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상(假想) 개념 - 헤겔과 들뢰즈의 경우 -

        안재오 한국헤겔학회 2004 헤겔연구 Vol.0 No.16

        Die Schrift des Deleuse Differenz und Wiederholung versucht den Repräsentationismus, der von Platon ausgang und in Hegel vollendete, zu überwinden. Das Prinzip des Deleuze, das diesen Repräsentationismus aufzuheben versucht ist Differenz und Wiederholung. Das Prinzip der Differenz und Wiederholung ist der Herrschaft der Identität entgegengesetzt, die von der Differenz des Individuums abstrahiert. Deleuse gebraucht den Begriff des Simulacrums, d.h. des Scheins, um seine Philosophie der Differenz und Wiederholung konkret im Raum der Kunst zu versuchen. Den Inhanlt des des Simulacrums hat er als das Modell des Anderen (l'Autre) im Gegensatz zum demselben des Selben(le Mȇme) bestimmt. Hegel benutzt auch den Begriff des Scheins vor allem in seiner Ästhetik, um die schöpferischen Eigenschaften der Kunstwerke zu beschreiben. Hegel fasst die Kunst als den Schein, d.h. Nicht- Wirklichkeit auf, jedoch bestimmt er den Scheinder Kunst als das Dasein des Geistes. In den oben genannten Zusammenhängen kann man den Begriff des Schein bei Deleuze und Hegel vergleichen. Eine grundsätzliche Auseinandersetzung der beiden Gedanken vom Schein ist aber aufgrund der philosophischen Relation der Dialektik und der Formallogik zustandezubringen. 들뢰즈의 저서 차이와 반복은 ‘차이’ 개념의 정립을 통해 “플라톤에서 싹트고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본격화되어 라이프니츠와 헤겔에 이르러 절정을 맞이한” 재현주의적 전통을 극복하려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재현주의 내지 동일성의 철학을 극복하는 들뢰즈의 원리는 차이와 반복이다.본고는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원리에 비추어 헤겔의 예술 철학을 고찰한다. 들뢰즈에 의하면 헤겔은 재현의 철학자이며 동일성 철학의 완성자라는 것이다.이런 문제에 근거해 특히 시뮬라크르 개념과 예술의 의미를 추적하면서 양자의 사유를 비교했다.시뮬라크르의 성격을 들뢰즈는 “동일자(le Mme)의 모델과 전적으로 다른 타자(l'Autre)의 모델”이라고 규정했다. 거기에 비해 헤겔은 타자로서의 시뮬라크르를 예술적, 감성적 가상(Schein)이라고 규정했다. 들뢰즈의 시뮬라크르 이론을 현대 예술론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은 그의 긍정적인 측면이다. 이런 면에서 들뢰즈의 시뮬라크르 이론은 헤겔 미학의 가상(Schein)이론과도 일맥상통한다.헤겔은 예술을 가상, 즉 만들어진 허구로 보지만 이를 일회적 자연물의 단순한 모사가 아니라 정신의 감각적 현존이라고 격상시킨다. 헤겔의 철학, 특히 그 중에서도 헤겔의 미학(美學)에서의 가상(Schein) 개념을 추출하고 이를 들뢰즈의 그것과 서로 비교하여 가상(시뮬라크르)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과제이다. 결론적으로 동일과 차이에 대한 헤겔과 들뢰즈의 대결은 변증법과 형식논리학의 관계에 대한 본격적인 고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KCI등재

        헤겔 실천철학에서 세 가지 타자개념

        권영우 ( Kwon Young Woo ) 한국헤겔학회 2016 헤겔연구 Vol.0 No.40

        헤겔철학에서 타자개념이란 그의 이론철학과 실천철학을 망라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 글을 통해 헤겔철학에서의 타자개념을 모두 해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헤겔철학의 실천철학적 맥락에서, 특히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타자개념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실천적 맥락에서 포착될 수 있는 `의식의 타자`, `사랑이라는 상호인정 관계 속에서의 타자` 그리고 `자기의식의 타자`가 제시될 것이다. 그리고 이 타자들이 `자아의 자기복귀`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고찰될 것이다. 헤겔 실천철학에서의 타자개념을 해명함으로써 헤겔철학적 관점에서 타자의 실천적 의미와 중요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무한경쟁이 모든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현 시대에 헤겔 실천철학에서 타자개념이 주는 시사점은 `타자의 제거가 아닌 타자를 인정함이 건전한 자기긍정이다`라는 매우 상식적인 언명이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바람직한 인륜적 삶을 살도록 환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바로 이러한 점에 입각하여 헤겔철학의 타자개념이 지니는 실천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실천철학적 맥락에서의 타자개념을 해명하는 것은 헤겔철학의 현재성을 밝히는데 하나의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Der Begriff des Anderen ist ein wichtiger Begriff, der sowohl Hegels theoretische als auch praktische Philosophie betrifft. Es ist unmoglich, in diesem Aufsatz die ganze Bedeutung des Begriffes des Anderen zu erlautern. Also wird der Begriff des Anderen im Sinne der praktischen Philosophie bei Hegel insbesondere der Phanomenologie des Geistesabgehandelt werden. In diesem Aufsatz stellen sich drei Arten des Anderen dar, die in den drei praktischen Kontexten erfasst werden konnen. Außerdem wird gezeigt, dass diese Anderen fur die Ruckkehr des Ich zu sich eine wichtige Rolle spielen. Indem der Begriff des Anderen in der Hegelschen praktischen Philosophie erklart wird, will der Verfasser die praktische Bedeutung und Wichtigkeit des Anderen im Hinblick auf Hegels Philosophie auffinden. Fur das jetzige Zeitalter, in dem die unendliche bzw. furchtbare Konkurrenz allmahlich mehrere Lebensbereiche der Menschheit beherrscht, zeigt der Begriff des Anderen in der Hegelschen praktischen Philosophie einen aktuellen Sinn auf, dass nicht die Beseitigung des Anderen, sondern die Anerkennung des Anderen eine gesunde Affirmation des Ich ist. Dies lasst uns gut und sittlich leben. Aus diesem Grunde will der Verfasser in dieser Abhandlung die praktische Bedeutung des Begriffes des Anderen in der Hegelschen praktischen Philosophie erlautern. Diese Erlauterung kann als ein guter Ansatzpunkt dafur gelten, den aktuellen Sinn der Hegelschen Philosophie aufzuzeigen.

      • KCI등재

        2부 헤겔논문 : 정신의 발전과 자유의 실현 -헤겔철학에 나타난 정신개념을 중심으로-

        정미라 ( Mi La Chung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정신(Geist)’은 헤겔의 실천 철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 중의 하나이다. 헤겔은 자신의 철학을 체계화 한 「철학대계」에서 논리학과 자연철학, 그리고 정신철학을 다루고 있다. 사유의 사변적 구조를 다룬 논리학과 자연에 대한 인식을 서술한 자연철학 이외에 주관정신과 객관정신, 그리고 절대정신으로 세분화한 정신철학에서 헤겔은 자유의 실현을 중심으로 한 실천철학적 주제를 총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헤겔의 정신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의 실천철학의 중심 내용뿐 아니라, 헤겔 철학에 있어서 자유의 구체적 의미를 포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헤겔이 정신개념과 함께 나타내고자 했던 실천철학적인 의미를 살펴보는데 있다. 특히 본 논문은 인간의 사유와 실천적 행위 속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헤겔의 정신개념을 고정된 객관적 실체로 이해하기 보다는 자신의 본질을 이루고 있는 자유를 현실 속에서 실현시키는 지속적인 운동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헤겔에 있어서 정신의 실현은 무엇보다도 타자와의 상호인정을 통한 통일 속에서 비로소 획득되는 자유의 실현임을 나타내 보이고자 하였다. Der “Geist”stellt einen der wesentlichen Begriffe fur das Verstandnis der jpraktischen Philosophie von Hegel dar. Den Begriff des Geistes bei Hegel verstehen heiβt, sowohl den wesentlichen Inhalt seiner praktischen Philosophie, als auch die konkrete Bedeutung der Freiheit in seiner Philosophie begreifen. Die vorliegende Arbeit will den praktisch-philosophischen Horizont in dem Begriff des Geistes bei Hegel untersuchen. Dabei will sie den Hegelschen Begriff des Geistes, welcher sich in dem Denken und der Praxis des Menschen manifestiert, eher al seine bestandige Bewegung begreifen, in der die Freiheit als sein Wesen verwirklicht wird, den als ein festes objectives Wesen. Zugleich will die Arbeit zeigen, daβ die Verwirklichung des Geistes fur Hegel nicht zuletzt die Verwirklichung der Freiheit darstellt, welche erst in der Einheit durch die Anerkennung der Anderen zu erzielen ist.

      • KCI등재

        헤겔의 실천철학에서 국가의 목적에 관하여 -시민사회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박배형 ( Bai Hyoung Park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6

        헤겔의 국가론은 그의 실천철학의 요체를 이루는 것이자 그의 객관정신철학의 종착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헤겔의 국가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의 실천철학이 갖는 현대적 의의를 짚어보고 평가하는 데에 반드시 요청되는 과제일 것이다. 그의 국가론의 한 핵심적인 측면은 그가 시민사회(burgerliche Gesellschaft)와 국가(Staat)를 목적과 관련하여 원리적으로 상이한 것으로 분리시켜 취급한다는 데에 있다. 헤겔 국가론의 모든 요소들이 옹호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목적의 관점에서 본다면, 헤겔이 행한 시민사회와 국가의 구분은 원리적으로 타당하며, 목적의 추구와 실현의 측면에서 보아 정치공동체로서의 국가가 시민사회보다 우월한 지위를 갖는다는 헤겔의 주장은 설득력 있는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이 함축하고 있는 내용은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시사해 주는 바가 많은데, 이것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헤겔은 오늘날 국가권력의 행사나 제도의 시행이 지향해야 할 바를 뚜렷이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다름 아니라 그가 말하는 보편적 관심사이다. 둘째, 헤겔은 시민사회가 가질 수밖에 없는 내적인 모순과 문제점들을 명시하고 이것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국가 차원의 개입과 노력이 요청된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였다. 셋째, 국가의 목적으로서의 보편적 관심사에 대한 헤겔의 주장은 우리가 공적 서비스라고 부르는 교육, 의료, 또는 교통과 같은 부문의 과제들이 왜 국가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명확히 알려주고 있다. Hegels Staatstheorie macht den Kern seiner praktischen Philosophie aus und ist als der Endpunkt seiner Philosophie des objektiven Geistes zu betrachten. Deswegen ist ein besseres Verstandnis dieser Theorie notig, um die aktuelle Bedeutung seiner Philosophie des objektiven Geistes zu erklaren und einzuschatzen. Eine besonders wichtige Seite dieser Theorie besteht darin, dass er die burgerliche Gesellschaft und den Staat als prinzipiell verschieden betrachtet und als voneinander getrennt behandelt. Diese Unterscheidung ist im Prinzip zu rechtfertigen und Hegels Behauptung, dass der Staat einen hoheren Status gegenuber der burgerlichen Gesellschaft besitzen muss, ist uberzeugend, obwohl nicht alle Elemente seiner Staatstheorie zu verteidigen sind. Was seine Behautung impliziert, ist im folgenden aufzufuhren. Erstens, Hegel zeigt, was der Staat zum Zweck bei der Ausubung seiner Macht und der Verwaltung der Institutionen haben muss. Dies ist nach ihm das allgemeine Interesse. Zweitens, er stellt die Widerspruche und Probleme in der burgerlichen Gesellschaft klar dar und erklart, dass, um sie zu losen, die Intervention und das Bestreben des Staats erforderlich sind. Drittens, seine Behauptung uber den Zweck des Staates macht explizit, warum der Staat offentliche Leistungen wie Bildung, medizinische Angelegenheiten usw. leiten und dafur verantwortlich sein muss.

      • KCI등재

        1부 헤겔논문 : 헤겔과 레비나스의 타자성 개념 비교

        조종화 ( Chong Hwa Cho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5

        헤겔과 레비나스는 타자성 개념을 서로 다르게 이해한다. 이 때문에 동일성과 타자성 및 양자의 관계에 대한 그들의 이해는 또한 서로 다르다. 레비나스는 동일성과 절대적으로 구별된 타자성을 주장한다. 이에 근거해서 그는 동일성과 타자성 사이에 근원적으로 극복될 수 없는 절대적인 심연 또는 간극을 전제하고, ‘일자와 타자의 절대적인 비동일성’ 및 ‘타자에 대한 일자의 의존성’을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일자와 타자를 대칭적인 관계로서 파악하는 것을 극단적으로 비판하고, 양자 사이에서의 ‘절대적인 비대칭성’을 주장한다. 이 때문에 일자는 동일성에 근거한 자기확신적인 존재를 초월해서 타자로 이행해야만 하는 동일자-속의-타자’로 이해되고, 결국에는 ‘타자를-위한-일자’로 규정된다. 이에 반해 헤겔은 ‘자기 자신의 타자’라는 사상에 근거해서 타자성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근거해서 동일성과 타자성의 관계를 레비나스와는 다르게 정초한다. 이 사상에 따르자면 일자뿐만 아니라 타자는 ‘자기 자신과 자신의 타자의 부정적인 통일’ 구조를 자체 내에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헤겔은 이러한 부정적인 통일을 원리적으로 ‘동일성과 비동일성의 동일성’이라 부른다. 또한 ‘자기 자신의 타자’라는 사상에 따르자면 헤겔의 체계가 전개되는 모든 개념들은 자기관계하는 타자성이라는 근본형식의 계승자이며 함축들로 이해된다. 그래서 동일성과 타자성 사이에서 대칭성/동일성뿐만 아니라 비대칭성/비동일성의 관계가 나타나고, 대칭성과 비대칭성의 통일 구조가 제시된다. 이러한 비교에 근거해서 헤겔의 ‘주체’ 개념과 레비나스의 ‘타자에 의존하는 윤리적인 일자’ 사상이 비교·검토된다. Hegel und Levinas verstehen den Begriff ‘Andersheit’ voneinander verschiedenartig. Daher sind ihre Verstandnisse fur Identitat, Andersheit und deren Verhaltnis auch voneinander verschieden. Levinas behauptet die Andersheit, die von der Identitat vollig unterschiden ist. Auf diesem Grunde setzt er einen ursprunglich unuberwindbaren absoluten Abgrund zwischen Identitat und Andersheit voraus und besteht auf deren absoluten Ungleichheit und auch auf der Abhangigkeit des Einen vom Anderen. Damit kritisiert er scharf, den Einen und den Anderen uberhaupt in einer symmetrischen Weise begreifen zu suchen und haltet ein unsymmetrisches Verhaltnis dazwischen fest. Danach wird der Eine als einer gefaßt, der in der Tat ‘der-Andere-im-Selben’ ist und damit sein selbstidentisches selbstgewißliches Sein transzendiert und zum Anderen ubergeht, um fogleich als ‘der-Eine-fur-den-Anderen’ bestimmt zu werden. Dagegen versteht Hegel den Begriff ‘Andersheit’ aufgrund des Gedanken ‘das Andere seiner selbst’ und begrundet danach das Verhaltnis zwischen Identitat und Andersheit anders als Levinas. Dieser Gedanke bestimmt sowohl den Einen wie auch den Anderen als den, der ‘die negative Einheit seiner selbst und seines Anderen’ enthalt. Diese Einheit nennt Hegel prinzipiell ‘Identitat der Identitat und Nichtidentitat’. Nach jenem Gedanken werden alle Begriffe, in denen sich Hegels System entfaltet, als Nachfolger und Komplikationen der Grundform von selbstbezuglicher Andersheit bestimmt. Danach kommt zwischen Identitat und Andersheit nun ein Verhaltnis der Symmetrie/Identitat und auch ein Verhaltnis der Unsymmetrie/Nichtidentitat zum Vorschein. Damit wird dazwischen eine Einheitsstruktur von Symmetrie und Unsymmetrie gezeigt. Aufgrund dieses Vergleiches werden Hegels Begriff ‘Subjekt’ und Levinas` Gedanke ‘der vom Anderen abhangige ethische Eine’ untersucht und miteinander vergleicht.

      • KCI등재

        1부 헤겔논문 : 헤겔의 회화론의 현대적 의미

        서정혁 ( Jeong Hyok Seo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5

        회화에 관한 헤겔의 논의는 지금까지 후기 네덜란드 장르화에 관한 헤겔의 선구적 해석만이 부각되었을 뿐 헤겔 미학의 연구사 내에서 충분히 평가되거나 검토되지 못했다. 회화의 장르적 특징과 17세기에 이르는 회화의 발전 양상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헤겔의 회화론이 지니는 현대적 의미를 논할 수 있다. 첫째, 회화의 내용적 소재의 다양화와 미적 범주의 다양화라는 면이다. 낭만적 예술형식에 속하는 회화의 발전과정은 내면적인 주관성의 심화를 보여주며, 주관성이 심화됨으로써 회화의 소재는 어떤 것이든 상관없다는 관점에까지 다다른다. 헤겔은 이의 대표적 사례로 일상적 대상들을 회화의 소재로 삼은 후기 네덜란드 장르화를 제시한다. 회화에서 소재의 다양화는 기존의 위계 질서의 전복과 더불어 아름다운 이념상만을 추구하던 기존의 미적 범주의 부정과 다양화를 반영한다. 둘째, 색채와 정신의 내면에 대한 강조를 통한 주관과 객관 사이의 새로운 관계 정립이라는 면이다. 헤겔은 회화에서 원근법이나 소묘보다 채색이 본질적이며 가장 중요하다라고 주장하면서 이 채색을 정신의 빛과 연관시킨다. 회화에서 표현되는 빛은 외부에서 대상을 비추는 자연의 빛이 아니라 채색하는 화가의 정신성의 반영이다. 그래서 헤겔은 채색을 ‘색 가상의 마법’으로, 화가를 ‘마술사’로 표현한다. 채색을 통한 대상의 표현에서 예술가의 독창성과 객관적 사태는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 이것은 주관과 객관 중 어느 쪽에 치우치지 않는 새로운 관계 정립이라는 현대성의 일면을 보여주며, 이 맥락에서 ‘창작-작품-감상’이라는 선형적인 관계는 상호 작용의 관계로 전환된다. 여기서 헤겔은 예술이 타율적인 기준을 수용하지 않고 동시대성을 중시하면서 현재를 살아가는 삶의 모습을 생동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에 대한 사례를 후기 네덜란드 장르화에만 한정되지 않고 좀더 다양한 작품들로 확대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헤겔의 회화론이 지닌 현대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Until now only Hegel`s pioneer interpretation of 17c Dutch genre painting has stood out so far, but more various other sides in his discussions about painting were not enough examined in Lectures on Aesthetics. With reference to genr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painting up to 17c contemporary meaning of G. W, F. Hegel`s theory of painting can be discovered in two aspects like this; The first is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 and aesthetic category. The developing progress of painting which belongs to romantic art form reveals the deepening of internal subjectivity, and by this deepening it reaches a standpoint which sees that contents of painting have nothing to do with anything. Hegel sees 17c Dutch genre paintings as such an important example.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 and aesthetic category reflects the overthrow of a previous hierarchy. The second is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y emphasizing the coloring and the inner of spirit. Arguing that the coloring is more important than perspective and drawing Hegel relates the coloring with the light of spirit. The light in painting is not natural light which shines external object but reflection of painter`s spirit. And so the coloring is regarded as the magic of color-shining and the painter is regarded as a magician. The originality of artist and the objective state of thing have a new relationship which has a mutual influence on each other in expressions of object by the coloring. This shows an aspect of modernity as a new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In this context ‘creating-work-appreciating’ turns into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 Hegel argues that the art should not accept a heteronomous standard but value the contemporaneity and reflect the reality of life lively. The case for this is not limited to 17c Dutch genre painting and is extended to a variety of more works. In this respect we can understand contemporary meaning of Hegel`s theory of painting.

      • KCI등재

        1부 헤겔 논문 : 헤겔의 자연과 기술

        양우석 ( Ou Sork Yang ) 한국헤겔학회 2015 헤겔연구 Vol.0 No.37

        이미 오래 전부터 문제로 제기된 생태학적 위기의 문제는 헤겔철학에서 어떻게 해석 될 수 있을까 하는 것이 본 논문의 근본적 관심사다. 여기서 헤겔철학은 존재론과 실천 철학, 형이상학과 가치론의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것으로 전제된다. 이 글은 정신의 영역 가운데 특히 기술 현상에 주목하여 이 관점에서 헤겔철학 전체를 다시 조명하는 가운데 생태학적 위기의 근원이 되는 일차적 자연과 이차적 자연, 신의 기술과 인간의 기술의 관계에 주목한다. 이에 따르면, 신의 기술은 자기를 설정하여 일차적 자연을 탄생시키고, 이것을 인간의 기술이 다시 설정하여 이차적 자연을 구축한다. 넓은 의미에서 헤겔의 “세계”는 일차적 자연과 이차적 자연을 아우른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는 이차적 자연만을 세계라 규정한다. 우리가 진정 문제로 삼는 것은 유한한 정신이 설정한 이차적 자연이다. 이차적 자연은 인간이 기술과 과학을 동원하여 구축한 문명으로서 생태학적 위기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헤겔의 진단에 따르면 근대과학과 기술은 “이것 아니면 저것”(entweder~oder)의 오성 논리로 세계를 구축하여 결국 일차적 자연을 일방적으로 착취하고 지배한다. 이것이 오늘날의 생태학적 위기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 이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오성의 차원에 대한 근원적인 반성을 통해서 그 한계점을 올바로 인식하여 일차적 자연과 이차적 자연 전체를 통관해 보는 성의 차원으로 발돋움해야 한다. 이성은 ‘이것도, 저것도(sowohl ~als auch)“라는 부드러운 통관의 논리로 존재 전체를 파악한다. Dieser Aufsatz interessiert sich dafur, wie sich das Problem der heutigen okologischen Kriese in der Philosophie Hegels interpretiert werden kann, was schon fruher in Frage gestellt ist. Hier wird es dafur vorausgesetzt, dass Hegels Philosopie zugleich eine Ontologie und praktische Philosophie, Metaphysik und Axiologie ware. Unsere Aufmerksamkeit richtet sich besonders auf die Technik, die sich im Allgemein im Geistbereich befindet, und in dieser Perspektive berucksichtigen wir wiederum das Ganze der Hegelschen Philosophie. So geht es darum, was man das Verhaltnis zwischen der ersten und der zweiten Natur, der gottlichen und der menschlichen Technik versteht, die meines Erachtens als eine Ursprung der okologischen Krise gehalten wurde. Demnach lasst die gottliche Technik durch das Setzen von sich selbst die erste Natur in die Erscheinung treten, und die menschliche Technik setzt wiederum diese, und baut die zweite Natur auf. Im weiterem Sinne involviert Hegels Begriff der Welt doch die erste und der zweite Natur. Aber im engem Sinne betrachtet Hegel nur die zweite Natur als Welt. Es handelt sich bei uns um die Sphare der zweiten Natur, die der endliche Geist als seine Welt setzt. Die zweite Natur wird gehalten fur Zivilization, die die heutige Menschen mittels der Technik und Wissenschaft bilden, steht im tiefen Zusammenhang mit der heutigen akologischen Krise. Nach der Diagnose Hegels bauen die moderne Wissenschft und Technik mittels der Logik des Verstandes “entweder ~ oder” die Welt auf, indem sie der ersten Natur ihre Selbsandikeit nehmen, und schlißlich ausbeuten und beherrschen auch die erste Natur. Even dies ist die Hauptursache, die die heutige okologische Krise verursacht.

      • KCI등재

        2부 헤겔논문 : 듀이와 헤겔의 정신철학 -「엔치클로페디」의 "주관정신"중심으로-

        서정혁 ( Jeong Hyok Seo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지금까지의 해석과는 달리 듀이는 1890년대 이후에도 헤겔 철학과의 관계를 단절하지 않았으며,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헤겔 철학에 친밀감을 표시했다. 최근 새롭게 추가된 듀이의 「헤겔의 정신철학 강의」(1897)는 이러한 주장을 정당화하는 데 설득력 높은 근거를 제시해 준다. 이와 관련하여 「헤겔의 정신철학 강의」(1897) 중 헤겔의 『엔치클로페디』의 ‘주관정신’ 부분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듀이의 다윈주의 수용은 헤겔 철학과의 단절로 규정될 수 없다. 오히려 ‘인간학’에서 듀이의 심신이원론 비판과 인과관계에 관한 논의는 그의 철학적 재구성에 헤겔 철학이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둘째, ‘정신현상학’의 논의에 의하면 칸트에 대한 듀이의 비판은 의식을 대상과 분리된 것으로 보지 않고 주체와 객체의 통합으로 보는 헤겔적인 관점에 기반해 있다. 헤겔처럼 듀이는 자아를 ‘경험 자체의 실재적 통일’로 간주함으로써 그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셋째, ‘심리학’에서 듀이는 지성과 의지, 이론과 실천을 실행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면서 헤겔 철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헤겔을 ‘위대한 실행주의자’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제임스의 『심리학 원리』의 영향으로 듀이가 헤겔 철학과 단절해버렸다는 종래의 해석이 일면적이며, 듀이의 제임스 철학의 수용이 헤겔 철학의 배제와 동일시될 필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듀이와 헤겔의 관계를 이렇게 재조명함으로써 실용주의와 독일관념론 사이에 좀더 활발한 소통의 가능성이 모색될 수 있다. Unlike previous interpretations Dewey didn`t cut off the relationship with Hegel`s thoughts after 1890s but he had the intimacy with Hegel`s philosophy consistently and continuously. Many persuasive reasons to justify this claim are proposed by "Hegel`s Philosophy of Spirit"(1897) that is added to Dewey`s lectures newly. Dewey`s lecture on the part "Der subjektive Geist" in Enzyklopadie can be reviewed like this; First, Dewey`s acceptance of Darwinism should not be regarded as his disconnection from Hegel`s philosophy. Rather Dewey` discussion on dualism between mind and body and causality in "Anthropology" shows that Hegel`s philosoph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wey`s reconstruction of philosophy. Second, Dewey` criticism of Kant in "Phenomenology of Spirit" is based on such a standpoint of Hegel who didn`t separate consciousness from object and regarded consciousness as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Dewey agrees with Hegel`s thoughts by regarding ``the self`` as ``the real unity of experience itself``. Finally, in "Psychology" Dewey accepts Hegel`s philosophy actively by understanding intelligence and will, theory and practice unitedly and he calls Hegel ``a great actualist``. Through this discussion, it is sure that previous interpretations is narrow-minded which claimed that Dewey cut off the relationship with Hegel`s thoughts after 1890s due to the influence of W. James`s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and that Dewey`s acceptance of James`s philosophy should not be regarded as his disconnection from Hegel`s philosophy. Furthermore, we can try to find the possibility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Pragmatism and German Idealism by re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wey and Hegel.

      • KCI등재

        퍼스의 헤겔 비판

        서정혁 한국헤겔학회 2018 헤겔연구 Vol.0 No.44

        퍼스는 자신의 여러 글들에서 헤겔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동시에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퍼스가 어떤 이유에서 헤겔에 대해 이처럼 이중적인 태도를 취했는가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우선, 퍼스는 실재론의 입장에서 데카르트로부터 비롯되는 근대 철학을 유명론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유독 헤겔만을 ‘실재론을 동경한 유명론자’, ‘실재론의 조각을 덮어 쓴 유명론자’라고 표현하면서 헤겔이 실재론을 지지했다고 평가한다. 헤겔에 대한 퍼스의 이 평가는 우선 헤겔이 퍼스처럼 데카르트의 ‘토대주의’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했다는 점에서 이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둘째, 퍼스가 어떤 이유에서 자신의 범주가 헤겔의 ‘사유의 세 단계’와 유사하다고 주장하는지를 검토해보면, 헤겔과 퍼스의 철학적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 왜냐하면 퍼스는 자신의 보편적 범주, 즉 일차성, 이차성, 삼차성이 각각 헤겔의 사유의 세 단계에 대응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헤겔의 사유의 세 단계가 구체적으로 무엇이라고 퍼스 자신이 확정하지 않기 때문에, 퍼스의 범주론과 헤겔의 사유의 세 단계를 통해 두 사람의 관계를 밝히는 데에는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밖에 없다. 퍼스는 헤겔이 사유의 세 단계를 논하면서 삼차성에만 치중함으로써 일차성과 이차성을 적절하게 다루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즉, 헤겔은 일차성에서 현존성과 직접성을 추상으로만 다루었고, 이차성의 투쟁을 보편 법칙으로 만들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런데, 헤겔이 일차성과 이차성을 삼차성으로 지양되는 맥락에서만 이해함으로써 일차성과 이차성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는 퍼스의 비판이 적절한가를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퍼스는 ‘지양’이라는 개념을 ‘반박’이라는 부정적 의미로만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보다 더 중요한 점은, 결과적으로 삼차성이 유일한 범주라고 간주하는 퍼스 자신의 주장 때문에, 퍼스 자신의 입장이 헤겔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결론내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퍼스에게서도 기호로 표현될 수 있는 유의미한 경험은 삼차성의 매개를 통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앞으로 좀 더 다각적인 면에서 헤겔과 퍼스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가 더 활발해질 필요가 있다. In his various articles, Peirce strongly criticizes Hegel and at the same time positively evaluates him. The reason why Peirce take such a dual attitude to Hegel can be confirmed by the following discussion. First, while criticizing modern philosophy stemming from Descartes as nominalism in the viewpoint of realism, Peirce describes Hegel’s philosophy as “a nominalist of realistic yearnings” and “a nominalist with patches of realism” and then evaluates Hegel’s support for realism. Peirce’s assessment of Hegel can be understood in the sense that Hegel, like Peirce, maintained a critical position on Descartes’ fundamentalism. Furthermore, secondly, examining whether Peirce for some reasons suggests that his categories are similar to Hegel’s “three stages of thought”, we can reveal more specifically the philosophical relationship between Hegel and Peirce. Because Peirce mentions that his universal categories, Firstness, Secondness, and Thirdness, correspond to Hegel’s “three stages of thought”. However,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for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irce’s categories and Hegel’s “three stages of thought”, since Peirce does not define what Hegel’s “three stages of thought” are. He criticizes Hegel for not treating adequately Firstness and Secondness by focusing mainly on Thirdness. In other words, he criticizes that Hegel treated presence and immediacy in Firstness only as an abstraction, and has made struggles in Secondness a univeral law.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Peirce’s critique of the fact that Hegel did not properly deal with Firstness and Secondness by understanding Firstness and Secondness only in the context of Thirdness. First of all, Peirce has a problem in that he understands the notion of ‘Aufhebung’ only in the negative meaning of ‘refutation’. More importantly, Peirce may conclude that his own position is not so different from Hegel’s, because he claims that Thirdness is the only category eventually. Because, according to Peirce, the meaningful experience that can be expressed in signs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Thirdness. From this point of view, we need to try to find out mo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Hegel and Peirce in a more diverse way.

      • KCI등재

        예나 초기 헤겔의 "비극적 사유"

        조창오 ( Chang Oh Cho )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8

        이 논문은 1800년경부터 헤겔이 구상했던 ``비극적 사유``의 모델을 밝힘으로써 한편으로는 헤겔의 전체 철학을 세부적인 발전사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채 "변증법"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방식을 비판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헤겔의 사유의 발전을 "사변적 변증법"이라는 철학적 체계라는 특정한 목표를 먼저 세운 후에 목적론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비판하고자 한다. 이 예나 초기 헤겔 사유의 고유성은 헤겔이 초월적 직관과 반성적 사유를 ``비극적인 것``이라는 개념을 통해 통합하려는 데에 놓여 있다. 이 ``비극적 사유``는 프랑크푸르트 시기부터 이어져온 비극에 대한 헤겔의 문제의식에서부터 발전사적인 방식으로 밝힐 수 있다. 우리는 ``비극적 사유``와 ``변증법적 사유``를 구별함으로써 『자연법 논문』과 『정신현상학』에서의 비극의 이론의 차이점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동시에 ``비극적 사유``에서 전개된 헤겔의 비극적인 것의 이론은 『정신현상학』에서 헤겔이 보여준 비극의 다차원적인 읽기의 근본토대를 제공해준다. Diese Abhandlung versucht, das tragische Denken`` zu rekonstruieren, das Hegel seit gegen 1800 entworfen hat. Damit konnen wir vermeiden, einerseits die ganze Philosophie von Hegel durch den Begriff "Dialektik" zu verstehen, ohne die detaillierte entwicklungsgeschichtliche Seite zu berucksichtigen, andererseits die Entwicklung des Hegelschen Denkens teleologisch zu interpretieren. Die Eigenstandigkeit des Denkens in dieser Zeit liegt darin, die transzendentale Anschauung und das reflexive Denken durch den Begriff des Tragischen zu vereinigen. Dieses tragische Denken kann nur aus der Problematik verstanden werden, mit der Hegel sich seit der Frankfurter Zeit auseinandergesetzt hat. Durch die Unterscheidung des tragischen Denkens von dem dialektischen, das Hegel seit 1804 konzipiert hat, kann die Eigenstandigkeit der Tragodientheorie im Naturrechtsaufsatz verdeutlicht werden, im Vergleich zu der in Phanomenologie des Geistes. Die Tragodientheorie, die Hegel durch das tragische Denken expliziert hat, tragt nicht zuletzt zum Verstehen der mehrdimensionalen Lekturen der Tragodie in Phanomenologie des Geistes be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