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경부 마사지가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미용,전선영,송윤희,최은진,김재희,김미성,주명순,김남선 병원간호사회 2006 임상간호연구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apply head and neck massage to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and to inventigate the effect of that massage on sleep and state anxiety.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ne thru September of 2005 on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sleep, state anxiety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head and neck massage. For data analysis,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tilized. Result: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subjects might have a better sleep after being exposed to head and neck massage was accepted.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subjects might feel less state anxiety afrer being exposed to head and neck massage was accepted.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sleep of the ICU patients maight be correlated to their anxiety was accepted, as there appeared correlation between their sleep and anxiety. Conclusion: Head and neck massage is identified as one of independent nursing interwentions to improve the sleep of ICU patients and ease their anxiety,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o clinical practices.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기업복지 유형이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의 조절효과

        김효선(Kim, Hyo-Seon),조주복(Cho, Joo-Bog)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몰입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한 선택적 복지제도의 정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사회복지국가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대구 · 경북지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총 300부 설문지를 배분하여 이 중 298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실증분석을 위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분산분석, t-test, ANOVA분석, SAS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복지유형에 따른 선택적 복지제도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기각되었다. 둘째, 기업복지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과의 차이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복지의 유형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직무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기업복지유형에 따른 선택적 복지제도는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시설에서 선택적 복지제도 정착에 필요한 직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산편성에 반영하여 사회복지서비스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welfare state by providing basic data on the corporate welfare types for the improvement of job quality and quality of life of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Methodology]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divided into 300 questionnaires for social workers in Daegu and Gyeongbuk, and 298 of them were used as analytical dat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t-test, ANOVA analysis, SA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Finding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n job commitment according to corporate welfare type, it was rejected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porate welfare type and the social worker’s quality of lif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volvement of social work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corporate welfare and the quality of lif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mplications] This study found that job involvemen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social worker’s corporate welfare type in relation to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social welfare service should be improved by developing job training programs necessary for the Cafeteria Plan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reflecting them in budgeting.

      • 실리카흄을 흔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개발

        홍창우,김태경,김경진,김성환,김남윤,심도식,이정호,윤청호,백민경,원치문,박제선,이주형,정경일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제품연구센터 1996 석재연 논문집 Vol.1 No.-

        콘크리트 구조물이 대형화됨에 따라 설계단면이 증대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경제적 손실을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단면을 감소시키면서도 소요의 하중에 안전한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구조물 건설에 기초가 되는 고품질, 고내구성의 고강도 콘크리트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 시멘트비 및 혼화재 비율하에서 소요의 워커빌리티가 확보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시간과 온도의 변화에 따라 증기 양생하여, 압축, 인장, 휨강도 뿐만 아니라 파괴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시료 제작시 시멘트 입자 사이의 공극 및 불연속 영역을 충전하여 고밀도화하기 위한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시멘트 비표면적이 상당히 작은 초미립 분말인 실리카흄을 이용하였다. 또한 AE감수제 및 고성능 유동화제를 사용하여 혼화재의 첨가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워커빌리티의 감소를 방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일정 양생 지속 시간하에서 온도의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 인장 및 휨강도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일하게 일정 온도하에서 양생 지속시간이 커짐에 따라 강도들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긴 지속 양생 조건하에서 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나타났다. The compressible, tensible, and flexibleresistance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is analyzed by the experimentation in the present study. For the test, we cure several samples with the silica fume as a mixture being become dense the spaces between the particle of cement under the variation of both the temperature and the curing-interval. Then, the superplasticizer and the ezcon are also used to satisfy the required workability for construction. The compressible, tensible, and flexible resistances to a stress are increased as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the time interval for the curing.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overal fra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s improved by mixing the silica fume into the cement.

      • KCI등재SCOPUS
      • 폐주불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

        김태경,박정호,이정호,이주형,박제선,김연경,윤경구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제품연구센터 1998 석재연 논문집 Vol.3 No.-

        콘크리트 구조물은 자연적인 혹은 인위적인 온도의 상승, 강하로 인하여 동결-융해 작용을 받게 되어 구조물의 성능저하를 야기시킨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적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폐주물사 콘크리트를 실제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내구특성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폐주물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동결-융해 실험은 폐주물사의 잔골재 치환율, 물-시멘트비, AE제 사용 여부를 주요 변수로 하여 실시하였다. 원형공시체를 제작하여, 동결-융해 시험기에 넣어 -18∼4℃로 급속 동결-융해를 진행시키면서 매 23싸이클마다 동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AE제를 첨가했을 때 물-시멘트비가 적을수록, 폐주물사의 치환율이 클수록 전반적으로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동결-융해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폐주물사 치환율이 50%일 때가 동결-융해 저항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25, 0% 순으로 저항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주물사 콘크리트가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폐주물사를 콘크리트에 재활용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rete structures has been deteriorated by the freezing and thawing due to temperature ga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durability of concrete which are increasingly demanded recently. Therefore the research of durability must be executed for application of waste foundry sand concrete real structures. Concrete durability properties incorporating waste foundry sand was performed with the variable of W/C ratio, Sand/Waste foundry sand ratio and Air entrainment-Non air entrainment. Cylinder specimens were made and subjected to freezing and thawing cycle at -18℃ and 4℃.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were evaluated as F/T cycle increase. The results show that strength of concrete is increased the W/C ratio decrease, the Sand/Waste foundry sand ratio increase when the concrete contains AE agent and decreasing W/C ratio and AE concrete makes improved resistance of freezing and thawing improved. Especially, resistance of freezing and thawing is improved by Fine aggregate/Waste foundry sand ratio which is 50%, 25%, 0% in a row. Therefore it is turn out the waste foundry sand could be applied to concrete from the experiment.

      • 중등 특수학급 운영 개선 방안

        김주영,이미선,이유훈,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1 연구보고서 Vol.-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등 특수학급 운영의 개선 방안과 그에 따를 정책 과제를 제시하는데목적을 두고 중등 특수학급의 개념과 특성, 우리나라 특수학급의 설치 배경과 현황을 상세히 기술하였으며, 특수학급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등 특수학급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특수학급의 운영을 어렵게 하는 요소들을 분류하고 각 요소별 문제들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과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 학교 사회 인식의 개선 방안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개선:시·도 교육청 단위에서의 연수기회를 늘리고, 연수 내용을 교사와 관리자의 요구에 맞게 조정하며, 일반학교에서의 실제 적용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실제들을 제시해야 한다. 학생과 부모의 인식 개선:학생과 부모는 전문적인 연수보다는 지속적인 자극과 접촉 및 참여 기회 등을 제공함으로써 감정적으로 다가설 수 있도록 체화(體化) 시키는 과정들을 마련해야 한다. 정책 과제:일반학교 관리자 및 교사의 연수기회를 확대 강화하여야 한다. 일반학생의 장애인 이해와 남을 배려하고 함께 살아가는 인성 함양을 위한 교과별 장애인 관련 단윈을 개발해야 한다. 일반학생과 부모들의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취학 업무의 개선 방안 특수학급 설치 비율의 불균형 해소:중등 특수학급의 특성을 고려한 운영 정책을 펴 나가야한다.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 지역에서는 장애 유형별 특수학급을 설치하고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는 모든 학교에 특수학급을 두어 단 한 명의 학생이라도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지정ㆍ배치 과정의 현실적 개선:장애학생의 진단ㆍ평가에 필요한전문교사집단의 인적 자원과 각종 검사도구 및 시사ㆍ설비, 인터넷망, 사도 교육청과의 직접적인 연계, 지역사회 협력 네트웍 등의 물적 자원 등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특수학교 중심의 '특수교육지원센터'나 지역사회 '장애인복지전문기관' 등을 활용한 실제적 진단ㆍ평가를 하도록 모색해야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지정·배치의 원칙:특수학급 교사는 일단 학교 내 특수교육 대상자를 선별(screening)한 후 선점 및 배치 신청을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 진단평가는 초등학교학생 중심으로 실시한다. 초등학교에서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된 학생들은 상급학교의 특수학급 입급을 희망할 경우 별도의 선정과정 없이 지정ㆍ배치를 받도록 한다.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된 학생들이 상급학교로 진학할 때는 반드시 전학년까지의 특수교육 수행자료를 첨부하여 제출하도록 한다.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 처음으로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받고자 하는 학생들은, 중학교는 초등학교 6학년 말(중학교 배정 시기), 고등학교는 중학교3학년 말(고등학교 지원 시기) 지역 교육청 및 시·도 교육청에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지정ㆍ배치 신청을 한다. 정책 과제:특수교육 대상자 진단ㆍ평가 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여야 한다. 장애학생들의 타 학교 전학 또는 상급학교 진학에 필요한 최소한의 특수교육 수행자료를 규정하여 구비하도록 하여야 한다. 특수학급 운영 환경의 개선 방안 물리적 여건의 개선:일반학교 내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시·도 특수교육 담당 행정가를지원하고 독려해야 한다. 일반학교 내 장애학생 관련 편의시설과 유초ㆍ중고등학교별 특수학급의 시설 및 교구 설비에 관한 명확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학교 순회교육의 개선:특수교육진흥법시행령 제13조의2 제2항을 삭제하고 농촌 등 학교의규모가 작고 원거리에 흩어져 있는 지역은 반드시 모든 학교에 특수학급을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 개선:보조교사,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 담당교사, 순회교육교사 등을 특수학급에 함께 배치하여 업무를 상호 분담하고 통합교육 지원 이외의 특수학급 교사의일반학급 수업 지원을 한정하여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의 처우 개선:특수교육 경력에 대한 승진 가산점 부여의 존폐에 대해 신중히대처해야 한다. 특수교육 교사 양성체제가 일반교사와 이원화되어 있는 현 상황을 둔 채로특수학급 교사의 승진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단기적 방안은 찾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장기간에 걸친 단계적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정책 과제:특수학급의 시설 설비 기준을 규정하고 일반학교에 설치하여야 할 장애학생편의시설의 종류와 규격, 기준 등을 마련하여야 한다. 보조교사의 안정적인 배치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특수교육 경력에 대한 승진가산점 부여 제도와 특수학급 교사의 근본적인 승진차별구조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와 개선책을 제시해야 한단. 특수학급 운영 지원의 개선 방안 장학 및 행정 지원 개선:각급 교육청의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 행정 지침서를 개발해야 한다. 신임 특수교육 업무 담당 전문직을 위한 직무연수를 의무화해야 한다. 교육청별로 특수학급 교사 연구회를 조직하고 지원해야 한다. 재정 지원 개선:특수학급 운영에 필요한 제경비를 '학교 운영비'에서 지출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액으로 교부하고 있는 '학교 운영비'와는 별도로 그동안 목적성예산으로 시·도마다 특수학급에 지원해 온 '특수학급 운영비'를 당분간 계속 지원해야 한다.특수학급 교사들의 '학교 운영비' 등 예산 운영에 대한 이해를 높여아 한다. 학교의 지원 개선:교사 스스로 적극적인 태도를 길러 일반교사와 잦은 교류를 통한 원만한인간관계 형성에 주력함은 물론,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적용 가능한 특수교육 직무연수를 확대 실시하여야 한다. 정책 과제:교육청 특수교육 담당 장학관(사)을 위한 장학 행정 지침서를 개발하고 정기 직무연수를 실시해야 한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에서 특수학급 운영비를 목적성 경비로 확보해야 한다. 학교 관리자의 장애학생 교육 및 특수학급 운영 지원에 관한 최소한의 지침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직무연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의 자질과 역할의 개선 방안 특수학급 교사의 자질 개선:특수학급 교사들이 자격이나 이력(경력)과 같이 누구나 객관적으르 확인하고 인정할 수 있는 공적 자질도 잘 갖추어야 하지만, 보다 더 근본적인 것은 일반교사에게서 기대하기 힘든 인성과 태도가 요구된다.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개선: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은 통합교육 개시의 기초를 정립하고,적합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학교 전체 환경 내에서 장애학생의 활발한 참여를 촉진시키며, 일반 학급 내에서 장애학생의 구성원 자격을 확보시키며, 일반 학급에서 장애학생의 적극적 수업참여를 촉진하며,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에게 구체적 상호작용 방법을 교수하며, 일반학급 교사와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특수학급의 설치 목적인 장애학생의통합교육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활동에 모아져야 한다. 특수학급 운영 형태의 개선 방안 우리나라의 중등 특수학급 운영 형태는 대부분 시간제로, 특수학급교사의 의지나 관리자의요구, 학교의 형편에 따라 더 많은 형태들이 존재한다. 무엇보다 특수학급의 운영 형태는 학교와학생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연한 특수학급 운영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보다 적절한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일반학생이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데 도움을 준다. 정책 과제: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특수학급 운영 형태를 개발해야 한다. 협력 수업과통합학급 교사 지원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교육과정의 수정:교육과정의 수정이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활발히 연구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수정은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고려하되 장애학생의 특별한교육적 요구에 적절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수정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필요가있다. 교육과정의 수정은 융통성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중등 특수학급 학생을 지도하는데 요구되는 교수 방법이나 수정된 교육과정의 적용에 관한 다양한 연수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중등 특수학급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육과정 수정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평가:수업에 도움이 되는 요소와 방해가 되는 요소를 밝히기 위해 교실환경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준거지향적 평가, 교육과정중심 평가, 수행평가 등 학습수행 평가가이루어져야 한다.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의 개선:학교 관리자들의 재량활동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하고, 재량활동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원활한활동을 위해 지역사회 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의 능력에 맞는 적절한 특별활동에 참여시켜야 한다. 치료교육활동의 개선:중등 특수학급 학생의 장애 상태와 주요 문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학급 학생은 일반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특수학급 학생들의 치료교육에는 일반학생들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 부모와 지역사회 인적자원을 활용한다. 보다 전문적인 치료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특수학급에치료교육 교사를 배치해야 한다. 특수학급 학생의 치료교육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관련기관(인근 복지관, 치료센터)과의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이 연계체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직업 및 전환교육의 개선:성공적인 전환교육을 위해서는 관계기관이나 관련 인사아의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부모의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장애학생의 진로 지도를 위한 기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장애학생이 직업과 관련된 적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실제 노동 현장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근로 현장과 연계 교육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장애학생의 직업진로지도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충원되어야 한다. 직업훈련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산학협동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개별화교육계획 개선:특수학급에서 개별학교육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교사는 교과 내용의 수정, 교수방법의 수정,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 평가의 개별화 등의 운영을 잘 해낼 수 있어야 한다. 정책 과제: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일반교육과정의 교과별 수정 자료 등을 개발 보급하여야한다. 중등 특수학급 학생들의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지침을 개발하여야 한다. 특수학급의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수집하여 보급해야 한다.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교사를 순회 배치해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운영에 관한 전산화 프로그램 등을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trategies and policy issues for improving the special classes management of secondary schools in Korea. A review of related-literature was presented to provide (1)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and (2)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of secondary special classe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with people involved in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about the current status in and needs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analysis, the study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in and problems with secodary special classes and suggested strategies and policy issue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detail strategies and policy issu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s toward special classes have to be improved.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teacher training at the level of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ust be expanded. Also, efforts for improving the awarenes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have to be made in another direction. Second, improvement in procedures related to enter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must be made. The disproportionate ratio of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in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to be made balanced. Principles for assessing and plac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to be established, and the procedures of the assessment and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to be improved realistically. Third, environment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have to be improved.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and educational equipments and materials in special classes must be improved. Special class teachers' work have be reduced, and special class teachers must be given better treatment. Fourth,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have to be supported. Administrative support and supervision for special classes must be strengthened and stable support for the budget of special classes be guaranteed, special class teachers must have knowledge about the management of the budget for special classes, and all the staff members in secondary schools have active interests in and support for special classes. Fifth, the quality and roles of special class teachers must be improved. Better personality and attitudes are demanded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roles of special class teachers have to be focused on appropriately integr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o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Sixth, the management forms of special classes have to be diversified. The management types of special classes appropriate to the current status in Korea must be developed and in-service training in supporting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using cooperative teaching has to be provided for special class teachers. Finally,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have to be improved. Principles and methods for adapting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and the evaluation of curriculum be carried out thoroughly. Optional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rapeutic education activitie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nsition education have to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ppropriate to the conditions of schools and communities. Also, strategies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IEP have to be provided.

      • 줄눈콘크리트포장의 하중응력분포 해석

        김태경,박제선,이주형,윤경구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8 産業技術硏究 Vol.18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stress estimation procedure to instantly calculate the critical stresses bonded concrete pavement. Closed form analysis is commonly used to analyze pavement structures. This type of analysis assumes linearelastic material properties and static loading conditions. The well-known ILLI-SLAB finite element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Bonded concrete overlay analyzed the stress distribution, behavior and load carrying capacity under track load is made evaluation standard of bonded concrete overlay. In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e properties of strength is that compress and 3-point bending strength of existing pavement is deteriorated with 184 kg/㎠, 59kg/㎠ but compress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overlay is satisfied with 464 kg/㎠, 45kg/㎠. Load transfers is happen at adjacent slab by interlocking under track load. The stress distribution under interior, corner and edge load is described high loading position surrounding then loading position.

      • 교육연극을 위한 극본 자료 개발

        김재수,최도순,정경미,백혜경,조은주,김선진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

        When teachers are in need of the script of a play during school hours, Teachers could make a drama out of an interesting story. And by doing learning activities that students are also able to replace an interesting story with a drama,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create an original story. For this purposes, this study explains the methods that teachers make a story. And we make a drama out of a story which is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seventh curriculum (one∼for grade). And we have teachers to use it les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