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대간 가족관계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정경연,유희정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적 요인인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개인의 환경적 요인인 부모-자녀의 세대간 가족관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으며, 나아가 이 세 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부산지역의 3개 대학의 재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검사, 자아분화 검사, 세대간 가족관계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세대간 가족관계 지각과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그리고 대학 생활 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대학생활 적응이 자아존중감, 자아분화, 가족관계와 관련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대간 가족관계,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아분화가 유의미하게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했으며,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의 순서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세대간 가족관계의 하위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세대간 융합-개별화, 세대간 친밀, 세대간 간섭이 유의미하게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고, 세대간 융합-개별화, 세대간 친밀, 세대간 간섭의 순서로 긍정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아분화의 하위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적 단절과 나-위치에 대한 지각이 유의미하게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였으며, 정서적 단절, 나-위치 순서로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몇 가지 논의와 제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247 college students in Busan were participants on research.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of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we found that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 Second,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had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Third, emotional cut-off, I-position as subordinate facors of self-Differentiationon had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 Forth, intergenerational Fusion-Individuation, intergenerational Intimacy, Intergenerational Intimidation as subordinate facors of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ad effect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 order.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involved.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

        김현주(Kim Hyun-Ju),이혜경(Lee Hye-Kyong)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간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교환경(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과의 관계를 통해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부적응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족구조(부모의 결혼 유형)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를 비교해 봄으로써 가족건강성의 중요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2,2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0.0과 Amos 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가족구조에 따라 가족건강성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부모동거가족이 부모해체가족보다 가족건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구조에 관계없이 학교환경 보다는 가족환경인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즉 가족건강성은 다른 환경체계보다도 학교생활부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건강성이 부모동거가족과 부모해체가족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면서 학교생활적응에서 가족건강성이 갖는 의미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viewpoints of Family Strength on the school maladjust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298 student who were drawn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Seoul. We teste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to teachers and also to friends between intact families and separated famili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of intact family was higher than that of separated family. Second,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was more effective on the school maladjustment than teachers or friends. In both intact family and separated family, the family strength played the vital role to reduce the school maladjustment. We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has to be analyzed in a more comprehensive way.

      • KCI등재

        군 용사의 가족건강성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

        김태산,김청송,최은정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family resilience on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nd family resilience was set as a mediating variable to evaluate if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 total of 228 people, 198 Army, Air Force, and Marine Corps veterans located in Gangwon-do and Gyeonggi-do and 30 Navy veterans located in Gyeongsang-do, were surveyed, and a total of 20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ilitary veterans' family health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ha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and family resilience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ha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In addition, military veterans' family health and family resili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ealth and military life adjustment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military veterans' family health has an indirect effect on military life adaptation through family resilience rather than an indirect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hen counseling veterans who experience maladjustment in military life to adapt well to military life, family resilience should be encouraged. Based on the purpose and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군 용사의 가족건강성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육군, 공군, 해병대 용사 198명과 경상도에 소재한 해군 용사 30명, 총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20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군 용사의 가족건강성과 군 생활 적응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가족탄력성과 군 생활 적응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군 용사의 가족건강성과 가족탄력성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가족건강성과 군 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 용사의 가족건강성이 군 생활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효과보다 가족탄력성을 통해 매개하여 군 생활 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군 생활에서 부적응을 경험하는 용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거나 상담을 할 때, 가족탄력성의 수준을 높여주면 군 생활을 보다 적응적으로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과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 및 추후연구의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 가족 의사소통과 부부적응 관계에서 성생활 만족의 매개효과

        최윤진(Yoon Jin Choi),윤영남(Young Nam Yun),김민하(Min Ha Kim),이재선(Jae Sun Lee),안종화(Jong Hwa Ahn),구경희(Gyung Hee Goo)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2 부부가족상담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남녀의 가족 의사소통과 성생활 만족 및 부부적응의 관계를 탐색하고, 부부의 성생활 만족도가 가족 의사소통과 부부적응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상담센터를 방문한 기혼남녀 총 121명을 대상으로 가족 의사소통 수준과 성생활 만족도 및 부부적응 수준에 대해 설문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t 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의사소통과 부부의 성생활 만족, 가족의사소통과 부부적응, 부부의 성생활 만족과 부부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관찰되었으며, 부부의 성생활 만족이 가족 의사소통과 부부적응의 관계에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 의사소통이 부부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성생활 만족도를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나, 가족 구성원들 간에 만족스러운 의사소통을 하는 기혼남녀는 부부의 성생활에서도 더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여 궁극적으로 부부관계의 적응 및 만족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부부적응을 높이기 위한 가족의 의사소통수준과 성생활 만족도에 대한 제안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adjustment of married men and women, and to identify the role of sexual satisfaction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marital adjustment. A total of 121 married men and women were surveyed. A t-test, one-way ANOV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a Sobel tes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marital adjustment, and betwee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xual satisfaction was found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marital adjustment, indicating that married men and women who communicate satisfactorily with family members form a higher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ultimately improving the adjustment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marital relationship.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주연 ( Lee Ju-yeon ),최성열 ( Choi Sung-yeol ),임경숙 ( Lim Kyoung-suk ),장성화 ( Jang Sung-hwa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와 대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6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57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계수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은 서로 상관이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여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to develop interven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This researcher selected 572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 or Daejeon. The data collected here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PASW 20.0. This author has formulated following study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ego-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how does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ego resilience?, Third, how does ego resilienc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how does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and lastly, does ego resilience have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lementary Perceived health of familie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djustment, self-resilience. Second,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hird, ego resilienc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found to be the factor influencing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Lastly, ego resilience is found to have partly mediating effect working as a parameter in the effects of family health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hool life adaptation.

      • KCI등재후보

        병사들의 가족기능과 군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탈력성의 매개효과

        송정애,장정순,이하나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군사회복지학 Vol.7 No.1

        본 연구는 현재 군 복무중인 병사 417명을 대상으로 가족기능, 회복탄력성, 군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가족기능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 기능은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가족기능과 군 생활 적응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 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과 군 생활 적응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기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기능이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도 군 생활 적응에 정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이 군 생활 적 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직접효과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복탄력성을 통하여 정적인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가족기능수준이 낮은 병사들을 위하여 회복탄력성수준 향상을 통한 군 생활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있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김동일(Kim, Dongil),김경선(Kim, Kyoungsun),이재호(Lee, Jaeho),정소라(Jeong, Sora)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있는 청소년들의 가족지지와 사회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 고등학교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있는 청소년 20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지지, 사회지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구안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모형이 장애인 가족구성원이 있는 청소년의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지지와 사회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지지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직접효과는유의했으나, 자기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가족지지는 자기효능감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구성원 중에 장애인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iency on the adjustment to school environment for adolescents who has family members with disabi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KEEP database released by KRIVET.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study model developed by researchers.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mediation effect, sobel test was utilized. SPSS 18 programs and Amos 7 programs were used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model fit well into the data of adolescents who has family members with disability. Moreover, self-efficiency meditated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on the adjustment to the school environment. Social support positively contributed on the adjustment to the school environment. SES did not contributed to self-efficiency as well as adjustment to the school environment.

      • KCI등재

        가족체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숙도와 대학환경지각의 매개효과

        오충광,최혜윤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1

        본 연구는 가족체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대학환경지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652명을 대상으로 가족체계 척도(FACES III), 대학생활적응 척도(SACQ), 진로태도성숙도 검사(CAMI), 대학환경 척도(CUES)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가족체계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성숙도와 대학환경지각은 각각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가족체계는 진로성숙도와 대학환경지각을 각각 매개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기능적인 가족체계가 형성되어야함을 의미하며, 대학 내에서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향상과 긍정적인 대학환경지각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students’family system patterns and their adaption to college. A total of 652 college students complete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III(FACES III),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are,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College and University Environ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system patterns had a direct effect on students’adaption to college. Second, career matur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atterns and students’ adaption to college. Perception of college environ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atterns and students’ adaption to colleg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가족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수정(Soo-Jung Kwon),이현주(Hyun-Ju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가족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청소년과 부모세대(학부모)의 의식 및 가치관을 조사한 가족의식에 관한 패널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은 청소년 6,979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AMOS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의 하위변인(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과 매개변인인 자아정체성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교사적응, 친구적응, 공부몰입)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기능은 자아정체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기능은 학교생활적응에 자아정체감을 매개하지 않고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학교생활에서의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간의 기능을 원활히 하고 청소년 개인의 자아정체감 확립이라는 발달적 과업을 이루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amily functioning and self-identity 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school life adaptation were investigated. This aspect of the study, panel survey was used to researchers from the Korea Youth Policy and their parents of about the consciousness and family awareness, the youth of 6, 979 people. Youth Policy Institute of Korea analyzed the panel. frequency using SPSS program, AMOS using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family of functions of the sub-factors and school life adaptation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the youths family function in school lif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which parameters, excluding self-identity. Third, the family functions as a self-identity paramet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적응에 대한 교회평생교육 경험 연구

        임형택,김동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life - long education in Korea on adaptation to life in Korea.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adapting to marriage in a multicultural family? Second, what about the experience of adapting multicultural families to life in Korea? There were 10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age was 5 in the early 30s, 4 in the mid 30s, and 1 in the forties. As a data analysis method, Giorgi(1985) used 4 phenomenologica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church lifelong education is not voluntary due to the influence of family members and family members, but it shows positive support for adaptation to life in Korea. Second, the biggest difficulty of adaptation to life in Korea was communication, and it was able to solve communication difficulties by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lesson during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church. Third,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church needs to establish a network with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in the community. Therefore, although the personal situation of the participants is different, they have helped to adapt to life in Korea as well a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collective experiences, and it will be useful data f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적응에 대한 교회평생교육 경험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다문화가족의 결혼생활적응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가족의 한국생활적응 경험은 어떠한가? 연구참여자는 총 10명으로 연령은 30대 초반 5명, 30대 중반 4명, 40대 초반 1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Giorgi(1985)는 현상학적 연구 4단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족의 교회평생교육에 대한 참여는 주변 지인 및 가족들의 영향으로 자발적이지는 않지만 한국생활적응에 긍정적인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생활적응의 가장 큰 어려움은 의사소통으로 나타났고 교회평생교육 중 한국어 배우기 수업에 참여하면서 소통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 셋째, 교회평생교육은 지역사회 내에 평생교육 기관과 관계망 형성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참여자들의 개인적 상황은 다르지만 집단경험을 통해 상호 소통과 더불어 한국생활적응에 도움을 받았으며, 이후 다문화가족을 위한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