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전통음악자료 기관 · 소장자의 정보 공유와 연계 방법론

        노재명,성기련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4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3 No.-

        수집의 필요성이 있는 전통예술 자료로는 악기 등의 도구 소품, 유성기음반(SP), 장시 간음반(LP), 테입 등의 녹음자료를 비롯해서 동영상 비디오테입, 공연 안내 인쇄물, 신문 기사, 서적, 문서, 의상, 사진 등을 꼽을 수 있다. 자료에 생명을 불어넣는 기록, 목록,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의 경우 가장 숙달된 전문가 가 맡아야 한다. 입수된 자료 자체에 꼼꼼하게 고증 내용과 여러 가지 중요한 사항을 기 록하여 적어 놓고 그 내용을 컴퓨터에 데이터베이스화 해가면서 입력하고 이것이 막바로 자체 자료관 내지 소장자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완전히 완성된 목록집은 검색 가능한 서적과 DVD 매체로 편집 제작해 놓는 것 이 여러모로 좋다고 본다. 그리고 작업된 고증, 기록, 데이터베이스화, 검색 기능의 자료 사전 서적을 바탕으로 하여 원천자료의 복사본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원천자료를 컴퓨터에 문자로, 녹음 및 영 상 파일 등으로 디지털화한 후에는 이를 총 집대성한 DVD 매체에 의한 멀티미디어를 구 축할 수가 있다. 한국은 도서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반, 예술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미비하고 예술 자 료시설이 굉장히 미흡한 현실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전승이 아주 위태로워진 전통예술 관계 자료관의 확충이 절실한 형편이다. 한국전통음악 국공립, 사립 자료관들의 자체 소장 자료가 관리가 잘 되고 DB 구축, 복사본 정리 등이 완료된 상태에서 자료관들 사이에 정보 공유와 연계가 된다면 좋을 것 이라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정보 공유와 연계를 원하는 기관·소장자 사이의 관 계 정립이 필요하다. 1차적으로는 기관·소장자들이 보유한 국악자료들을 자유롭게 각기 익숙한 방법으로 목록 정리, 데이터베이스를 하고 이처럼 구축된 여러 목록, 다수의 DB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2차 단계로 만든다면 좋지 않을까 한다. 이런 데이터베이스 작업은 무엇보 다 양심과 열의가 있어야 하고 데이터베이스 결과물의 지속적인 보완, 유지 관리가 중요 하다. You need to collect music instruments, phonograph records (SP), long time records (LP), tapes, video tapes, pamphlets, newspaper articles, books, documents, costumes, photos, and more as a traditional music art materials. The most skilled professionals shoulds do the things like registering, making lists, and conducting database as a disposition that is blowing life into materials. The researched facts and important informations are needed to be recorded meticulously on the collected materials themselves, and these facts are made as the contents of the possessor’s computer, and, as the final goal the contents of one’s computer are needed to be saved as the data of the collector’s homepage web site. Further more it is recommended that fully finished lists are made as a reference book and DVD media. In Korea, there is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cords and arts the facilities for these are relatively very insufficient compare to the library. Especially the expansion of museum for traditional art that is rarely existing is more urgent. I think it is good if sharing information and linking between agencies such as national, public, private museums is possible after they finished making copies and DB systems their owns. For this the good relationship should be already established between these agencies. First step, collectors, agencies or individuals, freely make lists and DB’s in their familiar ways. Second step, the system that can search on these DB’s should be made. Above all conscience and enthusiasm is needed for making these DB’s an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continuous supplement of these DB’s.

      • 창작연희의 현황과 전망

        손태도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1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6 No.-

        오늘날 흔히 말하는 ‘창작연희’란 말은 ‘전통연희’의 상대어로 2007년 ‘제1회 대한민국 연희축제’ 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대규 모 관(官)의 행사에 이른바 창작연희공모에 선정된 우수작들이 공연되 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대규모 관의 행사(문화체육관광부의 ‘대한민국 전통연희 축제’: 2007~2009년,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의 ‘창작연희 페스티벌’: 2010~2012년, 2013~2014년/ 동 전통공연예술진 흥재단의 ‘전통연희 페스티벌’: 2015~2017년) 등이 있어 왔다. 이러한 행사들을 통해 민족예술단 우금치의 <할머니가 들려주는 우리 신화이 야기>(2008년 대상), 천하제일탈 공작소의 <추셔요>(2010년 대상), 창 작그룹 노니의 <1+1=추락樂남매>(2011년 대상), 연희집단 The 광대의 <자라>(2013년 대상), 광대생각의 <동물탈놀이 ‘만보와 별별거리’> (2014년 대상), 퍼포머그룹 파란달의 <ROMEO – THE 씻김>(2015년 대 상), 놀이마당 울림의 <세 개의 문>(2016년 대상) 등 이른바 대상을 받 은 작품을 비롯 72개 작품들 정도가 선정되어 공연되었다. 오늘날을 ‘창 작연희 시대’라 할 만한 한 흐름을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창작연희를 해 온 사람들은 일반 극단 계통, 마당극패 계통, 대학 연희전공자 계통, 창작판소리인 계통 등으로 일단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일반 극단 계통은 1999년부터 시작된 이른바 ‘창작연희본 공 모’에 참가한 극단들부터 잡을 수 있다. 민족예술단 우금치, 극단 민들 레, 인형극패 사니너머 등의 단체들이 이에 해당한다. 마당극패 계통은 1973년부터 이뤄진 마당극이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권이 이뤄 지자, 종래의 정치성이나 이념성을 버리고 단지 예술‧오락적 공연물로 바뀌는 과정에서 성립되었다. 마당극패가 단순히 창작연희도 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으로 민족예술단 우금치, 예술극장 놀이패 한라산 등이 있다. 대학 연희전공자 계통은 1989에 시작된 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를 시작으로 중앙대, 세한대, 원광디지털대 등에서 연희전공으로 학교를 다니거나 졸업한 사람들이 만든 단체들을 말한다. 이에는 연희집단 The 광대, 천하제일탈 공작소, 창작그룹 노니, 중앙음악극단 등이 있다. 이 중 The 광대는 <아비찾아 뱅뱅돌아>(2010), <홀림낚시>(2011), <자라> (2013) 등 일반인들은 물론 주류 연극계도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다수 발표하여, 창작연희 분야를 크게 주도했다. 창작판소리 계통은 2001년의 전주 산조축제 때부터 본격화한 창작판 소리의 연장선상에서 성립되었다. 창작판소리에도 연희적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는 바닥소리 같은 단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창작연희들을 하는 집단들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대학 연희 전공자 계통이다. 이들은 대학에서 풍물, 전통극, 무당굿, 기예 등 전통 연희와 관계되는 것들을 제대로 배우거나 익힌 사람들이다. 그리고 앞 으로도 이런 것들을 전공한 전문인들로 이 계통의 영역들에 계속 남아 활동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실상 이들에 의한 창작연희 활동 은 전통연희의 오늘날의 공연물로서의 한 길찾기와 같은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학 연희전공자 계통의 근래의 창작연희 활동들이 전통에 입각해 있으면서도 오늘날의 성공적인 공연물의 완성이라는 근대 이후 우리나라 공연예술사의 한 숙원을 연극 분야에서라도 어느 정도 이뤄질 수 있는 한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term ‘Creative Yeonhui(연희. dramatical play)’, commonly used today, is a relative word for ‘Traditional Yeonhui ’ It was used in full scale from ‘The First Korean Yeonhui Festival’ in 2007. This is because excellent works selected in the so-called ‘Creative Yeonhui Competition’ were performed at this large-scale event. There have been large-scale events (‘Korean Traditional Yeonhui Festival’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 2007~2009, 2012 / ‘Creative Yeonhui Festival’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that is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0~2012, 2013~ 2014 / ‘The Traditional Yeonhui Festival’ of the same agency : 2015~2017). Through these events, including Korean Ethnic Art Group Ugeum-chi (우 금치)’s <The Mythes My Grandmother Is Speaking> (2008 Grand Prize), First Mask Factory in the World’s <Dance> (2010 Grand Prize), and Creative group Noni (노니)’s <1+1=Crashing樂Siblings> (2011 Grand Prize), Yeonhui Group The Kwangdae (광대)’s <Snapping Turtle> (2013 Grand Prize), Kwangdae (광대) Thought’s <Animal Mask Play ‘Manbo (맘 보) and Many Scenes’> (2014 Grand Prize), Performer Group Blue Moon’s <Romeo-The SSitkim (씻김)> (2015 Grand Prize) and Playyard Ringing’s <Three Doors> (2016 Grand Prize) so-called grand prizes, 72 works were selected and played. These made a flow that can be referred to as ‘The Era of Creative Yeonhui.’ Those who have performed such creative yeonhui can be divided into several lines, the line of general drama troupe, the line of playground troupe,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and the line of creative pansori (판소리) singers. The general drama troupe can be picked up from the troupes who participated in the so-called ‘Creative Yeonhui Works Contest’ which began in 1999. There are Korean Ethnic Art Group Ugeum-chi (우금치), Troupe Dandelion, and Puppetshow Troupe beyond Sani (사니) etc. in this line. The playground theater was established in 1973. But when President Kim Young-sam (김영삼)’s civil regime was established in 1993, it abandoned the former politics and ideology and turned into an artistic and entertaining performance. The line of playground troupe was established in this process. It also could do just creative yeonhui play. There are Korean Ethnic Art Group Ugeum-chi (우금치), and Art Theater Playing Group etc. in this line.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was created by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n yeonhui department of Korea National Univ. of Arts that started at 1998, Jung-Ang (중앙) Univ., Saehan (새한) Univ., and Weonkwang (원광) Digital Univ.. There are Yeonhui Group The Kwangdae (광대), First Mask Factory in the World, Creative group Noni (노니), and Jung-Ang (중앙) Music Theater etc. in this line. Among them, Yeonhui Group The Kwangdae (광대) led the field of creative yeonhui by presenting a number of works not only to the general public but also to the mainstream theatrical world, such as <Father Chasing Around and Around> (2010), <Tempting Fishing> (2011), and <Snapping Turtle> (2013). The line of creative pansori was directary established as an extension of the creative pansori (판소리) event which began through the Jeonju ‘Sanjo (산조) Festival’ in 2001. This is because creative pansori has yeonhui elements. These include groups such as Floor Sound. Among the groups that perform creative yeonhui, the most noticeable is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These are people who have learned or learned things related to traditional performances such as Pungmul (풍물), traditional theater, shaman’s ritual, and acrobatics. And in the future, as professionals who specialize in these things, they will continue to be active in this area of the yeonhui. Therefore, the act of creative yeonhui by these people can be said to find the some ways of traditional yeonhui on today. It is hoped that the recent creative yeonhui of the line of yeonhui major persons in college can be achieved the entire successful performance that is started at traditional yeonhui in the field of theater on today. That activity has been a long-cherished hope in this field.

      • 한국과 중국의 사회 변동과 서민 음악의 출현

        김정예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6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5 No.-

        필자는 음악사의 시대적 변동과 음악 양식의 변천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이며, 이러한 양상이 중국음악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점 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음악사 연구를 하면서 사회 변동과 예능의 발전이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국의 사회 변동 양상을 살폈으며 이 로 인하여 발생한 서민 예능의 발달을 고찰하였다. 한국의 예로는 한국 서민 예능의 발달을 알아보기 위하여 판소리와 탈춤을 살폈고, 중국 서민 예능의 발달을 살피기 위해서는 설창과 경극 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한국에서 서민 사회의 성장은 조선 후기 사회부터라 할 수 있는데, 이때부터 농업, 수공업, 상업 등의 분야에서 자본주의의 맹아로 볼 수 있는 현상이 나타났고, 신분제에 대한 비판과 근대 지향적인 실학사상 이 대두하였다. 17세기 이후 이앙법의 등장으로 인한 벼농사의 획기적 인 발전을 이루었고 생산량이 엄청나게 늘어났다. 또한 18세기에 두레 조직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것은 양반의 특권이 개입하지 못하게 되 면서 양반 중심 사회의 종말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국제 무역도 성장 발달하였다. 신의주 상인들은 중국에 담배, 인삼, 무명 등을 팔고, 문방 구, 귀금속, 구리, 황, 후추 등을 샀다. 가장 중요한 수출 상품은 단연 인삼이었기 때문에 인삼 재배에 성공한 개성상인들은 큰돈을 벌었다. 탈춤은 송파나루의 송파장을 무대로 활동을 하였는데 이것이 송파산 대놀이이다. 송파나루는 강원도 등 북쪽에서 생산되는 목재와 약재의 집산지였다. 이 지역에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상인들은 산대놀이패를 유치, 이곳에서 상설 공연의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로 인하여 공연자는 안 정된 생활 터전이 마련되었고 상인에게는 사람을 많이 끌어 모아 사업 이 잘 되는 상생 작용을 하였다. 중국에서는 17세기 중기 이후 시장이 발달하면서 상인의 지위가 높 아지게 되었다. 당시에 사회 변동을 가장 확실하게 느낄 수 있는 곳은 시장이었다. 시장은 다양한 흥미 거리를 제공하였다. 종교 의식의 일부 분으로 공연된 무료 공연 또한 시장의 인기 있는 볼거리였다. 특히 청 나라 시대는 국가가 자본이 많은 상인을 관직으로 끌어들였다. 상인은 연납(捐納)을 통해 관료 직함이나 관직을 사서 관계로 진출했다. 상인 이 관료와 결합한 것은 당연히 자신의 산업을 보호하려는 것이었다. 이 중에 유명한 것이 휘주 상인이다. 그들은 오랫동안 안휘성 중부·북부 의 소금 사업을 주관하면서 관직을 얻어 관청과의 교섭에 큰 도움이 되 었다. 당시에 이 공연의 후원자는 상인 계급이었다. 문맹이거나 반문맹인 농민들은 지방 예능인과 전문 집단의 공연에 열광하였다. 대개 도제식 으로 교육받은 이들은 집단생활을 하였다. 공연의 내용은 효도, 여성의 정절, 무술, 영웅에 관한 이야기 등 전통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소재에 는 으레 신에 관한 이야기가 들어 있었고 여기저기서 나오는 다양한 익 살로 줄거리가 대중의 인기가 매우 높았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에서 시민 사회가 성장하면서 급격한 사회 변동 이 야기되었다. 이렇게 서민 생활이 여유가 생기자 이들도 즐길 거리를 찾게 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요구로 등장한 것이 서민 예능이다. 한국에 서는 판소리와 탈춤 등이고, 중국에서는 설창음악의 발전과 경극의 등 장이다. 이러한 서민 예능은 한국과 중국 모두 서민의 고달픈 삶과 집 권층의 부도덕을 질타하여 현실을 비판하며 서민의 시대적 요구를 대변 하게 된다. 한국에서 1786년 판소리 관련 문헌 유진한의 「만화집」 발간은 선비 계층이 서민 예능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판소리가 양반도 들을만한 예 능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선비 계층의 관심은 판소 리가 유식한 한문투의 사설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수준 높은 예능 으로 발전하는 동력이 되었다. 중국에서 1790년에 청 건륭(乾隆) 황제(1730-96)의 80회 생일을 축하 하기 위하여, 많은 연극 단체가 중국 남부에서 북경으로 모였다. 그때에 설창 예능의 중심격인 이황(二黃)과 서피(西皮)를 수도인 북경에 소개 되었고, 지방극을 종합하여 경극이 탄생하였다. 이처럼 황실 행사를 계 기로 경극이 탄생하자 그동안 저급한 예능으로 치부되었던 예능이 수준 높은 예술로 승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과 중국의 서민 예능은 초기에 집권층의 부패와 무능을 비판하면서 서민의 애환을 다루던 예능이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판소리가 선비계층의 관심과 후원으로 고급 예능으로 승화되었고, 중국 에서도 황실 행사를 계기로 지방극이 종합되어 경극이 탄생하면서 고급 예능으로 탄생하였다. 이처럼 예술 활동은 사회 변동과 수용층의 변화 로 인하여 상호 영향을 주면서 변화 발전한다는 사실은 중국과 한국이 공통적인 현상이었다. Having much interest in contemporary changes of the vicissitudes of music history, the writer has had a question of whether these aspects can also be applied to Chinese music. So while studying music history, the writer became to write this paper in order to investigat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arts. In order to clarify this relationship, the writer investigated social change of China and development of the populace performing arts made thereby. In order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populace performing arts in Korea, the writer examined Pansori and the mask dance, an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populace performing arts in China, the writer described focusing on Seolchang and Beijing opera. Growth of the populace society in Korea may be from the late Joseon society and from this time, a phenomenon that can be seen as sprouting of capitalism in the areas of agriculture, handicrafts and commerce appeared, and criticism of caste system and modern-oriented practical science philosophy also emerged. Since the 17th century, due to emergence of rice planting method, there was innovative development in rice farming and production was enormously increased.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Dure organization in the 18th century prevented from intervention of privilege of Yangban(aristocrat), which preannounced the end of the society centering on aristocrat. And international trade also made growth and development. Sinuiju merchants sold tobacco, ginseng and cotton, etc. to in China and bought stationery, precious metals, copper, sulfur, pepper and so on from China. Because ginseng was the most important export product, Gaeseong merchants who were successful in cultivating ginseng earned a lot of money. Mask dance activities were mainly made on the stage in Songpajang (market) of Songpa Naru and this is Songpa Sandae Noli. Songpa Naru was the distributing center of timber and medicine produced in the northern regions such as Gangwon-do, etc. As the market became activated in the region, the merchants attracted Sandae Nolipae(troupe) and prepared the chance of regular performances. Due to these performances, performers could prepare stable site of living and merchants could have good business by attracting many people and thereby it had win-win effect. In China, while markets were developed since the mid-17th century, status of merchants became higher. And it was market that people could feel social changes most certainly at that time. Market provided various interests. The free performances made as part of religious rituals were also popular attraction of the markets. In particular, Qing Dynasty attracted rich merchants to government positions. Merchants entered into the bureaucracy by buying official titles or positions through dedication of money. Of course, it was to protect their own business that merchants combined with officials. Among them, Hwiju merchants were famous. As they were mainly in charge of the salt business i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Anhui Province for long time, they obtained government position, which was very helpful in negotiations with the authorities. At that time, the sponsor of this performance was the merchant class. Illiterate or semi-illiterate farmers were extremely excited at the performances of local entertainers and professional groups. They were usually trained by apprenticeship and lived collectively.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were traditional ones such as filial piety, chastity of women, martial arts, stories of heros and etc. Among these materials, there were usually stories of the god and various jokes appearing here and there, so the plot was very popular among people. As such, by mean of growth of civil society in Korea and China, there were rapid social changes. As the ordinary people became leisurely, they searched for entertainment to enjoy and it was populace performing arts that emerged as the request of the times. As such populace performing arts, there are Pansori and the mask dance of Korea and development of Seolchang music and appearance of Beijing opera of China. In both of Korea and China, these populace performing arts described tough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denounced the immorality of the class with power and thereby criticized reality and represented the contemporary needs of the people. Publishment of Jinhan Yoo’s 「Collection of Cartoons」, literature related to Pansori in 1786 in Korea means that Pansori was developed as hearable arts for Yangban class (aristocrats), too through the fact that Confucian scholars showed interest in populace arts. By means of these scholars’ interest, Pansori became to have intelligent words in the style of Chinese characters and had an opportunity of being developed as a high level of entertainment. In China in 1790, many theater groups gathered in southern China and Beijing in order to celebrate the 80th birthday of the Qing Qianlong emperor (1730-96). At that time, Ihwang and Seopi as the center of Seolchang arts were introduced to the capital Beijing and Beijing opera was created by synthesizing local theaters. Thus as Beijing opera was created through the opportunity of royal events, arts that had been treated as vulgar entertainment in the meantime became to be sublimated as high level arts. As such, the populace performing arts of Korea and China had been entertainment dealing with joys and sorrows of ordinary people while criticizing the corruption and incompetence of the class with power. In Korea, however, Pansori was sublimated into high grade entertainment by means of interest and support of the Confucian scholar class. And in China, Beijing opera was created as advanced entertainment by synthesizing local theaters through the opportunity of royal events. Thus the fact that artistic activities changed and were developing giving mutual influence because of social changes and the change of accepting groups were common phenomena to both of Korea and China.

      • 향사 박귀희의 한국음악사적 행적

        김승국,정충권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2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1 No.-

        이 연구는 향사 박귀희(본명 : 吳桂花)의 출생과 학습과정, 당대의 최고의 예인으로서 의 예술적 역량과 행적, 그리고 교육자로서의 그녀의 행적을 살펴봄으로서 한국음악사에 있어서 그녀가 차지하고 있는 위치와 공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박귀희의 출생과 가정환경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중시한 것은 1921년 향 사 박귀희가 출생한 경상북도 칠곡군이 공교롭게도 가야국 가실왕 때 우륵이 열두 줄의 가야금을 만들던 곳이었기에 장차 가야금병창의 명인인 박귀희의 출생과 맥을 이루고 있 다는 것이다. 2장에서는 박귀희가 명인으로서 성장하게 되는 학습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녀는 1931 년 대구 보통학교 3학년 때부터 박기홍 문하에서 소리공부를 시작하여 이화중선, 장판개, 박동실, 조학진, 유성준, 박녹주, 이기권 문하에서 판소리를, 강태홍, 오태석으로부터 가 야금병창을 사사하였으며, 김남수로부터 승무, 박전무, 검무, 살푸리춤 등을 사사하였다. 이러한 학습과정을 거쳐 20세가 되던 1940년에 조선일보 주최 전국명창대회에서 장원을 수상하면서 명창의 대열에 끼게 되었다. 이후 수많은 경연대회의 최고상을 수상하면서 기량이 원숙해졌으며 충실한 가야금병창 전승과정을 거치면서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로 인정되기까지의 학습과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박귀희의 음악세계와 예술활동의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그녀 의 음악세계를 살펴보았는데, 그녀는 소리꾼으로서는 동편제의 법통을 이어받은 유성준 의 제자로서 동편제에 속하고, 가야금 병창으로는 고종 때 가야금의 명인인 박팔괘의 정 통 가야금병창의 맥을 이은 오태석의 제자로서 정통 가야금병창의 법통을 이어 받았다. 판소리와 가야금병창은 물론 창극과 여성국극의 발전과정에 있어서 큰 자취를 남긴 폭넓 고 예술세계를 가진 예인으로서의 박귀희를 조명해보았다. 다음으로는 그녀의 예술활동 의 영역을 살펴보았는데 그녀의 주 영역은 창극과 여성국극, 그리고 가야금병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가 1943년에 주도적으로 결성한 ‘동일창극단’을 통하여서는 주로 창극을, 1945년에 결성한 ‘여성국악동호회’에서는 주로 여성극극의 진흥과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 을 하였으며, 가야금병창을 통한 공연활동은 상기 두 공연예술단체의 공연활동과 병행해 갔으며 국악작곡 활동과 전래 민요 발굴 및 보존활동에도 헌신한 공적도 조명해 보았다. 4장에서는 국악교육에 대한 그녀의 행적과 공적을 살펴보았다. 먼저 교육자로서의 박 귀희는 어떠한 인물이었는가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박귀희가 1960년에 개교하여 오늘 날 국립전통예술중고등학교로 성장한 민족사학 ‘국악예술학교의 설립에 있어서 기산 박 헌봉과 중추적인 역할을 한 공적과 학교설립 후 학교발전을 위한 그녀의 헌신적인 공적 을 설립과정, 설립 후 학교발전에 끼친 공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1961년 일본 동경에 한국전통예술의 세계화를 위하여 설립한 민속예술학원인 ‘한국무악원(韓國舞樂 院)’의 설립 과정과 설립 후 운영에 대하여 살펴보아 국악교육에 대한 그녀의 행적과 공 적을 조명해보았다. 향사 박귀희는 우리 전통음악의 정체성 확립을 통하여 국악의 예술적 발전에 크게 기 여하였으며, 국악의 세계적 진출을 꾀함으로써 국악의 위상을 드높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악교육의 기반을 구축하고 정상화를 기하는데 큰 역할을 한 한국음악사의 중요한 예인 지자 교육자이다.

      • 전통춤 비평현황과 전망

        성윤선,김영미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1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6 No.-

        본고는 전통춤 비평의 현황을 살펴보고 전망에 대해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하여 전통춤 비평의 전문성을 확보하는데 초석이 되기를 희망하며 이에 의의를 둔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2017년 5월까지 무 용전문잡지인 『댄스포럼』·『몸』·『춤』·『춤과 사람들』 4종과 무용전문 웹사이트인 <<댄스포스트코리아>>와 << 춤웹진>> 그리고 단행본인 김영 희의 전통춤평론집 『춤풍경(舞風景)』의 비평문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대상 평문들을 지역별·연도별·비평가별 게재수를 분석하여 비평의 양적 상황을 파악한 후 대상 비평문들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비평가별 평문의 구조적 틀과 유형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추되는 결과를 바탕으로 대두되는 문제제기를 제안점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전통춤 공연 대비 비평의 수 가 매우 적다는 점이며, 무용전문잡지별 가장 많은 게재수를 보인 것은 『춤과 사람들』이고 웹사이트는 <<춤웹진>>이 게재 수에 있어서 <<댄 스포스트코리아>>에 비해 우위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도별로는 2014년이 가장 많은 게재수를 보이는 해로 나타났으며, 비평가별로는 총41편을 게재한 김영희가 가장 많은 평을 쓴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비평가들은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국공립단체공연, 전통춤 원로나 1·2 세대의 공연을 주 비평 대상으로 삼았음을 확인하였다. 비평문 내용분석에 의한 결과도출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춤 비평문들은 각 레파토리 소개 및 특징적 인상과 평가에 관련된 내용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비평의 기술적 측면이 강조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공연의 의도·취지·목적과 평가의 의미·의의·가치 항목이 동일선상에서 서술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이는 비평의 맥락적인 차원 의 서술양상을 띄는 것으로 유추 가능하다. 셋째, 전통춤 비평문들에서 핵심 내용은 각 레파토리별 특징적 인상 항목이다. 이는 비평의 주관적 견지의 해석 성향과 인상비평의 유형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넷째, 비평문에서 움직임 묘사나 특징적 인상 또는 미적 표현에 있어 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들은 여성미(적), 섬세, 절제(미), 자유·자유분방·자유자재, 즉흥적(성), 풍류(정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논자는 비평대상의 전국적 확대와 전통춤 장르에 맞는 비평적 준거 마련과 함께 전통춤 전문 비평가 양성 및 교 육 시스템의 확립이 요구된다고 보여 지며, 동시에 동시대적 방식의 비 평 공유 시스템에 대한 확대도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the status of the critique on traditional dance shed the light on prospect and has the implication on having the hope to secure the specialization in the critique on traditional dance through such purpose. In order to accomplish the foregoing research purpo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or the critiques of 4 kinds of dance specialized magazines of 『Dance Forum』, 『Momm』, 『Choom』 and 『Dance & People』 and dance specialized web-sites in <<Dance Post Korea>> and <<Dance Webzine>> and a separate volume for the collection of traditional dance reviews by Kim, Young-hee in 『Dance Scenery』 from 2012 to May 2017.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ubject reviews are analyzed for individual number of posting for each region, for each year and for each critique to find out the quantified status of critique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nts of subject critical articles, the structural frame and type of review for each critique are found out. And the result formulated through the above should be based on presenting the issues emerged thereof. The result formulated through the foregoing process shows that the number of critiqu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is extremely small, and 『Dance and People』 showed the most recording for each dance specialized magazine. For the web-site, <<Dance Webzine>> has the upper hand compared to <<Dance Post Korea>> in terms of the number of recordings. For each year, 2014 is shown to be the year with the most recording, and for each critique, Kim, Young-hee was shown to write the most reviews for a total of 41 cases. Also, the critics had the main subjects of critiques in the performance by national and public organization or traditional dance and the performance of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around the Seoul area. The result formulation by the contents analysis of critique articles is shown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dance critiques have the main contents that are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each repertoire, characteristic impression and evaluation and it is considered to emphasize the technical aspect of critique. Second, intent-objectivity-purpose of performance and implicationmeaning- value category of evaluation are described in general and it can be assumed to have the narrative aspect of context level for criticism. Third, the core contents in the tradition dance critique are the characteristic impression category for each repertoire. It can be estimated to take the type of interpretative tendency and impressive criticism for subjective point of view. And, fourth,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in motion description, characteristic impression or aesthetic expression in the criticism are shown to be feminine beauty, sophistication, temperament (beauty), freedom, free spirit, unrestricted freedom, impromptu(ness), and artistic preference (spirit).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result, this writer is seemed to be considered to establish the education system and advancement of the traditional dance-specialized critics together with the critical criteria preparation as appropriate to the nationwide expansion of the subject of critiques and traditional dance genre, and at the same time, it seems to require the expansion on the critique sharing system in the contemporary era.

      • 우리나라 국가축제의 역사와 그 전망

        손태도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3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2 No.-

        한 문화단위에서 축제가 있다는 것은 그 소속원들의 소망과 기원을 사회적으로 만족 시켜 줄 수 있는 중요한 사회․문화적 방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제대로 된 축제 는 일정 수준의 높은 문화를 가진 집단만이 할 수 있는 중요한 한 문화 행위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종교가 중요했던 고려시대까지만 하더라도 종교적 의식을 위해 국가 적 차원의 축제가 중요하게 이뤄졌다. 상고시대의 ‘국중대회’나 신라의 팔관회, 고려시대 의 연등회와 팔관회 같은 것들이 그러한 것들이다. 현실주의를 지향했던 유교사회였던 조선시대에는 종교적 차원의 국가축제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조선시대에도 우리나라에서의 군주 중심,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중국 황제 중심의 통치 질서와 그러한 중세적 통치 질서가 이상으로 여겼던 ‘태평시대’와 관계된 산대희 같은 것 이 사실상 국가축제의 형태로 이뤄졌다. 현대에 들어 자연스런 국가축제란 것이 이뤄지기는 힘들게 되었다. 축제는 어떤 문화단위가 어느 정도 문화 를 공유하고 향유할 만한 역량이 있을 때 만들어질 수 있는데, 현 대의 물질문명 사회는 그 변화와 발전의 속도가 매우 빨라 일정한 문화를 누릴 여지를 거의 주지 않는 면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후의 해방 정국에서 ‘전국농악 대회’ 같은 거의 국가 차원의 축제가 열리기도 했고, 1958년에는 정부수립 10주년 같은 국가축제가 열리기도 했으며, 1962년부터는 군사정권이었던 제3공화국이 일반 서민들의 환심도 사고 민족문화 정책이란 통치적 목적도 달성하기 위해 매년 ‘한국민속예술축제 (1998년까지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를 열기도 했다. 국가적 차원의 축제를 연 것이다. 신군부 세력으로 집권한 제5공화국도 ‘국풍81’ 같은 대규모 국가축제를 하려 했다. 2007년 도에 시작된 ‘대한민국전통연희축제’도 ‘정부가 주최하는 최초의 전국단위 전통연희분야 축제’로서 국가축제로서의 면모를 어느 정도 지니고 있다. 한 나라에 국가축제가 있다는 것은 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일이다. 그러한 국가축제 를 통해 국민들의 정서를 통합하고 그 나라의 이상을 확인하며 보다 발전된 하나의 공동 체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근래에 이뤄지고 있는 2007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전통연희축제’의 성공과 실패를 바 탕으로 오늘날 보다 성공적인 국가축제를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국가축제인 만큼 이 축제는 이른바 국가의 중심부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둘째, 가능한 한 온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전통적인 것들에서 시작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가축제만의 고유한 공연 내용이 있어야 한다. 다른 때, 다른 곳에서 볼 수 있 는 것들을 모아 축제의 주된 공연물로 삼을 수는 없다. 이에 대해서는 전통사회의 대표적 국가축제 방식이었던 산대희 같은 것이 오늘날의 국가축제에서도 해 볼 만한 것이다. 넷째, 국가축제를 위한 공식적인 공연집단이 있어야 한다. 조선시대 때까지만 하더라도 국가축제였던 산대희를 위해 수십만 명에 달하는 ‘광대’ 라는 하나의 공연을 위한 신분집단을 확보하고 있었다. 오늘날에도 이와 비견될 수 있는 (가칭)국립전통공연예술단, (가칭)국립기예단 등과 같은 국가축제를 위한 공식적인 예능 집단이 필요하다. 오늘날 우리가 국가적 차원에서 우리의 기대와 소망을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는, 이른 바 우리시대의 꿈을 담은 국가축제를 이뤄낼 수 있다면, 우리나라는 앞으로 보다 높은 문화 수준을 자랑하게 될 것이다.

      • 전통공예의 보존과 시대에 따른 창조의 문제 ‒ 전통공예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지원정책 ‒

        박희진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6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5 No.-

        최근 우리 정부는 현대적 기술 발전에 밀려나 그 가치가 잊혀져가는 무형문화재 보존을 위한 새로운 법제도를 마련하였다. 「무형문화재 보 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은 최초의 무형문화재 진흥법으로, 그 간 「문 화재보호법」에 의해 전승되어오던 전통공예가 새로운 정책에 합류하게 되었다. 전통공예를 활용하고 활성화 시키려는 정책기조의 변화는 이미 서구화된 오늘날 한국공예를 계승하기 위한 대안이기도 하며, 지속적으 로 전통의 진화를 꾀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예정책 전반의 흐름을 이해하고, 새로운 법률 아래 전통공예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정책 보완점에 대하여 몇 가지 제안하였다. 첫째, 공예분야를 지원하는 정부 각 부처의 달라진 정책의 지원 대상 을 명확한 할 필요가 있다.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전승공예 범위와 현대공예를 포함하고 있는 창조적 계승 범위에서의 전통공예에 대한 개념정리가 요구된다. 공예전반에 대한 정 책이 정부 부처별로 다양하게 지원되고 있고 정책의 지원 대상이 전승 해야할 대상인 것인지, 산업화해야 할 대상인 것인지 구분되어야 창조 적 계승의 범위도 구분된다. 정부 각 부처에서 시행 중인 공예 관련 정 책은 통합 운영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지원 대상을 체계화하여 부처 간 다방면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그 간 영화나 도서 등의 무형문화재 기록 보존사업에 첨단기술 이 도입될 필요성이 있다. 사라져가는 무형의 문화재를 온전히 재현 하 기 위해서는 전통공예의 원재료 선별부터 제작공정 전 과정을 인지할 수 있어야한다. 섬세한 작업의 재현이 가능한 디지털 기록과 분석이 무형문 화재 전통공예의 발굴과 조사 단계부터 충분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예교육의 체계화가 요구된다. 새로운 법률에서 전수교육의 도제식을 벗어나 지정된 시설에서 전승교육이 이뤄지도록 규정하고 있 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공예문화 전반에 교육시스템 자체가 부재하다 는 점이다. 전승교육의 체계화는 전승을 위한 일방적인 교육시스템이 아닌 대중의 인식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평생교육에서 시작되어야 한 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전통공예를 경험하는 기회를 우선 제공하고, 공예산업분야에서도 기업교육 또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직업 훈련, 자기개발교육 등 전문 인력의 기술 교육 조차 부재하다. 공예분야 에서도 체계화 된 교육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The Act on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the first promotion act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included the traditional craft that had been passed down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s a new policy. The political changes to use and activate the traditional craft is an alternative to success the Korean craft in this westernized age and is a chance to seek for evolution of tradition continuously.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supplement points to understand the general flow of craft policies and for creative succession of traditional crafts along with the new law. First, the target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that support crafts shall be clarified. It is required to define the traditional crafts stated in 「The Act on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in the range of creative succession that includes modern crafts as well. There shall be a clear definition whether the policy supports those to be succeeded or to be industrialized as the departments support different policies for the craft to define the range of creative succession. The craft policies carried forward by each department are not to be integrated but to be systematized for them to be conducted in various ways. Second, there is necessity to introduce the latest technology for preservation of intangible assets like films and books. It is needed to be aware of the whole process from raw material selection to manufacturing of the traditional craft to fully reproduce the dying intangible assets. There shall be enough digital records and analyses for detailed reproduction of intangible traditional crafts from discovery and investigation stage. Third, the craft educational shall be systematized. The new policy regulates that succession education shall take place in a designated organization rather than in an apprentice system. However, it is what matters that there is lack of educational system in the craft world. The succession education shall begin as lifelong education that can arouse the changes in the public awareness, not as unilateral education for transmission.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olicy provide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raditional crafts and even the craft industry lacks professional technique education like corporate training, job training to raise experts and self-development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shall be a systematized educational system in the craft industry.

      • 전통음악 복원과 재현, 그 궤적 및 의미

        이진원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2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8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진행되는 전통음악 분야에서의 복원과 재현 상황을 고악보 복원, 유성기음반 재현, 및 전통예술 발굴 사업 등 세 가 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세 가지 복원과 재현은 그 기준이 되는 복원점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는데, 고악보의 경우 그 해독에 있어 완벽함이 추구될 수 없다는 문제로 인해 ‘현대적 재현’의 틀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유성기음반 의 경우 그 안에 담긴 음악을 복원의 기점으로 삼을 수 있으나 복원이 된다고 하더라고, 녹음된 음악이 갖추고 있는 공력이나 창조성이 발휘되는 재현의 가능성까지 얻기에는 어려운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 예술 종목의 발굴의 경우에는 꾸준히 전승되지 않았던 종목들에 대해서 원형을 찾기 어려운 점이 부각되었으며, 결국 이 또한 ‘현대적 재현’의 틀에서 논의될 수 있었다. 또한 어떠한 복원과 재현이라도 그 종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 되어야 하며, 고증이 우선되지 않는다면 변조나 날조의 위험성도 항상 존재하는 것을 주목해야 함도 알 수 있었다. 사라진 전통예술의 복원과 재창조는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며, 그를 토대로 향후 전통 음악계의 풍부한 컨텐츠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라 생각되었다. In this study, th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traditional music in Korea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restoration of Old Music Score, the reproduction of Phonograph Records, and the discovery of traditional music arts. These three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can be seen to have different restoration points, and in the case of Old Music Score, it could be understood in the framework of “modern reproduction” due to the problem that perfection cannot be pursued in its decoding. In the case of Phonograph Record, the music contained in it can be used as the starting point for restoration, but even if it is restore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ossibility of reproduction in which the artistry and creativity of recorded music are exhibited. In the case of the discovery of traditional music and arts, it was highlighted that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original form for the events that had not been steadily passed down, and in the end, this could also be discussed in the framework of “modern reprodu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ny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should precede systematic research on the music genre, and if historical evidence is not prioritiz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lways a risk of modulation or fabrication. It was thought that the restoration and re-creation of the disappeared traditional music art should not be an objective in itself, and based on it, it should be established as a rich content in the traditional music world in the future.

      • 자료를 통해 본 박귀희 명인의 국악 인생

        노재명,김석배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2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1 No.-

        이 글은 박귀희와 관련되는 여러 사실들을 1차 자료나 현지 조사 자료들을 중심으로 제시한다. 1. 생년월일, 고향, 가족 관계 박귀희(1921~1993)는 경북 칠곡군 가산면 하판동에서 그 지역 유지인 장병관과 무녀 박금영 사이에서 태어나 어머니쪽 사람들에 의해 성장했다. 2. 다양한 국악 학습 박귀희는 판소리, 가야금병창, 민요, 전통춤 등을 두루 배웠는데, 판소리 선생은 박기 홍, 박동실, 유성준, 박녹주 등이었고, 가야금병창 선생은 강태홍, 정남희, 오태석이었다. 3. 국악 단체 활동 박귀희는 1934년 대동가극단을 시작으로 한양창극단, 동일창극단, 여성국악동호회, 국 립창극단 등에서 활동했고, 한국민속가무예술단(1961)을 만들기도 했다. 4. 공연·방송·영화 활동 박귀희는 창극 공연 외 방송 출연도 많이 했고, 영화 <선화공주>(1957)에는 주연으로 참가했다. 5. 음반 취입, 중요 무형문화재 활동, 각종 수상, 국악계 원로 활동 박귀희의 음반 자료는 현재 1950년대 취입한 것부터 남아 있다. 그녀는 1968년 국가중요 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병창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1973 년 국민훈장 동백장, 1977년에 서울시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6. 국악 교육 공헌, 수제자 양성, 신작국악과 국악 악보화 작업, 별세 박귀희는 1960년 국악예술학교 설립을 주도했고, 1992년 이 학교가 경기도 시흥동으 로 옮겨질 때 거의 전 재산을 기증해 현재의 교사(校舍) 마련을 가능하게 했다. 이 학교는 2008년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로 발전했다. 이금희, 조성옥, 안숙선, 강정숙 등의 가야금병창 제자들을 길렀다. 구전심수의 국악을 악보화하여 <꽃타령>, <뽕 따러 가세> 등 50여 곡도 작·편곡했고, 향사 박귀희 가야 금병창곡집(1979)을 남겼다. 1993년 7월 14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그 외 박귀희의 약력 자료, 관련자 증언자료, 음반자료 목록, 사진 자료 등도 현재 수 집된 형태로 그대로 제시했다. This article is presented for the many of facts related to Park, Gwi-Heui by primary materials and local survey data on the whole. 1. Date of birth, hometown, family relationships Park, Gwi-Heui (1921~1993) was born between Jang, Byeong-Gwan (장병관) and Park, Geum-Yeong (박금영) at the Chilgok (칠곡) county in Gyeongsangbuk-do. Jang, Byeong-Gwan was an influential person at that region and Park, Geum-Yeong was a shaman. Park, Gwi-Heui was grown by Park, Geum-Yeong's persons that were her mother's ones. 2. Vary traditional performing arts learning Park, Gwi-Heui learned Pansori (판소리), Gayageum-Byeongchang (가야금병 창), folk song and traditional dance. Pansori teachers were Park, Gi-Hong (박기홍), Park, Dong-Sil (박동실), Yu, Seong-Jun (유성준), Park, Nok-Ju (박녹주) and so on. Gayageum-Byeongchang teachers were Kang, Tae-Hong (강태홍), Jeong, Nam-Heui (정남희), and O, Tae-Seok (오태석). 3. Traditional performance arts companies activities Park, Gwi-Heui acted at Daedong Gageuk Company (대동가극단) as a young girl Pansori singer in 1934. Afterward she was a member of Hanyang Changgeuk Company (한양창극단), Dongil Changgeuk Company (동일창극단), Women's Traditional Music Club (여성국악동호회) and National Changgeuk Company. And she made Korea Folk Music & Dance Company (한국민속가무예술단) (1961). 4. Performance, broadcasting, film activities Park, Gwi-Heui was active at many Changgeuk performances. Besides these, she was active at radio broadcastings and movies. She was a male protagonist at movie “Priness Seonhwa (선화공주)” (1957). 5. Disc recordings, National Intangible Asset activities, awards, elder activities Park, Gwi-Heui' disc remains from the 1950s. She was designated as a possessor of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Asset No. 23 Gayageum-Byeongchang in 1968, decorated a National Medal Dongbaek-jang (동백장) in 1973, and awarded Seoul Cultural Award in 1977. 6. Traditional arts education contribution, bringing up important disciples, new songs composition and notation, death Park, Gwi-Heui took the lead at establish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chool. And She donated almost all her poessions for making new school building, when this school moved to Siheung-dong (시흥동) in Gyeonggi-do in 1992. This school evolved into the Nationa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in 2008. She brought up many important disciples as players of Gayageum-Byeongchang as like Lee, Geum-Heui (이금희), Jo, Seong-Og (조성옥), An, Suk-Seon (안숙선) and Kang, Jeong-Suk (강정숙). She arranged or composed about 50 songs as like “Flower Song”, “Come pick mulberry (뽕 따러 가세)” and published Hyangsa (香史, 향사) Park, Gwi-Heui Gayageum-Byeongchang Songs Collection(1979) in the form of noted songs. She died of a chronic disease July 14th 1993. Besides these, there are Park, Gwi-Heui's biography materials, involved persons' testimonies, music discs list, photographs, etc. are presented too in this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