성 신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고려될수 있다.

      • KCI등재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 환아의 구강내 증상에 관한 증례보고

        이종갑,최병재,이제호,장지영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3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혈장내 칼슘 농도에 반응해 분비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이에 반해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부갑상선의 기능은 정상이나 뇨세관과 파골세포등의 말단기관들이 부갑상선 호르몬에 반응하지 않는 질환이며,원인은 이들 호르몬이 결합하는 수용성 성분인 Guanin protein을 결정하는 GS gene의 돌연변이에 의한다.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평균8-9세에 발병하며 대부분이 20세 이전에 호발하게 되는데,이 질환에 이환된 경우 특징적으로 뇌,호르몬 기관,연골세포등에 존재하는 GS gene의 돌연변이로 인해 성장 및 발육부전,둥근 얼굴,비만,허리만곡증,외골증등이 생기며,조기 골단 폐쇄로 인한 중수골 및 중족골의 왜소증이 나타난다.그리고 공통적으로 갑상선 자극 호르몬,생식 호르몬,glucagon등의 다수 호르몬에 대해서도 반응하지 않는다. 이들의 치과적 특징은,법량질의 형성부전과 맹출 지연이 가장 일반적이고 치배의 무형성,치배결손,짧고 이형성된 치근과 넓어진 치수강,왜소치,치수내 석회화,부정교합 등도 자주 보고되고 있다. 가상부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진단된 본 증례 환아의 구강내 소견으로는 전반적으로 짧고 미발육된 영구치 치근과 소구치 및 대구치의 맹출 지연과 미맹출,제 1,2 소구치와 제 2 대구치이 형성 부전양상이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가상부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는 바이다. Hypoparathyroidism has abnomally decreased secretion of parathyroid hormon which responds to the blood calcium level.Whereas, Pseudohypoparathyroidism has normal activity of thyroid hormon,but end-organs,such as uninary tract and osteocalst,do not respond to parathyroid hormon.The cause of this disease is due to the mutation of Guanine stimulating(Gs)protein regulating Gs gene,which is the receptor to this hormon. Pseudohypoparathyroidism is usually noted before 20 years old average of 8-9 years old.The clinical features of this disease includes delayed growth and development,round face,obesity,soft tissue calcification,ectopic ossification,shortening of metacarpals and metatarsals by epiphyseal closure in advance of age. The mutation of Gs gene which are found in brain,endocrine organs,and chondrocytes is the cause of those features. Reaction to Glucagon,gonadal hormon,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 is not expected in both cases. The common dental manifestations include enamel hypoplasia,delayed eruption,agenesis of tooth,hypodotia,dysplastic short roots,widened pulpal space,microdontia,intrapulpal calcification,and malocclusion are also often reported. This case which is diagnosed to Pseudohypoparathyroidism showed short and under developed root of permanent teeth,delayed eruption,and non-eruption of premolars and molars.And morphogenesis imperfecta of first and second premolars were also found.

      • KCI등재

        근감소증 성인의 신체 기능 분석

        김명철,김해인,박상웅,조일훈,유원종 대한통합의학회 2020 대한통합의학회지 Vol.8 No.2

        Purpose : This study used a sarcopenia diagnostic algorithm proposed by the Asia working group in adults over 50 to diagnose sarcopenia and analyze body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arcopenia. Methods : We performed a diagnostic evaluation of sarcopenia in 97 adults over the age age of 50 years with the cooperation of the Seongnam senior experience complex in Seongnam-si,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diagnostic process, 24 subjects were placed into the sarcopenia group, while 73 subjects were placed into the normal group. We measured each subject’s body, performed the timed up and go test to evaluate functional mobility,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the pre-symptom of locomotive syndrome and locomotive syndrome.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weight, and skeletal muscle mas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d up and go test, which confirmed the difference in functional mo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roportion and the mean score of subjects with pre-symptom of locomotive syndrome and locomotive syndrome. In the correlation analysis, grip str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ight, weight, skeletal muscle mass, waist circumference, timed up and go test, pre-symptom of locomotive syndrome and locomotive syndrome. Gait spee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imed up and go test and locomotive syndrome.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index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ight, weight,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nd the pre-symptom of locomotive syndrome. Conclusion : In conclusion, sarcopenia is closely related to height, weight, skeletal muscle mass and functional mobility, as well as the pre-symptom of locomotive syndrome and, locomotive syndrom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arcopenia should be made accordingly. 목적 :이 연구는 50 세 이상의 성인에서 아시아 근감소증 평가위원회가 제안한 근감소증 진단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근감소증을 진단하고 신체 기능을 분석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근감소증의 관리 및 예방을 위한 기본 데이터를 마련하는 것이다. 방법 : 97명의 성인 중 근감소증의 진단 평가를 수행하였고 24 명은 근감소증 그룹으로 진단되었고 73 명은 정상인 그룹으로 진단되었다. 피험자의 신체를 측정하고, 기능적 이동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어서서 걷기 검사를 수행했으며, 운동기능저하증후군 전조 증상 및 위험도 평가에 대한 설문지를 실시했다. 결과 : 두 그룹 간에 키, 체중 및 골격근 질량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일어서서 걷기 검사 측정 시간과 운동기능저하증후군 전조 증상 및 위험도의 비율과 평균 점수에서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악력은 키, 체중, 골격근 질량, 허리 둘레, 일어서서 걷기 검사, 운동기능저하증후군 전조 증상 및 위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보행 속도는 일어서서 걷기 검사 및 운동기능저하증후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지골격근량은 키, 몸무게,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운동기능저하증후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근감소증은 키, 체중, 골격근 질량 및 기능적 이동성, 운동기능저하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근감소증의 예방과 관리가 이루어져야한다.

      • KCI등재후보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수면 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관련성

        이혁주,이정석,김태,윤인영,Lee, Hyuk Joo,Lee, Jung Suk,Kim, Tae,Yoon, In-Young 대한수면의학회 2014 수면·정신생리 Vol.21 No.1

        목 적: 노인성 우울증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동반은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장애가 인지기능 저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치매 등의 인지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수면 및 기분,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 않은 282명의 65세 이상 노인으로 하였다. 우울증의 평가를 위해 노인성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를 평가하였으며 GDS 점수에 따라 10점 미만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10점 이상 17점 미만을 경도 우울증군, 17점 이상을 중증도 우울증군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1회의 야간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객관적인 수면지표를 얻었고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를 평가하여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CERAD-K 신경심리검사를 통하여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결 과: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연령, 성별, 내과적 질환 여부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연한은 대조군에 비해 중증도 우울증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15). 수면다원검사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를 통하여 얻어진 수면지표들 중 REM수면시간, 무호흡-저호흡 지수, 산소 탈포화 지수, PSQI 점수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모든 p<0.05). 신경인지기능검사 결과에서는 단어목록재인검사, 스트룹 색깔 및 단어검사, 벤톤 시각 기억 검사-A, 길 만들기 검사-B에서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모든 p<0.05). 우울증군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 간에 상호 인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 간에 상호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수면무호흡증을 제외한 수면장애는 인지기능 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령화에 따른 수면장애 및 수면구조의 변화와 연령, 교육 수준 등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인 인구에서의 수면장애의 높은 유병률과 잠재적으로 인지기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고려할 때 후속 연구를 통한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Objectives: Depression, sleep complaints and cognitive impairments are commonly observed in the elderly. Elderly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have been found to show both poor cognitive performances and sleep disturbanc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complaints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elderly depression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s and cognitive decline in late-life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282 elderly people who underwent nocturnal polysomnography in a sleep laboratory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y developed by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was applied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with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was measured using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Results: The control group ($GDS{\leq}9$) when compared with mild ($10{\leq}GDS{\leq}16$) and severe ($17{\leq}GDS$) depression group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scores in the Trail making test part B (TMT-B),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part A (BVRT-A), and Stroop color and word test (SCWT)(all tests p<0.05). The PSQI score, REM sleep duration, apnea-hypopnea index and oxygen desaturation ind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hree groups (all indices, p<0.05).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educational level, age and GDS score were predictive for both TMT-B time (adjusted $R^2$=35.6%, p<0.001) and BVRT-A score (adjusted $R^2$=28.3%, p<0.001). SCWT score was predicted by educational level, age, apnea-hypopnea index (AHI) and GDS score (adjusted $R^2$=20.6%, p<0.001). Poor sleep quality and sleep structure alterations observed in depress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deterioration. Conclusion: Older adults with depressive symptoms showed mild sleep alterations and poor cognitive performances. However, we found no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s (except sleep apnea) and cognitive difficulties in elderly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It is possible that the impact of sleep disruptions on cognitive abilities was hindered by the confounding effect of age, educ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국소 진행된 두경부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후 갑상샘기능저하증

        이정은,김재철,예지원,박인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2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incidence of hypothyroidism in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radiotherapy (RT) either with or without neck dis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5, 115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and who received definitive RT or postoperative RT including standard anterior low-neck field were recruited to be part of this study. Nineteen patients had undergone ipsilateral neck dissection, whereas, 18 patients underwent bilateral neck dissection, and 78 patients were received RT alone. Patients' ages ranged from 28 to 85 years (median, 59 years) and there were a total of 73 male and 42 female patients. The primary tumor sites were the oral cavity, oropharynx, hypopharynx, larynx, and other sites in 18, 40, 28, 22 and 7 patients, respectively. Radiation dose to the thyroid gland ranged from 44 Gy to 66 Gy with a median dose of 50 Gy. Follow-up time ranged from 2 to 91 months, with a median of 29 months. Results: The 1- and 3- year incidence of hypothyroidism was 28.7% (33 patients) and 33.0% (38 patients), respectively. The median time to detection of hypothyroidism was 8.5 months (range, 0 to 36 months). A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neck node dissection was a risk factor for hypothyroidism (p=0.037). However, no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of a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Patients treated for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with radiotherapy with or without neck dissection will develop hypothyroidism. It is important to check the thyroid function periodically in these patientsespecially with the risk factor of neck node dissection. 목 적: 국소 진행된 두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를 포함한 근치적 치료 후 갑상샘기능저하증의 발생률을 분석하고자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국소 진행된 두경부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중 수술로 갑상샘을 절제하지 않았고, 방사선치료 전 갑상샘 기능이 정상이며, 하부 경부림프절이 방사선치료 범위에 포함된 1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중앙연령은 59세(28∼85세)이고 남자 73명, 여자 42명이었다. 원발병소의 위치는 구강, 구인두, 하인두, 후두, 그 외가 각각 18, 40, 28, 22, 7명이었으며, 편측 경부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19명(16.5%), 양측 경부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18명(15.7%), 방사선치료만을 시행한 환자가 78명(67.8%)이었다. 방사선치료는 6-MV X-ray를 사용하였으며, 통상 분할 조사법에 의해 하루 1.8∼2 Gy 씩, 주 5회 조사하였다. 원발병소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중앙값 70.2 Gy (59.4∼79.4 Gy)이었으며, 하부 경부림프절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중앙값 50.0 Gy (44.0∼66.0 Gy)이었다. 추적관찰기간은 2∼91개월이었으며, 중앙값은 29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115명 환자 중에서 38명(33.0%)의 환자에서 갑상샘기능저하증이 관찰되었다. 전체 환자의 1년, 3년의 갑상샘기능저하증 발생률은 각각 28.7% (33명), 33.0% (38명)이었으며, 갑상샘기능저하증 발생시기의 중앙값은 8.5개월(0∼36개월)이다. 갑상샘기능저하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단변량분석결과 경부절제술 여부가 위험인자로 분석되었으나, 다변량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 인자는 없었다. 결 론: 두경부 종양환자의 방사선치료를 포함한 근치적 치료 후 갑상샘기능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이 1년 이내 발생하므로 치료 후 갑상샘기능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경부 림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더욱 주의하여 갑상샘기능저하증의 발생을 확인해야 한다.

      • KCI등재

        인지기능 저하 장기 예측요인의 성별 차이

        김영주 ( Young-joo Kim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4 여성경제연구 Vol.21 No.1

        우리나라 45세 이상 중고령자의 건강 상태, 사회경제적 요인 및 행위 요인들로부터 미래의 인지기능 저하 위험군을 판별하기 위한 장기 예측요인을 추정하고자 한다. 인지기능이 정상인 집단에서 10년 후에 측정한 인지기능 점수에 따라 인지기능 저하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분류하고, 개인의 여러 특성들을 동시에 고려했을 때 어떠한 요인이 남성과 여성의 인지기능 저하 장기예측력을 가지는지 기계학습법인 Lasso를 이용하여 선별하고, 선별된 요인이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한계효과를 Logit regression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선별된 요인 중 연령, 교육 수준 등 불변하는 요인 외에 여성은 심혈관질환, 악력, 과거 흡연 등이 주요 예측요인으로 추정되었으며, 남성은 어머니의 생존, 결혼생활, 경제활동과 과거 흡연이 주요 예측 변수로 나타났다. 경제활동 참여에 따른 예측요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심혈관 질환 등 건강관련 변수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남성과 여성에서 주요 장기 예측요인으로 추정되었다. 반면에, 경제활동에 참여한 여성과 남성은 어머니의 생존, 결혼생활, 악력이 주요 예측요인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의 한계효과가 경제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성별과 경제활동에 참여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예측요인의 한계효과는 어머니의 생존, 결혼생활, 악력, 심혈관질환, 과거 흡연으로 대표되는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건강지표 등이 인지기능 저하 위험군을 판별하는 장기 예측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long-term risk predictors of cognitive decline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focusing on how predictors are different across men and women. Applying the Lasso methods, a standard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the 10-year longitudinal data that follows individuals who were initially healthy in cognitive functio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of Koreans, we aim to select only relevant risk predictors among an extensive se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cover socio-demographic factors, economic status and activities, health status, and behavioral factors. We find heterogeneity in selected risk factors across men and women except for age and education level. For men, marital status, parental living status, and employment activities, among others, are estimated to predict cognitive decline. For women, handgrip strength, smok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re estimated to affect the risk of cognitive decline. When the sample is stratified by employment activities, we also find heterogeneity in predictors across men and women. The long-term risk predictors for non-employed men and women are health-related factors. In contrast, marital status/parental living status and handgrip strength are key risk predictors for employed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e findings are useful or classifying the risk group of cognitive decline at an early stage through selected risk predictors and for developing cognitive decline preventive programs that target the most vulnerable group at risk.

      • KCI등재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자기돌봄과 영향요인 탐색

        이연호 ( Younho Lee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논문은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치매 예방과 삶의 통제력 확보를 위해 자기돌봄의 특성과 자기돌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총 1,432명의 인지기능저하 노인 특성을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 관계적, 경제적, 건강 및 기능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자기돌봄의 영향요인을 서열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자기돌봄 특성과 자기돌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인지기능저하 노인들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관련하여 성별, 최종학력, 근로유무, 거주지역, 모임참여횟수가 자기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및 기능관련 변인에서는 통증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어려움과 우울증 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저하 노인 집단의 퇴화 또는 노쇄 속도를 늦추기 위해 자기돌봄 특성과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정책과 자기돌봄 지원 서비스 및 프로그램 설계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lf-care behavior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self-c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432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presente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were classified into demographic, socioeconomic, relational, health and functional factors using the 8th Aging Research Panel Surve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characteristics of self-care and factors affecting self-care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gender, final education, working status, residential area,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social clubs affect self-care. In health and functional factors, it was found that difficulties in daily life due to pain and the presence of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lf-care and factors affecting it in the elderly care policy to slow the rate of deterioration or labor reduction of the elderly group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