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구조주의를 바탕으로 한 20세기 초기의 기능적 의상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경아,박선경,어미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이데올로기의 문제로 연구가 미진했던 분야인 러시아 구조주의와 러시아 구조주의의 특성 중 하나인 기능성이 서구 의상디자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그 초기의 발전과정을 정리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러시아 구조주의에 대한 1970년대 이후의 연구서를 중심으로 한 문헌 연구와 이 시기의 연구서를 바탕으로 한 2차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관련 문헌과 작품자료를 조사하도록 한다. 연구 범위는 러시아 구조주의에 대해서는 1910년대 후반부터 1920년대 후반까지로 한정하고 러시아 구조주의의 기능적 측면에서 영향을 받은 서구 패션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분석은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의 디자이너로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 러시아 구조주의는 사회 개혁을 목표로 하는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으므로 사회 개혁을 촉진시키기 위해 예술과 디자인에 기능적 요소가 도입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당시의 과학과 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이데올로기를 실현하기 위한 목표치를 달성하는 데에 기능성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러시아 구조주의의 특성은 외적 디자인을 보여주는 형식적 구성요소와 기계적 요소를 도입하여 작품의 움직임과 구조를 제작하는 방식의 구조적 구성요소로 나타났다. 러시아 구조주의는 바우하우스와의 교류를 통해 예술에 대한 이념을 서구 사회에 전파하였으며 의상디자인에까지 그 영향이 미쳤다. 이러한 경향은 기하학적 모티브를 활용한 의상과 인체활동을 고려한 단순하고 기능적인 디자인의 의상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는 네크라인이나 실루엣 등의 요소에 기하학적 요소를 적용하는 등의 형태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또한 기능성에서 영향을 받은 의상디자인은 러시아 구조주의 작가들이 발표한 의상디자인, 그리고 비슷한 시기 서구 유럽에서 활동한 폴 푸와레, 장 파투, 가브리엘 샤넬, 마들렌 비오네의 의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20세기 초반 의상디자이너들의 시도는 현대 의상디자인의 기능적 발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초창기 홍상수영화의 서사방식에 대한 논의 : 구조주의 영화(Structuralist Film)의 관점에서

        김수남 영상예술학회 2012 영상예술연구 Vol.20 No.-

        홍상수의 영화는 대중의 오락성보다 예술적 완성도를 지향한다. 그의 영화들은 삶을 성찰하여 모든 것을 객관적으로 지켜본다. 대중 지향의 영화들이 등장인물들의 주체적인 삶과 대립을 일체의 외부적인 것을 용해시키는 것과 달리 홍상수의 등장인물들은 삶의 주체로서 행동하지만 늘 외부적 존재들에 의해 관찰되고 분석된다. 외부적 존재는 감독(작가)과 관객이다. 그의 관객이 되고자 하는 이들은 그들 욕망하는 주체들의 시선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분열의 현장을 포착하게 된다. 그리하여 일상은 표면적으로 평범하게 운영되는 듯 보이나 그 욕망의 일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순수한 자연에로의 일탈을 꿈꾸게 된다.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강원도의 힘>, <생활의 발견>, <오! 수정> 등의 작품에서 일상의 표면 아래에 끊임없이 샘솟고 있는 욕망을 누군가 응시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얼마나 당혹스러울 것인가. 홍상수의 영화들이 비평가나 국제영화제의 프로그래머에게 관심을 받는 근원적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홍상수영화는 한마디로 관조영화다. 배용균이나 백일성의 영화와 그 궤를 같이하거나 아직은 미숙하지만 이 시대의 현학자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나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영화들 선상에서도 논할 수 있는 생각하는 영화이다. 심오한 의미를 던져주는 철학자적 관극을 요하는 관조영화도 있겠지만 영화의 극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관람태도를 요구하는 관조영화도 있다. 1960년대 미국의 구조주의 영화(Structuralist Film)는 관객의 수동적인 관람태도를 거부하고 정신적으로 능동적 관람하는 실험영화였다. 홍상수의 구조주의 영화를 분석하는 논리는 1960년대 미국 실험영화의 한 부류인 구조주의 영화에서 차용한다. 여기서 구조주의라는 용어는 보편적으론 구조적 언어학에서나 구조적 인류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철학적인 의미로 알려진 소문자로 사용하는 구조주의(structuralism)과 달리 특정한 예술운동으로서 대문자로 사용하는 구조주의(Structuralism)으로 실험적인 예술운동의 실천적 이론과 비평의 논리로서 소개되었다. 드라마로서 구조주의의 이해는 관객의 두뇌 구조에 관계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의 마음의 작용이나 특정한 경험의 독자적인 구조에 관계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홍상수영화의 서사방식을 한국 전통가면극의 서사구조와 비교 고찰하는 것은 한국영화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대안영화로서 마이클 커비의 새로운 예술운동으로서 구조주의 논리가 우리의 전통민속놀이인 가면극의 드라마투르기와 그 맥을 같이한다는 데에 있다. 시작과 중간과 끝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술구조를 해체시키는 한국 전통가면극의 드라마투르기는 각 과장의 서술적 전개가 앞과장의 끝과 뒷과장의 시작이 서로 맞물려 들어가고 나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즉 각 과장은 이야기의 끝이 있되 새로운 시작으로 각과장마다 절정이 있되 그 절정은 하나의 주제를 향한 큰 절정속의 작은 절정으로 존재한다. 극의 끝부분은 놀이를 마감하는 뒷풀이다. 그동안 서구가 제공한 영화의 새로운 양식들과 기능들은 한국영화의 새로운 토대를 확보하도록 일조하였지만 보다 더 관심을 가져야할 것은 한국영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홍상수영화의 독창성은 주인공들의 삶의 문제에 관객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조주의 영화의 서사방식임을 우선 평가하여야 한다. 홍상수영화를 보고난 후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를 관객 각자가 재구성케 하는 힘은 홍상수영화가 등장인물의 갈등에 관객이 적극적으로 참여토록 한 결과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는 홍상수의 관조영화를 고찰하고자 초창기의 홍상수영화인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강원도의 힘>, <오! 수정>, <생활의 발견>을 중심으로 새로운 서사방식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홍상수영화를 1960년대 미국 실험영화의 구조주의 영화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특히 홍상수영화와 구조주의 영화의 서사적 구조의 특성이 한국 전통가면극의 서사구조와 상통되는 점을 부각시켜 한국영화의 시네마투르기를 시도하는 대안영화의 서사미학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Dir. Hong Sangsu’s Film pursued the art film more than popular entertainment movie. His works has watched ordinary life and represented those images objectively. The Character acted in life as the subject but they are watched by exterior existence who are film director and audience. They catch the reality of disruptions when they see Hong sangsu’s film. The real life of Hong sangsu’s film makes his audience to feel the outs1ide world of ordinary life. Daejiga Umulae Ppajin Nal, Gangwondoeui Him, Saenghwaleui Balgyun, Oh! Sujeong etc. are called a style of meditated cinema. Dir. Hong’s meditated cinema are different from that of Andrei Arsenyevich Tarkovsky and Abbas Kiarostami’s film. Dir. Hong’s meditated cinema required to his audience participated in film’s dramatic development. His film is a kind of American experimental cinema which is called Structuralist Film in 1960’s. The concept of structualism in Structuralist Film has another meaning different from usually philosophy concepts. In Structuralist Film structuralism is a theory as experimental art’s movement to start in 1960’s at New York. Michael Kirby who is a professor of New York university, firstly presented Structuralist art theory. He says, his structualism is the capital letter of "Structuralism" and the structuralist knows about memory and expectancy and how these mechanism work. He knows that anything that is remembered or expected. He knows that structure become manifest in the working of the mind. Now comparing the cinematurgy of Hong sangsu’s film to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lay’s dramaturgy I insist that Dir. Hong’s film is the style of Korean alternative film to pursue the identity of Korean film. The dramaturgy of traditional mask play is only a form for showing every aspect of a play. The story and action of these episodes are well known to most villagers. Each episode is independent, but all relate to the subject of the masked play. Each episode is an independent story, but each has relationship to the subject of the play as in Korean masked play. Aristotle’s plot which has the beginning, the middle and the ending of a play. Gutav Freytag’s development of a plot. It has five steps from Introduction, Rising Action, Crisis or Climax, Falling Action or Return, to Catastrophe of Denouement. The typical plot of masked play represent several different climaxes that happen in the play, each reaching their own climax and catastrophe. The originality of Hong, Sangsu’s film is evaluated by his adoption Structuralist Film style. This study of Hong, Sangsu’s Structuralist Film definite that Hong’s film style from American Structuralist Film and Korean traditional mask play’s dramaturgy. I hope Korean film artist will adopt the form of Korean new cinematurgy.

      • KCI등재

        리차드 마이어 백색건축에 나타난 구조주의적 공간체계 특성에 관한 연구

        오현정 ( Hyunjung Oh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리처드 마이어는 미국을 대표하는 근 현대 건축가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그는 백색건축이라는 본인만의 독창적인 건축 조형을 주변 지역의 관계적 맥락을 통해서 잘 표현하고 있다. 리처드 마이어의 건축 특성에서 다양하고 여러 형식으로 표현특성을 설명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주변 자연 환경을 적극 활용하여 건축요소의 체계적인 배치를 하였고 합리적인 동선 흐름과 각 공간 프로그램 체계에 있어 논리적 전개방식을 일관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전체구성에 있어 공간의 수평적, 수직적 전개의 방향성은 기하학적 원리를 사용하며 사용자의 시지각적 감관의 전이를 보다 폭 넓고 깊이 있게 경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리처드 마이어만의 백색건축은 근원의 순수성을 상징한다. 단순하고 원형으로서의 건축 공간의 표현은 외형과 내부공간에 절대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리처드 마이어는 공간의 비어있음과 채워있음, 물과 빛의 물성을 심미적으로 시적 표현 서술한다. 근, 현대에 이르러 과학기술의 발달과 자본주의의 급작스러운 발달은 심각한 공해와 환경파괴가 심각한 사회 문제를 대두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구조주의의 철학적 사상은 근현대를 시작으로 여러 철학자들, 사상가들에 의해 태동되었다. 공간의 안과 밖, 주체사상과 구조체계,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철학적 사고의 실체와 관계론은 현상학적, 해석학적 사고와 함께 이분법적으로 분류 대립되기도 하고 구조주의의 철학적 개념으로 상호 밀접한 연결의 체계적 틀을 구성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주의의 철학적 개념을 관점으로 리처드 마이어의 백색 건축을 통해서 구조주의적 사유의 방법론을 통하여 그만의 건축 공간의 체계를 이루는 맥락 요소를 심층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우선적으로 구조 언어학의 분류 특성인 동시성과 통시성, 계열체적 관계와 결합체적 관계, 은유법과 환유법의 개념을 정리하여 구조주의 방법론으로 건축의 맥락을 분석하는 관점으로 요약 정리한다. 첫 번째로 구조주의 철학의 사유를 공간 요소간의 기호적 맥락을 유형과 무형으로 분류하였고 정신적 형태의 맥락으로 의식의 내용과 무의식의 표현 관계성을 연구하며 관계적 대체의 맥락으로 근원과 변화의 논리적 특성으로 연구하려 한다. 두 번째로 연구 대상의 선정 및 한정은 리처드 마이어 백색건축의 대표적인 건축 작품들 9가지를 사례로 주거공간, 상업 공간, 교육 공간을 중심으로 구조주의 건축 맥락의 키워드인 기호성,선천성,규칙성,치환성,환유성,대치성,주지성,기하학,합리성을 통해 건축공간의 특성을 분석 연구하려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변 지역 환경과 역사적 시간성의 맥락과 함께 리처드 마이어의 백색건축에 나타난 공간체계 특성을 구조주의적 철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선천적 기호 구조, 환유적 치환구조, 기하학적 주지 구조의 맥락으로 공간의 관계성을 분석 연구하였다. (결론) 리처드 마이어는 백색 건축 공간의 기호적, 정신적, 관계적 체계 안에 구조주의 철학의 특성을 가지며 동시적, 통시적, 결합체적, 계열체적 공간의 밀접한 관계를 은유하고 환유한다. 또한 건축 배치에 대한 전체공간과 세부공간으로의 연결은 주지적 체계를 가지며 논리적이며 합리적이다. 수학적 법칙을 기하학적 요소로 활용하여 연출하였고 사용자들의 공간체험의 경험을 다양한 시지각적 감관의 전이를 통해서 표현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Richard Meier is the most important person among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s who represents U.S.A. He accurately expressed white architecture, his own architectural form through the relational context of neighboring areas. His white architecture symbolizes the purity of origin. His expression of simple architectural space as the archetype pursues an absolute value in external and internal space. Richard Meier describes the void and fill of space and physical properties of water and light with esthetic and poetic expressions. Along with them, many philosophers and thinkers gave birth to structuralism, a philosophical idea. The dichotomy of relations and the entity of philosophical thought, such a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a space, subjective idea and structural system, and huma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ere divided through phenomenological or interpretive thoughts or sometimes constituted an interrelated systematic frame through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structuralism.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textual factors in depth, composing the system of architectural space, through Richard Meier's white architecture and the methodology and thoughts of struc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structuralism. (Method) This study initially analyzes the context of architecture with the methodology of structuralism, by summarizing synchronicity and diachronicity, th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linguistics,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ship, and the concept of metaphor and metonymy. First, it attempts to divide the thought of structuralistic philosophy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spatial factors in the semiotic context, examine conscious contents and unconscious expression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psychological forms and investigate the logical characteristics of origin and change, in the context of relational substitution. Second, it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key words of structuralistic architectural context by using 9 works representing for Richard Meier's white architecture around living, commercial and educational spaces: semiotic, innateness, regularity. transposition, metonymy, confrontation, intellectualism, geometry and rationality. (Results) This study thus analyzed neighboring loc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temporal context as well as spatial system's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Richard Meier's white architecture, based on the philosophical through of structuralism and the spatial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innate semiotic structures, metonymical transposition structure and geometrical intellectual structure. (Conclusions) There ar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in the semiotic, psychological and relationship system of Richard Meier's white architecture, and metaphor and metonymy of close relationship among synchronic, diachronic, and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spaces are used. In addition, the linkage into the whole and sub-spaces for architectural arrangement has an intellectual system and is logical and reasonable. Richard Meier produced mathematic rules by using geometric factors and expressed users' spatial experiences through the transference of various visual-perceptual sense organs.

      • KCI등재후보

        초창기 홍상수영화의 서사방식에 대한 논의 ❙구조주의 영화(Structuralist Film)의 관점에서

        김수남 영상예술학회 2012 영상예술연구 Vol.0 No.20

        홍상수의 영화는 대중의 오락성보다 예술적 완성도를 지향한다. 그의 영화들은 삶을 성찰하여 모든 것을 객관적으로 지켜본다. 대중 지향의 영화들이 등장인물들의 주체적인 삶과 대립을 일체의 외부적인 것을 용해시키는 것과 달리 홍상수의 등장인물들은 삶의 주체로서 행동하지만 늘 외부적 존재들에 의해 관찰되고 분석된다. 외부적 존재는 감독(작가)과 관객이다. 그의 관객이 되고자 하는 이들은 그들 욕망하는 주체들의 시선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분열의 현장을 포착하게 된다. 그리하여 일상은 표면적으로 평범하게 운영되는 듯 보이나 그 욕망의 일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순수한 자연에로의 일탈을 꿈꾸게 된다.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강원도의 힘>, <생활의 발견>, <오! 수정> 등의 작품에서 일상의 표면 아래에 끊임없이 샘솟고 있는 욕망을 누군가 응시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얼마나 당혹스러울 것인가. 홍상수의 영화들이 비평가나 국제영화제의 프로그래머에게 관심을 받는 근원적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다. 홍상수영화는 한마디로 관조영화다. 배용균이나 백일성의 영화와 그 궤를 같이하거나 아직은 미숙하지만 이 시대의 현학자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나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영화들 선상에서도 논할 수 있는 생각하는 영화이다. 심오한 의미를 던져주는 철학자적 관극을 요하는 관조영화도 있겠지만 영화의 극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관람태도를 요구하는 관조영화도 있다. 1960년대 미국의 구조주의 영화(Structuralist Film)는 관객의 수동적인 관람태도를 거부하고 정신적으로 능동적 관람하는 실험영화였다. 홍상수의 구조주의 영화를 분석하는 논리는 1960년대 미국 실험영화의 한 부류인 구조주의 영화에서 차용한다. 여기서 구조주의라는 용어는 보편적으론 구조적 언어학에서나 구조적 인류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철학적인 의미로 알려진 소문자로 사용하는 구조주의(structuralism)과 달리 특정한 예술운동으로서 대문자로 사용하는 구조주의(Structuralism)으로 실험적인 예술운동의 실천적 이론과 비평의 논리로서 소개되었다. 드라마로서 구조주의의 이해는 관객의 두뇌 구조에 관계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의 마음의 작용이나 특정한 경험의 독자적인 구조에 관계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홍상수영화의 서사방식을 한국 전통가면극의 서사구조와 비교 고찰하는 것은 한국영화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대안영화로서 마이클 커비의 새로운 예술운동으로서 구조주의 논리가 우리의 전통민속놀이인 가면극의 드라마투르기와 그 맥을 같이한다는 데에 있다. 시작과 중간과 끝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술구조를 해체시키는 한국 전통가면극의 드라마투르기는 각 과장의 서술적 전개가 앞과장의 끝과 뒷과장의 시작이 서로 맞물려 들어가고 나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즉 각 과장은 이야기의 끝이 있되 새로운 시작으로 각과장마다 절정이 있되 그 절정은 하나의 주제를 향한 큰 절정속의 작은 절정으로 존재한다. 극의 끝부분은 놀이를 마감하는 뒷풀이다. 그동안 서구가 제공한 영화의 새로운 양식들과 기능들은 한국영화의 새로운 토대를 확보하도록 일조하였지만 보다 더 관심을 가져야할 것은 한국영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홍상수영화의 독창성은 주인공들의 삶의 문제에 관객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조주의 영화의 서사방식임을 우선 평가하여야 한다. 홍상수영화를 보고난 후 연쇄적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를 관객 각자가 재구성케 하는 힘은 홍상수영화가 등장인물의 갈등에 관객이 적극적으로 참여토록 한 결과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는 홍상수의 관조영화를 고찰하고자 초창기의 홍상수영화인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강원도의 힘>, <오! 수정>, <생활의 발견>을 중심으로 새로운 서사방식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홍상수영화를 1960년대 미국 실험영화의 구조주의 영화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특히 홍상수영화와 구조주의 영화의 서사적 구조의 특성이 한국 전통가면극의 서사구조와 상통되는 점을 부각시켜 한국영화의 시네마투르기를 시도하는 대안영화의 서사미학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에 대한 비교

        한산동(Han, San-dong)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60 No.-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를 비교하고 차이점을 분석한다. 해석학과 구조주의는 두 철학자의 핵심적인 철학적 방법이다. 하이데거의 해석학은 현존재의 근본구조들과 존재의 의미를 밝히는 실존론적 분석론이다. 즉 하이데거는 해석학을 통해 현존재가 존재를 이해함으로써 존재를 열어 밝히고 해석학적 순환을 통해 실존하게 된다는 존재론적 사실을 보여준다. 나아가 하이데거는 전회를 겪으면서 기존의 해석학을 넘어서 존재 중심의 존재시성의 분석론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후기의 분석론은 해석학의 구도와 목적이 포기되지 않고 전개된다는 점에서 전기의 해석학과 연계되어 있으며, 해석학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이 ‘존재사건’임을 드러낸다. 들뢰즈의 구조주의는 순수생성에 의해 주어지는 비물체적인 표면효과로서 제시되는 사건에 대한 분석론이다. 사건은 의미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면서, 언어를 통해 명제 안에 존속한다. 사건의 발생은 객관적 선험이라는 역동적인 구조를 전제한다. 구조는 잠재적인 특이성의 체계로서, 비인칭적이고 전개체적인 장이다. 이러한 구조는 심층의 생성으로부터 언어의 형성이라는 동적 발생과 우발점에 의한 특이점들의 분배라는 정적 발생, ‘이중의 발생’을 통해 주어진다.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들뢰즈의 구조주의는 존재와 차이의 존재론을 위한 방법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생성에 대한 긍정과 역동적인 선험적 구조의 발생 그리고 인간 중심적이지 않은 의미에 대한 이해는 동일한 존재론적 관점을 가진다. 차이점도 존재한다. 하이데거의 해석학은 거시적이고 들뢰즈의 구조주의는 미시적이며 의미 발생의 근간이 되는 존재와 차이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도 다르다. 특히 하이데거의 해석학이 현존재를 상수로 두고 있다는 점은 들뢰즈의 구조주의와 가장 큰 차이로 여겨진다. 이에 대해 필자는 해석학의 전제가 구조주의에서 드러나는 합리주의를 넘어서는 근원적인 조건으로서 합당한지를 논할 것이다. 나아가 들뢰즈의 철학 체계 안에 스며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존재자에 대해서도 논할 것이다. 이 논문은 특정한 철학적 방법의 우월성을 판단하는 목적이 아니라 두 철학자의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현대 존재론이 가지는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compares Heidegger"s hermeneutics with Deleuze"s structuralism. Heidegger"s hermeneutics is an existential analysis that reveal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Dasein and the meaning of existence. After the ‘kehre’, Heidegger reformulates the analysis of temporality over the prophas hermeneutics. This analysis of temporality reveals that the key to enabling the hermeneutics is ‘Ereignis’. Deleuze"s structuralism is the analysis of events presented as non-physical surface effects given by pure becoming. Events exist in propositions through language, having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mean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premise the dynamic structure of objective transcendence. Structure is a system of potential specificity, an impersonal and unindividual field. Heidegger"s hermeneutics and Deleuze"s structuralism have similar roles in that it is a method for their ontology. The similar roles are the same existential view of positive to becoming, the occurrence of dynamic transcendental structure, the understanding of nonanthropocentric meaning. There are differences, too. Heidegger"s hermeneutics is macroscopic and is always associated with Dasein, On the contrary, Deleuze"s structuralism is microscopic and is removed from the discussion by considering humans as derived. I will discuss whether the Dasein of hermeneutics is reasonable as a fundamental condition beyond rationalism presented in structuralism.

      • KCI등재후보

        구조주의 담론에 관한 소고

        이규인(Lee, Gyu In) 유럽헌법학회 2010 유럽헌법연구 Vol.7 No.-

        이 글은 현대성의 발견 가운데 프랑스 구조주의자들의 전통 내에서 그들의 ‘담론’들을 통하여 포스트모던의 사회적 행위와 질서 그리고 시대진단의 문제를 재해석하는 성찰적 내용을 검토한다. 그들의 담론들은 전통적으로 사회학의 연구 대상인 ‘현실’이 합리성과 효율성에 의해 지배되는 ‘구조’들을 통한 ‘문화의 조건화’에 문제의 중점을 두는 것을 비판한다. 푸코와 부르디외 및 카스토리아디스, 투렌과 같은 반구조주의자들은 현대의 갈등과 권력의 문제, 법과 통제, 정보와 소비사회, 페미니즘 등과 같은 탈구조적 문화적인 개방성과 동시에 ‘해체과정’의 조건성의 재인식을 주체성의 회복으로 그리고 문화와 행위들 간의 관계에서 주목한다. 특히 사회학적 사상의 일반적인 변화로 의사소통, 계급과 사회운동, 혁명적 이념의 몰락, 새로운 사회의 유형의 등장 -민주주의의 부활과 다양한 집합적 행위인자들의 등장- 의 테마는 새로운 사회학적 분석의 단위로 이끌어갔고, 결국에는 이러한 것에 대한 연구는 바로 주체 및 주체성에 대한 연구 및 담론들이였다. 현대의 이해는 사회와 문화의 새로운 유형은 기술-구조결정론보다도 언어적 상징과 교육 그리고 새로운 생산형태와 의식형태를 규정하는 윤리적 모델에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주체성의 회기와 현대의 이해를 위하여 프랑스 구조주의적 전통으로 부터 사상가들의 주요 저작들에서 나타나는 구조주의의 담론들을 고찰해본다. 이것은 미래에 한국의 법제과정에도 구조주의적 담론이 의미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Die vorliegende Arbeit befaßt sich mit den Diskursen des Strukturalismus. Bei der Entdeckung der Modernität geht es um die reflektierenden Inhalte, die das soziale Handeln, die soziale Ordnung und die Zeitdiagnose der Postmoderne durch ihre Diskurse in der Tradition der französischen Strukturalisten wiederum interpretieren. Diese Diskurse kritisieren daran, dass man dem Schwerpunkt in der Bedingtheit der Kultur durch die Struktur zugrunde legt. Die Neo-Strukturalisten und die Anti-Strukturalisten wie Michel Foulcault, Pierre Bourdieu, Cornelius Castoriadis und Alain Touraine machen auf die Wiederkehr des Subjekts die wiederun Erkenntnisse der post-/neostrukturalistischen kulturellen Offenheit und gleichzeit auf der Bedingtheit der Auflösungsvorgang der Struktur wie Konflikte und Probleme der Macht, die Information und die Konsumgesellschaft, Gesetze und Kontrolle, der Feminismus u.a. in der Moderne und darüber hinaus auf der Beziehung zwischen der Kultur und dem Handeln aufmerksam. Solche Themen waren die ‘Auflösungsvorgang’ und die Einheit der neuen soziologischen Analyse, die sich vor allem mit der Kommunikation, Klassen und den sozialen Bewegungen, dem Niedergang der revolutionären Ideen von der allgemeinen Wandlung soziologischen Denkens und der Entstehung der neuen Typen von Gesellschaft -die Wiedergeburt der Demokratie und die kollektiven Aktuere u.a.mbezogen haben. Diese Studien waren folglich Arbeiten für das Subjekt oder die Subjektivität und auch dafür Diskurse. Das Verstehen der Moderne in neuen Typen von Kulturen und Gesellschaften sollte unter sprachlichen Symbolen, der Bildung und dem ethischen Modell, der den neuen Produktionstyp und den neuen Bewußtseinstyp bestimmt, berücksicht werden. Das ist eher mehr Kulturelle als der technologische-strukturelle Determinismus. In diesen Sinne analysiert diese Arbeit Charaktere des Diskurses über die Postmoderne durch ihren wichtigen Werken in der strukturalistischen Tradition Frankreichs, wie man über die Diskurse auf der Struktur, der Kultur und dem Subjekt in ihren Weken handelt und man darunter die Moderne versteht. In dem Zusammenhang damit denkt dieser Beitrag darüber nach, dass Bedeutungen der strukturalistischen Diskurse zum das Gesetzgebungsverfahren Koreas in der Zukunft beitragen können.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의 탈근대교육적 함의

        노상우,안오순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1

        The theory of structuralism that appeared as a resut of Saussure's theory of linguistics early in the 20th century, succeeded in changing the traditional type of thinking based on human beings. However, Saussure's structuralism still maintains an influence on some elements of enlightenment-based thinking, especially on the binary opposition, fixation of signifier system, and totality. Attempts are made to discover structuralistic properties in Bruner's theory of knowledge structure, Schwab's theory of practicality,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so on. Unfortunately, these educational theories fail to contain diverse and dynamic contextual situations of learning but are rather used to standardize and control children. De-modern thinkers including Derrida and Foucault overcame structuralism through the theories of deconstruction, the discourse of power/knowledge, and so on. Unstable signifier system continuously showing differance in time and space, transposition and transmission of binary opposition, and disintegration of a fixed sense of value, all of which were suggested by post-structuralism, demand disintegration of the subjective discourse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and the need to establish a relativistic sense of knowledge. This poststructuralism points to a de-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that includes both the critique of the critic on the student-centered idea, and the relativistic view of knowledge on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후기구조주의의 철학적 관점을 논의하고, 그것들이 현대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20세기 구조주의에 기초한 교육적 효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논의에서는 특히 Saussure의 구조언어학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것의 영향을 받은 Bruner의 ‘지식의 구조’와 그의 또 다른 학설인 ‘인지발달이론’, Schwab의 ‘실천성이론’, 그리고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 등에 내재한 ‘관계성’과 ‘총체성’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두 번째로는 후기 구조주의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Derrida와 Foucault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Derrida의 구조주의 비판의 핵심인 ‘이항대립과 로고스중심성’의 한계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세 번째로는 후기구조주의 철학이 현대교육에 주는 의미를 ‘타자의 복권’의 관점에서 현행 학생중심 교육관을, 전통적 진리관 해체론에 내재한 ‘열린 지식관’의 관점에서 현행 교과를 지탱하고 있는 객관주의적 지식관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위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본고는 후기구조주의가 계몽주의의 연장선상에서 작동하고 있는 현대교육의 한계를 드러내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 이념과 방법론 비판적 성찰

        박성일,박정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and try to make some critical introspection. The review of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is divided into the decenteration of thinking and the concern of 'differance', regression of historical perspective, 'rhizome' thinking and nomadism, authority criticism and its methods, feminism and its methods, educational argument and text dissolution, the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of practice and the attitude of game player. Based on the basic idea and tendency of post-structuralism, this study considers the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in a more macroscopic perspective. To achieve a clearer understanding, it will make a distinction with structuralism. Considering that it is indivisible between idea and methodology, this paper will also make a integrated research about the idea and methodology. It shows the restriction and advisable understanding method and countermeasures of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in the epilogue. This paper will be helpful to achieve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and a systematic understanding for educational ideas and methods of post-structuralism. 본고에서는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의 이념과 방법들을 재 고찰하고 그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해 본다.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의 이념과 방법에 대한 고찰은 첫째, 탈중심화 사고와 “차이”에 대한 관심; 둘째, 역사적 시각의 도입; 셋째, “근경”사고와 “유목”사상; 넷째, 권력비판사상과 방법; 다섯째, 페미니즘사상과 방법; 여섯째, 교육담론과 텍스트 해체; 일곱째, 실천에 대한 반성과 성찰; 여덟째, 일종 게임의 태도로 나누어 살펴본다. 본고는 보다 거시적인 시각에서, 후기구조주의 기본사상과 경향성에 근거하여 교육의 장에서의 후기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들을 고찰한다.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후기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론 고찰은 구조주의와의 대비과정에서 전개한다. 이념과 방법론은 불가분적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이념과 방법론을 함께 아울러 고찰한다. 맺는말에서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 이념과 방법의 제한점과 바람직한 이해방식 및 대안을 제시해본다. 본고는 후기구조주의 교육연구 이념과 방법론에 대한 포괄적인 시야와 체계적인 이해 및 경향성 파악과 가치 판단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탈구조주의적 수업설계를 통한초등실과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적용 방안 연구

        윤지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he direc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PAE) based on Instructional Systems Design(ISD) which orient to Post-Structuralism. For this porpose, the theories of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were reviewed, and the affects on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ISD, and instructional methods were analysed. Post-Structuralism in education was critically answered to “structure” concept using Deconstructionism thought by Jaques Derrida, Post-Modernism discourse, Social-Constructivism, and ISD on ‘Soft Systems Theory’.As results, two major results were founded. First, ISD on Practical Arts Education(PAE) consists of methodological factors, constructive factors, contextual factors, which interact through the strategies of “diffrance” and “scaffolding”. Second,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PAE moved on the continued arrow of Structuralism-Poststructuralism based on 12 guidelines regardless any types or models. Therefore, without well-structured knowledge and previouslly designed systematic instruction, the meaningful and valuable instruction can be realiz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에 미친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적 경향을 탐색함으로써 탈구조주의적 가정을 지향하는 초등실과교육의 교수설계의 방향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는 교수방법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구조주의는 실증주의·객관주의·경험-분석적 패러다임·행동주의·인지적 구성주의에 의존하며 명증성, 객관성, 전체성, 탈주체성, 이항대립, 가시성, 논리성, 적확성, 효율성, 예측가능성을 특징으로 한다. 교육에서도 이러한 가정은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부분에 오랫동안 강력한 영향을 주어왔으며, 그 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경험-분석적 패러다임, 경성체제 교수설계이론, 경직된 교수방법의 활용 등에 반영되어왔으며 실과교육에서도 이러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탈구조주의적 교육관의 반론은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포함하여 특히 Jacques Derrida를 비롯한 해체적 사고의 방법, 교육에 관한 포스트모더니즘 담론, 사회적 구성주의, 연성체제 교수설계이론 등을 빌려 구조 개념에 도전한다. 연구 결과 탈구조주의적 초등 실과 수업설계의 중요 요소들은 크게 방법적 요소들, 구성적 요소들, 맥락적 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연과 scaffolding의 전략에 의존하며 서로 상호작용하여 의미를 구성한다. 실과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은 수업 설계의 요소들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특정 모형이나 방법과는 상관없이 12가지 기준에 의해 구조주의적 수업 방법과 탈구조주의적 수업 방법의 연속선 상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보편을 다시 무대에 올리며, 보편의 상 아래에서 말하기 - ‘탈진실’ 시대 진리 개념의 포스트-구조주의적 재구성을 위한 정치철학적 시론 -

        배세진(Sejin Bae)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4 신학과 학문 Vol.40 No.-

        본 논문은 현재 우리가 처한 탈진실 상황을 현행 논의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비판하기 위해 진리와 보편 개념을 포스트-구조주의적으로 재구성하는 정치철학적 행보를 취한다. 이는 다음의 네 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첫째, 현재의 탈진실 상황을 진단하는 것을 넘어서, 이러한 탈진실 상황을 비판하는 담론들 또한 비판적으로 진단한다. 이러한 비판적 진단의 결론은 현재의 탈진실 상황을 비판하는 담론들이 영미 분석철학을 피상적으로 오해한 바에 근거한 속류화된 명제적 진리관에 따라 인지주의적인 방식으로 진리를 취급한다는 것이다. 둘째, 진리를 참의 차원으로 환원하는 이러한 시도를 비판하기 위해, 프랑스 역사인식론에 기반한 진리-역사-주체의 포스트-구조주의적 삼각형 즉 포스트-구조주의적 진리관을 재구성한다. 포스트-구조주의적 진리관은 진리를 참의 차원으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진실의 차원으로까지 고양시킨다. 셋째,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자 에티엔 발리바르의 보편에 관한 사유에 의거해 이 진리-역사-주체의 포스트-구조주의적 삼각형을 보편의 삼각형으로 규정한다. 발리바르는 철학사에 의거함으로써 스피노자-비트겐슈타인, 헤겔-마르크스, 콰인-벤야민의 사유로부터 다의적 보편성, 갈등적 보편성, 번역으로서의 보편성이라는 보편성의 세 가지 특징을 도출해낸다. 넷째, 이러한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진리와 보편 개념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반론, 즉 진리와 보편의 기준의 자의성이라는 문제를 취급하기 위해 들뢰즈-니체적인 거짓의 용기에 대한 사유를 발리바르가 추수하는 구조로서 현행성의 철학에 의거해 비판한다. 이러한 네 단계를 거친 뒤 이에 기반해 본 논문은 탈진실 상황에서 진리와 보편을 지식인의 견지에서 어떻게 사유해야 하는지 규정한다. 본 논문의 목표는 진리와 보편을 현행 논의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사유함으로써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탈진실 상황을 넘어설 지적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study takes the politico-philosophical approach of reconstructing the concepts of truth and the universal in a poststructuralist way in order to criticize our present situation of post-truth. This approach takes the following four steps. First, beyond simply diagnosing the present post-truth situation, it also critically analyzes the various discourses that criticize the post-truth situation. The conclusion of this critical diagnosis is that the discourses which criticize the present post-truth situation treat truth in a cognitivist way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itional conception of truth, which is based on a superficial misunderstanding of Anglophone analytic philosophy. Second, in order to criticize these attempts to reduce truth to the dimension of the true, it reconstructs the post-structuralist triangle of truth-history-subject based on French historical epistemology, i.e. the post-structuralist conception of truth. The post-structuralist conception of truth does not reduce truth to a dimension of the true but elevates it to the dimension of truth itself. Third, it defines this post-structuralist triangle of truthhistory-subject as the triangle of the universal, based on the post structuralist philosopher Étienne Balibar’s reflections on the universal. Through an analysis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Balibar deduces three qualities of universality - equivocal universality, conflictual universality, universality as translation - from the thoughts of Spinoza-Wittgenstein, Hegel-Marx, Quine-Benjamin. Fourth, in order to address the objection that can be raised against the post-structuralist conception of truth and the universal, which is the problem of the arbitrariness of the standards for truth and the universal, it criticizes the Deleuze-Nietzschean reflection on the courage of the false, based on Balibar’s philosophy of actualityas- structure. Lastly, it reflects on how truth and the universal ought to be thought of from the standpoint of the intellectuals in this post-truth situation. In the en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theoretical key to overcoming our current post-truth situation, by thinking about truth and the universal in a different way from current dis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