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기혼여성 경제활동참가 여부의 설명요인

        민세진 ( Se Jin Mi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4 여성경제연구 Vol.11 No.1

        한국 여성의 낮은 고용률의 일차적 원인은 결혼을 전후로 급격히 하락하는 경제활동참가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헤크만의 선택모형을 이용해 한국 기혼여성의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을 설명하면서, 특히 부모의 교육수준이나 본인의 출신대학 수준과 같이 기존에 고려되지 않은 개인적 특성을 포함한다. 그 결과 20대 기혼여성에게는 교육연수나 출신대학 수준이 경제활동참가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딸인 기혼여성 본인의 경제활동참가가 늘어났다. 30대의 경우 교육연수가 많을수록 경제활동참가 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상위 40위권의 대학 출신자인 경우에는 경제활동참가 확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0대에서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활동참가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대별로 본인의 교육수준 및 출신대학의 수준, 부모의 교육수준이 의중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determinant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he married woman, including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the rank of the university from which the woman graduated. It turned out that the mother’s education level has the positive impact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he daughters in their 20s. If a married woman in her 30s graduated from one of the top 40 universities, her labor force participation probability i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er 40s, a woman tends to participate the labor force less as the educational level of her mothers is higher.

      • KCI등재

        기획논문 :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역할간 대립이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조인숙 ( In Sook Cho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1 여성경제연구 Vol.8 No.1

        이 논문은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에서의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역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이 논문은 패널자료 분석기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횡단면자료 분석의 한계점으로 인식되던 건강변수와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변수간의 역 인과관계에 따른 오류에 대한 우려를 극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교육수준과 취업 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여성 건강의 주요한 결정요인임을 보여준다. 배우자의 존재여부와 자녀양육 여부는 여성의 신체적 건강상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의 생활에 대한 만족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생활에 대한 만족감이 다른 여성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 여성들이 일과 양육의 양립이라는 대립되는 역할의 수행으로부터의 스트레스에서 자유롭지 않음을 시사한다.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women`s health.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how playing different roles at home and at work affects women`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The use of a panel data set allows avoiding potential bias due to endogeneity between unobservable individual health factors and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when estimating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paper show that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women`s health. This paper also illustrates that cohabitation with a marital partner or being a mother d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omen`s psychological health, while they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women`s physical health. Moreover, the empirical evidence of this paper suggests that working mothers experience poorer psychological health status, while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physical health status between working mothers and stay-at-home mothers. This finding implies that conflicts between women`s responsibilities as a mother and those as an employee roles do harm on women`s psychological health.

      • KCI등재

        정책논문 : 젠더와 대안 경제: 여성주의 경제론과 현실 적용 가능성

        홍태희 ( Tae Hee Ho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1 여성경제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여성주의 경제의 이념을 소개하고 이를 현실에 적응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현재 활발히 진행되는 대안 경제 운동을 살펴보고 기존의 경제학과 경제운영 방식을 발전시킬 실마리를 마련한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여성주의 및 경제 대안 경제의 관점을 살펴보고 기존의 경제학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다음으로, 여성주의 경제의 적용 가능성을 연대경제, 공정무역, 마켓페미니즘, 소액대출제도 등의 대안 경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대안 경제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deas of feminist economy and their applicability in the real world. The aim of the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economy in the feminist economy. The study consists of three parties. First, it analyzes the feminist perspective of the economy. Next, mainstream economy and feminist economy are compar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economy, solidarity economy, fair trade, market feminism, micro credit and social enterprises are the target to investigate.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feminist economy.

      • KCI등재

        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 결정요인 연구

        이은형,유재경 한국여성경제학회 2019 여성경제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조직내 여성의 고위층 진출에 필수적인 요소로 ‘경력열망’ 즉 스스로 자신의 경력을 발전시키고 높은 직위로 승진하고자 하는 동기에 주목하고 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관리자패널조사 6차년도(2016) 자료를 사용해 여성관리자 1,384명을 대상으로 최고경영자와 직속 상사의 양성평등적 인식과 행 동, 그리고 여성관리자의 가정후원적 조직인식이 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 족의 영향 및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최고경영자가 여성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할수록, 직속상사가 성평등적으로 행 동할수록, 여성관리자의 조직인식이 가정후원적일수록 여성관리자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고경영자가 여성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할수록 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이 높아졌 지만, 직속상사의 양성평등적 행동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가정후원적 조직인식 은 여성관리자의 경력열망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최고경영자의 양성평등적 인식 과 여성관리자의 가정후원적 조직인식이 경력열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직무만족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female managers' career aspirations, the desire to develop their own capabilities and to promote themselves to senior executive roles, since it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factor in women's advancement in the organization. Using the data published by KWDI in 2016,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female managers’ career aspirations focusing on three factors such as gender-related behavior of CEOs and their immediate superiors, and the FSOP(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 perception) of female managers. This paper also tries to examine the impact of three factors described previously on female managers’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mediated effect of job satisfaction. First, this paper finds that the more CEO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emale talent, the fairer the immediate supervisors behave regarding gender-equality, and the more female managers perceive their organizations are family supportive, the higher the female managers’ job satisfaction is. Second, the more the CEO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emale talent, the higher the career aspirations of female managers, but the immediate supervisors behavior on gender equa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Also, FSOP is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 on female managers' career aspirations. Finally, the job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is found to have mediated effect of CEOs behavior and FSOP.

      • KCI등재

        2000년 이후 기혼여성의 노동공급탄력성 변화 연구

        정성미 한국여성경제학회 2019 여성경제연구 Vol.16 No.2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4th(2001)~19th(2016) of the Korean Labor Income Panel Data to estimate labor supply elasticity of wages for married women. In particular, the predicted wages of unemployed women were estimated by considering not only wage workers but also self-employed people in the model for adjusting the self-selection bias, and the predicted wages were supplemented by imput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lasticity of women's wages has been decreasing since early 2000. The reduction in own wage elasticity before the financial crisis has become even more apparent as it has decreased from 1.98 in 2005~2008 to 0.7 in 2013~2016. In particular, given the self-employment of women, the elasticity was estimated to be smaller, indicating that the labor market is more routinely engaged. And the absolute value of labor supply elasticity for spouse income ha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dicating that women's labor supply is less sensitive to changes in spouse's income.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pouse income divided by low income, middle income and high income, the labor supply elasticity of own wage has decreased regardless of spouse's income level. The change in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since 2000 seems to be the result of women's own choices rather than the change in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to preserve their income in households.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4차(2001년)~19차(2016년) 자료를 이용하여 기혼여성의 임금에 대한 노동공급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이때 미취업 여성의 빈 임금정보는 선택편의를 교정하여 추정한 후 대체(imputation)해주어 미관측 유보임금 정보를 보완하였다. 특히 선택편의를 교정하는 모형 에서 임금근로자뿐만 아니라 자영업자를 포함하여 미취업 여성의 예측임금을 추정하였다. 분석결 과 기혼여성 자신의 임금에 대한 탄력성은 2000년 초반 이후 추세적 감소를 하고 있으며, 금융위 기 이전인 2005~2008년 1.98에서 위기 이후인 2013~2016년 0.7로 줄어들어 감소 경향이 더 욱 뚜렷해졌다. 특히 여성 자영업을 고려할 경우 탄력성이 더 작게 추정되어 노동시장으로 좀 더 일상적 참여를 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그리고 배우자소득에 대한 노동공급탄력성의 절대값도 금 융위기 이후 크게 줄어들어 여성의 노동공급이 배우자 소득변화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자 소득을 저소득, 중간소득, 고소득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배우자의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기혼여성 자신의 임금에 대한 노동공급탄력성이 감소하고 있어 2000년 이후 기 혼여성의 노동공급변화는 가구 내 소득보전보다는 여성 자신의 선택에 의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는 현시점에서 선택편의를 교정 한 예측임금을 이용하여 임금근로자뿐만 아니라 자영업자까지 고려한 기혼여성의 노동공급행태를 분석한 논문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성별다양성과 기업성과

        성효용 ( Hyo Yong Su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2 여성경제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다양성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성고용과 기업성과 간의 연관성을 추정한 OLS와 2SLS 분석결과에서는 기업 내 여성고용비율과 기업성과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한편 적극적 고용개선조치가 기업 내여성고용증가 및 총자산순수익률(ROA), 매출액수익률(ROS), 자기자본순이익률(ROE)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차이(DD)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단순이중차이를 근거로 할 때 여성근로자비율, 여성관리자비율, 총자산순수익률 및 매출액수익률로 측정된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중차이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여성고용 효과는 불확정적이다.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다양성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성고용과 기업성과 간의 연관성을 추정한 OLS와 2SLS 분석결과에서는 기업 내 여성고용비율과 기업성과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한편 적극적 고용개선조치가 기업 내여성고용증가 및 총자산순수익률(ROA), 매출액수익률(ROS), 자기자본순이익률(ROE)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차이(DD)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단순이중차이를 근거로 할 때 여성근로자비율, 여성관리자비율, 총자산순수익률 및 매출액수익률로 측정된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효과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중차이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제도의 여성고용 효과는 불확정적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divers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Korea. The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are drawn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HCCP) for 2005, 2006, and 2009 a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It estimates if the proportions of women and female managers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even after controlling for numerous characteristics of the firm causality.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rtion of female managers has the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e difference-in-differences(DD) estimation results imply that affirmative action in its current format has not significantly raised either the number of women workers or the number of women managers; affirmative action has exerted no signific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either.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기혼가구의 노동공급 변화 요인

        윤자영 ( Ja Young Yoo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2 여성경제연구 Vol.9 No.1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가가 과거보다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가족 책임과 시장 노동을 병행하는 맞벌이 가구 체제가 일반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맞벌이 가구의 양적인증가 속에서 외환위기 이후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증가의 요인을 남성의 임금률의 변화와 관련지어 고찰해 보고자 시도했다. 1998~2007년 사이 여성 노동공급 변화를 남성 임금분위별로 분석했고 여성 노동공급 변화의 패턴을 가족 노동공급 모형의 추정을 통해 분석했다. 기혼남성과 여성의 노동공급에서 임금 효과와 소득 효과의 변화를 분석하여 남성과 여성의 노동공급 변화가 어느 정도로 자신 및 배우자의 경제적 요인과 비경제적 요인에 의해 설명되는지 규명했다. 분석 결과를 보면 기혼여성의 로그임금과 여성 노동공급의 정(+)의 관계가 최근시기로 올수록 강력해지고 있었다. 또한 배우자 소득의 음(-)의 영향력은 남성의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강하게 존재함을 보여주었지만, 소득효과에서 뚜렷한 변화가 존재한다는 증거는 없었다. 남편의 임금분위별로 임금효과와 소득효과가 다르게 나타나 저임금근로가구의 가족노동공급 의사결정방식이 중산층 이상 근로가구와 다름을 시사한다. Korea have undergone a change in employment regime favoring dual-earner couples. In this study, we try to examine what explains changes in family labor supply sinc the financial crisis. Using the Korean Labor Income Panel Study 1998~2007, we analyzed changes in patterns of male and female employment by male`s income distribution and estimated the simple model of family labor supply to separate out the wage and nonlabor effects. We find that the wage of married wome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labor supply, with its stronger effect for later years. Nonlabor income, including spousal income, have statistically negative effect on married women`s labor supply, with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year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se wage and nonlabor effects differ along the income distribution of the male spouse, with the implications that low-income family have different decision-making process on labor supply from the middle- and high-income family.

      • KCI등재

        기획논문 : 여성취업비율과 모의 연령별 출산율 간의 내생성 분석

        이종하 ( Jong Ha Lee ),황진영 ( Jin Young Hwa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2 여성경제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1981~2010년의 우리나라 시계열 자료를 이용해 여성취업비율과 모의 연령별 출산율 간의 내생적 관련성 및 장·단기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모의 연령은 주요 출산연령 구간인 20~39세를 5년 단위, 즉 20~24세, 25~29세, 30~34세 및 35~39세로 구분해 사용했다. 또한 본 연구는 이상의 2변수로 구성된 기본모형과 소득수준 및 여성실업률을 통제한 모형(통제모형)의 결과를 비교했다. 실증분석 결과 여성취업비율의 변동이 출산율 결엊에 미친 영향의 크기는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해 크게 추정됐다. 구체적으로 그 영향의 크기는 기본 모형의 추정결과에서 11.70&(20~24세)~41.6%(25~29세)로 나타났으며, 통제모형의 추정결과에서 13.69%(20~24세)~47.91%(30~34세)로 관측됐다. 또한 여성취업비율과 일부의 출산연령, 즉 25~29세와 30~34세 모의 연령층 출산율 간에는 장기적인 관계가 성립했으며, 인과관계 검정 결과 여성취업비율이 출산율에 미친 영향이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취업비율과 모의 연령별 출산율 간의 단기적인 영향은 모의 연령층에 관계없이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관측됐다. 이상의 결과는 출산장려정책이 여성의 연령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ndogenous relationship and casuality analysis between female employment rate and age-specific fertility rate using Korea data over the period 198~2010. We use 4 groups of maternal age-specific, that is, 20~24, 25~29, 30~34, and 35~39 fertility rate. In addition, we compare the results of two models, such as the basic model comprised the above two variables and an extended model controlled both income level and female unemployment.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act of the change in female employment rate on the determination of maternal age-specific fertility rate is larger than the reverse impact. Specifically, the impacts of the changes in female employment rate on the determinations of maternal age-specific fertility rate varies between 11.70%(20~24) and 41.06%(25~29) in the basic model: the corresponding figures in the extended model are 13.69%(20~24) and 47.91%(30~34). Further, it is established a long-run relationship exists between female employment rate and 2 groups of maternal age- specific, that is 25~29 an 30`34 fertility rate.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short-run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rate and maternal age-specific fertility provide little evidence. Based on the findings, we can infer that the efficacy of childbirth-encouraging policy will increase if we can differentiate the policy based on the age groups.

      • KCI등재

        일반논문 :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공급 결정요인 분석

        강혜정 ( Hye Jung Kang ),이규용 ( Kyu Yong Lee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2 여성경제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집합적 가구 노동공급 모형을 적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시장 참여여부와 시장노동 공급시간의 결정 요인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허들모형을 이용하여 시장노동 참여 여부 및 시장노동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모형 추정 시가사노동시간 변수의 내생성(endogeneity)을 해결하기 위해 2단계 추정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많을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은 감소하지만 일단 시장노동에 참여하면 연령이 높을수록 노동시간이 증가한 후 시간이 지나면 점차 감소한다. 둘째, 남편 소득이 많은 가구일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이 낮아 여성의 취업은 가구의 보완소득원로서 작용하고 있다. 셋째, 한국어 능력과 취업교육 참여 경험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과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넷째, 부인 취업에 대해 남편이 부정적일수록 여성결혼이민자의 시장노동 참여 확률 및 시장노동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해서는 남편의 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도시거주자 보다 농촌 거주자일수록 취업 및 창업 관련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되고 취업 확률도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work decisions and working hours of married immigrant female in the context of an intrahoushold decision process, in which the husband plays a role in his wife`s decision on labor supply, using a national survey data. This study employs a hurdle model,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Tobit model, which allow simultaneous estimation of the models determining participation decision and working hours. A two-step estimation procedure has been invented and used to resolve the endogeneity problems between housework hours and working hours. The results demonstrate work participation and working hour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a negative attitude of husband. Also, the probability of work participation decreased as husband`s income is higher. The probability of work participa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ment capability, implying job placement education and acquirement of nationality would lower employment barriers. The othe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family size also play important roles in participation decisions and working hours of immigrant female.

      • KCI등재

        결혼으로 인한 여성의 노동공급 변화 분석

        허은지 ( Eunjee Hur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5 여성경제연구 Vol.12 No.2

        오랜 기간 낮은 여성 고용률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낮은 수준에 정체되어 있는 여성의 고용률은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 원인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을필요로 한다. 본고에서는 여성의 노동 시장 이탈 요인으로 결혼을 고려해본다. 결혼은 여성의 노동공급여부와 역 인과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내생성 문제에 주의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이용하였다. 앞서 언급한 내생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도구변수 활용, 성향매칭방법 등 다양한 방법론을 이용하여 각 결과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성향점수매칭방법을 사용한 경우 유의하게 부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왔으나, 그 밖의 방법론들의 결과들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결혼이 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거나 없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whether marriage plays a pivotal role in female workers` withdrawing from the labor market. The key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tackle the endogeneity problem, that is, the reverse causality between female labor supply and marriage. For the purpose of addressing the endogeneity bias, various estimation methods, such as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re used. Although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estimation results yiel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ther estimation methods do not provid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efficients. In conclusion, marriage has limited or no effect on women`s labor sup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