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야기나누기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백경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4

        “이야기나누기”는 유아교육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 자주 활용되고 있는 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야기나누기”를 주제로 한 논문을 분석하여 그 연구동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은 2000년 이후에 발간된 14개의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53편의 “이야기나누기” 관련 논문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초연구는 적었고 실천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교수행동”을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교사-유아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교사의 발문”이 이에 속하였다. 그 다음으로 “교수매체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이었는데 그 중에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가 많은 편이었다. 그 다음으로 “수업 개선”을 위하여 장학이나 반성적 사고를 활용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즉, 이야기나누기는 교사-유아 간의 언어적 소통에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유형으로는 질적 연구와 양적연구가 비슷하게 수행되었고, 셋째, 연구대상은 주로 학급의 교사와 유아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넷째, 자료수집은 관찰과 면담을 많이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비슷하게 사용하였다. Large-group Discussion Activities is an activity which is important and popula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analysis is to show a study directions by analyzing the theses on Large-group Discussion Activities. The objects are 53 theses since 2000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14 journ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regarding what to study, the number of study on academics is a few, but the number on practical approaches is many. Moreover the study of how to teach is the highest with based on an verbal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a child and teachers’ questions toward children. Next rank is the study on teaching materials and programs related to using picture books. And next is the study which is done by application of supervising and reflections in order to promote teaching-learning. In other words an interest of communication interactions is revealed. Secondly regarding study types, the qualitative are approximately equal to the quantitive. Thirdly regarding the object of the study, teachers and children in a classroom are focused. Fourthly a collection of study information is done by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d regarding an analysis of the collections an quantitive analysis is similar to qualitative. Also this study shows the abilities of teacher are required to make the Large-group Discussion Activities effective and efficient.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가 특수유아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백경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which bo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on the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 in inclusion. The study adopted the method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ranscribing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iculti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mainly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cluding lack of education method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eachers education without real needs, lack of appreciation for the inclusion, lack of support for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ainly on the environment for the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ing lack of information about general young children and classrooms, the uncooperative relation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unhappy feelings about the class interrupted by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eacher education without real needs. After all,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ignora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gnora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us, they suffer difficulties where these two fields a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research suggests that forming reciprocally cooperative relations is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본 연구는 특수유아 통합교육의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는 주로 특수유아와 관련된 것으로 특수유아의 교육방법 부족, 그리고 현장감 없는 교사교육, 통합교육에 대한 낮은 의식 수준, 교사지원의 부족 등으로 구분되어지고, 유아특수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는 주로 일반유아교육 환경에 대한 것으로 일반유아와 일반교실의 정보 부족, 유아교사와의 비협력적인 관계, 그리고 특수유아의 수업방해로 인한 미안함, 현장감 없는 교사교육 등으로 구분되었다. 결국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은 두 영역 간에 서로 상치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는 상호 협력적인 관계 형성이 특수유아의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만 5세 조기취학 아동의 초등학교 3학년 적응도에 관한 연구

        백경순(Kyung Sun Back),이대균(Dee Kyun Lee) 한국아동학회 2000 아동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daptability of 3rd grade children in Taejon who had started first grade at 5 years of age. Subjects were 64 third grade children, half of whom had started first grade at 5 years and half at 6 years of age. Thirty-four parents and 3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lso sampled. The General Intelligence Test, the Learning and Thinking Ability Test, and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ecklist were administered to the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the Adaptability of Early Entrance Childre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ho started first grade at 5 and those who started at 6 years of age in their Intelligence scores, Learning and Thinking Ability scores, and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scores. Parents as sell as teachers felt that the early entrance system was positive for children.

      • KCI등재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백경순 ( Kyoung Sun Bae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영·유아의 일상생활지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은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열린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연구』,『유아교육학논집』의 4개의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98편의 “생활지도 관련 논문”이었다. 연구결과,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편이지만 2010년부터 활발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내용은 “유아의 행동”을 심도있게 분석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교수행동”에 관한 연구는 적은 편이었다. 또한 세부적 연구주제는 적응(학기초, 초등학교), 기본생활 습관(예절, 정리정돈, 식생활, 경제습관, 규칙, 인사, 배변, 낮잠, 가정생활), 대인관계(갈등, 우정 또는 또래관계, 배려, 도움, 나눔) 등 이었다. 연구유형으로는 질적 연구가 많은 편이었고, 연구대상은 주로 유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소수계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자료수집은 관찰과 면담을 많이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질적분석과 다중분석을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근거로 유아의 생활지도에 관한 교육내용을 집대성하고, 교수방법을 발달시키는 기반을 마련 하는데 기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theses on guidance for children in order to offer data that will give information on children`s educational guida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98 pieces of daily life studies published by『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Studies related to daily life of children" were insufficient but starting from 2010, the studies started to become active. In the contents of the study, "children`s behavior" took the largest amount of the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e least studied contents were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 More detailed subjects of the study are adaptation(the beginning of the preschool term, elementary school), daily habits(manners, cleaning and arrangement, eating habits, economic habits, rules, greeting, defecation, napping, home life), personal relations(disagreement, friendship and peer relationship, regarding another person`s feelings, helping, sharing). In the type of stud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The studies were mostly focused on young children.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used most profoundly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and multiplexed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has integrated the contents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al guidance, and provided groundwork for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method.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백경순 ( Kyung Sun Bae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교사 8명으로 하였으며,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면담내용은 학기초에서 학기말 그리고 등원에서부터 귀가까지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전반적인 분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사의 면담내용을 녹음하였고, 녹음내용을 전사한 후에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해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드러내는 현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교사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교육철학과 동떨어진 상호작용에 대하여 딜레마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교수실제와의 차이를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들의 마음을 이해하는 정서적인 지원을 하는데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진정한 양방향적인 의사소통의 실현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교사의 융통적인 사고방식 함양을 위한 지원 그리고 사회·정서적 지원 또는 일상생활 지도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며, 직전교육에서는 실천력있는 교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particular study focuses on the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t these aforementioned institutions. The test subjects were 8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constantly monitored during their class time with young children. The recorded data was then analyzed qualitatively. This study revealed some limitations of the teachers (test subjects) in their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Firstly, the philosophical ideas of the teachers proved to be a dilemma in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Secondly,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became apparent. Thirdly, providing emotional support to their young children proved to be difficult. In conclusion, the necessary requirem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re as follows : a) Providing aids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b) Providing aids for developing the open-mindedness of teachers. c) Providing aids for effective development of the habits of young children and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