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자 박휘락 교수 생애사적 탐색

        양민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2

        The modern Korea began its formation based on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Japan and the West, following Political Reform in 1885, Japanese colonization during the early 1900s, US Army Military Government after liberation of Korea, and Korean War. To draw by tracing pictures and handwork was introduced as a school subje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formed the basis of modern art education in Korea.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mes for art education in Korean schools was Creative·Expressionism Art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educational-social meanings of the SECOND Art curriculum which could be the beginning period of art education in Korea. The inquiry method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draws the provisional conclusions through research participants' stories, recorded document, and actual cre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SECOND Korean Arts Curriculum? Second, what are the core values to be achieved? Third, what is the actual contribution? As main research participants, were sampled Park, Hwi Rak. He perform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arts curriculum of the time. This study focused on the trend of modern art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and life of art educationalist,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rocess which Creative·Expressionism Art Education was introduced, by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life history of researchers.’ As a research methodology, life history research interprets and shows personal experiences in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extbooks, first, the experience-centered arts education was verified as core values. the composition and main contents of the SECOND Korean Art Curriculum reflected the increase of creative individuality of children. The meanings of the SECOND Korean Art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in social meanings, it was helpful for overcoming the situation of 미술교육자 박휘락 교수 생애사적 탐색- 193 - the time. In the aspect of teaching-learning, it largely contributed to the change from arts education focusing on imitation paintings to arts education emphasizing the creativity and artistry. The Korea Art Education Association professionally handling the fine arts education was founde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search the art education history in Korea between the 1960s and 1980s from different angles of art education, and propose a prospect of and alternative for art education in the future, hoping to contribute to exploring and expanding the field. 한국의 2차 교육과정기는 일제강점기, 미군정, 교과과정 시대를 거쳐 생활중심, 경험중심 교육을강조한 시기였다. 당시 미술교육자인 박휘락 교수의 생애사적 탐구를 통하여 2차 교육과정기의 사회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미술교육의 특성과 현황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2차 교육과정기는 경험중심, 생활중심의 미술교육이 등장하였음을 교육과정, 교과서, 심층 면담을 통하여알 수 있다. 둘째, 임화 모사 위주의 미술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중심의 창조·표현주의 미술교육이등장한다. 셋째, 교사들의 자발적인 연수회를 통하여 연구하는 풍토가 조성되었다. 이는 창의성을강조하는 21세기 창의·인성·융합 미술교육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과학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물리교육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권재술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1985 敎員敎育 Vol.1 No.1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은 유능한 교과 교육 전문가 양성에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우리나라 전국 사범대학 과학 교육과의 교육과정은, 본문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과학 교육 전문가 양성이라는 면에서 볼 때 상당히 미흡함을 부인할 수 없다.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 특히 물리 교육과의 교육 과정은 자연 대학 물리학과의 교육 과정과 대동소이함이 지적되었다. 물리학자 양성과 물리 교사 양성은 그 성격에 있어서 유사한 점이 있기도 하지만 전적으로 같은 것은 아니다. 물리학자가 물리학을 탐구하는 사람이라면, 물리 교육 학자는 물리학에 '관해서' 연구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 교육과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물리학의 기초 개념이해와 아울러 물리학의 사회·문화적 이해가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 교육학 영역 교과목으로 구별되어질 수 있는 교과목들은 그 교과목 내용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법적 규정을 만족시키는 수준에 머물러 있을 것이 아니라 보다 유능한 교과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교과 교육 영역 교과목의 내실을 기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대학이 교과목 내용 개발에 공동적이고 협동적인 노력을 할 것이 요구 된다. 특히 교과 교육 전문가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여건을 고려할 때 어느 한 대학이 이 분야를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이 갖추어져 있다고 보기는 힘든 것이다. 따라서 개발된 내용을 서로 교환함은 물론 강의 경험을 서로 나눌 수 있는 모임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교과 교육이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실제 교실 현장과 긴밀한 유대를 갖기 위해서는 지금 실시하고 있는 "교육 실습"이 대폭 개혁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교육 실습을 현장 학교 교사에게 위탁할 것이 아니라, 지도 교수의 지도하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도 교수의 지도하에 교안 작성, 교재 준비, 실습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는 교과 교육학 영역 교과목이 실현성 있는 내용을 담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찾는다면 수 없이 많은 문제점을 찾을 수 있겠으니 아직 시작에 불과한 우리나라 교과 교육학 연구 실정을 감안할 때 너무 갑작스러운 변화보다는 쉬운 것부터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중심지 이론 모델링 활동의교육적 효과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예비교사들을 중심으로-

        김영미,박호걸,김영훈,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5

        연구목적 인문사회 전공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중심지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과 모델링을 활용한교육 프로그램을 투입한 후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교사양성대학교에서 지리교육을 전공하는 46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실험반 20명을 대상으로 모델과 모델링을 활용한 중심지 이론 교육 프로그램이 3주간 투입되었으며,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t검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 결과는 기술통계 및 반복적 읽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델과 모델링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통제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이해도를 나타내어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몰입,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만족도, 심미와 체화인지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다.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관해, 예비교사들은 이론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이해, 집중과 참여 향상을 언급하였다. 결론 예비교사들을 위해 물리적 조작을 통해 복잡한 내용을 보다 쉽게 인지하게 도와주는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모델과 모델링 활동이 더 폭넓게 개발되고,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model and modeling-based educational program among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hemodeling-based teaching program. Methods: A total of 46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Geography Education at a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went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a three-week program regarding the central place theory based on models and modeling,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entral place theory was analyzed through a t-test. The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iterative reading.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pre-service teachers also expressed an overall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ogram in terms of flow, evaluation of the program, satisfaction, and aestheticand embodied cognition. Regarding the pedagogical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ey recognized an enhanced level of understanding, focus and engagement. Conclusion: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should be more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models and modeling with 4Dframe that would help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complex concepts through physical manipulation.

      • KCI등재

        예비교사의 ‘바람직한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김현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esirable general educa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student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University, and they were asked to freely describe what they think desirable general education should be. By analyzing the response data of 442 people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desired general education and grasp the differences by college year. There are two main research results: 1) The “desirable general education”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is one that allows them to acquire knowledge connected to life by reflecting on individual concerns and interests, is realistic and practical, and gives access to experiencing a variety of disciplines. 2) Preferred education is one that helps them improve self-understanding for freshmen, broaden their concerns and interests for sophomores and juniors, and prepare for upcoming life as well as a prospective career and promote understanding of future society for seniors. Based on the main results, 1) the role of general education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process, and 2) proper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ir career development process was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교양교육’의 특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대학 사범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교양교육’은 어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답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총 442명의 응답자료를 토대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전체 사범대학생이 기대하는 교양교육의 특징과 그 특징의 학년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1)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교양교육’은 유용한 지식을 습득하고, 개인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하여 삶과 연결되는 교육, 실용적이고 실제적인 교육, 다양한 학문을 두루 접할 수 있는 교육이었고, 2) 1학년은 자신에 대한 이해, 2학년과 3학년은 관심과 흥미의 확장, 4학년은 개인적 흥미나 관심을 넘어 미래의 삶과 진로를 준비하고 미래 사회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양교육을 기대했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1)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양교육의 역할에 대한 논의와 2) 예비교사의 진로발달과정을 고려한 교양교육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 개발체제 개편 방안 모색-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

        박남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연구목적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예측되는 국가교육과정 개정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 개발과정을 비교⋅분석하여,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의 국가교육과정 개발체제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각종 연구보고서 등을 종합적으로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가교육위원회가 추진해야 할 국가교육과정 개정단계를 [발의-연구⋅개발-시안검토-고시-평가]로 구조화하고, 개발체제 구축 방향을 ‘학생⋅교원⋅일반시민 참여시스템’, ‘평가 기반의 환류형 순환시스템’, ‘학습자의 성장지원 협력시스템’으로 제안하였다. 결론 그동안 국가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각종 문제를 교육적 관점에서 해결하기 위해 개정단계별로 다양한 주체가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구조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교육복지역량 함양을 위한 학습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김인희,이혜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S

        This study developed a learning program on education welfare in order for student teachers to improve their capabilities on this area. The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to student teachers of K university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Effects of the learning program were analyzed and some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rning program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 teachers' 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on education welfare matters and that the participants strongly supported the necessity of such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 teachers. Major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program on education welfare is more helpful especially for student teachers lacking prior experience related to this issue. Second, considering the first implication, the learning program has to be organized on the basis of participants' level and stage of readiness regarding education welfare matters. Third, application of diverse learning methods must be useful for elevating the effect of learning.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의 교육복지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학습안을 구안하여 실제로 적용하고 학습효과 분석을 토대로 향후 예비교사의 교육복지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델파이기법을 통해 학습목표가 되는 교사의 교육복지역량을 규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복지 학습은 예비교사의 교육복지역할 인식과 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참가자는 교육복지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높은 지지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첫째, 교육복지에 대한 예비교사의 학습 필요성과 효과가 입증되었고, 둘째, 교육복지 학습은 이에 대한 사전 학습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의 교육복지역량 함양에 특히 효과적이며, 셋째, 학습자의 선행 경험에 따라 학습효과 차이가 나타나므로 학습자의 사전 학습경험(readiness)의 수준과 단계를 고려하여 학습경험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끝으로, 다양한 학습방법의 활용은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조건이 된다.

      • KCI등재

        교육대학원에서 미술 교직과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 통합 운영 사례 연구

        이화식,박명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1

        This study targets the student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who simultaneously complete the education courses for the middle school art teacher and the arts & culture educator. In arts education, the line between the education at school and in the society tends to be blurred and integrated.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prove the positive effects that have been experienced by the graduate school students at first hand during the integrated courses for middle school teachers and arts & culture educato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integrated education courses for the middle school teachers(fine arts) and the arts & culture educator(fine arts) had more positive effects than negative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Positive effec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external effects and internal effects. The external effects include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expertise of the arts & culture educator and have an integrated approach to arts educati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arts education is in line with the trends of the time on arts education. In terms of the internal effects, when the arts & culture educator course was offered simultaneously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 course more proactively.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graduate school students consider arts and culture educator a more practical occupation compared to middle school teacher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ourse more aggressively when there were two types of teacher education courses established compared to when there was a single teaching education course for middle school teachers open.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curricula of the education courses for middle school teachers(fine arts) and arts & culture educator(fine arts) are overlapped and similar. Although the students studied the programs for arts & culture educator(fine arts), the study led to art education in general since it is linked to the education courses for middle school teachers (fine arts). The third reason is that the students paradoxically established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art teachers during the courses for arts teacher. 본 연구는 현재 ○○대학교 교육대학원 중등학교(미술) 교직과정과 문화예술교육사(미술) 교직과정을 동시에 이수하는 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현재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교육과 사회 교육의 경계가 없어지고 통합되는 경향으로 흐르고 있다. 그래서 ○○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중등학교 교직과정(미술)과 문화예술교육사(미술) 교직과정을 통합 운영하여 원생이 직접 체험한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에서 중등학교 교직 과정과 문화예술교육사 교직 과정 통합이 부정적인 효과보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더 많이 가져왔다. 긍정적인 효과는 크게 외적 효과와 내적 효과로 구분할 수 있다. 외적 효과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성 확보와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전문성 신장과 통합적 접근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시대적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 내적 효과는 교육대학원에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동시에 제공했을 때 원생이 교육대학원 학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궁극적으로 교육대학원 중등학교 교직과정 자체에 활력을 주었다. 그 이유는 첫째는 원생이 중등학교 교사보다도 문화예술교육사가 더 현실적 직업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등교사 교직과정만이 운영했을 경우보다 두 가지 교직 과정이 개설되었을 경우 학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두 번째는 중등학교(미술) 교직 교과목과 문화예술교육사(미술) 교직 교과목이 서로 중복되고 유사하다. 원생은 문화예술교육사(미술) 공부를 하였지만, 이것은 곧 중등학교(미술) 공부와 연관되기 때문에 미술교육 전반에 대한 공부로 귀결되었다. 세 번째는 원생이 문화예술교육사 과정을 통해 역설적으로 미술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오디세이 학교 길잡이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경험 분석을 통한 교원양성과정에의 함의

        지슬비,이정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1

        본 연구는 H 오디세이 학교의 길잡이로 파견된 공교육 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공교육 내 대안교육이 모색되는 시대에 교원양성과정에서 교사에게 함양되기를요구되는 새로운 역량이 무엇일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 오디세이 학교의 길잡이를 대상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길잡이의 경험은 다음과같은 양상으로 유형화되었다. 첫째, 길잡이는 국가 교육과정과 대안 교육 사이에서 딜레마를 경험하며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역량 중심 교육과정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셋째, 길잡이는 공교육에서 경험하지 않았던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교실을 넘어선 지역사회로 확대된 배움의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마지막으로 학생이 배움의주체가 되는 교육과정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교육과정 개발자이자 실행자로서 오디세이 학교 길잡이의 경험의 특징과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는 공교육 내 대안교육을 도전하는 유사 사례에 적용점을 제공하고, 교원양성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nalyzed the H Odyssey School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xperiences, with the underlying purpose being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new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by selecting one teacher of H Odyssey School as a research participa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xperienced a dilemma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lternative education; second, the teacher tried to implement the competency centered curriculum; third, the teacher felt conflicted and deliberated about the curriculum as a process which they had not previously experienced in public education; fourth, the teacher planned the curriculum and expanded it to extend beyond the classroom to the local community; fifth, the teacher developed and carried out the curriculum to enable the students to have learning experiences as the subject of learn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mes of the Odyssey school teacher as the curriculum developer and practitioner were derived. These findings will have applications with similar cases challenging alternative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and will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의 다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 캐나다와 한국의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최영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focusing on multicultural contexts and science education contents, and to analyze 3rd to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curricula of the 2007 revised Ontario science and technology in Canada with the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ar in Korea. The framework’s horizontal axis was divided into four levels: the contribution approach, the additive approach, the transformation approach and the social action approach, while its vertical axis was comprised of ‘situation’, ‘components’ and ‘performance.’ Based on the criteria, the author quantitatively compared the curricula of the two countries. Furthermore, examples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contexts were discerned from the goals, expectations, strands, topics, assessment and other considerations for program planning in science. In the 2007 revised Ontario curriculum for science and technology, it clarified that the diversity of student cultural backgrounds should not only be respected and supported for adjustment to the new learning environment, but also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inter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s. On the other hand, the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science did not deliver 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science education as written instruct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science needs to have learning materials showing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or diverse people working on scientific activities or careers. Moreover, definite directions and perspectives on multicultural scienc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reconstitution, or improvement of science curriculum for teaching multicultural students concurrently.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과정의 목표 및 과학교육 내용표준을 준거로 한 분석 기준을 개발하고, 다문화 맥락을 고려한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기준에 따라 캐나다 온타리오 주 2007 과학과 기술교육과정 및 한국의 2009 개정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3~6학년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한 분석 기준의 가로축은 다문화교육 통합의 접근의 4단계인 기여 단계, 첨가 단계, 변형 단계, 사회 활동 단계로 구분되었으며, 세로축은 상황, 내용 요소, 성취기준 및 하위 요소로 구성되었다. 이 분석 항목에 근거하여 두 국가 교육과정 간의 비교를 수행하였고,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내용 및 내용체계, 성취기준, 평가계획, 교수 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에서 다문화 맥락이 반영된 혹은 고려될 수 있는 사례를 찾아 사회 문화적 배경과 다문화 과학교육 관련 문헌에 근거하여 장단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온타리오주 과학과 기술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배경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새로운 학습 환경에의 적응을 지원하는 방안과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과학을 지도하도록 지침을 주고 있었다. 국내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과학교육의 중요성이 명시되지 않았지만, 다양성을 존중하는 학습 자료나 다양한 사람들이 과학 활동 및 직업에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다문화 과학교육의 명확한 방향과 관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학생과 주류 집단 학생을 함께 지도할 수 있는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혹은 재구성, 교육내용 개선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大韓自强會 교육론의 도구적 성격 연구

        이성심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4

        교육은 인간의 합리적 이성계발을 강조하는 본래적 기능과 국가 및 사회의 현실적 문제를 교육을 통해 해결하려는 수단적 기능 사이의 모순을 내포해왔다. 정치·경제적으로 국가와 민족의 존폐가 최우선시 되는 시기, 교육목적은 어떠한 기능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가의 문제는 해당 시기 교육사상을 이해할 수 있는 관건이 된다. 만약 역사적 현실을 반영하여 교육의 본래적 기능보다 수단적 기능이 강조되었다면, 교육목적이 원래의 취지대로 달성될 수 있는가는 많은 논의의 여지를 남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와 민족의 존폐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던 시대, 즉 한국근대교육 형성기에 설립된 대한자강회 교육론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한자강회의 교육이념이었던 대한제국정신, 조국정신, 한국정신, 대한정신 등의 개념은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한 인재양성 보다는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애국심교육과 일맥상통하였다. 일본 제국주의로 부터의 독립을 교육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던 대한자강회의 교육목적은 합리적 이성계발을 통한 인간해방이라는 교육의 내재적 가치 추구보다는 국가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육을 바라보는 외재적 가치를 추구하였다. 결국 근대문명과 근대지식으로 국민을 계몽하려 했던 대한자강회의 교육구국론은 교육의 수단적 기능을 중시한 결과 본래의 취지와는 다른 결과로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침략을 기정사실화하는 토대를 제공할 수밖에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trumental value represented the educational theory of Daehan Jaganghoe, which was formed in the era of Korean Education modernization. In particular, it is to examine on which function the educational aims are focused during the dangerous situation whether the country and nation disappears or not. Furthermore, it is to research that if the educational aims focus on the function of means, how they would accomplish the orignal ai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ducational aims of Daehan Jaganghoe showed the results pursuing the external values considering the education as a tool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rather than about pursuing the original values of the education which is a human liberty through the rational reason development for each individuals. The ideology of education is changed from "Korean imperial spirit", "Country spirit", "Korean spirit" and "National spirit" to the patriotic education for Japanese imperialists. Finally, the efforts of Daehan Jaganghoe that enlightens the people on modem civilization and modem knowledge provided the fact taken for granted the Japan's colonial imperialist ag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