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위한 구비문학 교육 연구 -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장연분홍,장휘,표인주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0 No.-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구비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구비문학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효용성 검증을 위해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비문학 수업을 진행하고 그 기대효과를 정리하였다. 오늘날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요구는 과거에 비하여 매우 다양하다. 과거에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나 문학 작품까지 학습하도록 기대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기존에 의사소통만을 목표로 하던 학습에서 나아가, 한국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반영하도록 학습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의 다양한 목표를 수용한 폭넓은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구비문학 작품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실제 교실에서 진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구비문학 교육과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Korean and Chinese oral literature, and presents directions for it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argues the necessity for classics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its usefulness, this research conducted classes on oral literature to the students of Korean language major at Shand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rganized the expected effects.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nowadays have more diverse demands compared to those in the past. In the past, it was difficult to expect learners to learn Korean culture, as well as literature. However, learners now should be able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reflect this in their language lives, making progress from the conventional objective aimed at communication skills only. When these realities are consid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seek to provide a wide range of learning materials, addressing various goals that learners have. For these reasons, this research proposes putting classics education to practical use, and presents teaching-learning scenarios that can be tried in class.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discussions about Oral Literature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계전공으로서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관규 ( Lee Kwan Kyu ),정지현 ( Jeong Ji Hy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6 No.-

        본고는 사범대학에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이 교육과정이 내용과 그 운영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목표 수립을 위하여 사회, 학습자, 교과 요인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체계를 세 범주로 구분하였다. 1) 다문화적인식·태도의 발달, 2)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3)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의 실제의 세 영역 하에 각 교과목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적 인식·태도 발달 영역: <다문화 사회 이해>, <다문화 학습자 이해>, <다문화 교육의 이해>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영역: <제2언어습득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교수이론>, <한국 문화의 이해>, <한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음운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어휘론>, <한국어화용론>, <한국어 문학교육론>,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학습 한국어 교육>, <다문화 한국어 교육과정론>, <다문화 한국어 평가론>, <다문화 한국어 교재론>, <다문화 한국어 말하기·듣기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읽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쓰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발음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문법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어휘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의 실제 영역: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 실제Ⅰ: 현장실습>,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 실제Ⅱ: 반성적 고찰>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해서는 연계전공으로 하며 각 강의는 교과목의 성격에 부합하는 각 영역의 전공자들이 담당하는 것으로 논의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 다문화 교육 센터와의 연계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what contents will be organized and how that curriculum will be implemented in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First, society, student and subject as source are analysed for goal setting of this curriculum. Then, content systems are clar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 selection of education contents. That is 1)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2) A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3) teaching practice of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bjects are developed in the three categories. Finally,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s commenced as interdisciplinary course and each lectures are taught by the majors from each field that matches the character of the subjects. This curriculum requires cooperative school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for effective training.

      • KCI등재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한국 현대 가치문화 교육방안 연구

        이원주 ( Lee Wonj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3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국 현대 수필에 반영된 한국의 현대 가치문화를 백워드 설계에 적용하여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설처럼 허구화된 인물과 복잡한 사건이 덜 등장하며 시처럼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이 적고 일상생활을 소재로 하여 한국인의 일상과 그에 반영된 가치문화를 가까이서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필 장르를 선택하였다. 또한 한국의 현대 가치문화를 가족주의 문화(혈연 문화, 효 문화), 집단주의 문화(우리 문화, 정 문화, 흥 문화), 관계주의 문화(서열 문화, 연줄 문화, 체면 문화)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어령의 수필 「빵과 밥」에 반영된 가치문화를 분석하여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교육방안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연구가 미진했던 가치문화 연구에서 백워드 이론을 적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 가치문화 교육과 언어 기능 교육을 연결한 교육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한국의 가치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연구와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ducational pla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y applying Korean modern value culture reflected in modern Korean essays to the Backward Design. To this end, the essay genre was chosen as it may help understand the daily lives and value culture of Korean people. Unlike novels, essays feature fewer fictional characters and complicated events. Besides, unlike poetry, they have fewer implicit and symbolic expressions. In addition, this study classified Korean modern values into three main categories: familism, collectivism, and relationalism, and put subcategories below them. Based on this, the study analyzed the value culture reflected in Bread and Rice, a modern essay by Lee-Eolyeong, to establish an educational plan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to apply the Backward Design theory in value culture research, which has been lacking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it suggests an educational plan that connects value culture education and language skills education. With this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studies in Korean value culture and studies using the Backward design may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문장부호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 외국 문장부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상미 ( Yu Sangmi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4 한국어문교육 Vol.46 No.-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문장부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효율적인 문장부호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고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는 문장부호는 한국어의 문자언어 생활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한국어교육에서는 공식적인 교육내용으로 다루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과 외국의 문장부호 규정을 비교 검토하면서 한국어교육에서 왜 문장부호 교육이 필요한지, 한국어교육에서 문장 부호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학계에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문장부호 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전개했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for teaching punct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uggest an efficient direction for teaching punctuation. Punctuation, which reveal the structure of a sentence and convey the writer's intention, are very important in written Korean. However, it is not covered as educational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punctuation rules in Korean and other languages and discussed why it is necessary to teach punct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it should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 discussion on teaching punctuation, to which not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다의어 연구 동향 분석

        정혜란 ( Zheng Huil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6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다의어의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향후 연구 방향 및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술정보서비스 검색을 통해 2001년부터 2021년 5월까지 국내 학위 논문과 학술지논문을 검색하고 원문을 검토하여 총 10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다음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기준을 연도, 학습자 특성, 어휘 유형, 연구 방법, 연구 내용, 교육 방안 제시 형태로 분류하고 각각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에서 다의어 관련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앞으로 다양한 언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고, 숙달도에 다른 연구와 수준별 다의어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가 더 보완 및 정교화 될 필요가 있으며, 특수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다의어 교육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위한 세부적인 영역의 논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the field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polysemic words for academic purpose,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To this end, from 2001 to May 2021, 101 papers were selected through RISS for dissertation and from academic journal papers. Then, in order to analyze trends, the analysis standards were divided according to years, learners' characteristics, vocabulary types, research methods, research contents, and forms of education methods proposed, and were analyzed one by one. Finally, the study proposed fiv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Mor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different countries should be carried out.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ntents of polysemic words education for learners of different levels, and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learners with special purposes. Furthermore,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should be used focusing on different types of polysemic words, and details in many areas should be discussed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 다시 돌아보기

        송재익 ( Song Jaei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6 No.-

        이 글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어떻게 생겨났고, 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살릴 수 있는지 살펴본 글이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교과 지식 중심에서 벗어나고자 하고, 참다운 배움과 경험에 눈길을 돌려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점이 있다. 그러나 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강조하다 보니 사회화에 기울어 있다. 또 역량을 몇 가지 목록으로 정해 놓는 것은 교육의 본질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역량을 기르는 것을 교육이 해야 할 일로 보고 있어 결과위주 교육관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역량은 교육의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다루어야 하며, 교육주체가 스스로 기꺼이 교육의 소재로 삼는 품위(品位, transtalent)의 성격으로 바꾸어야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살릴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was created and how this competency-based curriculum can help the essence and value of educatio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eks to move away from the focus of subject-matter knowledge, and it can help education by turning its focus to true learning and experience. However, it is leaning toward socialization as it emphasizes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society. Furthermore, it has a list of competencies set, which is not desirable considering the nature of education. And since it regards developing competencies is regarded as the function of education, it has a problem that its educational perspective focuses on results. Therefore, competence should be treated as a means of education, not as an aim. The essence and value of education can be realized only when we turn competence into something of transtalent that main agents of education are willing to use as a source of education.

      • KCI등재

        미국 문식성 교육의 동향과 쟁점들 -어떤 힘에도 움직이지 않는 대상과 무엇도 저항할 수 없는 힘이 만났을 때

        마이클매케나 ( Michael C. Mckenna ),장봉기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미국의 문식성 교육에서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어떤 힘에도 움직이지 않는 대상" 에 해당되고 이러한 학생들이 성공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정부가 시행하는 일련의 독서정책들이 "무엇도 저항할 수 없는 힘" 에 해당된다. 필자는 동료들과 함께 미국정부가 시행한 많은 독서정책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면서 이러한 연방정책들이 잘 시행되는지 감독하려고 노력해 왔다. 그 결과는 5판까지 출판되고 있는 문식성 교육의 현황과 문제들 (Issues and trends in literacy education) 이라는 책에 잘 요약되어 있다. 미국 독서교사들은, 급격한 히스패닉계열 인구의 증가로 인해 모국어 가 영어가 아닌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문제가 좀 더 복잡한 이유는 모국어가 영어가 아닌 (이하 ESL) 학생들이 히스패닉 계열 말고도 많다는 사실에 있다. 그 결과로 미국의 교사들은 두 가지 중요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그 첫 번째가 빈곤 층 가정에서 자란 학생들의 낮은 독서능력이다. 두 번째 문제는 모국어 가 영어가 아닌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점이다. 20세기 중반 이전에 국가수준의 문식능력 측정이 아주 중요한 현안은 아니었지만, 독사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늘 존재해 왔었다. 영어권 국가 들은 이 읽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범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미 익히 알려져왔듯이, 학자들은 각각 기초적인 읽기기능을 직접 가르치는 명시적 교수법을 옹호하는 쪽과 기능 습득을 유의미한 읽기 경험의 부산 물로 보는 의미중심 교수법을 옹호하는 쪽으로 나뉘어져 소위 "읽기 전 챙" 이라고 불리는 맹렬한 논쟁을 펼쳐왔다. 미국에서는 학생들의 독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법안이 시행되었었고, 지금도 또 다른 법안 과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필자는 미국 문식성교육의 미래를 몇 가지 경 향 중 걱정이 되는 움직임들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연방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기 위해 공통핵심교육과정을 채택해야 하는 교육과정은 모든 교과에서 각 주의 교육과정을 대체하여 국가교육과정을 설립하려는 의도로 2010년에 고안되었는데, 필자의 생각에는 아마 재정지원의 유혹을 이길 수 있는 주는 거의 없을 것 같다. 그리하여 곧 미국의 교육자들은 모든 교과와 학년, 수준에서 공통의 교육목표를 추구하는 시대를 맞이할 것이다. 필자가 이러한 표준화를 향한 움직임을 걱정스러워하는 이유는, 연방 정부가 재정한 일련의 교육과정들이 각 주의 실정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도 무조건 따르도록 강요될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필자가 이러한 움직임을 걱정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이 새로운 국가교육과정을 마련하는 과정에 대학입시회사 대표들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An old riddle asks, what happens when an irresistible force meets an immovable object? There is no answer, of course, because the apparent paradox is really a matter of semantics. If there truly were an immovable object, then by definition no force would he irresistible (and vice versa). And yet, I argue that something approaching this situation has characterized American literacy instruction for the past half century. In America, the "immovable object" is the intractable problem of a large percentage of students who struggle to attain proficiency. The "irresistible forces" are a series of federal (and other) initiatives design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n doing so bring the struggling population of young readers up to the standards required for successful careers. For my part, I have been directly involved in many of these initiatives, and, together with my colleagues, 1 have long endeavored to keep my finger on the pulse of how these efforts have fared. The result has been five successive editions of a book called Issues and trends in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2011, 문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김중신 ( Jung Si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2011년은 한국의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보면 참으로 유감스러운 해이다. 교육과정이 또 바뀌기 때문이다. 교육과정은2난 전에 바뀌었는데 또다시 교육당국에 의해 바뀌기 되었다. 하지만 ``문학``이 아니라 ``문학교육`` 은 학교 현장을 떠 나서는 생각할 수 없으며, 한국의 문학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설명하고 논의하는 아 자리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2011개정 교육과정`` 에 대해 논의를 집중하지 않을 수 없는 갓 또한 이 때문이다. 교육 당국에서 올해 초에 고시한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및 개발 연구에 대한 공모에 대해 국어교육 관련 학회에서 연합으로 응한 것은 교육과정 (문학) 이 학교의 문학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육 당국에서는 올해 초에 국민공통교육과정을 l년 단축하고, 학년군간 교과간 내용 연계성 강화 및 양과 수준의 적정화할 것. 또한 학년군 교과군을 고려한 최소 필수학습내용을 정선함으로써 교과 내용을 약 20% 정도 감축 조정을 핵심으로 하는 2009 7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기초 구성안을 발표하였다. 학회 연합에서는 이를 토대로 하여 2011년 8월, l~9학년 내용 체계와 고등학교 선택 과목의 내용체계를 개발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볼 때 이는 2년 전에 고시한 내용과 크게 다를 바가 없지 않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는 바, 이는 2년 만에 개정 고시함으로써 현장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하기 위한 방편으로 불가피한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시행하는 사람으로서는 문학교육 과정의 쟁점과 지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첫째는 교육과정에서 ``무엇을 다룰 것인가`` 하는 내용적 측면으로서 이는 본격 문학과 통속 문학, 연구자를 위한 문학과 교실 수업을 위한 문학, 그리고 문학적 가치가 높은 문학과 교육적 목적을 위한 문학 중 어느 것을 지향할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로 ``어떻게 다룰 것인가`` 라는 방법적 측면으로서 이는 문학을 바라보는 관점을 목적론과 수단론중 어느 것으로 설정한 것인가가 쟁점이 된다. 또한 문학에 대한 감상을 규범적인 것으로 볼 것인가와 다양한 것으로 볼 것인가도 중요한 쟁점이 된다. 셋째로 문학을 ``제대로 다루고 있는가`` 하는 평가적 측면으로서, 이는 문학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을 문학 자체의 고유한 자질을 중요하게 여길 것인가 아니면 문학이 갖고 있는 교육적 효과를 중요하게 다룰 것인가가 쟁점이 된다. 이 외에도 문학 교육의 결과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측정`` 과 ``점검`` 중 어느 것을 중요하게 다룰 것인가가 쟁점이 된다. 이러한 쟁점들은 문학교육의 지향점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현재 한국 문학교육은 교육과정의 개정과 더불어 교과서와 교육 현장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하지만 어떠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문학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쟁점과 지향점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 된다. In 2011, the curriculum of Korea is changed also. I am sorry that this curriculum is changed only after 2 years, The literary education is close to the school classroom, Korean academic societies related language education are bound to have a very deep interest in the literary curriculum. So they participated in this curriculum development, if one develops a literary curriculum, h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following points. First, he should consider ``what to deal with contents``. Authentic literature or popular literature, literature for the researchers or for the classroom, and the literary works of high value or educational purpose, -we should consider choosing which of these, Second, he should consider ``how to deal with contents``, This issue is that literature should be ``a goal`` or ``means``, The another issue is that the appreciation of literature is the normative or various response. Third, he should consider dealing with contents correctly. This issue is that we should consider which is mo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or educational effects. And another issue is ``the measurement`` or ``the inspection`` of the results of literary educations, These issues determine the important destination of literary education, The current revision of the Korean literature curriculum is becoming a big problem, This will change the future of textbooks, In addition, will changes the classroom, Despite any changes the issues and destinations in literary education are still valid.

      • KCI등재후보

        핵심 역량 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조재윤 ( Cho Jaeyo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2 No.-

        이 연구에서는 핵심 역량 및 융합 교육에 대한 학술적 담론, 핵심 역량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핵심 역량 및 융합 교육에 대한 학술적 담론으로는 핵심 역량 연구의 현황과 한계, 다양한 융합 개념의 존재, 국어 교과에서 융합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핵심 역량 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의 가능성으로는 2015 개정 총론과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융합 교육을 시사하는 점, 시·도 교육청의 교육 정책에서 융합 교육의 방향, 시책 등을 제시하는 점, 교수·학습 방법 차원에서 융합 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점이었다. 핵심 역량 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의 한계로는 총론과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선언적으로만 융합 교육에 언급하는 점, 그리고 이에 따라 교육 내용으로 구체적인 실현 방안이 부족한 점, 아직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 융합 교수·학습 관련 연구와 구체적인 방법이 미흡한 점이었다. 핵심 역량 중심 국어과 융합 교육은 선언적인 수준에서 시작하여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아직 그 한계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금은 융합 교육이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실현된 교육과정으로서 교실 현장으로 이어지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실행이 필요한 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cademic discourses regarding key competencies and convergence education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key competencies. The possibilities of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key competencies could be expected from the followings: the 2015 general curriculum revision, each subject curriculum suggesting convergence education, the educational policies at city and province levels, education offices presenting a direc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fact that the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explored. There can be limitations in Korean language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key competencies when the followings are considered: the general curriculum revision and each subject curriculum only declaratively mentioning convergence education, thus resulting in not enough specific plans for realizing it, and the fact that more should be done in terms of research on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specific methods of implementing a curriculum.

      • KCI등재

        중등 국어교육에서 교양의 위상과 가치

        정재림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value of liberal arts in second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1st to 2nd curriculum, expressions such as 'cultural education' and 'culture as a middle-aged people' are found. In the 1st to 2nd curriculum, the liberal ar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ivided into 'Languag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explained. Cultural education takes a very important position during the 1st to 3rd curriculum period. This is becaus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more important than specificity. The discourse of Culture, which was popular in the 1950s and 1960s, also had some impact on it. The term 'culture' is rarely found in the 4th to 7th curriculum documents. During this period, the specific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function of using language were emphasized. As the specific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emphasized, it seem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were considerably reduced.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iscussions about liberal arts increased again. During this period, criticis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the language use ability arose, and humanities liberal arts,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higher thinking ability, and cultural ability were emphasized. When referring to the status and valu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fosters human beings to become equipped with 'humanistic liberal arts and intellectual thinking ability', and those who pursue the value of 'truth, goodness, and beauty'. 본고는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중등 국어교육에서 교양이 갖는 위상과 가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1차~2차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문화적 교양’, ‘중견 국민으로서의 교양’이라는 표현이 확인되는데, 1차~2차 교육과정에서 국어교육의 교양을 ‘언어에 대한 교양’과 ‘문학에 대한 교양’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차~3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국어과 교육에서 교양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는데, 이는 교과교육이 교과 특수성보다 보편적, 일반적 교양 교육에 초점을 두었던 점과 관련이 있다. 또한 이 시기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교양의 강조는 1950~70년대 사회 전반에 유행했던 교양 및 교양주의 담론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차~7차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교양이라는 용어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국어교육의 특수성이 강조되고 국어교육의 정체성을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으로 한정하던 시기와 맞물리기도 한다. 국어교육의 특수성이 강조되면서 보편 교양으로서 국어교육의 성격이 상대적으로 축소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2007개정 교육과정~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양에 대한 논의가 다시 증가한다. 이는 언어 사용 능력 중심의 국어교육에 대한 비판 담론이 생기고, 이에 따라 이 시기에 인문학적 교양, 통합적 국어교육, 고등 사고력 및 문화 능력이 강조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양으로서의 국어교육이 갖는 위상과 가치를 참조한다면,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갖춘 인간, ‘진선미의 가치’를 추구하는 인간을 길러내는 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이 모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