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Vigna angularis</i> inhibits IL-6-induced cellular signalling and ameliorates collagen-induced arthritis

        Oh, Hyun-Mee,Lee, Seung Woong,Yun, Bo Ra,Hwang, Byung Soon,Kim, So Nam,Park, Chan Sun,Jeoung, See-Hwa,Kim, Hyun-Kyu,Lee, Woo Song,Rho, Mun-Chual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Rheumatology Vol.53 No.1

        <P><B>Objectives.</B>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whether extracts or isolated compounds from <I>Vigna angularis</I> were able to suppress IL-6 signalling and to show the therapeutic effect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CIA) in mice.</P><P><B>Methods.</B> The effect of <I>V. angularis</I> on IL-6 signalling was studied by measuring Stat3-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and phosphorylation of Janus kinase 2 (JAK2),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induced by IL-6. CIA was induced by immunizing with bovine type II collagen. <I>V. angularis</I> extract (VAE) was administrated orally at 50 and 100 mg/kg from day 1 to day 28. Induction of arthritis was evaluated with a visual scoring system and histological analysis.</P><P><B>Results.</B> Extracts or two triterpenoid compounds from <I>V. angularis</I> showed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pSTAT3-inducible luciferase activity, STAT3 tyrosine phosphorylation and the expression of inflammation-related genes induced by IL-6. Administration of VA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progression of CIA, accompanied by a reduced antibody response to type II collagen and protection from tissue damage in knee joints.</P><P><B>Conclusion.</B> Administration of VAE has a therapeutic effect on CIA and this effect is associated with the inhibitory activity on IL-6/STAT3 signall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or compounds from <I>V. angularis</I> could be a useful treatment for diseases related to IL-6, including RA.</P>

      • KCI등재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 관련 법제의 변천과 내용분석

        남보라(Nam Bo Ra),서순복(Seo Sun Bok)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叢 Vol.21 No.3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관리정책은 2000년대 후반부터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2009년 수정보충된 '문화유물보호법'과 이 법을 기초하여 2012년에 제정된 '문화유산보호법'은 북한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와 관련된 법제는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되며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비물질문화유산'(남한의 '무형문화재'와 유사한 개념)의 법제를 통한 관리는 '문화유산의 개념'부터 '발굴과 수집', '평가와 등록'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남한과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 가장 큰 차이를 해소하는 역할을 하였다. 최근 이런 변화는 201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으로 '개성역 사유적지구(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가 등재되기에 앞서 제시된 유네스코의 권고사항과 현재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서 처해 있는 북한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 가치판단이 개입되고 있으며, 따라서 북한의 문화유산에 대한 '원상대로 보존'은 남한의 '원형유지'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의 문화유산을 직접 접촉하여 향유하고 보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요원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법제나 연구자료 등과 같은 다양한 자료들을 통한 체계적인 연구는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apid changes started to happen to the policies to protect and manage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in the second half of the 2000s. North Korea's interest in its cultural heritage was reflected in ≪The Law on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revised and complemented in 2009 and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enacted in 2012 based on it. The North Korean law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are changing in a direction of increasing systemicity, segmentation,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e management of 'Immaterial Cultural Heritage'(similar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South Korea) through those laws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from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to 'excavation and collection' and 'evaluation and registration' and resolved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ose recent changes are the results of reflecting the recommendations by UNESCO before the registration of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 as 'UNESCO World Heritage' in 2013 and the reality of curr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in North Korea. However, value judgments are included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which means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o their preservation in original state' in North Korea and 'to preserve them in their original state' in South Korea. It is an unrealistic wish to make first-hand contact with, enjoy, and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of North Korea in South Korea, whose systematic researches based on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he concerned laws and research findings will be able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of North Korea.

      • KCI등재

        드라마 공간에서의 플라워디자인 연출과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남보라 ( Bo Ra Nam ),정준현 ( Jun Hyun Jeo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5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TV 매체를 통하여 방영되는 드라마 세트 중 주거공간에 나타나는 플라워디자인 연출에 대해여 분석 연구함이 그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드라마 세트 공간에서의 작품과 공간의 관계를 분석해봄으로써 연출 경향을 파악하고 미디어를 통한 플라워디자인의 공간 연출 기준을 형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3년 지상파 방송 3사(K사, M사, S사)를 통해 방영된 드라마 중 시청률 15% 이상의 4편의 드라마로 하였고, 드라마의 성격은 홈드라마와 멜로드라마로 현대극 설정의 드라마로 제한하였으며, 플라워디자인 연출공간의 범위는 현관 및 거실, 식당, 침실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드라마별 주거공간의 연출 기법과 공간별 플라워디자인 작품형태 및 특성을 분석하여 플라워디자인 작품의 연출 유형 및 공간에서의 시지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practical ways of using floral designs in directing various space among residential space and TV drama sets, by analyzing a formative characteristics, types of direction, setting points and visual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floral design from TV drama sets. To do this, this study chose four dramas having more than 15% of the ratings, which were broadcasted through three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K, M and S company) in 2013. The characteristic of the dramas was limited to a home drama and a melodrama for modern dramas. Then, the direction space of the floral design was classified into entrance and living room, a kitchen and a bedroom we analyzed it. By analyzing the directive technique of residential space in each drama and a type and a characteristic of the floral design in each space, the direction type and the visual- perceptual characteristic of floral design work were figured out. To sum up,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산전 및 주산기 합병증

        남보라(Bo-Ra Nam),유희정(Hee-Jeong Yoo),조인희(In-Hee Cho),박태원(Tae-Won Park),손정우(Jung-Woo Son),정운선(Un-Sun Chung),신민섭(Min-Sup Shin),김붕년(Bung-Nyun Kim),김재원(Jae-Won Kim),양영희(Young-Hui Yang),강제욱(Je-Wook Kang),송숙형(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1 No.3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natal, perinatal, and infancy histor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s compared to unaffected siblings (SIB)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C). Methods:Subjects with ASD, their SIB, and TC were recruited. All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both the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K-ADI-R) and the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K-ADOS) and were subsequently identified as affected or unaffected. Prenatal, perinatal, and infancy history was obtained from the primary caregivers and each facet was compared in those with ASD, the SIB, and the TC groups using SPSS ver. 17.0 (p<.05). Results:70 individuals with ASD (63 males, 87.94±37.8months), 53 SIB (27 males, 85.40±48.06 months), and 32 TC (19 males, 104.19±23.409 months) were analyzed. The A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insufficient vaccination as they aged age (χ²=15.54, p=.000). Among the scheduled vaccinations, the DPT vaccination (χ²=10.08, p=.006) was insufficient in ASD groups. The ASD group also showed higher rates of sleep disturbances from infancy. Differences in maternal/paternal age at conception, gestational age, and growth parameters at bir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These results do not support the previous controversi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natal/perinatal complications and ASD. Howev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inatal and prenatal factor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SD.

      • KCI등재

        덤핑방지관세의 수입국 판매가격 전가효과: 한국의 반덤핑조치 대상 산업을 중심으로

        남보라 ( Bo Ra Nam ),곽노성 ( Ro Sung Kwak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4 국제통상연구 Vol.19 No.2

        본 논문은 한국무역위원회(KTC)에 제소된 5개 산업군(제1차금속, 화학물 및 화 학제품,펄프종이 및 종이제품,음식료품 제조, 기타전기 기기 및 전기변환 장치) 에 속한 7개 품목(스테일레스스틸바, 폴리비닐알콜, PVC Plate, 정보용지 및 백 상지, 염화콜린, 알칼리망간건전지, 리튬1차전지)의 사례에 대하여 수출자의 마크 업이 국내판매단가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실증분석 결과,마크업이 30%대인 산업군(제1차금속, 화학물 및 화학제품, 기타 전기기기 및 전기변환장치)에서는 수출기업의 덤핑방지관세가 1% 증가할 때 판매가가 2.34%증가하였고, 마크업이 40%대인 산업군(펄프종이 및 종이제품, 음식료품 제조)에서는 수출기업의 덤핑 방지관세가 1% 증가할 때, 판매가가 3.59%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논문의 결과는 반덤핑 조치하에서 덤핑방지관세가 부과되었을 때,수출자의 마크업,즉 수출자의 시장지배력이 높을수록 가격전가를 더 많이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pass-through effect of anti-dumping duties using 7 cases (Stainless Steel Bar, Polyvinyl Alcohol, PVC Plate, Uncoated wood free paper, Choline Chloride, Alkali manganese batteries, Lithium MnO2 ) in 5 industries(Basic metal products,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Pulp, Paper and paper products, Beverages, Electrical machinery & apparatus) filed to Korea Trade Commission.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salesprice increases by 2.34% for every 1% rise in exporter’s antidumping duties in industries with mark-up in the range of 30%(Basic metal products,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Electrical machinery & apparatus) while sales price increases by 3.59% for every 1% rise in exporters’ antidumping duties in industries with mark-up in the range of 40%(Pulp, paper and paper products, Beverages). Results of this paper show that the higher the exporter’s market power as represented by their mark-up the more pass-through on sales price.

      • KCI등재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 관련 법제의 변천과 내용분석

        남보라(Nam Bo Ra) , 서순복(Seo Sun Bok)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叢 Vol.21 No.3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관리정책은 2000년대 후반부터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2009년 수정보충된 '문화유물보호법'과 이 법을 기초하여 2012년에 제정된 '문화유산보호법'은 북한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와 관련된 법제는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되며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비물질문화유산'(남한의 '무형문화재'와 유사한 개념)의 법제를 통한 관리는 '문화유산의 개념'부터 '발굴과 수집', '평가와 등록'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남한과 북한의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 가장 큰 차이를 해소하는 역할을 하였다. 최근 이런 변화는 201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으로 '개성역 사유적지구(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가 등재되기에 앞서 제시된 유네스코의 권고사항과 현재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서 처해 있는 북한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유산 관리에 있어 가치판단이 개입되고 있으며, 따라서 북한의 문화유산에 대한 '원상대로 보존'은 남한의 '원형유지'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의 문화유산을 직접 접촉하여 향유하고 보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요원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법제나 연구자료 등과 같은 다양한 자료들을 통한 체계적인 연구는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apid changes started to happen to the policies to protect and manage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in the second half of the 2000s. North Korea's interest in its cultural heritage was reflected in ≪The Law on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revised and complemented in 2009 and ≪The Law on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enacted in 2012 based on it. The North Korean law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are changing in a direction of increasing systemicity, segmentation,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e management of 'Immaterial Cultural Heritage'(similar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South Korea) through those laws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from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to 'excavation and collection' and 'evaluation and registration' and resolved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ose recent changes are the results of reflecting the recommendations by UNESCO before the registration of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Kaesong' as 'UNESCO World Heritage' in 2013 and the reality of curr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in North Korea. However, value judgments are included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which means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o their preservation in original state' in North Korea and 'to preserve them in their original state' in South Korea. It is an unrealistic wish to make first-hand contact with, enjoy, and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of North Korea in South Korea, whose systematic researches based on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he concerned laws and research findings will be able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of North Korea.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엄마 되어가기’ 내러티브 탐구 - 내담아동 어머니의 아동기 탐색 경험을 중심으로 -

        정보라(Bo-Ra Jung), 최선남(Sun-nam Choi)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내담아동 어머니들이 자녀와 같은 아동기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자녀의 양육과 어머니로서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내담아동 어머니의 아동기 탐색이 양육의 주체자인 어머니의 모습을 어떻게 변모하게 하는가를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으로 접근하여,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 선정은 연구자가 운영하는 미술치료센터의 공고문을 통해 모집되었으며 이에 1, 2차 면담을 통한 선정과정에서 6명을 최종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9년 5월부터 2019년 7월 중순까지 주 1회 3시간 30분의 반구조화 형식의 집단미술치료를 10회기 실시하였고, 연구자는 집단의 리더이자 촉진자로 참여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종료 한 달 후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개인 심층면담과 집단 심층 면담을 각 1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참여자 개인에게는 창작을 통한 잠재력 발현을 촉진시키고, 아동기 탐색을 통한 재양육 경험은 양육적 주체자로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양육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은 한 사람으로 존재하는 방법에 다다르게 하였고 그것은 더불어 살아가는 엄마가 되는 삶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hid clients’ mothers raise their children and grow as mothers by exploring the same childhood as their children through group art therapy. This study adopted narrative method to approach to how the exploration of mothers’ childhood changes the mothers as a primary caregiver and what these experiences mea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art therapy center which the researcher runs. The researcher had two interviews with the applicants and 6 participants were finally chosen from the selection process. From May 2019 to mid-July 2019, 10 sessions of semi-structured group art therapy were conducted once a week in the form of 3 hours and 30 minutes, and the researcher participated as a leader and facilitator of the group. One month after the end of group art therap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grou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is study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developed the participants’ potential with creation and reparenting experience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ir childhood, in which brought changes to the participants as a primary caregiver. The experiences of group art therapy aimed at caregivers allowed the participants to reach the place in which they can exist as a person, and it indicated that they advanced to a life of a mom who lives together with her child and others.

      • 공동주택에서 슬라이딩 창호 종류에 따른 기밀성능 및 열성능 비교 평가

        남보라(Nam Bo-Ra),최윤정(Choe Yun-Joeng),신현국(Shin Hyun-Kook),조재훈(Jo Jae-Hun)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0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Heating loss though the window area takes a high percentage about 15∼40% in whole building energy load. Sliding window which have used at residential buildings was more difficult to achieve the tightness than other type window; swing, project, tilt&turn, and system ones. The airtightness improvement of the sliding window will be a great help in increasing the indoor thermal performances. Few detailed study on the performance differents results of sliding window between lab test and field test has been presented. In this paper we choose two kinds of sliding window, the standard one and the developed one, which are installed in general, and discuss the performance of the airtightness and the cold draft using blower door system. Finally, the leakage spot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thermal weakness points of the sliding window.

      • KCI등재

        4개 권역 축산물 판매업소의 원산지 표시실태 및 위생상태 표본조사

        남보라,남정옥,박정민,이라미,구효정,김명희,장은재,서형주,김진만,Nam, Bo-Ra,Nam, Jung-Oak,Park, Jung-Min,Lee, Ra-Mi,Gu, Hyo-Jung,Kim, Myung-Hee,Chang, Un-Jae,Suh, Hyung-Joo,Kim, Jin-Ma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1

        본 조사는 전국의 4개 권역의 쇠고기를 판매하는 도 소매점을 상대로 이루어졌으며, 쇠고기의 위생적 관리와 표시규정의 준수 여부를 주요 항목으로 정하여 실시하였다. 4개 권역의 축산물 판매업소의 규모를 보면 소형영업소의 규모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형영업소와 대형영업소 각각 차지하고 있었다. 비포장 및 포장 쇠고기의 판매 영업소의 항목별 적합여부의 조사 결과는 4개 권역 모두 양호하였으나, 포장육의 조리방법 표시와 보관방법의 표시 등 일부 항목은 잘 지켜지지 않아 영업자들에게 그 필요성이 인식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호남권역의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생 실태에 관련한 항목에서는 조사지역에 관계없이 금속류 및 이물질 검출, 기계 및 기구류의 세척 및 소독, 위생적 보관, 종업원의 장신구 접촉예방 등의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적합률을 나타내었다. 원인으로는 영업자의 식육의 오염에 대한 관념이 부족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정부의 위생과 관련한 안전교육은 위생 관념이 부족한 영업자들에게 시급한 문제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국 축산물 판매업소의 원산지 표시실태 및 위생상태에 관한 모니터링결과로서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품위생과 안전성, 식품표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소비자들 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생산자와 소비자, 식품가공업자 언론, 정부, 학자들이 함께 풀어야 할 복합적인 문제로서 향후 더 많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Expenditure on meat and meat products has been increased in Korea due to the increase of income and the change of diet. From raising farm animals to eating the meat, various hazardous elements can make their ways into the meat and meat products. Recently the issues on food safety and hygiene are drawing a lot of attention, and the current system for managing the safety of foods is still needed to be improved. This survey was aimed to monitor the current situation of country-of-origin labels and hygiene for the meat markets at 4 regions Korea. The survey was performed by collecting samples from whole- sale and retail stores in the nation, which were selling beef. The markets were divided into groups as to territory and the size of the market (Large size, Medium size, and Small size). In terms of size distribution, small butcher shops occupied the highest percentage. On the itemized suitability test of unpacked and packed beef, all the market of 4 regions showed good agreements. However, such labels indicating the methods of cooking and storage were not properly posted on the products. Especially for Ho-nam region, corrections are needed. The results of monitoring sanitation conditions for the butcher shops at 4 regions in Korea showed relatively low suitability. Especially, there were serious lack of knowledge about wearing the sanitation clothing, caps, and shoes. The problem with food safety is so complicated that producer, consumer, food manufacturer, the press, the government, and scholar should solve altogether. It is necessary to educate farmers, food handlers, consumers, etc. and provide them with an accurate information and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