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공회 공공신학의 역사와 최근 동향 연구

        이훈재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학문 Vol.34 No.-

        This paper aims to pursue the history and recent trends of Anglican public theology. The Anglican Church was political rather than religious from the beginning. Because the Anglican Church was a new Protestantism working with the government, the church members readily accepted the church’s social or political participation. The Anglican Church in the colonies presented an indigenous path for the local community. The church embraced all the high church (Catholic), low church (Evangelical) and the broad church (Modernist) by emphasizing universality rather than specificity. The Anglican Church has consistent views and actions for the public good with people and organizations of different theological values. Towards the world, it became the leading denomination in the church unity movement for public goo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veal three important points in the field of public theology. First, the history of the Anglican church's birth helps to understand its present public theology. Second, theology emphasizing universality strengthens the publicity and public theology. Finally, public theology's participation in politics is no excuse for giving up public good. 이 논문은 성공회 공공신학의 역사와 최근 동향을 추적하고자 한다. 성공회는 시작부터 종교적이기보다는 정치적이었다. 성공회는 국가와 함께 일하는 새로운 프로테스탄티즘이었기에 정치적 사회적 참여를 당연히 여긴다. 식민지에서의 성 공회는 그 지역 사회에 맞는 토착화된 길을 제시했다. 그 교회는 특수성보다는 보편 성을 강조하여 고교회(가톨릭주의자), 저교회(복음주의자) 그리고 광교회(현대주 의자) 모두를 포용했다. 성공회는 다른 신학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나 단체들 과 공공선을 위해서라면 일치된 견해와 행동을 해왔다. 전 세계를 향해서는 공공선 을 위한 교회일치운동에 선두적인 교단이 되었다. 이 연구는 공공신학 분야에 있어 서 세 가지 중요한 점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첫째, 한 교회가 태동하게 된 과거 역사는 그 교회의 공공신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둘째, 보편성을 강조하는 신학은 교회의 공공성과 공공신학을 강화시킨다. 마지막으로, 공공신학의 정치 참여가 공공선을 포기하는 데 대한 변명이 되지 않는다.

      • KCI등재후보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음악과 신학의 이해

        권지원(Kwon Ji Wo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신학과 학문 Vol.26 No.-

        바흐는 바흐연구가들과 특별히 독일 음악연구가들에 의해 위대하고 새로운것을 창조하고, 변화와 혁신의 음악 역사를 새로 쓴 천재적인 인물로 평가된다. 음악 요소와 작곡 방식이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다양성과 몰입의 결과로써 현시대에까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바흐의 다양한 음악 장르 안에는 신학적 의미가 있으며, 당대의 신학적 흐름과 더불어 바흐 개인의 신앙의 방향성이 담겨있다. 루터는 바흐에게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며, 음악과 신학을 한 연장선에서 바라보고 예배 음악에 대해 정의 내릴 수 있는 신학학자이자 음악가라고 본다. 이 글에서 루터와 바흐의 접점을 살펴보았고, 그들의 신학적 견지를 이해함으로써 음악과 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선구자로서의 두 인물이 상징하는 바를 예술 안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Bach is regarded by Bach researchers and especially German music researchers as a genius who created new and great innovated music, changing and rewriting music history. Bach’s music has great implications even to this day because the elements of his music and the way it is composed are the result of diversity and immersion that no one else could imitate. There is a theological significance within Bach’s various musical genre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Bach’s individual faith in addition to the current theological trend. Luther had profound influence on Bach in the way he saw music and theology, and his worship music can be extended and defined in a perspective of theologian and musician. In this article, we are able to see the interface between Luther and Bach, and by understanding their theological point of view, we tried to present in art what the two figures as pioneers who opened up new horizons of music and theology.

      • KCI등재후보

        대학생용 인성교육 효과 측정도구 개발 : 삼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성진(Chung, Sung-Jin),박희성(Park, Hee-Sung),최혜빈(Choi, Hye-Bi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학문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삼육대학교 재학생들의 인성교육 효과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육대학교의 교육이념을 재개념화하여 보편적인 인성교육의 영역과 차원을 연결시켜 측정도구의 구조를 4영역(도덕적 인지, 도덕적 정서, 도덕적 행동, 영적 요소)과 2차원(개인적, 관계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한 인성 요인들을 4영역 2차원에 배정하면서 통합 및 정리하여 자기이해, 양심, 타인이해, 공동체의식, 자기존중, 인내, 공감, 자비, 자기관리, 책임, 소통, 돌봄, 기독교 세계관을 하위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하위요인의 조작적 정의에 부합하는 기존의 척도 문항들과 새로 개발한 문항들로 예비문항 130개를 만들고, 삼육대학교 재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최종문항을 58문항으로 정리하였다. 넷째, 개발된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타당도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내적 일치도 계수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for measuring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on Sahmyook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y reconceptualizing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Sahmyook University and linking the domains and dimensions of universal character education,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ool is divided into 4 domains (moral cognition, moral emotion, moral behavior, spiritual element) and 2 dimensions (personal, relational) was selected. Second, the character factor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re allotted to the 4 domains and 2 dimensions, and integrated and organized so that self-understanding, conscience, understanding others, community consciousness, self-respect, patience, empathy, compassion, self- management,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care, and the Christian worldview was selected as a sub-factor. Third, 130 preliminary questions were made from the existing scale questions and newly developed questions that meet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sub-factors, and the final questions were organized into 58 question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392 students at Sahmyook University. Fourth,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Finally,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존 요더의 평화주의적 선교신학 탐구

        김기현(Kim, Kihyu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학문 Vol.32 No.-

        평화주의를 대변하고 대표하는 신학자로 알려진 존 요더는 선교사이고 선교신 학자이다. 그의 선교 신학은 콘스탄틴주의적 선교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다. 기존의 선교의 문제점 중 하나는 무력과 재력에 기초한 것이다. 그리고 선교사의 문화를 우등한 것으로 간주하고 자신의 문화를 기독교적인 것으로 강요한다. 그러나 요더 는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이라는 정통적인 신앙 고백을 선교에 철저하게 적용하 려 한다. 그는 기독교 신앙과 선교사의 문화를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현지 문화 속으로 철저히 낮아지는 육화의 선교, 그리고 그들을 동등한 대화 상대자로서 인정하는 평화주의적 선교를 지향한다. 이는 한국 선교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는 동시에 하나의 대안을 제시한다. Known as an advocator and a representative of pacifism, John Yoder was a missionary and missionary theologian. His theology of mission is a strong critique of Constantinian mission. One of the problems of existing missionary work is that it was based on force and wealth. The culture of missionaries was also assumed as supreme and therefore it forces others to be christianized. Yoder, however, asserts the orthodox confession of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to mission. He insists on the distinction between Christian faith and missionary culture. According to him, we should aim for the Incarnating mission, through which we lower ourselves into the local culture, and the Pacifistic mission that treats others as equal partners. This is to urge reflection on the Korean mission and at the same time offer one alternative.

      • KCI등재후보

        Developments of the Interpretation of ‘within the Veil’(Heb. 6:19-20) within Adventism

        지상훈(Jee, Sang-hoo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 학문 Vol.30 No.-

        This study traces the developments of four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hrase, ‘within the veil’ (Heb. 6:19-20) within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and explores their theological implications. The four different interpretations can be condensed as follows: (1) ‘into the Holy Place,’ (2) ‘into the Most Holy Place,’ (3) ‘into the whole heavenly sanctuary,’ and (4) ‘into the presence of God.’ This study is designed to help understand the long-standing debate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phase ‘within the veil’ and its implications. This study will also help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heavenly sanctuary and the intercessory ministry of Christ in the heavenly sanctuary. The co-existence of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phrase “within the veil” calls for a thorough linguistic, typological,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y. 본 연구는 재림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휘장 안에”(히 6:19-20)에 대한 네 가지 서로 다른 해석의 발달 과정을 추적하고 각 해석의 신학적 함의를 고찰한다. 네가지 해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성소 안으로,’ (2) ‘지성소 안으로,’ (3) ‘전체적인 하늘 성소 안으로,’ 그리고 (4) ‘하나님의 존전 안으로.’ 본 연구는 ‘휘장안’이라는 표현의 해석과 그 함의에 대한 오랜 논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하늘 성소의 실재성과 하늘 성소에서의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다. 재림교회 안에 “휘장 안에”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공존한다는 것은 보다 철저한 언어적, 표상적, 성서적, 그리고 신학적 연구를 요구한다.

      • KCI등재후보

        <쇼생크 탈출>에서 신학 하기가 가능한가 : 돈 큐핏(Don Cupitt)의 비실재주의로 바라본 영화 <쇼생크 탈출>의 구속 개념

        백숭기(Baek, Soongky)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학문 Vol.31 No.-

        미국 소설가 스티븐 킹의 소설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을 원작으로 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 <쇼생크 탈출>은 일부 영화 비평가와 신학자들에 의해 그리스도교 영화로 해석되고 여겨져 왔다. 본고는 이 영화에서 두드러진 그리스도교적 모티프와 주인공인 앤디의 그리스도 같은 이미지들을 탐구한다. 첫 부분은 그리스도교인과 비그리스도교인, 포로와 자유자, 또는 피시(fish, 억압 된 죄수)와 버드(bird, 자유인)의 이분법이 갖는 역설적인 대조를 다루고 있다. 이 교차점에서 본고는 크리스토퍼 디시의 실재주의를 돈 큐핏의 비실재주의와 비교한다. 두 번째 부분은 피시에서 버드로 존재론적 전환을 다루고 있으며, 전통적인 교회신학에서 이른바 왕국신학으로의 고의적인 전복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부분은 영화에서 등장하는 미국-멕시코 간 국경의 독특한 상징성과 그 함축적 의미를 다룬다. 결국 이 논문은 영화 <쇼생크 탈출>이 디시의 관점과 다른 방식으로 전형적인 신학적 영화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Worldwide famous movie The Shawshank Redemption, directed by Frank Darabont, based on American novelist Stephen King s Rita Hayworth and Shawshank Redemption, has long been interpreted and regarded as a Christian film by some movie critics and theology students. This article explores salient Christian motives in this movie and its protagonist Andy s Christ-like images.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aradoxical contrast of dichotomy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prisoner and freeman, or fish and bird. In this intersection, this article compares Christopher Deacy’s realism with Don Cupitt’s non-realism. The second part deals with ontological transition from fish (oppressed prisoner) to bird (freeman) and shows a kind of arbitrary turnover from traditional ecclesiasitcal theology to so-called kingdom theology. Last but not least, the third part deals with unique symbolism of US-Mexico border shown in the movie and its implicit meanings. At last,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movie The Shawshank Redemption is a typical theological film in the way other than Deacy s viewpoint.

      • KCI등재후보

        바울신학의 전망에서 바라본 <레 미제라블>

        정승우(Chung, Seungwoo)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학문 Vol.31 No.-

        이 글은 영화 <레 미제라블>을 바울의 칭의론과 율법관을 통해 살펴본다. 장발장과 자베르의 대조적인 삶을 복음과 율법이라는 주요한 신학적 테마에 기반하여 <레 미제라블>이 지니고 있는 바울 신학적 징후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바울신학을 <레 미제라블>에 강제하기보다는 <레 미제라블>의 전망에서 바울의 칭의론과 율법관이 지닌 현재적 의미를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타자에 대한 환대의 윤리에서 살펴본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성서의 서사와 메시지가 할리우드 영화 속에서 여전히 근원적 서사(proto-narrative)로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레미제라블>은 바울의 율법관과 칭의론을 현대인들이 이해하는데 훌륭한 렌즈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고통받는 ‘레 미제라블’을 향한 연민과 연대만이 하나님의 은총에 다다를 수 있다는 바울의 깨달음이 어떻게 장발장의 삶을 통해 구현되는 가를 보여준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movie <Les Miserables> through Paul’s idea of justification and the law. The contrasting life of Jangbaljang and Jaber is examined based on the main theological theme of Paul’s theology about the gospel and the Law. To this end, rather than forcing Paul’s theology into <Les Miserables>, I investigate its modern meaning implicated in Paul’s theory of justification and the law, based on Levinas and Derrida s ethics of hospitality. Through these attempts, it is discovered that the biblical narrative and message are still working as proto-narratives in Hollywood movies. <Les Miserables> can provide an excellent lens for modern people to understand Paul s view of law and justification. This paper shows how the recognition that compassion and solidarity toward suffering in “Les Miserables” can reach the grace of God which is realized through the life of Jangbaljang.

      • KCI등재후보

        한국 재림교회 교육에서 ‘삼육교육’의 역사적 연구

        이국헌(Lee, Kuk Heo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학문 Vol.31 No.-

        한국 재림교회의 교육 기관은 ‘삼육(三育)’이라는 명칭으로 기독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명칭에서 나타나듯이 ‘삼육교육’은 19세기에 발전한 삼육교육론과 역사적 연계성이 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에 시작된 재림교회 교육철학은 삼육교육론과 차별성이 있다. 엘렌 화잇에 의해서 시작된 재림교회 교육은 19세기 미국사회의 근대적 교육개혁운동의 영향을 받아서 전인교육을 핵심 철학으로 하고 있다. 특별히 화잇은 전인교육을 육체적, 정신적, 도덕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적, 영적인 영역까지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재림교회 교육은 지덕체 삼육교육론과는 차별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삼육교육론의 영향으로 재림교회 교육을 진정한 의미에서의 ‘삼육교육’으로 이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림교회 교육철학으로서 ‘삼육교육’이 지덕체를 넘어서 총제적인 인간 이해에서의 전인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삼육교육론과는 차별성이 있음을 밝힌다.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Korean Adventist Church provides Christian education under the name ‘Sahmyook Education.’ As the name suggests, ‘Sahm [three]]-yook [nurturing] education’ has a historical relationship with the theory of ‘Intellectual, Moral, Physical Education’ developed in the 19th century. However, the philosophy of Adventist education, which began in the late 19th century, is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The Adventist education, initiated by Ellen White, was influenced by the progressive educational reform movement of America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so the core philosophy is whole-person education. In particular, White emphasizes not only Physical, Mental and Moral education but also Soci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education. Nevertheles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Adventist Church has understood the Adventist education as ‘Sahm [three]]-yook [nurturing] education’ in the true sense. This study reveals that ‘Sahmyook Education’ as the Adventist Education has a clear difference from the theory of “Intellectual, Moral, Physical Education” in the sense that it aims to educate the whole-person education.

      • KCI등재후보

        변선환 신학의 세 가지 특징과 그 의의 - 그의 ‘신론’을 중심으로

        김광현(Gim Gwanghyeo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과 학문 Vol.22 No.-

        Every theology is born in the setting of its own time and space. However, the Korean theological circle has not yet sufficiently produced its theological outcomes reflecting properly its own time and space. In this circumstance Byun Sun-Hwan is a representative Korean theologian who endeavored to unfold his own theolgy. The fact that his theolgy is called “the theology of religious liberation” means that he inherits critically religious theology and Minjung theology. This essay examined his theological characteristics centering on his four papers which contain ‘the doctrine of God’ and explored what it means to current Korean theological circles. It is the main point of this essay that his theology contains contemporary modernity, indigenous subjectivity, and universality of Minjung. Finally it is proposed that this characteristic can be not only a signpost for the Indigenous Theology or the Korean theology but also the direction which the theology should aim f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