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관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원영미(Young-Mi Won)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과 교육 Vol.16 No.3

        본 논문은 사회문화예술교육사업 중 지역 미술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사례 분석을 통해 학교 밖에서 실시되고 있는 미술관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은 철학적 기반이나 체계적인 교육과정 형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현장 실천 사례 중심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이에 미술관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두 곳의 지역 미술관을 참관하여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미술관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은 내용적 측면, 공간적 측면, 재료적 측면, 인적 측면에서 미술관이라는 특수한 환경이 주는 장점은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미술관 중심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한 보완도 필수적이다. 이러한 미술관 중심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개선해야 할 점을 조금씩 보완하여 지속 유지한다면 문화적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더 나아가 학교 미술교육에 반영 가능한 교육적 효과와 가치를 얻을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ase analysis of the Gumdarak Saturday cultural program provided by a local art gallery as part of the socio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ject in an effort to seek ways of revitaliz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art galleries other than school. In our country,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neither well-founded philosophically nor systematic enough. Specifically, sustained and practical case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to dynamize culture and arts education geared towa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or local community. Therefore two different local art galleries that offered gallery-l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observed to explore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remedy their problems. Gallery-l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obvious advantages in terms of content, space, materials and human resources thanks to the specific environments of art galler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is definitely room for improvement in the way that gallery-l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are conducted. If the way of running these programs is gradually improved to provide sustainabl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will make it possible for students to enrich their cultural experience and will produce good educational effects so that gallery-l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uld be reflected in school art education.

      • KCI등재

        북한 미술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탈북미술가들의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성지영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미술교육을 살펴보고, 탈북미술가들의 미술교육적 체험을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구술자료를 활용한 내러티브 탐구의 질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북한에서 포스터, 선전물 제작자, 만화가로 활동하다 남한으로 온 탈북미술가 네 명이다. 연구내용으로는 탈북미술가들의 학습생애사를 통해 다양한 미술로의 진입 경로를 살펴보고 북한 미술교육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북한의 미술교육은 체제 선전을 위한 주체미술교육을 목표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입각한 재현 중심 교육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수법으로는 빠르게 그리는 속사와 오래 관찰하는 모사, 야외 실사를 반복하며 사실적 표현 기술을 습득했다. 그 외 석고 소묘 및 미술사 교육에서도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북한의 “1호 미술가”부터 “기능공”, 남한에서의 “사명자”까지 탈북미술가로서의 정체성에는 다양한 층위가 존재했다. 그리고 그들은 남한과 북한, 제3국의 시간과 공간, 관계 속에서 부단히 자기 정체성과 싸우며 미술가-되기를 실천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남북 미술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 탈북미술가들의 정체성 이해를 통해 실존적 의미로서의 통일 미술교육을 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인문 성찰을 위한 미술교육: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이재영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4

        미술을 통한 삶의 탐구는 많이들 공감하는 미술 교과 목표이다. 최근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 결과로 삶의 의미와 가치 탐색을 추구하는 접근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인문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미술교육적 접근에 대한 관심은 이론적 논의 수준을 넘어 현장의 실질적 적용을 위한 고민지점들을 모색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들을 미술교육을 통한 인문학적 가치 추구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문 성찰을 위한 미술교육의 위상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에 대한 문헌 연구를 비롯하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진행한다. 우선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문 성찰을 위해 요구되는 미술교육의 변화 지점들을 도출한다. 그리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새로운 용어와 변화를 실천, 참여, 가치를 수반한 DE & I 관점에서 바라보며 인문 성찰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성과 위치를 논의한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미술교육 논의점이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일선 학교 현장의 구체적 실천 아이디어가 될 수 있었으면 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 결과는 교육과정 수준에서 제시된 새로운 용어와 변화들을 학교 교육 현장 차원에서 해석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행의 기반이 되면 좋겠다. 보다 거시적으로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교육 담론에서 미술교육을 인문으로 해석하는 접근이 보다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력이 될 수 있었으면 한다.

      • KCI등재

        미술과 토론 수업의 사례와 방법론 탐구

        이지연,김지은,박지원,제갈유진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과 교육 Vol.23 No.3

        토론 수업을 통해 학습자는 개개인 삶 속 맥락과 조건 속에서 미술작품들과 시각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 해석, 소통한다. 또한 수업 과정 중에서 타인의 감정과 사고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논리적 사고와 표현으로 다양한 쟁점을 설득하고 토론한다. 본 연구는 그간 연구되지 않은 미술교과만의 특성이 반영된 토론 교육이 미술교육현장에서 실천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한 기초연구이다. 미술과에 적합한 토론 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토론과 토론 수업의 개념을 정리하고, 타 교과영역에서 진행 중인 토론 교육의 방법, 가치, 효과를 점검하며, 토론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미술교육을 위한 방법론으로서 미술과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토론 수업 유형을 논의하고자 했다. 그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시각문화와 이미지 기반 토론 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며, 미래 미술교육의 방법론으로서 토론 수업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미술과 토론 수업 설계를 위한 미술교육 방법론으로 미술과 토론 수업 사례를 가치문제 토론에 적합한 링컨-더글러스형 토론, 실천방안 토론에 적합한 상호질문형 토론과 칼 포퍼식 토론, 그리고 혼합형 토론에 적합한 의회형 토론 유형으로 구분하여 탐구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래 미술교육의 방법론으로서 토론 수업을 탐구하고 미술과 토론 수업 설계를 위한 토대를 탐색해보았다.

      • KCI등재

        미술의 기원과 미술교육의 역사: 미술교육의 인문적 가치 정립을 위해

        이재영(Jae-Young Le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과 교육 Vol.22 No.4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미술의 기원과 미술교육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미술의 기원과 미술교육의 기원은 이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주로 미술을 문화인류학적 견지에서 바라보는 문헌연구를 근간으로 미술의 기원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이해가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미술교육의 역사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 논의들이 미술의 기원이 보여주는 인문학적 가치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함을 지적한다. 구체적으로 선사시대 미술의 기원이 보여주는 문화인류학적, 발생학적, 사회문화적 의미들로부터 미술의 본질적이고 생래적인 가치가 있음을 논의한다. 그리고 그리스 시대 플라톤의 입장에서 시작되는 미술교육의 기원이 이런 미술의 기원과는 달리 제한된 미술교육적 접근임을 살펴본다. 양자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미술의 기원에서 찾아본 미술의 의의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은 궁극적으로 인간에 대한 철학적 탐구의 일환으로 인문적 관점에서 기원을 다시 구축해야 함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런 제안이 현재 미술교육 현장에 가져올 수 있는 변화들을 정리한다. A study on the humanistic value of art education is ongoing. To establish more solid ground for this trend, this paper examin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origin of art and the origin of art education. Ironically, these two origins are not parallel although they explore art in-depth.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forming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art, this research tries to figure out implications for humanistic value and approach of art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oints out previous studies on the history of art education is insufficient to reflect the humanistic value proposed by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art. In particular, this study, observing the origin of art, shows art contains anthropological, sociogenetic, socio-cultural meanings and these meanings highlight the fundamental and natural value of art. Main part of this paper also argues that Plato’s position degrading the value of art shapes very limited perspectives for art education practices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f what the origin of art means for art education. By arguing these discrepancy, the result of this paper proposes that art education needs to be a philosophical and humanistic approach to investigate into the fundamental and natural meaning of human existence and life as the origin of art reveals. This paper ends with some notes for several expected chang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 KCI등재후보

        새로운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의 시각문화교육의 가능성과 적용 연구

        이지연(Ji-Yeon Le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과 교육 Vol.12 No.2

        최근 미술교육의 화두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이다. 창의성을 중요시하는 아동중심 미술교육을 거처, 학문기초 미술교육을 거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다원주의를 표방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 함께 그 영향력이 커졌다.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이미지를 둘러싼 사회 문화적 맥락에 주의하고, 이미지를 둘러싼 다양한 해석과 접근법을 인정한다. 미술교육의 대상 역시 순수미술에서 대중문화, 시각적인 자극을 주는 환경, 각종 시각정보, 디지털 미디어 등으로 확장시켰으며 작품제작 뿐 아니라 비평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자기 표현을 위한 미술 작품 제작뿐만 아니라 개개인에게 민주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의미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나아갈 실천적 방향을 모색해본다. 먼저 개인의 성장을 도모하고 개인의 권한을 강조하는 프로젝트 기반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또한 동시대의 시각정보와 시각문화의 대다수가 디지털 포맷임을 인지할 때 디지털 세대들에게 흥미와 가능성을 열어주는 미술교육으로 디지털 미디어 제작에 주안점을 두는 커리큘럼을 제안한다. 시각중심의 미적경험을 뛰어넘는 공감각적인 접근으로 미술 감상과 미술작품 제작을 하는 방향이 제시된다. 포스트모던 미술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언어학적인 기법들(이야기, 은유, 패러디)을 활용하여 미술작품 제작하도록 한다. 또한 사회-문화 맥락적인 해석과 분석을 중시하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보다 실천적이며 사회 참여적이도록 권장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다양한 가능성을 제안하는 하나의 실례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디지털 미디어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From the history, we have noticed the significant paradigm shift in art education. From the late 20C, art educators moved from DBAE to more contextual and expansive curriculum. Visual culture art education(VCAE) as a new art education paradigm allows new and expansive topic, subjects, medium, and technologies to come about. Also, VCAE allows an atmosphere to talk about social, political and global issues in art classroom. Therefor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widely accepted and became a powerful paradigm in contemporary society. The use of new technologies has brought about new forms of computer-generated visual culture. A large part of contemporary visual culture consists of a digital visual culture whose manifestations have been facilitated by digital technology. Thus, educating students in a systematic manner about the benefits of digital media creation has become a significant part of art education. Art education should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culture through digital visuals, which students can use to analyze the contextual socio-cultural meaning of digital visual culture. I believe that the role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should be the facilitation of digital visual culture creation, and I also believe that students should understand both how media can be used to produce meaning and how media can be used to produce digital visual pieces of art. As a new paradigm, VCAE suggests many different potentialities to integrate with and approach to.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K-12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consideration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VCAE. I propose five possible approaches to teach a wide range of visual culture. First, the spirit of DIY(Do it yourself) can be integrated into VCAE in terms of producing project based curriculum. This implication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can frame a new style of learning about art and can be an alternative art pedagogy which is individual and meaningful. Further, focusing on digital art and digital media is significant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Although vision is necessarily ranked as the highest sense, contemporary art education should necessarily involve multi-sensory experience. Adapting literary device such as storytelling, parody and metaphor to art making practice may open new possibility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lso, incorporating art activism into art classroom can inspir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debate, and this will open the possiblities to change the perspectives to look at the world, politics, social issues. Thus, I introduced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storytelling in art education as a practical example. Digital storytelling allows students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and ideas, and to present and share their ideas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use of multi-media production, provoking multi-sensory experience. My pedagogical stance is that students are digital generation, and they engage socio-cultural activities, adapt literary devices, emphasize multi-sensory experience, communicate with digital technology, and develop personal-social-cultural identities. Past decade has seen a great number of art educators deciding to integrate visual culture into their classroom. The art world and art classrooms has changed dramatically, and they have become more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with digital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examine a wide range of potentialitie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order to reassess and reconstruct our goals and course for contemporary art education. Contemporary art education should shape students' experiences and creative expression. Also art educators should keep in mind that art education is not for mere image creation but for the meaning-making process. I suggested five different principles for teach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 believe this insight offers exciting new possibilities for art educators to promote meaningful artistic production in the classroom.

      • KCI등재

        연구공동체를 통한 미술교육 박사과정 연구자들의 연구역량 형성과정

        이지연(Ji-Yeon Lee),윤인화(In-Hwa Yoon),김지은(Ji-Eun Kim),장윤경(Yoon-Kyung Cha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과 교육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 박사과정 연구공동체 내 상호작용을 통해 박사과정 연구자들의 연구역량이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하는가를 질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교육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거나 수료한 미술교육 학문후속세대 3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의 연구역량이 형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연구자의 지식생성 과정에 주목하고, 연구공동체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통해 어떻게 미술교육분야 연구자로 성장해나가는지 탐구했다. 이를 통해 미술교육 박사과정 연구자들의 연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상호작용의 양상, 이들이 직면한 고민에 대해 탐색할 수 있었다. 유의미하게 드러난 주제를 범주화하고 해석한 결과 지식생성 순환 과정, 연구역량의 형성, 연구자로의 성장 등의 핵심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들이 연구공동체를 통해 독립적인 연구자로 성장하는 과정은 지식뿐만 아니라 가치관과 신념을 공유하는 과정이며 이 안에서 미술교육분야의 새로운 지식과 관점들이 선순환적으로 확장되고 생성되어갔다. 또한 미술교육 학문후속세대의 연구역량의 신장을 위해 연구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학문적 풍토의 조성과 협력적인 연구공동체의 능동적 상호작용을 통한 연구자의 성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how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doctoral students change and grow through interactions within the art education doctoral research community.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Ph.D. candidates change and grow through interaction with colleagues in the art education doctoral research community. First, the literature on major concepts such as doctoral programs and research capabilities is studied. This study explores the narratives of three research participants enrolled in the Ph.D. program in art education and qualitatively reveals examples of academic interactions and changes within their research community. As a result of categorizing and interpreting their narratives, it was possible to derive core themes such as the knowledge generation cycle, the formation of research capabilities, and the growth of researchers. In order to enhance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the next generation of art education academics, it is suggested to create an academic environment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research community and the growth of researchers through active interaction of cooperative research communities.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의 방법론 탐구

        이지연(Ji-Yeon Lee),강주희(Joo-Hee Ka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2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미술 감상 및 비평교육의 역할을 조망하고, 이들의 동시대 미술에 대한 경험을 함께 소통하고, 이해를 심화 시킬 수 있는 방법적 측면의 가능성을 탐구해 보았다. 동시대 미술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지도 방법을 1) 작가와 작품 탐구를 통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 2) 간학문적 교육으로서의 감상 및 비평 교육, 3) 쟁점 중심의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 4) 놀이 기반 미술 감상 및 비평교육, 5) 비판적 해석 활동을 통한 감상 및 비평교육 다섯 가지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감상 및 비평학습의 방법론들은 개개인의 사회적, 인지적, 문화적 맥락을 기본 전제로 하는 구성주의 학습과 상통하며, 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활동을 통해 작품 뿐 아니라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예비 교사는 주제 중심으로 작가와 작품을 탐구하고, 작품을 간학문적으로 이해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또래 집단과 상호작용 하며 반성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role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critic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to explore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deepen thei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we developed teaching methods such as 1) artists and art works exploration, 2) interdisciplinary study, 3) issue-based learning, 4) play-base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and 5) critical interpretive activities. These methodologies are linked to constructivism focusing on the students"s individual social, cognitive and cultural contexts, and provid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others as well as the artworks through art appreciation and critic process. The pre-service teacher should promote students to study artists and artworks based on theme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facilitate reflective thinking about expressions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s or teachers in this process.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should design a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needs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individual learners an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self-directed learning to develop aesthetic eye.

      • KCI등재

        교육과정에서의 절충성의 문제 : 한국 미술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며

        박정애(Jeong-Ae Park)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과 교육 Vol.17 No.1

        이 글에서는 현행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를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그 안에 내재한 절충성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치적 텍스트, 현상학적 텍스트로서의 미술 교육과정의 내용은 하나의 이론이 하나의 정확한 실제를 보증하고 있지 않음을 파악하게 한다. 이러한 현상은 미술의 실제들이 콜라주의 형태를 취하는 지극히 혼합적인 성격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절충성으로서의 교육과정을 어떻게 기획하는지가 교육과정의 핵심 문제로 파악되었다. 그런데 우리나라 미술 교과서에서의 절충성은 단순한 임의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미술 교육과정에서의 상반되는 또는 경쟁적 위치의 각기 다른 미술의 정의의 충돌의 문제를 인식론적으로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대해 숙고하였다. 이 글은 다양성과 차이의 충돌이라는 시각에서, 그것이 또한 현실을 인지할 수 있다는 수준에서 미술 교육과정의 경쟁적 개념들의 상충성을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미술교육과정의 이론과 내용이 미술의 역사를 배경으로 생성·전개된 것이기 때문에, 미술 역사의 가치와 지식에 내재한 사실들을 제시하면서 절충적 교육과정의 단순한 무작위성을 제거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 점은 더 큰 맥락에서 그 상충되는 경쟁적 개념들이 각기 이질적으로 다른 삶의 조건을 반영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교육목표를 기획하게 한다. 따라서 교수·학습 또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교육목표와 일관된 선에서 기획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eclectic curriculum exploring the Korean art textbooks. They show that art curriculum as political text and phenomenological text doesn’t warrant exactly one practice which support a certain theory. This leads naturally that art practices can be integrated assuming the characteristic or nature of eclecticism in an art curriculum. However, the problem with eclectic curriculum is that it invites contradiction and inconsistency. In this context what is raised as epistemological questions are: How, With what goals, With what results? the aim and objective of eclectic curriculum are raised epistemological questions. Because rival conflicting concepts of arts are the very nature of the art world and the world, the curriculum content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values in art theories and practices. Because art theories are the evolution in history, history can be served as a kind of control upon a random or naive eclecticism. Moreover, in the larger context, each of art theory and art curriculum content are instructed as the product of various condition of lif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culture in our human history.

      • KCI등재

        디지털 시대 미술교육의 정신성에 대한 놓쳐버린 의문들

        이재영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과 교육 Vol.18 No.3

        이 논문은 디지털 시대 미술교육의 가치를 논의하기 위한 플랫폼을 고민해보기 위한 것이다. 미술교육에서 정신성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기 위한 방안으로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제안하는 데 중점이 있다. 기술혁신의 변화는 미술교육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청한다. 그러나 미술교육은 기술혁신에 종속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미술교육은 막중한 임무에 당면하고 있다. 이에 맞서기 위해, 이 논문은 변화의 새로운 물결, 미술교육의 정체, 그리고 미술교육의 가치에 대해 아직까지 답하지 못한 5가지 질문을 토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의 정신성과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정의하고 규명해 보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미술적 경험과 정신적 연관의 관계성을 4차산업혁명에 발맞춘 미술교육의 새로운 정당성으로 조명한다. 미술교육에 있어 문화인류학과 철학에 비중을 두며 이 논문은 미술 표현과 감상의 중심으로서 인류와 삶의 방식에 근간을 둔 향후 연구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