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헤겔과 지젝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일규 ( Choi Ill-guy ) 한국헤겔학회 2016 헤겔연구 Vol.0 No.40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과 지젝의 중심개념인 `구체적 보편성`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이론적 측면에서 주체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젝은 헤겔의 주체 개념을 독자적으로 해석하며 까다로운 주체라고 규정한다. 그가 이렇게 파악하는 이유는 헤겔에게 주체는 무의식의 주체이며, 부정성과 주체 상실의 계기를 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헤겔은 코기토에서 세계의 밤으로 명명되는 광기의 과잉적 계기를 인식했으나, 자신의 3중성 철학 체계로 인해 주체가 가지는 정신분석학의 요소들을 제대로 평가하지도 못하고 학문적으로 밝히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젝은 특수성을 보편성과 필연적으로 결합시키며 파악하는 헤겔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독창적이라고 평가하지만, 헤겔이 특수성의 좌절로 인해 보편성이 등장하게 되는 역동적 구조를 제대로 밝히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왜냐하면 지젝에게 구체적 보편성은 특수한 것이 자기 자신과 관계 맺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특수한 자아, 특수한 문화, 특수한 국가가 자신의 특수성을 실현할 수 없는 좌절을 체험하는 순간에 보편성을 경험하게 되는 그러한 방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헤겔의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에 대한 지젝의 해석과 비판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함을 밝혀 개념으로서의 주체와 올바른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 과제를 위해서 본 논문은 첫째, 헤겔의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 개념에 대한 지젝의 해석을 해명하며, 둘째, 헤겔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젝 해석의 타당성과 의의를 점검하고 있다. 정신분석적 개념들을 매개로 헤겔 철학에 새로운 규범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지젝의 의도와 시도는 높이 평가될 수 있으나, 헤겔의 철학적 목표와 거리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Der vorliegende Aufsatz untersucht, die Bedeutung der konkreten Allgemeinheit in Zizeks und Hegels Philosophie aufzuhellen. Die Bedeutung der konkreten Allgemeinheit hat sowohl bei Zizek als auch bei Hegel sehr eng mit dem Begriff des Subjekts zu tun. Um zu vergleichen, wie Zizek Hegels Begriff des Subjekts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interpretiert und was Hegel eigentlich unter dem Begriff als Subjekt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versteht, gliedert sich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in zwei Kapitel. Im ersten Kapitel wird behandelt und gezeigt, dass Zizeks Kritik an Hegels System der Philosophie damit zu tun hat, dass Hegels Subjekt nach Zizeks Interpretation zwischen der konkreten Totalitat und der abstrakten Negativitat zwangsweise die abstrakte Negativitat auswahlt. Dadurch, dass Zizek unter Hegels Begriff des Subjekts die abstrakte Negativitat oder die Kontingenz hervorhebt, macht er einen Riss zwischen der ersten und zweiten Natur in Bezug auf Hegels System zum Thema. Die Allgemeinheit wird konkret oder fur sich dadurch, dass das Subjekt die abstrakte Negativitat auswahlt. Im zweite Kapitel wird uberpruft, ob Zizek Hegels Begriff des Subjekts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richtig versteht. Behauptet und gezeigt wird, dass Zizek den dialektischen Ubergang der Substanz zum Begriff des Begriffs nicht richtig versteht. Es ist wichtig aufzufassen, dass Hegel den Begriff des Begriff als Subjekt versteht. Es ist auch wichtig zu wissen, dass Hegel wegen der logischen Struktur der Begriffsmomente den Begriff des Begriffs fur Subjekt halt.

      • KCI등재

        고한승과 연성흠의 아동문학 연구-‘착함’에 내재된 의미를 중심으로-

        박주혜 한국아동문학학회 2023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4

        본 연구는 1920년대 ‘아동’ 표상을 만들고 있는 고한승과 연성흠의 아동문학을 살펴본다. 두 작가가 시대적으로 함께 조망하고 있는 ‘착함’의 지점과 그러한 ‘착함’이 각 작가의 작품 속 인물들의 내면세계에서 분열되는 모습을 살펴본다. 우선 1920년대 추상적 보편으로서의 ‘착함’은 인정·동정·공감으로 나타난다. 두 작가는 사회적으로 중요시되었던 가치를 아동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작가적 욕망에 충실하였다. 그 결과 1920년대 추상적 보편성으로서 아동 표상과 주제의식이 등장한다. 아동 인물들에게는 타인을 돕기 위한 나의 희생, 부려서는 안 되는 욕심, 어떠한 현실 속에서도 최선을 다함, 부당한 일을 당해도 참아야 하는 용기 등이 필요하다. 고한승 아동문학에 나타난 구체적 보편으로서의 ‘착함’을 살피기 위해 주목한 것은 ‘꽃’이다. 꽃은 주인공의 욕망 및 배신과 슬픔으로 치환된다. 착함의 결과가 좋은 의미로만 해석될 수 없으며, 타인을 위하는 선한 행동은 받아들이는 자의 관점에서 무조건 고맙거나 행복하지 않을 수 있다. 추상적 보편성으로서 ‘착함’의 가치가 당대 인물들과 관계를 맺으며, 내부로 분열되고 있는 양상을 드러낸다. 연성흠의 아동문학에 나타난 구체적 보편으로서의 ‘착함’에서 주목해보아야 하는 것은 주인공 아동 인물이 행한 ‘착함’의 결괏값이 ‘자본’으로 돌아온다는 것이다. 작품 속의 ‘착함’이 주인공의 주체성을 발휘하는 영역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점, 이러한 결과로 진정한 성장이 따라올 수 없다는 것도 중요하다. 이 지점은 추상적 보편성이 각 인물을 통해 구체적 보편성으로 등장하는 데 있어,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균열이다. 두 작가가 보여주고 있는 ‘추상적 보편성’으로서의 착함을 비교하고, ‘구체적 보편성’으로서의 착함을 대조함으로써 1920년대 아동문학을 바라보고 있는 특수한 시선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당대의 흐름을 받아들이지만, 그 자체로서만 작품들이 기능할 수는 없다는 점, 각 작가의 특성에 따라 ‘착함’은 재전유되고, 분열되면서 작품 속 아동 인물들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었다는 점은 유의미하게 살펴볼 수 있는 부분이다.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국어교육, 어떤 텍스트로 가르칠 것인가 ; 문학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 "보편성과 특수성" 개념에 관한 연구

        조혜숙 ( Hye Sook J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6 한국어문교육 Vol.19 No.-

        연구자는 2015년 고등학교 2학년 문학 수업에서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과 관련하여 학습 내용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은 4차 교육과정 이후 지금까지 고등학교 문학 교육과정에서 학습 내용으로 선정되어 왔다. 이 개념은 민족 문학적 관점이 강하게 반영되어 선정된 것으로, 이는 식민지를 겪은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문학의 자생적 근대화를 설명하고자 하는 연구 결과의 반영으로 교육 과정에 선정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문제는 이 개념이 몇 가지 문제가 있음에도 비판적 검토 없이 학습 내용으로 선정되어 왔다는 것이다. 이 개념이 교과서에 구현되며 나타난 문제는 정확하지 않은 개념 설명, 학습 문제의 무리한 구성,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해 작품을 적절하지 않게 해설하는 문제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한국 문학의 특수성은 한국 문학의 역사를 학습하면서 포괄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그리고 문학을 교육적 효용 측면에서 접근하여 문학 교육의 학습 내용과 제재를 선정할 때는 특수성이 아닌 보편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문학이 개인의 내면에서 보편성으로, 보편성에서 다시 개인의 내면으로 오고가는 체험의 제공이라는 점에서 그간 간과되어온 보편성에 대한 이해는 문학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Researcher have found an error the learning content with respect to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Korea Literature’ in a high school sophomore literature class and became consciousness about this problem.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Korea Literature`` has been chosen as learning content in high school literature curriculum since the fourth curriculum and until now. This concept can be inferred to have been selected as the national cultural perspective has been strongly reflected in selection. It reflects the research to describe the spontaneous modernization of Korean literature because of the historical colonial experience. The problem is that this concept came the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 without critical review despite of some problems. : inaccurate concept description in textbook, the configuration of the forced learning problems, and inadequate explanation of works to describe the "particularity". Specificities of the Korea Literature are appropriate to be learned while learning the history of Korea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in terms of access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will need to seriously consider the universality rather than specificity when selecting the learning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 in the literature curriculum.

      • KCI등재

        유교 인륜도덕의 보편화 가능성 문제

        정재현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in what dimensions the universality of Confucian ethics can be found. This paper especially examines two previous interpretations seeking for the universality of Confucian ethics: the one seeks for the universality of Confucian ethics in such formal principle as zhongshu (忠恕, conscientiousness and altruism) and the other finds it through the concepts of 'concrete universal' or 'transcendental immanence'. After that, I suggest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which is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justification of and the motivation of morality. From the view of mine, while the zhongshu-based interpretation does not disclose the uniqueness of Confucian ethics with the emphasis of customs and emotion, the interpretation which pays attention to the concept of concrete universal does not acknowledge the fact that the concreteness of Confucian ethics is viable only in the process of actualizing morality, no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orality as universal. 이 글의 목적은 유교 윤리 즉 유교 인륜도덕의 보편성이 어떤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 것이다. 특별히 이 글은 忠恕라는 형식적 원리에서 유교윤리의 보편성을 찾는 해석과 ‘구체적 보편’ 혹은 ‘초월적 내재’라는 개념들을 통해 유교 윤리의 특성을 말하는 해석을 살펴본다. 그러고 나서, 도덕 원리에 있어서, 정당화의 맥락과 동기부여화의 맥락의 구분 혹은 보편성 수립의 차원과 보편성 구현의 차원의 구분의 틀을 적용해 봄으로서, 위 해석들을 발전적으로 지양한 대안적 해석을 제시해보려고 한다. 우리의 대안적 해석에 의하면, 충서에 기반을 둔 해석은 유교 윤리에서 핵심적인 관습과 감정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고, 구체적 보편에 입각한 해석은 유교 윤리의 구체성이 보편성 구현의 차원에서만 적실성이 있다는 사실을 잘 인정하지 않는다.

      • KCI등재

        슬라보예 지젝의 헤겔 변증법 해석에 대한 비판 : 구체적 보편성과 급진 민주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나종석(Na, Jong-Seo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이 글에서 필자는 지젝의 헤겔 변증법 해석의 타당성 여부를 그의 정치적 주체 및 행동 이론과의 연관 속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 때 지젝의 여러 저서들을 연대기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을 취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지젝 사상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글의 서술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헤겔의 변증법과 구체적 보편성에 대한 지젝의 새로운 이해가 체계적으로 서술되어 있는 몇 몇 저서를 중심으로 그의 헤겔 이해의 모습을 서술한다. (Ⅰ) 헤겔의 보편성에 대한 지젝의 해석은 그의 주체성 이론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지젝의 헤겔 주체성에 대한 재전유의 방식을 민주주의 비판과 새로운 공산주의 기획의 철학적 정당화와 연결하여 서술할 것이다.(Ⅱ)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다루어지는 문제는 지젝의 정치적 행동 이론의 특성과 그 문제점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필자는 헤겔 변증법에 대한 지젝의 해석의 문제점을 간단하게 논증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지젝의 헤겔 해석의 불충분성이 어떻게 그의 정치적 기획의 모호성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Ⅲ) In the thesis, the author organizes Žižek"s interpretation of Hegelian dialectic through his theories on concrete universality. In the process, the author does not reorganize Žižek"s works in a chronological order. This is because it is not the goal of this study to trace changes in Žižek"s philosophy. Instead, the author focuses on a number of Žižek"s works that systematically elaborates on Žižek"s new interpretation of Hegelian dialectic and universality.(I) Žižek"s interpretation of Hegelian universality is closely linked to his theory of the subject. Therefore, the author will elaborate on Žižek"s reappropriation of the Hegelian subject by explaining the criticisms against democracy and th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of planning a new type of communism.(Ⅱ) At the end of the thesis, the author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Žižek"s political action theory and its problems. The author will briefly explain the problems in Žižek"s interpretation of Hegelian dialectic. In addition, the author will explore how Žižek"s insufficient interpretation of Hegel is related to the ambiguity found in his political ideas.(III)

      • KCI등재

        교육사상(敎育思想)의 학문적 정체성 Ⅱ

        김석완(Kim Suk 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이 논문은 "교육사상의 학문적 정체성"(교육사상연구, 27-1)의 후속 연구이다. 교육사상은 하나의 논리와 통일적 설명으로 해명하기 어려운 속성을 지니는 말이다. 따라서 교육사상이라는 낱말의 단일한 본질이나 그것이 가리키는 지시적 대응관계가 아니라 교육사상이라는 표현이 그 구체적 사용의 맥락에서 드러내 보이는 의미작용의 다양성과 복잡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아이 기르기와 관련된 느낌이나 감정, 풍속이나 습관, 신념이나 사유 그리고 지성, 상상이나 공상이 일상의 삶 속에서 만들어내는 다양한 의미작용과 그것이 낳는 관습적ㆍ제도적 결과 모두 교육사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교육사상 연구는 추상적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구체적 보편을 추구한다. 이것은 고유한 생명 현상을 다루되 초월적 보편성을 지향한다. 교육사상 연구의 심층구조는 크게 세 가지 계기로 이루어진다: 첫째, 교육사상의 배경이 되는 구체적 현실에 대한 분석과 이해하고, 둘째, 연구자의 현시대적 수용과 평가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셋째, 궁극적으로 자아전환을 목표로 한다. 교육사상 연구는 인간의 주체성과 도덕성을 긍정하되 시비선악을 가리거나 가치를 판단하지 않고 객관적이며 가치중립적인 설명과 이해를 추구한다. 이것은 칸트의 철학적 사유의 틀이 교육사상 연구와 관련하여 제안하는 내용이다. 교육사상 연구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긍정하는 실천이성을 전제한 가운데 사변이성의 직관과 개념, 감성과 지성, 경험과 이성을 통해 생명 현상으로서의 교육적 삶을 해명할 필요가 있다. It looks difficult to clarify the expression 'educational ideas' with unified explanation. Because this phrase has been formed through diverse paths. So it'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its signification depending on specific contexts. The research object of educational ideas covers from feelings and emotion, customs and practices, belief and thinking and intellect to imagination and fiction with regard to educating children.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however, is not oriented to abstract universality of objects or phenomena with concept and theory, but aims to concrete universality that is specific to life. The deep structure of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consists of three elements, that is: first,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concrete reality that is the background of educational ideas, second, current acceptance and evaluation of researcher about the research on historical contemporary, third, self conversion.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is oriented to objective and value-neutral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ffirming subjectivity and morality. This is what Kant's philosophy is to suggest about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 KCI등재

        백석의 이미지 실험 -<사슴>을 중심으로-

        김영범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9 No.-

        이 연구는 <사슴>에 실린 시의 분석을 중심으로 백석의 독자적인 이미지 개척을 확인하고자 했다. 그의 시에서 이미지는 여타 이미지즘 시인의 그것들과 변별되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백석이 다양한 감각 이미지들을 접합하여 시의 시공간을 채우고, 거기에 낯설지 않은 서사를 접어 넣음으로써 경험 세계로 인도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는 인간의 ‘일상’을 예술화하고자 했다. 3장에서 검토한 것은 백석이 이러한 ‘일상’을 관용표현이나 익숙한 상황을 붙여 쓴 이른바 ‘눌변’을 적극 활용하여 삽화적 이미지로 축적한다는 사실이었다. 이로써 그의 시는 ‘구체적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었다. 4장은 <사슴> 이후 백석이 주체의 이미지를 전면화하게 된다는 사실과 그것의 효과를 살폈다. ‘일상’에서 발원하는 시의 이미지가 여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체가 가진 생활인으로서의 이미지가 그의 ‘생각’만이 아닌 ‘생각하기’까지 동기화할 여지를 남긴다는 점을 확인했다. 백석의 이러한 이미지 실험은 이미지즘 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이것은 <사슴>과 그 이후의 시편에 걸쳐 진행되었지만, 교집합은 분명했다. 이는 시집을 상재할 무렵 그의 실험이 어느 정도 완성되고 있었다는 증거이다. 시집 이후 백석의 시에서 주체의 이미지에 담긴 위무의 포즈는 그것이 낳은 미학적 결실이겠다.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Baek Seok's pioneering of his own imag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poems contained in Deer. This is because the images in his poetr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imagist poets. In Chapter 2, I confirmed that Baek Seok fills the time and space of poetry by combining various sensory images and leads us into the world of experience by inserting a familiar narrative into it. He sought to turn human ‘daily life’ into art. What was examined in Chapter 3 was the fact that Baek Seok accumulated such ‘daily life’ as illustrative images by attaching idiomatic expressions or familiar situations. As a result, his poetry was acquiring "concrete universality(das konkrete Allgemeine)". In Chapter 4, I looked at the fact that Baek Seok brought the image of the subject to the forefront after Deer and its effects.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age of poetry originating from ‘daily life’ had an influence on this, and that the subject’s image as a person of daily life synchronizes not only his ‘thoughts’ but also his ‘thinking.’ Baek Seok's experiment with images w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magist poetry. This progressed throughout Deer and subsequent psalms, but the intersection was clear. The pose of comfort contained in the image of the subject in Baek Seok's poetry after the poetry collection is probably the aesthetic result of it.

      • KCI등재

        행동주의 미술의 철학적 담론에 관한 고찰 : 르페브르, 무페, 바디우

        김기수(KIM Kisoo) 현대미술학회 2020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4 No.2

        이 글의 목적은 - 미술사적으로 2차 세계대전 이후 점차 동시대 삶과 사회의 문제를 다루며 등장한, 따라서 이 문제를 깊이 성찰한 동시대 철학적 담론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전개된 컨템퍼러리 아트의 실천과 담론의 맥락에서 - 오늘날 (특히 1990년대 이래) 행동주의 미술의 철학적 담론을 앙리 르페브르, 샹탈 무페, 알랭 바디우의 관련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첫째 르페브르의 ‘일상생활비판,’ ‘도시에 대한 권리, ‘공간의 생산’의 개념이 어떻게 행동주의 미술의 실천적 전개 방향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주고 있는지, 둘째 샹탈 무페의 ‘불화의 민주주의,’ ‘공적 개입,’ ‘논쟁적 공간’의 논의가 어떻게 행동주의 미술의 주요 이론적 쟁점들을 부각시키며 다루고 있는지, 셋째 알랭 바디우의 ‘예술의 진리,’ ‘구체적 보편성,’ ‘새로운 가능성’의 원리가 어떻게 행동주의 미술의 철학적 원리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각각 규명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lies in examining philosophical discourses on which today’s activist art has developed ever since WWII, focusing on the relevant theories of Henri Lefebvre, Chantal Mouffe, and Alain Badiou, in the art-historical context in which contemporary art has gradually emerged by dealing with its coeval social issues, and accordingly by referring to its coeval philosophical discourses. Specifically it elucidates, first, how Lefebvre’s ideas such as ‘critique of everyday life,’ ‘the right to the city,’ and ‘production of space’ would provide theoretical frameworks for the practical direction of activist art, second, how Mouffe’s discussions of ‘democracy of dissensus,’ ‘public intervention,’ and ‘agnostic space’ have dealt with key theoretical issues of activist art, and, third, how Badiou’s principles of ‘the truth of art,’ ‘particular universality,’ and ‘new possibility’ would indeed work as the philosophical principle of activist art in general.

      • KCI등재

        재산권의 구조와 3가지 권리 테제

        김연미(Kim Yeon Mi) 한국토지공법학회 2007 土地公法硏究 Vol.37 No.2

        By this paper, I test the structure, nature, and relation of rights within property rights with three thesis concemed with Rights-Correlativity. Each these is explained from other philosophical aspect. The first aspect is a dependence these which is concemed with Supervenience-Relation in realism. From this aspect, I think that property rights have the tull meaning of the relation to right and duty. The nature of right is elucidated to the dependence on duties. It sees to it that the nature of relation to rights is based on the number of right-duty, in paucital rights(rights in personam) and multital rights(rights in rem), when followed by Hohfeld. The second aspect is an exclusion these. One of basic problems in legal philosophy is the concept of law which is asserted by exclusive legal positivist. Authority as the concept of law belongs to Raz"s view. Both authority and right have the exclusionary peremptoriness. Property rights is based on this peremptoriness. But property right is correlated to duties in rem on everyone else not to interfere with the holder. In rem means not "to a thing" but "against all the world". We have a property right not to be excluded from using, disposing and alienating things. But All people can"t have property. A property right can be grounded only on general right in constitutional law. Because the property rights in Constitutional Law has the nature of liberty correlated to no-right by Hofeid. People are limited rather than conferred the right from the articles of the property rights in Constitutional Law. Human history always shows that people not to have the property rights have existed. My contention is that property right in rem is correlated to negative duties, so that property rights may be special right in rem. Accordingly, the third aspect is a universality these. ""Are property rights human rights?"" This these means the opportunity to have property.

      • KCI등재

        〈괴물〉: 경험적 역사와 실재의 비역사적 중핵 사이의 변증법적 긴장

        하승우(Seung-Woo Ha) 한국비평이론학회 2012 비평과이론 Vol.17 No.1

        This essay asks whether contemporary Korean films have produced a new cinema, by critically examining the criteria by which Korean films are said to be new. It attempts to posit a universalising theory rather than making particular claims about Korean films, by suggesting that whether a film text is new or not will depend on its individual mode of address. To explore this problem further, this study draws on the concept of ‘concrete universality’ from a Lacanian/Žižekian standpoint. For my purpose, it refers to examining how a kind of disruptive element in a film text’s formal structure obtrudes into the diegetic reality, thus revealing a cinematic distortion in the smooth running of reality. The Host (Bong Joon-ho, 2006) reveals what cannot be said in an explicit narrative line, thus allowing us to redefine the whole narrative line. As it provides an interpretive possibility that Hyun-seo dies at the moment she is snatched by the monster, it challenges the viewer to an encounter with the inherent contradictions of family and South Korea’s social fabr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