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인 복지 관점의 창작공간 지원 정책 연구

        양현미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예술인복지 관점의 창작공간 지원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연구하고자 한다. 창작공간은 작업실로서 창작 공간과 레지던스로서 창작공간으로 구분된다. 창작공간 지원정책은 예술창작 지원 관점, 지역문화 재생 관점, 콘텐츠 산업 지원 관점 등을 통해 확대되고 다원화되어 왔다. 그러나 예술인이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저렴한 창작공간에 대한 수요, 작업실로서 창작공간은 오랫동안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었다. 그러다 예술인복지 정책이 확대되면서 작업 실로서의 창작공간 정책에 대한 정책적 타당성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서울시에서 시작하여 예술인복지 정책 기본계획에서도 창작공간 지원정책이 예술 활동 여건 개선과제로 설정되었다. 하지만 주거복지정책 일환으로 공급하 는 예술인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창작공간의 비중이 낮다보니, 작업실로서 창작공간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국 뉴욕,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등 예술인 인구가 많은 국제적인 창조도시의 작업실로서 창작공간 정책과 공급모델을 공공주도모델, 민간주도모델, 민관협력모델로 나누어 살펴보고, 뉴욕의 예술인을 위한 저렴한 부동산(AREA), 런던의 창조적 토지신탁(CLT) 같은 새로운 민관협력모델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제 예술인복지 관점에서 창작공간 지원정책은 시작 단계이다. 창작공간은 예술인 의 직업적 지위와 활동의 근간이 되는 시설이라는 점에서 더 효과적인 정책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licy for supporting creative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artist welfare. Creative spaces can be categorized as either workspaces or residences. Although policies supporting creative spaces have diversified in recent years, the policy for residences is limited due to the restricted occupancy period. The demand for affordable creative workspaces for artists has long been overlooked in policy-making. As the artist welfare policy expanded, the policy for creative spaces as workspaces gained attention. However, the supply of public rental studios for artist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artists' demand. To identify potential improvements, I examined the policies and supply models for creative spaces in citie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artists per capita, such as New York, London, and Paris. I investigated specific initiatives such as New York's Affordable Real Estate for Artists (AREA) and London's Creative Land Trust (CLT), and suggest implications based on findings. The policy for supporting creative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artist welfare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s creative spaces are essential facilities for the professional status and activities of artists, it is crucial to prepare more effective policy altern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artist welfare.

      • 창작연희의 현황과 전망

        손태도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1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6 No.-

        오늘날 흔히 말하는 ‘창작연희’란 말은 ‘전통연희’의 상대어로 2007년 ‘제1회 대한민국 연희축제’ 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대규 모 관(官)의 행사에 이른바 창작연희공모에 선정된 우수작들이 공연되 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대규모 관의 행사(문화체육관광부의 ‘대한민국 전통연희 축제’: 2007~2009년,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의 ‘창작연희 페스티벌’: 2010~2012년, 2013~2014년/ 동 전통공연예술진 흥재단의 ‘전통연희 페스티벌’: 2015~2017년) 등이 있어 왔다. 이러한 행사들을 통해 민족예술단 우금치의 <할머니가 들려주는 우리 신화이 야기>(2008년 대상), 천하제일탈 공작소의 <추셔요>(2010년 대상), 창 작그룹 노니의 <1+1=추락樂남매>(2011년 대상), 연희집단 The 광대의 <자라>(2013년 대상), 광대생각의 <동물탈놀이 ‘만보와 별별거리’> (2014년 대상), 퍼포머그룹 파란달의 <ROMEO – THE 씻김>(2015년 대 상), 놀이마당 울림의 <세 개의 문>(2016년 대상) 등 이른바 대상을 받 은 작품을 비롯 72개 작품들 정도가 선정되어 공연되었다. 오늘날을 ‘창 작연희 시대’라 할 만한 한 흐름을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창작연희를 해 온 사람들은 일반 극단 계통, 마당극패 계통, 대학 연희전공자 계통, 창작판소리인 계통 등으로 일단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일반 극단 계통은 1999년부터 시작된 이른바 ‘창작연희본 공 모’에 참가한 극단들부터 잡을 수 있다. 민족예술단 우금치, 극단 민들 레, 인형극패 사니너머 등의 단체들이 이에 해당한다. 마당극패 계통은 1973년부터 이뤄진 마당극이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권이 이뤄 지자, 종래의 정치성이나 이념성을 버리고 단지 예술‧오락적 공연물로 바뀌는 과정에서 성립되었다. 마당극패가 단순히 창작연희도 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으로 민족예술단 우금치, 예술극장 놀이패 한라산 등이 있다. 대학 연희전공자 계통은 1989에 시작된 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를 시작으로 중앙대, 세한대, 원광디지털대 등에서 연희전공으로 학교를 다니거나 졸업한 사람들이 만든 단체들을 말한다. 이에는 연희집단 The 광대, 천하제일탈 공작소, 창작그룹 노니, 중앙음악극단 등이 있다. 이 중 The 광대는 <아비찾아 뱅뱅돌아>(2010), <홀림낚시>(2011), <자라> (2013) 등 일반인들은 물론 주류 연극계도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다수 발표하여, 창작연희 분야를 크게 주도했다. 창작판소리 계통은 2001년의 전주 산조축제 때부터 본격화한 창작판 소리의 연장선상에서 성립되었다. 창작판소리에도 연희적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는 바닥소리 같은 단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창작연희들을 하는 집단들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대학 연희 전공자 계통이다. 이들은 대학에서 풍물, 전통극, 무당굿, 기예 등 전통 연희와 관계되는 것들을 제대로 배우거나 익힌 사람들이다. 그리고 앞 으로도 이런 것들을 전공한 전문인들로 이 계통의 영역들에 계속 남아 활동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실상 이들에 의한 창작연희 활동 은 전통연희의 오늘날의 공연물로서의 한 길찾기와 같은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학 연희전공자 계통의 근래의 창작연희 활동들이 전통에 입각해 있으면서도 오늘날의 성공적인 공연물의 완성이라는 근대 이후 우리나라 공연예술사의 한 숙원을 연극 분야에서라도 어느 정도 이뤄질 수 있는 한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term ‘Creative Yeonhui(연희. dramatical play)’, commonly used today, is a relative word for ‘Traditional Yeonhui ’ It was used in full scale from ‘The First Korean Yeonhui Festival’ in 2007. This is because excellent works selected in the so-called ‘Creative Yeonhui Competition’ were performed at this large-scale event. There have been large-scale events (‘Korean Traditional Yeonhui Festival’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 2007~2009, 2012 / ‘Creative Yeonhui Festival’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that is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0~2012, 2013~ 2014 / ‘The Traditional Yeonhui Festival’ of the same agency : 2015~2017). Through these events, including Korean Ethnic Art Group Ugeum-chi (우 금치)’s <The Mythes My Grandmother Is Speaking> (2008 Grand Prize), First Mask Factory in the World’s <Dance> (2010 Grand Prize), and Creative group Noni (노니)’s <1+1=Crashing樂Siblings> (2011 Grand Prize), Yeonhui Group The Kwangdae (광대)’s <Snapping Turtle> (2013 Grand Prize), Kwangdae (광대) Thought’s <Animal Mask Play ‘Manbo (맘 보) and Many Scenes’> (2014 Grand Prize), Performer Group Blue Moon’s <Romeo-The SSitkim (씻김)> (2015 Grand Prize) and Playyard Ringing’s <Three Doors> (2016 Grand Prize) so-called grand prizes, 72 works were selected and played. These made a flow that can be referred to as ‘The Era of Creative Yeonhui.’ Those who have performed such creative yeonhui can be divided into several lines, the line of general drama troupe, the line of playground troupe,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and the line of creative pansori (판소리) singers. The general drama troupe can be picked up from the troupes who participated in the so-called ‘Creative Yeonhui Works Contest’ which began in 1999. There are Korean Ethnic Art Group Ugeum-chi (우금치), Troupe Dandelion, and Puppetshow Troupe beyond Sani (사니) etc. in this line. The playground theater was established in 1973. But when President Kim Young-sam (김영삼)’s civil regime was established in 1993, it abandoned the former politics and ideology and turned into an artistic and entertaining performance. The line of playground troupe was established in this process. It also could do just creative yeonhui play. There are Korean Ethnic Art Group Ugeum-chi (우금치), and Art Theater Playing Group etc. in this line.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was created by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n yeonhui department of Korea National Univ. of Arts that started at 1998, Jung-Ang (중앙) Univ., Saehan (새한) Univ., and Weonkwang (원광) Digital Univ.. There are Yeonhui Group The Kwangdae (광대), First Mask Factory in the World, Creative group Noni (노니), and Jung-Ang (중앙) Music Theater etc. in this line. Among them, Yeonhui Group The Kwangdae (광대) led the field of creative yeonhui by presenting a number of works not only to the general public but also to the mainstream theatrical world, such as <Father Chasing Around and Around> (2010), <Tempting Fishing> (2011), and <Snapping Turtle> (2013). The line of creative pansori was directary established as an extension of the creative pansori (판소리) event which began through the Jeonju ‘Sanjo (산조) Festival’ in 2001. This is because creative pansori has yeonhui elements. These include groups such as Floor Sound. Among the groups that perform creative yeonhui, the most noticeable is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These are people who have learned or learned things related to traditional performances such as Pungmul (풍물), traditional theater, shaman’s ritual, and acrobatics. And in the future, as professionals who specialize in these things, they will continue to be active in this area of the yeonhui. Therefore, the act of creative yeonhui by these people can be said to find the some ways of traditional yeonhui on today. It is hoped that the recent creative yeonhui of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can be achieved the entire successful performance that is started at traditional yeonhui in the field of theater on today. That activity has been a long-cherished hope in this field.

      • KCI등재

        中國當代藝術中圖式的作用机制硏究

        史秀娜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41 No.-

        스키마(schema)는 작품 뒤에 숨어 있는 정보 시스템으로, 예술가의 창작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맥락으로 거시적으로 예술 창작을 통제하는 관념의 측면에서, 예술가의 창작은 자신이 처한 문화에 있어서의 즉흥적인 투사, 그리고 예술 작품의 다의성과 이해의 복잡성은 스키마의 존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Xu Bing의 "문자", Cai Guoqiang의 "화약", Lu Shengzhong의 "전지"는 예술품의 운반체 형식으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동양문화 스키마는 유용과정에서 그 정보시스템이 동시에 작용하여 작품의 이해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예술가가 자신의 예술적 면모를 세우는 과정은 흔히 고유한 스키마 도식의 기초 위에 개인화된 새로운 스키마 시스템을 세우는 과정이다. 관람 과정에서 스키마는 보는 사람에 의해 식별과 해독이 되고, 이후의 풍부한 의미가 이해되거나 오독되어 예술가의 창작 목적이 체현되었다. 예술작품이 흔히 복잡성과 다의성을 갖춘 것은 작품도식, 형식언어, 표현 방식이 각각 다른 참관자의 해독 과정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스키마적 이해를 요구하는 창작자와 보는 사람이 비슷한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이는 예술품에 대한 이해과정도 그 은연중에 내포된 스키마 시스템에 대한 해독 과정이 되어 중국 현대미술에서의 스키마적 작용에 대한 연구를 도울 수 있다고 본다. 圖式是隱藏于作品之后的信息系統,在藝術家的創作過程中是看不見的脈絡,處于宏觀控制藝術創作的觀念層面,藝術家的創作是在自身所處文化的卽有圖式基礎上進行的投射,幷因自身的藝術訴求對原圖式進行挪用及重構,使圖式“陌生化”,呈現出不同的藝術形態。藝術作品的多義性和理解的復雜性與圖式的存在聯系密切。徐氷的“文字”、蔡國强的“火藥”、呂勝中的“剪紙”以藝術品的形式載體出現,而這些東方文化圖式在被挪用的過程中,其負載的信息系統同時發生了作用,成爲作品的理解背景之一。藝術家建立自己藝術面貌的過程,往往是在固有文化圖式的基礎上所進行的個人化的改變幷建立新的圖式系統的過程。在觀看過程中,圖式被觀者所辨認和解讀,其后的豊富意義被理解或誤讀,從而使藝術家的創作目的得以展現。 藝術作品往往具備復雜性和多義性,是因爲作品圖式、形式語言、表現方式在不同的觀者的解讀過程中産生了不同程度的作用。對于圖式的理解要求創作者與觀看者具備相似的文化背景,對于藝術品的理解過程因此也成爲對于其暗含的圖式系統的解碼過程,因此,對于中國當代藝術中的圖式的作用机制的硏究能勾幇助觀看者眞正理解藝術家的創作意圖和藝術品的价値所在。

      •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 창작 연구: 조계평(赵季平) 고시사의 창작을 중심으로

        왕혜 ( Wang Hui ) 전북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22 예술과 문화 Vol.2 No.0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은 중국 고시사를 대상으로 하는 예술 가곡 창작의 일종으로, 고시사가 지닌 전아한 풍격을 예술 가곡에 융합하여 예술 가곡의 고전화을 실현하였다. 반면, 예술가곡의 새로운 표현 방식을 통해 중국 고대의 다양한 시사를 새롭게 선보임으로서, 고대 예술의 현대화를 이루었다고 볼 수도 있다. 음악과 고시사를 결합한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은 대중의 사랑을 받으며 꾸준히 발전하며 독특한 예술적 형태를 만들어 냈다. 작곡가 조계평(赵季平)은 영화와 드라마 음악을 비롯하여, 합창, 무용극, 오페라, 교향곡, 민족관현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작곡하였는데, 그가 작곡한 고시사 예술가곡 또한 매우 주목해 볼 수 있다. 그의 창작은 민족 음악의 토양에 뿌리를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고, 시대 음악 원소에 녹아들어 청중이 아속공상(雅俗共赏)에서 아름다운 즐거움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본문은 조계평의 고시사 예술가곡 창작 연구를 중심으로, 제재 · 구조 · 선율 · 반주 · 음악적 요소 및 가창 방면에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요약하여 도출하였다. 조계평의 고시사 예술가곡 제재의 구상은 고상하고 심오하며, 조식 구조는 고풍스럽고 정교하며, 선율 디자인은 우아하고 서정적이다. 작곡한 곡조의 운율과 시가 완벽하게 어우러져 지극히 높은 문학성, 예술적 품위, 시대와 함께 발전하는 특징을 보인다. 당대 고시사 예술가곡의 내용과 형식을 완벽하게 통일한 모델이기도 하다. 그의 고전은 창작자와 가창자, 창작자와 감상자 간에 재창작의 넓은 공간을 제공한다는 데 있다. 현대 성악의 노래 기술로 고시사를 재해석한 예술 가곡은 고시사의 운치를 재창조하고 깊이 있게 해석한 것이다. 절묘한 처리는 시악이 잘 어울리는 예술적 정품으로 현대인들이 더욱 받아들이고 사랑하게 한다. 오늘날 중국 고시사의 전파와 발양은 고시사 예술가곡을 매개로 당대의 젊은 성악 애호가 대다수의 학습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조계평의 고시사 예술가곡 창작은 중국 음악 교학 곡고를 풍부하게 하고 중국 민족 성악 교습 발전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소재를 제공했으며, 작곡기술 이론연구를 심화시키고 중국 음악 창작 발전을 촉진하는 데 참조대상을 제공했다. 본문에서는 조계평 고시사 예술가곡 창작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당대 작곡가가 중국 고시사 예술 가곡 창작에 민족 전통 심미 습관과 문화적 특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해 풍부한 심미함의와 예술적 가치를 드러내었다. 향후 중국 고시사 예술가곡의 혁신과 발전에 참고가 될 것이다. Since the emergence of ancient poems and songs in 1920s, Chinese ancient poems and songs have experienced nearly 100 years of evolution and development. Since the formation of this genre, composers have never stopped exploring nationality. The creation of ancient poems and poems and songs gradually developed into a mature, continuous fusion and innovation, thus forming its own national characteristics of vocal music art form. With the vigorous development of Chinese national vocal music, Chinese ancient poetry and art songs, a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vocal music. Over the years, there have been numerous works by ancient poetry artists, especially Zhao Jiping's songs. He not only draws inspiration and experience from Qingzhu, Huangzi and Luo Zhongrong, but also blends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music composition techniques perfectly. As an important composer of contemporary Chinese folk music, his folk vocal music works are full of explo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Zhao Jiping's creation of ancient poems and songs, show the unique charm of ancient Chinese vocal music, and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ancient poems. Based on Zhao Jiping's History of Examin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theme, structure, melody, accompaniment and singing of Zhao Jiping's ancient poems and songs.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의 융복합 예술창작물 사례 분석 및 고찰

        강은정(Kang, Eun Jeong),장윤영(Jang, Yun Young),이보아(Rhee, Bo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인공지능 기술은 창의성이 요구되는 예술창작으로 그 적용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다학제적 융합연구의 관점에서 ‘예술창작의 수단’으로서의 인간의 창의성과 인공지능이 융합된 예술창작물의 사례를 학습 모델과 관람객의 참여형태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융합적 관점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예술창작물의 의미를 조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룬 인공지능 기반의 상호작용형 예술창작물은 관람객을 참여자나 공동 창작자로 전환시키면서 예술창작에 대한 관람객의 역할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으며, 궁극적으로 인간과 인공지능간의 관계성에 대한 성찰을 강화시켰다. 한편 인공지능 기반의 비상호작용형 예술창작물의 경우, 기계학습을 통해 이미지의 특징을 독창적인 방식으로 해석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했다. 특히 일부 창작물의 경우에는 인공지능의 사유 가능성과 인공지능에 의해 생성된 예술창작물의 가치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다. 결론적으로, 인간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통해 탄생한 예술창작물은 인간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해석 및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창작자에게는 새로운 창작 소재나 창작 방식의 혁신을 통해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융합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고, 관람객에게는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extends its applying to art creation area, which requires crea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new forms of art creation from the convergence of human creativ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ereafter A.I.), based on A.I. learning models and participation forms of viewer through the case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it contribute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s of art creations using A.I. in terms of convergence research. The interactive artworks based on A.I. discussed in this study have given new meaning to the role of spectators in art creation by turning viewers into participant as well as co-creator. Also, it ultimately let people refl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A.I.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n-interactive creative artworks based on A.I., machine learning was used to interpret image’s features to its own unique way and create into new images. Especially in the case of some creations, the creations augmented the interest in the value of artistic creations made by A.I.. In conclusion, because artistic creations creat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human beings and A.I. can interpret and express data in a way that differ from human beings, it opens up new horizons of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for creators to innovate through new creative materials and creative methods and gives visitors a new opportunity to experience visual images.

      • KCI등재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 분석 -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전한성,민정호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out the art instructors’ Professionalism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at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increase teaching competency of creative writing. That’s why we outlined the full content and the purpose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we said the Professionalism of art instructors after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In this study, It derived arts instructor’s expertise in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with selection criteria details of the art instructors for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creative class monitoring in 16 high schools, Video analysis of 16 class periods in 4 High Schools, survey analysis of students’ awareness in pre creative class and post creative class. It is largely classified as 5 branches. First, its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related to the creative writing. Second, it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creative education. Third, its the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Fourth, its the emotional empathy. Finally, its the literacy education environment. To be deployed effectively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the classroom scene in the future, the Art instructors should be made with the training so that 5 professional factors of them can be strengthened. 이 연구의 목적은 2014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 시범사업으로 운영되었던 문학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을 밝혀 창작 교수 역량의 제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따라서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그 취지와 내용을 전체 개괄하였다. 그리고 2014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 시범사업의 특징을 설명한 뒤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을 밝혀 보았다. 본고에서는 문학 창작 분야 예술강사의 선발 기준 세부 내용과 16개 고등학교 1차시 창작 수업 모니터링 및 4개 고등학교 16차시 영상 분석, 창작 수업 사전․사후 학생 인식 설문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창작 교육에서 예술강사의 전문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것은 크게 5가지 정도로 대별된다. 첫째, 창작과 관련된 자격 요건이다. 둘째, 창작 교육의 목적에 대한 이해 능력이다. 셋째, 창작 교수 능력이다. 넷째, 정서적 공감 능력이다. 다섯째, 교육 환경의 활용 능력이다.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수업이 현장의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전개될 수 있기 위해서는 예술강사의 5가지 전문성 요인이 강화될 수 있도록 교사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예술가의 자의식과 예술창작의 관계 탐색

        이미정(Mi-Jeong Le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과 교육 Vol.17 No.1

        이 글은 예술가의 자의식이 예술창작에 있어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를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예술가의 삶 속에서 갖게 되는 사적 혹은 공적 자의식이 그들의 예술창작과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 초상화법을 통해 살펴보고, 예술교육에서 창작의 동기유발에 필요한 예술심리학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인간의 본질적인 면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초상화법은 예술가의 총체적인 삶을 조망하고, 나아가 예술가의 내면에 존재하는 자의식의 발현이 어떻게 예술창작 활동과 관계되고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연구 방법이라 생각되었다. 예술에 종사하며 예술 작품을 통해 자신의 영역을 만들어가는 예술가에게 예술창작은 삶이요, 곧 “존재 이유”이다. 본 연구를 통해, 예술가의 사적 자의식은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자신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써 정서적 민감성에 관계하며 작품 속에 표현주의적 주제를 형성하는데 관계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공적 자의식은 예술적 삶을 살아가기 위한 타인과의 관계망 설정을 위한 사회관과 세계관을 형성하며 작품을 통해 사회 비판적 주제로 소통하는 데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자의식을 바탕으로 형성된 예술가의 사상은 작품 속에 반영되어 사회 풍자나 작품의 주제를 형성해 나가는 데 풍부한 예술적 바탕을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자의식이 예술가의 예술창작에 일련의 동기가 되고 자극 요소로 기능하며, 예술가를 끊임없이 예술로 끌어내 창작의 사상적 배경과 관계되고 있다는 점은 학교 현장에서 아동의 창작 동기를 끌어내고 사고의 배경을 넓혀주는 요소로써 교수·학습 방법 구안에 의미 있는 예술심리학적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provide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rtistic creation and the self-consciousness of artists. Our research attempts to establish the foundations on art psychology which provides incentives necessary in art creation. In order to capture the aforementioned relationship, we investigated artists’ life with Essentialist portraiture. Essentialist portraiture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appropriate research method in a sense that it captures the essential aspect of artists’ overall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s. By means of their private self-consciousness, artists reflect on their lives, elaborate their ideas and make expressionistic theme of their arts and to elaborate thoughts.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forms social philosophy and world view through which artists shapes the social network for his artistic life and communicate through a socially critical theme. In other words, artists’ idea shaped by their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provides a rich artistic background in building a subject of satire or social work, which are reflected within their work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valuable for art psychological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help to cultivate creative motivation for students at the school.

      • KCI등재

        동양예술 창작정신 이해에 대한 접근 방법론

        조민환(Jo, Min-hwan)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8

        최근 동양미학과 예술정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주로 현상에 대한 분석에 치우쳐 있고 ‘왜 그 작품이 아름다운지’ 하는 ‘所以然’과 관련된 철학과 미학적 측면에서의 분석은 그다지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예술작품에 대한 ‘소이연’을 탐구하는 것은 당연히 철학과 미학에 대한 탐구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동양예술 예술창작 정신에 담긴 예술욕구와 관련된 핵심적인 사유를 알려면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는지와 관련된 접근방법론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 것이다. 동양의 철학자, 문인사대부들은 동일한 자연물과 대상이라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이해가 나타났는데, 그 이해에는 정치적, 철학적, 미학적, 윤리적, 예술적, 인문학적 차원의 해석이 담겨 있었다. 이런 점에서 한 작가의 예술창작 정신을 올바로 이해하려면 융복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동양회화에서는 예술창작과 관련해 ‘眞畵’를 논하는데, 이것은 결국 작품에 ‘무엇을’ 그리고 ‘어떤 경지를 담아 표현하느냐’ 것과 관련된 형이상학적 질문과 더불어 어떤 삶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느냐 하는 점이 담겨 있다. 이런 사유는 결국 바람직한 예술창작이란 단순히 形似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정신과 마음을 표현한다는 神似중시의 寫意적 차원의 예술창작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것이다. 아울러 한 작가의 예술창작 정신을 이해하는데 어떤 관점과 시각에서 이해하느냐에 따라 달리 이해될 수 있는 점이 있었다. 이같은 관점과 시각의 차이에 따른 평가에는 평가하는 인물이 지향하는 세계관과 예술정신이 담겨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시각으로 평가한 것이 반드시 옳다고만 말할 수 없다. 즉 한 작가의 예술창작 정신을 평가한 것에 대한 이해는 정치, 철학, 윤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했을 때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want to approach the approach method of how to pay attention to the reason related to the artistic desire contained in the core aesthetic sense and the artistic creation spirit that oriental art is aiming at from various viewpoints. The oriental philosophers and the literary swordsmen had various understandings depending on the viewpoints of the same natural objects and objects. The understanding contained political, philosophical, aesthetic, ethical, artistic, and humanistic interpretation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uch a complex understanding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artist’s creative spirit. In particular, it discusses ‘real a’ in relation to the creation of oriental arts, and this is in the end, in addition to the metaphysical questions associated with ‘what’ and ‘what kind of expression are expressed in the works’ and what kind of life is positively understoo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rt does not simply approach from an expressive level, but positively sees the creative creation of a creative aspect of the genre-oriented aspect of expressing the spirit and mind of the artist. In addition, there was a point that could be understood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point of view and understanding to understand an artist’s artistic spirit of creation. The evaluation based on the difference of viewpoints and perspectives contains the world view and the spirit of art that the person who evaluates is oriented. Therefore, it can not be said that evaluating from one perspective is necessarily correct. In other words, the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 of an artist’s artistic creation spirit can be evaluated more objectively than when he clearly understands that politics, philosophy, ethics, etc. are working in a complex way.

      • KCI등재

        예술인 창작지원 복지사업의 만족도 및 예술활동 기여도에 관한 연구 : 예술인창작디딤돌사업의 시각예술인을 대상으로

        황동열(Hwang Dong-ryul),류희진(Ryu Hee j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4 조형디자인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예술인 창작지원 복지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예술인창작디딤돌사업」에 참여한 시각예술인을 대상으로 만족도 및 예술활동 기여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업과 예술활동 분야의 일치여부에 따라 지원금액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지원기간과 지원금액 만족도는 예술활동 기여도의 모든 하위요인인 창작활동, 작품출품, 투입시간 기여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원기간 만족도는 작품출품과 투입시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원기간과 지원금액 만족도는 창작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예술인 복지정책의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and art istic activity contribution of 「Artist Creation Didimdol Pilot Project」, a welfare work for artist's creation support, with study subjects of visual artists who took part in the projec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istency of artist's current occupation and artistic activity area had significant effect on artist's satisfaction with support fund. Second, satisfaction with support period and support fund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the sub-areas of artistic activity contribution, such as contributions to creation activity, work entry for exhibitions and input time. Third, satisfaction with support period had influence upon work entry for exhibitions and input time, whereas satisfaction with support time and support fund had positive influence upon creation activity. Above study findings seem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groping after the direction of welfare policy for artist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중학교 예술강사의 창작무용 수업 실천과정에 대한 교육적 해석

        정지혜 ( Ji Hye Jung ),어희정 ( Hee Jeong Eo ),이주욱 ( Joo Wook Yi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논총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예술강사 지원사업인 예술강사의 무용수업 중에서 `창작무용수업` 의실천과정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예술강사 2명, 학생 4명이며, 자료수집은 관찰, 면담, 현장일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강사(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의 창작무용수업은 창작과정에서 ‘소통’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적 수업환경 조성과 장난스러운 동작까지 허용하는 수업 분위기는 수업의 방해가 아니라 창작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예술강사 창작무용수업은 ‘잠재력 발현(發現)의 장’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무용수업의 부재로 창작자체를 어려워했던 학생들은 동작단어를 사용함으로써 점차 추상적 사고를 확장하였고, 학생 스스로 타 교과의 주제와 연계하여 표현하였다. 셋째, 예술강사 창작무용수업은 ‘강당 안 해우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무용수업은 학생의 내면적갈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도록 하였고, 부모 자식 간, 학생 간의 공감 형성에 도움이 되었으며, 친구 간 갈등을 타협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서는 창작무용수업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창작무용수업의 남학생과 혼성수업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pret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implementation of a middle school creative dance class, which was part of a government initiative jointly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to promote the arts in schools. In order to fulfill this aim, two teachers and four students were observed and interview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eative dance class helped promote better communication skills. An open classroom environment and playful dance movements were not distractions; rather, the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dance. Secondly, the students did not have da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the dance terminology at first. However, as they increasingly familiarized themselves with the terminolog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y started to develop abstract ways of thinking, and they developed connections with other academic subjects. Thirdly, the dance class served as a problem-solving site. Students who had personal problems were able to externalize their problems through the class. This resulted in students having better relations with their parents and peers; dance also became a tool to resolve conflicts amongst friend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ways to bring back dance classe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