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헤겔과 지젝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일규 ( Choi Ill-guy ) 한국헤겔학회 2016 헤겔연구 Vol.0 No.40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과 지젝의 중심개념인 `구체적 보편성`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이론적 측면에서 주체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젝은 헤겔의 주체 개념을 독자적으로 해석하며 까다로운 주체라고 규정한다. 그가 이렇게 파악하는 이유는 헤겔에게 주체는 무의식의 주체이며, 부정성과 주체 상실의 계기를 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헤겔은 코기토에서 세계의 밤으로 명명되는 광기의 과잉적 계기를 인식했으나, 자신의 3중성 철학 체계로 인해 주체가 가지는 정신분석학의 요소들을 제대로 평가하지도 못하고 학문적으로 밝히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젝은 특수성을 보편성과 필연적으로 결합시키며 파악하는 헤겔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독창적이라고 평가하지만, 헤겔이 특수성의 좌절로 인해 보편성이 등장하게 되는 역동적 구조를 제대로 밝히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왜냐하면 지젝에게 구체적 보편성은 특수한 것이 자기 자신과 관계 맺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특수한 자아, 특수한 문화, 특수한 국가가 자신의 특수성을 실현할 수 없는 좌절을 체험하는 순간에 보편성을 경험하게 되는 그러한 방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헤겔의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에 대한 지젝의 해석과 비판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함을 밝혀 개념으로서의 주체와 올바른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 과제를 위해서 본 논문은 첫째, 헤겔의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 개념에 대한 지젝의 해석을 해명하며, 둘째, 헤겔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젝 해석의 타당성과 의의를 점검하고 있다. 정신분석적 개념들을 매개로 헤겔 철학에 새로운 규범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지젝의 의도와 시도는 높이 평가될 수 있으나, 헤겔의 철학적 목표와 거리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Der vorliegende Aufsatz untersucht, die Bedeutung der konkreten Allgemeinheit in Zizeks und Hegels Philosophie aufzuhellen. Die Bedeutung der konkreten Allgemeinheit hat sowohl bei Zizek als auch bei Hegel sehr eng mit dem Begriff des Subjekts zu tun. Um zu vergleichen, wie Zizek Hegels Begriff des Subjekts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interpretiert und was Hegel eigentlich unter dem Begriff als Subjekt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versteht, gliedert sich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in zwei Kapitel. Im ersten Kapitel wird behandelt und gezeigt, dass Zizeks Kritik an Hegels System der Philosophie damit zu tun hat, dass Hegels Subjekt nach Zizeks Interpretation zwischen der konkreten Totalitat und der abstrakten Negativitat zwangsweise die abstrakte Negativitat auswahlt. Dadurch, dass Zizek unter Hegels Begriff des Subjekts die abstrakte Negativitat oder die Kontingenz hervorhebt, macht er einen Riss zwischen der ersten und zweiten Natur in Bezug auf Hegels System zum Thema. Die Allgemeinheit wird konkret oder fur sich dadurch, dass das Subjekt die abstrakte Negativitat auswahlt. Im zweite Kapitel wird uberpruft, ob Zizek Hegels Begriff des Subjekts und der konkreten Allgemeinheit richtig versteht. Behauptet und gezeigt wird, dass Zizek den dialektischen Ubergang der Substanz zum Begriff des Begriffs nicht richtig versteht. Es ist wichtig aufzufassen, dass Hegel den Begriff des Begriff als Subjekt versteht. Es ist auch wichtig zu wissen, dass Hegel wegen der logischen Struktur der Begriffsmomente den Begriff des Begriffs fur Subjekt halt.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과학기술과 책임 -인공지능과 위험사회 개념을 중심으로-

        최일규 ( Choi Ill-guy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一鑑法學 Vol.0 No.41

        이 글의 목적은 벡의 기술위험 논리에 기초한 성찰적 근대화가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인 기술인 인공지능과 그것에 의한 사회 변화에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은 물리학, 디지털, 그리고 생물학 분야의 기술융합에 의해서 실현되고 확산되며, 이러한 사회구조 변화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기술의 구체적 예들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3D프린팅 기술, 자율주행기술, 첨단 로봇공학, 가상현실, 빅 데이터 등이 언급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초연결 사회와 알고리즘 사회에로의 전환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도 생각하는 지능을 구현한 약인공지능의 상용화가 사람들의 생활방식, 노동, 생산, 유통, 직업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나, 약인공지능은 여전히 타자생산체계로서 인간의 도움에 의해서만 제한된 범위에서 자기생산체계일 수 있기에 한국사회가 엄밀한 의미에서 포스트휴먼 사회로 전환되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공지능과 같은 현대 기술이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 지능의 계산적 모델이 가지는 의미와 그것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의 의미를 하이데거와 돈 아이디의 기술철학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논리, 특히 자연적 지성을 인공지능 연구를 통해서 개발하고 상용화하고자 하는 논리는 일차적 과학화와 성찰적 과학화의 구별을 통해서 명확하게 알 수 있으며, 벡의 기술위험 논리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to clarify whether the reflective modernization based on Beck’s risk society can reasonably be appli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social change by i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ealized and diffused by th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in physics, digital and biological fields, and specific examples of new technologies that affect social structure change, such as IoT, artificial intelligence, 3D printing technology, and self-driving technology. It is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through the four revolution will be different in its scale, scope, and complexity, when it is compared with changes through previous industrial revolutions. AI technology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ransitioning to super-connected society and algorithmic society. The article said that the commercia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embodied the intelligence of thinking in Korean socie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ople’s lifestyle, labo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occupation, but that the system was still limited by human help. Also, with the features of moder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we looked at the meaning of the computational model of intelligence and the possible risks of it through the technology philosophy of Heidegger and Don Ihde. Final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logic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articularly the logic of developing and commercializing natural intelligenc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can be clearly seen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primary and reflective scientific techniques, and Beck’s technical risk logic is still valid.

      • KCI등재

        헤겔《인간학》에서 혼의 신체화

        최일규(Ill-Guy Choi)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3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 《인간학》의 자연적 혼에서 전개되는 정신적인 것의 신체화가 갖는 의미를 해명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정신으로서의 혼의 신체화는 『자연철학』의 마지막 부분을 형성하는 동물적 유기체의 형태화 과정, 동화 과정 그리고 유적 과정과 구별된다. 인간학의 첫 부분을 구성하는 자연적 혼은 자연 속에 침잠해 있는 혼이 어떻게 자연과의 직접적 통일로부터 벗어나 자기 자신과 관계하는 정신으로 규정되는가를 보여준다. 정신으로서의 혼의 신체화는 자기 자신과 관계하는 혼이 특수화되고 개체화되는 과정이다. 헤겔은 일상적으로 ‘체화된 혼’ 또는 ‘혼의 체화’라고 언급되는 심신의 상태 또는 과정을 ‘자연적 질’, ‘자연적 변화’, ‘감각’의 분석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본 논문은 헤겔 인간학에서 혼의 체화를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첫째, 혼의 체화는 자연적 생명과 정신으로서의 혼의 이중적 관계이다. 즉 이것은 동물적 유기체의 주관적 생명이 한편으로 수단으로 있으면서 정신으로서의 혼과 대립하는 측면과 다른 한편으로 정신과 일체를 이루며 정신의 토대를 형성하는 측면을 드러낸다. 둘째, 인간학의 자연적 혼에서 체화는 자연의 비물질성인 자연정신으로서의 혼의 개념이 자기 자신을 알기 위하여 스스로를 분할하고 외면화하는 운동과정이다. 혼은 각각의 인종과 민족, 각각의 연령의 변화, 수면과 깨어 있음, 감각을 통해서 신체에 현현되고 개체성으로 실현된다. It is the aim of this paper to elucidate the meaning of the natural determinacy of the soul in Hegel’s anthropology. The object of anthropology(soul) differentiate Hegel from the animal organism in the philosophy of nature as well as from the object of the Phenomenology of the Spirit(consciousness) and of psychology(spirit) in the subjective Spirit. The anthropology differentiate also the natural determinacy of the soul from the feeling of the nature spirit and the Reality of the Soul. This paper deals with two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what means the embodied soul in the natural determinacy of the soul? The second question is how relate the spirit as the abstract soul of nature to the animal organism in the philosophy of nature. This paper will give an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by clarifying that the life of the animal organism, which relate to the natural spirit, is partly a exterior means of the spirit and is partliy identical with the inner process of the spirit. The meaning of the embodied soul in the natural determinacy of the soul will clarify this study by suggesting that the particularization of the natural being, the awakening of the individual soul, the sensation are the active self-determination of the spirit. In this process the soul acquires corporeality and becomes real.

      • KCI등재

        헤겔의 세계의 밤과 사이버자아

        최일규(Choi, Ill-Guy)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8 현대정신분석 Vol.20 No.2

        이 글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해 한국 사회가 직면하게 되는 두 종류의 밤과 같은 세계를 분석함으로써 도래할 포스트 휴먼 시대에 인간의 위치와 주체성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첫 번째 밤은 사이버공간에서 인공지능의 작동방식이 비가시적이어서 형성되는 세계이다. 두 번째 밤은 서양 사상사에서 세계의 밤으로 비유되던 인간 정신의 본질과 관련된 세계이다. 제4차 산업혁명은 지능형 디지털 기술에 기초해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비인간, 비인간과 비인간이 총체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제품의 생산 조건, 개발, 제조, 유통 및 유지보수가 자동화되고 지능화되는 경제 및 사회적 구조를 지향한다. 이러한 새로운 물리적 초연결 네트워크와 그것에 의해 형성된 사이버공간에서 인간은 빅데이터를 유일하게 처리하며 어떤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과 관계를 맺으며 주체로서 스스로를 정립할 수 있을까? 필자는 이 글에서 헤겔의 인간학에서 생명과 몸이 단순한 보편성인 혼에 의해서 규정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사이버자아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본래 자아와 반영적 대리자로서 사이버자아의 올바른 관계 설정을 시도하였다. 사이버 자아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필자는 주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생명을 가지고 있다는 헤겔의 입장에 따라 사이버 행위자들은 적어도 생명체가 행하는 자기 부정적 자기 관계를 가질 수 없기에 주체로서 인정될 수 없다는 것을 명료히 하였다. 둘째로 본래적 자아와 사이버자아의 올바른 관계와 관련하여 성숙한 헤겔이 수동적 이성 또는 정신의 숙면으로 파악한 것을 사이버자아로 확대 적용하였다. 즉 헤겔이 자연적 혼을 정신의 소질(Anlage)로서 그리고 정신을 혼의 발전형식(Entwicklungsform)으로서 간주한 것처럼 사이버자아를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 소질의 발전형태 중 하나로 간주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human position and identity by analyzing two kinds of night of the world facing Korean society throug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irst night of the world is a world formed in cyberspace because the way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es is hidden. The second night is a world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human spirit, which was compared to the Night of the World in Hegel’s philosophy. The night of the world in Hegel’s anthropology means the sleep of the mind or a state of the soul, which is possibly everything. This paper examined with Hegel’s concept of the Night of the World the causes of the loss of identity and isolation of human in the physical hyper-connected network and the cyberspace formed by it. It is methodically asked whether the night of the world as the soul can become a cyber self acting in cyberspace, if it is possibly everything. This paper discusses and demonstrates that the night of the world as the soul can be interpreted as cyber self acting in cyberspace, if the duality of the soul is here highlighted. It is the soul that has an internal connection with nature as a form of universality. The animal soul can be regarded as anlage and the mind as an Entwicklungsform of the soul. It is shown that cyber self acting in cyberspace can be understood as an Entwicklungsform of mind.

      • KCI등재

        공진화를 위한 기술화된 몸이론의 가능성

        이지용(Lee, Ji-yong),최일규(Choi Ill-guy)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아시아문화연구 Vol.52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기술과 몸이 만나서 변화되고 있는 다양한 현상과 의미들을 파악하고, 그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몸이론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술과 인간관계에서 체현의 가장 직접적인 대상인 몸을 중심으로 현상들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에 도출되지 않았던 영역들에 대한 의미화를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해 돈 아이디가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이론인, 체현적인 관계와 해석적인 관계, 배경적인 관계의 입장에서 한국 사회의 기술화된 측면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기술화된 몸의 변화들을 파악하고 한국 사회에서 몸의 소외가 나타나는 지점을 다음과 같이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이간이 기계화될 때 나타나는 소외의 양상이고, 두 번째는 기계가 인간화되면서 나타나는 소외의 양상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관계에서 나타나는 소외는 근본적으로 인간중심주의의 휴머니즘을 근간으로 하여 위계를 나누면서 나타나는 인식의 문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기 때문에 소외 없는 몸이론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몸과 기술의 결합이 일상화되어가고 있음을 자각해야 한다. 아울러 시몽동이 언급했던 기술 본질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 인간과 기계, 기계와 인간이 존재론적으로 상호의존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자각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의 저변이 확대될 때 우리는 소외없는 몸이론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들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stablish a theory of body in technology that can explain the various human-machine relations and its alienation in Korean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is purpose, this paper consists of two chapters. The first chapter analyzes how the body is combined with technology and alienated through it in Korean society. In the second chapter, this paper proposes a theory of body in technology that could overcome alienation. In order to clarify various phenomena and meanings of human-technology relations that are changing in Korean society, we have applied Don Ihde’s philosophy of technology, especially three types of human-machine relation as embodiment, hermeneutic, and backgroud relations. It is important here to pay attention where the machine is placed within the correlation of what is experienced with how it is experienced. In terms with these three types of correlation, all phenomenological appearances of human-technology relations are separated and analyzed in the aspect of alienation that occurs when humans are mechanized, and in the aspect of alienation that appears when a machine is humanized. This paper examines finally how problems of alienation could be overcome with Don Ihde’s and Gilbert Simondon’s concept of technology. These philosophers rejects in common the concept of technology which is anthropocentric and techno-centered. According to Ihde, it is important to draw attention that any use of technology brings with it a simultaneous amplification of certain possibilities of experience while at the same time reducing others. According to Simondon, it is the ontological nature of technological objects that concretize between the artificial and the natural by the never-ending process of individuation. This paper discusses that the reflection on the nature of technology mentioned by Ihde and Simongdong could not fully solve the problem of alienation in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