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김혜금,신보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safety educa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childcare teachers who agreed to the study. 54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were analyzed through chi-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First, safety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s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or ‘every day’. All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implement play-oriented safety education, but the teacher in the young children class cited “because they can set safety rules by themselves through play.” It responded that safety education presented in Article 28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hild Welfare Act was well implemented, and young child class teachers were better conducting disaster preparedness and traffic safety education. All teachers provide safety education through daily life, indoor play, and outdoor play, and young child class teachers use more video viewing education methods. Second, all teachers wanted to include in the safety curriculum, such as sexual violence and child abuse, missing kidnapping, infectious diseases, disaster preparedness, traffic safety. In addition, all teachers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to link the safety education curriculum with the home, and young child clas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demand for video viewing safety education method required mor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iverse safety education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target age. 목적 영유아 안전교육과 안전교육과정에 대한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영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에 동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548명의 응답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집단 간 응답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 검증 및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어린이집 안전교육 실시 빈도는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 모두 ‘주 1-2회’와 ‘매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중심 안전교육 실시함에 있어서 어려운 정도를 물어본 결과,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 모두 놀이 중심 안전교육 실시의 어려움에대해 보통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많았다. 또한 보육교사들은 아동복지법 시행령 제 28조에 제시된 안전교육을 잘 실시하고 있는것으로 응답하였고, 특히 유아반 교사가 영아반 교사보다 재난대비 안전교육과 교통안전교육을 더 잘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그리고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 모두 일상생활과 실내놀이 및 바깥놀이를 통하여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는데, 유아반 교사가 영아반 교사보다 동영상 시청 교육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안전교육과정에 대해 영아반과 유아반 교사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 안전교육과정에 포함하기를 원하는 교육내용으로 성폭력 및 아동학대, 실종유괴, 감염병, 재난대비안전, 교통안전 등의 교육내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에서 실시하기를 원하는 영유아 안전교육 방법에 대해 놀이를 통해서, 일상생활을 통해서는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의 요구 간 차이가 없었으나 동영상 시청을 통한안전교육 방법에 있어서 유아반 교사가 영아반 교사보다 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대상 연령에 따른 현장의 요구를 고려하여 보다 다양한 안전교육과정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박귀선,남상준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eachers' idea on such categories as the targets, goals, contents, approach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ituation by Focus Group Interview. The Focus Groups were composed of 2 teacher groups experienc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2 teacher groups in-experienc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Each groups was constituted by 4-5 teachers. Data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as transcriped, coded, and content-analys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wo categories of target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viewed teachers were aware are inflows from abroad and inner majority. Second, interviewed teachers awareness of the goal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acceptive attitude, recognizing variety, respecting and accepting other groups and cultures, respecting human beings, cooperative attitude. Third, interviewed teachers were aware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arget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the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viewed teachers were grouped into contributions approach, additive approach, transform-the-curriculum approach, social approach, and mixed approach.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다문화교육 경력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적 다문화교육의 대상,목표, 교육내용과 그에 대한 접근방법 등의 범주에 대한 인식양상을 파악하였다. 포커스 그룹은 일반교사 2그룹과 다문화 교육 경력교사 2그룹 씩 총 4그룹으로 구성하였으며,그룹 당 4~5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대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크게 외부에서 유입된 구성원과 내부 구성원의 2개 범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양영자(2008)의 연구에서 다문화교육의 대상을 소수자와 다수자로 분류한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두번째 연구문제인 디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수용적 태도,다양성 인정,타집단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수용, 인간존중, 협력적 태도 등 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세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첫번째 연구문제인 교육대상에서와 같이 하위범주를 외부유입 구성원과 내부구성원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네번째 연구 문제인 다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사개별적 접근방법과 Banks의 접근법,활용시간의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다시 하위범주로 교사개별적 접근 방법은 미디어 활용,관련교과, 이문화교육으로 분류되었고,Banks의 접근법에서는 기여적,부가적,변환적, 사회행동적, 혼합적 접근법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외에 활용시간으로는 재량시간이나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교과수업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교육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교육환경 요인 분석

        정제영,김현주,이유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지역의 교육환경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차이가 있다면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더욱 심화, 고착화될 것이라는 문 제의식에서 지역별 교육환경이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노력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선 전국 시도의 평균 소득수준에 따라 소득수준 최상위와 최하위 지역을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고, 지역별로 교육환경의 격차와 교사 전문성 계발 노력 정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분석한 후, 지역별로 어떠한 교육환경 요소가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지역의 교육환경은 교사의 학위 수준보다는 교원의 연수 이수 수준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체 학생수는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교사당 역량강화비 는 교사의 연수 이수 수준과 학위 수준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교육환경 특성 중 사교육 시장 발달 수준과 사회 경제적 수준이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지역의 교육환경 차이가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특수유아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백경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which bo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on the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 in inclusion. The study adopted the method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ranscribing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iculti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mainly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cluding lack of education method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eachers education without real needs, lack of appreciation for the inclusion, lack of support for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ainly on the environment for the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ing lack of information about general young children and classrooms, the uncooperative relation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unhappy feelings about the class interrupted by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eacher education without real needs. After all,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ignora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gnora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us, they suffer difficulties where these two fields a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research suggests that forming reciprocally cooperative relations is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본 연구는 특수유아 통합교육의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는 주로 특수유아와 관련된 것으로 특수유아의 교육방법 부족, 그리고 현장감 없는 교사교육, 통합교육에 대한 낮은 의식 수준, 교사지원의 부족 등으로 구분되어지고, 유아특수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는 주로 일반유아교육 환경에 대한 것으로 일반유아와 일반교실의 정보 부족, 유아교사와의 비협력적인 관계, 그리고 특수유아의 수업방해로 인한 미안함, 현장감 없는 교사교육 등으로 구분되었다. 결국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은 두 영역 간에 서로 상치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는 상호 협력적인 관계 형성이 특수유아의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운영 현황과 순회교사의 인식

        김현집,손승현 한국통합교육학회 2010 통합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look into the current practices of inclusive itinerant education and perception of itinerant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9 itinerant teachers who are involved to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n=187) or special class of general schools(n=72). The tools that utilized in this study were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or survey and interview.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national curriculum and local guidelines that reflecting teachers needs was needed for efficient itinerant education. Second, itinerant teachers should be appointed by the their teaching career, responsibilities, durability, professionalism, competence, etc. Third, itinerant support teams should be made to provide consistent team teaching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clusive classrooms. Fourth, more chances for study and training need to be provided to expand the specialization of itinerant teachers in inclusive itinerant education. Fif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n a large scale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systematization of the inclusive itinerant education. 본 연구는 특수학급 미설치교 또는 특수교사 미배치교에 소속된 특수교육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통합교육형 순회교육에 관한 연구로서, 순회교육의 운영 현황과 순회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순회교육을 위한 개선사항을 순회교사의 인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통합교육형 순회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259명으로, 이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순회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n=187)와 특수학급을 담임하면서 순회교육을 병행하는 교사(n=72)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한 설문지와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였고, 설문조사와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순회교육 운영 현황과 순회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형 순회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순회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과 시․도교육청 수준의 운영방안 및 지침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순회교육 담당교원에 대한 인사제도가 순회교사의 교육경력, 순회담당 희망 여부, 순회담당 지속 가능성, 교사의 전문성 및 역량 등의 준거를 통해 이루어져 가장 적합한 교사를 순회교사로 임명해야 한다. 셋째, 순회교육 대상 학교에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팀을 구성하여 지속적인 교육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순회교사의 전문화와 순회교육의 다양화를 위하여 순회교육 관련 연찬회 및 연수를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순회교육 및 순회교사를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형 순회교육에 관한 거의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연구와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환경 과목 담당 교사의 교육과정지식에 관한 연구

        조성화,최돈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urpose of providing environment teachers with the waysto improve PCK. Education immensely depends on teachers' capability. In that sense, thestudy on the competence of environmental teacher is also significant in environmentaleducation, since their ability determines its quality.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anddiscussions on the principles with 15 environmental teachers, 2 categories of "knowledge ofcurriculum" that environmental teachers should have has been drawn out. What has been drawn is "curriculum restructuraion, ability of curriculum analysis". Curriculum restructuation is an independent domain when that compare environment teachersand general teachers. Ability of curriculum analysis is that whale teachers must have basicability. We believ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of curriculum" discussed in this paper iswhat environment teachers should have when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es on a separatesubject. Moreover, I think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encourage them to have suchcontents in the course of environment teacher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15명의 환경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환경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이하 PCK) 중 교육과정지식을 도출한 후 연구 결과를 일반 교사의 PCK, 환경교사 자격기준, 일반적인 환경교육자가 갖추어야 하는 능력 등과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환경 교사의 교육과정지식은 “교육과정 재구조화, 교육과정 분석 능력” 등 2개의 요소로 드러났다. 교육과정 재구조화는 환경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가 교사의 교육 상황(시수, 교육 여건, 주제, 철학 등)에 맞게 교육과정 전반을 재구조화 해서 장기간 교육을 하는 능력을 말하며, 교육과정 분석 능력은 앞서 제시한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해 현재의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분석하며, 다른 과목의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까지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독립 과목으로서의 환경을 가르치는 교사는 PCK의 교육과정지식에 있어서 이와 같은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도출된 연구 결과를 일반 교사의 PCK, 환경 교사 자격기준, NAAEE에서 제시한 환경교육자의 능력과 비교해본 결과, 일반 교사에 비해 환경 교사는 교육과정을 재구조화 하는 능력이 추가로 요구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환경 교사 자격기준과 환경교육자의 능력 중 일부 영역에 본 연구 결과가 부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교사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윤희 ( Yoon Hee Seo ),지옥정 ( Ok Jong Ji ),강지애 ( Jee Ai Kang ),정애경 ( Ae Kyung Jung ),조부경 ( Boo Kyung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5

        In keeping with its commitment to developing implemen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beginning in early childhood, South Korea is also much concerned with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will enable teachers to develop,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required curricula. This study seeks to develop such a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 draft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a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e draft program was then used with 20 early childhood teachers, after which it was modified and adjusted to the final program which consists of educational goals, purposes,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enhanc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ward ESD by showing how it can be integral to the philosophy behind Korea`s early childhood ecology program. The training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especially emphasizes environmental sensitivity enhancement, curriculum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It also utilizes various teaching methodology including lectures, small group discussions, first hand experience, sharing, case application, and workshops, all designed to support and improve transformative reflective thinking and to inform and transform prevailing current practical knowledg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지속가능발전교육 및 환경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고, 유아교사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통해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이론적, 실제적 준거를 토대로 유아교사환경교육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으며,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시안을 시범 적용 후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유아교사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환경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유아교사의 지식, 기능, 태도를 함양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교사의 환경감수성 함양과 교사가 실제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환경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에 중점을 둔다. 교사의 반성적사고와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하여, 강의, 소집단 토의, 자연체험, 현장수업사례 공유, 현장적용, 워크숍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한다.

      • KCI등재

        미국 대학 다문화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정윤경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1

        현재 한국은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행하고 있다. 다문화사회에 대한 교육적 대응을 다문화교육이라고 한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 정의는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차이와 다양성이 부각되는 21세기에 ‘나와 다른 차이를 보이는 타자와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가,’ 또,‘문화적 배경의 차이에 상관없이 모두에게 공평한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인간과 문화에 대한 관점이요, 그렇게 교육하기 위한 교육에 대한 관점을 공유한다. 다문화교육의 실현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것은 다문화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교육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의 다문화교사교육은 이제 막 시작 단계에 있다. 따라서 다문화교사교육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실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에 비해 다문화교육과 다문화교사교육의 발전 단계를 갖고 있는 미국의 대학 내 다문화교사교육의 실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문화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 교육내용과 교수방법, 평가 및 과제, 교재, 운영상의 특징을 분석할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다문화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할 것이다. Currently, Korea i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MS) with rapidness. The educational corresponding to MS is called multicultural education. Although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ME vary, they have in common : How do I live with the others different from me? How do we give every students a fair and equal education chance regardless of their differences of cultural background? The MEs are a point of view for human and culture to consider these questions and a vision of education (toward educating students like those questions) in 21th century that differences and diversities are highlighted. The prerequisite to realization of ME must be how to teach teachers who are going to perform ME. The position of ME in Korea, however, i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s. Therefore, specific discussion and practice about what and how to teach them for ME should be made. As considering these kinds of problems describing above, the author would examine a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lass(program) of a university in the USA, which has more advanced stages in ME and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than those of Korea. Especially, educational purpose, contents, teaching methods, evaluation & assignments, text, and the features of organizing the clas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Korea would b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 개발 및 적용

        서혜애,송방호,박종렬,권덕기,윤기순,김순남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추구하는 교육개혁을 보다 효율적으로 성취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로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효율성 높은 사이버 연수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사 대상 연수의 현황 및 행재정 지원체제를 분석했고, 사이버 연수의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탐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사이버 연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체제를 모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했다. 또한 한국-이스라엘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창의성 계발 교수학습방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했고, 이들의 전문성이 어느 정도 성장되었는지를 분석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안)을 개발했으며, 시범운영과정을 통해 개선방안을 탐색한 후, 최종 모형을 개발했다. 본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준비, 기초, 실습, 적용, 평가, 심화의 6단계로 구성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연수자 중심 수업현장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실제문제 탐구중심학습모형과 구성주의학습이론에 기반을 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참여 교사들이 지도교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여 새로이 참여하는 교사들을 지도하고 격려하도록 함으로서 학습자 공동체를 구축하고, 사이버 상 지속적 상호의견 교류 정보교환을 통해 온라인 학습자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 이와 같은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우리나라의 기존 연수의 비효율성을 극복함으로서 효율성 높은 교사 연수 모형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반성을 통한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 : PDS

        유솔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의 유효한 접근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로서 교사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교사 실행 중심 교육과정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교사 역할과 전문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 논의에서 핵심 개념이 되는 ‘반성’의 개념과 특징을 검토하고, 교사 교육에서 '반성'의 중요성과 반성의 장으로서 학습공동체가 갖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셋째, 학습공동체 장으로서 PDS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고, PDS가 교육과정 실행 주체자로서의 교사 역할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반성을 통해 교사 전문성 신장을 꾀할 수 있는 교사 교육의 유효한 접근임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