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자궁경부 촬영진 ( New Cervicography ) , 세포검사 그리고 HPV-DNA 검사를 이용한 새로운 자궁경부암 검진 모델 ( Model ) 개발

        김승조(SJ Kim),박찬규(CK Park),이효표(HP Lee),남궁성은(SE Namkoong),강순범(SB Kang),서호석(HS Saw),이재관(JK Lee),김수녕(SN Kim),김재원(JW Kim),배석년(SN Bae),김찬주(CJ Kim),이근호(KH Lee),이선영(SY Lee),김인호(IH Kim),이찬(C Lee),이정노(J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5

        N/A Objective : The false negative rate of conventional cytology is reported to range from 18 to 45%.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ective screening strategies that would ideally be more accurate than conventional cytology.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conventional cytology, cervicography, HPV-DNA testing and their combinations as primary screening techniques for cervical neoplasia.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develop the models and guidelines for screening tools of cervical cancer of the uterus by evaluating sensitivity, specificity and cost-effectiveness of all the screening methods. Study design : We conducted a screening of random sample of wome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B-Gyn. of five different major university hospitals such as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Korea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Yeonsei University Hospital and Pochon CHA University Bundang CHA Hospital, from May 1, 1996 to April 30, 1999. In a cohort women with an age range of 20 to 70 who underwent routine cytologic screening at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Bundang CHA General Hospital and local clinics from April 1, 1996 to Decomber 31, 2000. cervicography (n=417,125) and testing for HPV-DNA (n=1,347) by the hybrid capture assay were studied for the ability of the cervical cancer screeuing. A new cervicography system with Kim's classification which was developed by Prof. Kim Seung Jo as an adjunctive method for the cervical cancer screening was applied in this cohort study. And then, accuracy, effectivencess, cost-effectiveness of the single or combined screening method were analysed. Result :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ap smear were ranged from 55.6% to 83.1% and 72.8% to 88.3% respectively. The combination of Pap smear and cervicography had sensitivity from 89.7% to 98.6%, specificity from 68.2% to 93.2%. With combination of Pap smear, HPV DNA test and cervicography, sensitivity became also highest accuracy among all screening methods from 92.8% to 98.8%. Considering medical charges for diagnosis and social cost occurred by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results, the most cost-effective diagnostic modality was thought to be the combination of Pap smear and cervicography(91,433 won). I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LSIL, colposcopic examination confirmed progression to high grade intraepithelial lesion(HSIL) in 10.7% patients, persistence of LSIL in 55% patients during the 3 year follow-up period. Accuracy of the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and CIN can significantly be improved by cytology with new cervicography rather than cytology alone. We concluded that cervicography can be important adjunctive tests for cervical cytology,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ervical screening by allowing a more sensitive detection of cervical neoplasia.

      • 표식한 HEMA 유사체를 이용한 상아질 부착계면의 STEM/EDS 분석

        에?, 제이 디,한호진,김철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학교실 1997 치과생체재료학 논문집 Vol.5 No.1

        상아질 부착제 계면의 모습과 상아질 표면과 관계하여 부착제의 습윤과 침투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STEM과 EDS로 4종의 상아질 부착체계를 연구하였다. 많은 상아질 부착제 체계에 상용하는 단량체인 HEMA를 황화물 유사체인 HETMA로 변형하였다. HEMA 분자의 골격에서 산소원자를 EDS와 STEM으로 추적할 수 있는 황으로 대체하였다. 이 유사체는 용해도와 습윤성 및 기타 물성이 HEMA와 유사하며 각각 다른 프라이머나 식각제로 전처리한 4 세트의 치아표본에 이유사체를 적용하였다. 3종의 전처리제 (질산, 말레이산 및 구연산)로 상아질 표면에 약 1~3㎛의 탈회부위를 형성하였다. 셋중 뒤의 2종의 전처리제를 사용하였을 때 HET-MA는 이 부위로 자유로이 침투하였으나 질산으로 탈회한 상아질 층은 HETMA에 불투과성 이었다. 4째 전처리제로 인산에스터인 PENTA와 HEMA를 포함하는 알콜성 용액으로 도말층을 약간 변형하였으며 상아질을 탈회하지 않았다. PENTA와 HEMA로 전처리한 표본에 HETMA를 적용하였을 때 상아질과 긴밀한 접촉을 하여 도말층을 변형하였으나 이 부위로 침투하거나 확산하지 못하였다. 각각 다른 체계에서 명확히 일어나듯 상아세관으로 흘러들어갔다. 결론으로 산으로 상아질을 전처리하여 상아질 결합제의 습윤성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상아질 결합체계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주었다.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에서의 수술 전 혈중 종양표지물질 CA-125 농도와 예후인자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병기,강순범,이효표,김낙연,안치석,송용상,김우호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2 No.1

        We evaluated 2l women with endometrial carcinoma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operative tumor marker CA-125 level and the postoperative histologic grade and depth of myometrial invasion, from February 1987 to Februaury 199l. In all patients, the clinical stage was Ⅰ or Ⅱ In histologic grade, serum CA-l25 level was elevated($gt;35 U/ml) in 25.0%(2/8) of patients with G l, 20.0%(2/10) of patients with G2, and 33. 3%(1/3) of patients with G3.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levated serum CA-l25 level and histologic grade, In depth of myometrial invasion, serum CA-125 level was elevated($gt;35 U/ml) in 6.7%(l/l5) of patients with less than half of the myometrium and 66.7% (4~g6) of patients with more than half of the myometrium.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recorded when the tumor had penetrated more than half of the myometrium, Preoperative evaluation of serum CA-125 level could be successfully combined with other techniques in therapy planning of endometrial carcinoma.

      • KCI등재

        난소의 순수융모상피암

        김종혁,최영민,이효표,김필수,김승철,서진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1

        저자들은 1988년 9월 임신과 병합된 난소의 순수융모상피암을 발견하여 수술 및 화학요법을 시행하고 1년간 외래추적중 현재까지 병의 재발없이 지내는 환자를 경험하였으며,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rare case of pure ovarian choriocarcinoma coexistent with a normal pregnancy is presented. In this case, the patient was managed with surgery and combination chemotherapy along with termination of pregnancy by hysterecotomy. Here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겨우암에 있어서 Nucleolar Organizer Regions과 예후인자로서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김병기,최영민,강순범,이효표,송용상,김우호,김종훈,박중신,전혜원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4 No.1

        We evaluated 17 women with normal cervix and 67 women with invasive cervical carcinoma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nical variables of the cervical cancer(age, clinical stage, tumor size,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atstasis,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and nucleolar organizer regions by silver colloid technique with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tissues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86 We calculated the mean number of AgNQRs per cell among 100 cells using an oil immersion lens and classified two groups according to the me number of AgNOR, 1.5(group I$lt;.l.5, group II1.5).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AgNORs in the invasive cervical carcinoma than in the normal cervix(Mean±SEN: 1.20±0.15, 1.65±0.06), The number of AgNORs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tumor size, depth of invasion and clinical st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in invasive cervical carcinoma. So we concluded that the number of AgNOR may be useful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he normal and the malignancy but may not be useful as the prognostic factor of cervical carcinoma.

      • KCI등재

        원발성 난관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 및 p53 유전자 변이 양상

        강순범,이효표,송용상,김재원,박노현,김용범,김은경,이철민,박인애,서원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1986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본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원발성 난관암에 대한 치료를 받은 6예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p53 유전자 변이 여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 및 결론을 얻었다. 1. 환자의 평균 연령은 53세이었으며, 분만력상 모두 경산부이었다. 2. 주 증상은 하복부 동통이 3예, 질 출혈이 2예 이었으며,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도 1예 있었다. 내진상 4 예에서 골반내 종괴를 촉지할 수 있었다. 3. 질세포진검사에서 암이 의심된 경우는 1예에 불과 하였으며, 종양표지물 검사상 5예에서 CA-125 증가 소견을 보였다. 4. FIGO 병기별 분포는 3예에서 Ⅲ기 이상의 진행된 상태이었으며, 동반병소로는 자궁근종이 1예, 자궁내막 증이 1예 있었다. 5. 수술적 처치는 좌측 부속기절제술을 시행받은 1예 를 제외한 전 예에서 자궁적출술 및 양측부속기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3예에서 대망절제술, 1예에서 림프절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수신증이 동반된 1예에서 일측 신장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보조항암화학요법은 4예에서 실시하였으며 1예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6. 추적관찰기간은 9개월에서 118개월로 평균 50개월 이었으며,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는 4예 중 1예는 23개월 만에 재발하였다. 재발 장소는 골반, 대동맥주위 및 쇄골 상부 림프절, 폐, 뇌, 등이었다. 7. p53 단백의 과발현은 4예에서 관찰되었는데, 이 중 2예는 19개월, 84개월 만에 사망하였으며 1예는 재발로 치료중이다. p53 발현이 없던 2예는 치료부터 현재까지 각각 23개월 및 45개월 동안 재발 없이 생존하고 있다. 난관암은 증상이 비특이적이며 다른 암과 감별할 수 있는 진단 방법이 없어 수술 전 진단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상태를 파악하고 수술 및 보조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p53 유전자 변이 여부가 난관암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난관암과 같이 발생률이 낮은 암에 대한 다기관 공동연구 및 등록 사업이 필요하다. Because of the rarity of primary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PCFT),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well know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53 mutant gene expression in PCFT.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records of PCFT trea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87 and 1996, and identified 6 patients with PCFT. The clinicopathological profile was analyzed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53 were done to identify p53 mutant gene overexpression. The mean age was 57.5 years and all 6 cases were multiparous. The most common symptom was lower abdominal pain. The patients were staged as follows according to FIGO (1992): stage Ⅰa, 1; stage Ⅱa, 2; stage Ⅲb, 1; stage Ⅲc, 1; stage Ⅳ, 1. During 50 (9-118) months of follow-up, three patients are alive without recurrence for average 26 months. The p53 staining was positive in 4 cases (67%), and three of them were dead (N=2) or recurred (N=1). In conclusion, primary cancer of fallopian tube was difficult to diagnose prior to surgery. The prognosis was generally poor and the p53 abnormality might be associated with worse prognosis.

      • KCI등재

        자궁경부 종양성 병변의 평가 및 치료에서 환상투열요법 (LLETZ) 의 효용성

        강순범,이효표,송용상,전혜원,박창수,김승욱,신희철,윤보현,김석현,김헌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4

        1993년 7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자궁경부질환으로 서울대학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하여 질세포 진검사 및 질확대경 조준생검에서 이상소견을 보여 LLETZ를 시행한 환자 중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2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상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30대에서 99명(48%)으로 가장 많았으며 환자의 평균연령은 42세이었다. 적응증별로는 각각 질세포진검사 및 질확대경검사에서 상피내종양으로 진단된 경우가 60.2%로 가장 많았으며, 질확대경검사에서 자궁경부 이행대를 관찰하지 못한 경우가 16.0%, 질세포진검사와 질확대경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14.1%, 자궁미세침윤암이 의심되는 경우가 9.7%이었다. 2. 질세포진검사와 LLETZ의 조직학적 진단간에 일치를 보인 경우가 63.2%이었고, 질세포진검사보다 상급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인 경우가 17.9%, 하급의 조직학적진단을 보인 경우가 18.9%이었다. LLETZ 후 조직검사를 기준으로한 질세포진검사와 위음성율은 18.0%이었다. 3. 질확대경 조준생검 후 LLETZ를 시행한 108예중 69.4%에서 조직학적 진단이 완전 일치를, 77.8%에서 한 단계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질확대경 조준생검보다 LLETZ의 조직학적 진단이 상급을 보인 경우가 14.2%이었고, 하급의 진단을 보인 경우가 17.0%있었으며,질확대경 조준생검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미세침윤암 5예, 침윤암 3예가 LLETZ에서 발견되었다. 4. LLETZ 후 병리 조직학적 검사상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및 침윤성 암으로 진단된 136예 중 37.5%에서 절단면 침범여부를 알 수 없었던 경우를 제외한 122예 중 CIN I에서 8.3%, CIN II에서 40%, CIN III에서 31.3%, 미세침윤암에서 64.2%, 그리고 침윤암에서 90.0%의 절단면 침범을 보였다. 또한 절단면 침범이 있었던 51예의 위치를 보면, 자궁경부 외구만 침범된 경우가 11.8%, 자궁경부 내구만 침범된 경우가 58.8%, 양측면 모두 침범된 경우가 13.7%, 그 위치를 알 수 없었던 경우가 15.7%이였다. 5. LLETZ후 합병증으로 경도 혹은 중등도의 급승 출혈이 12.1%있었으나 특별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았다. 중증 만기 출혈이 1.5%가 있었으며 모두 ball electrode를 사용하여 재소작을 시행하였고 입원이나 수혈은 필요하지 않았다. 그 외 감염이나 자궁경부 협착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6. LLETZ후 77예에서 자궁적출술 및 근치적 자궁적출술을 시행하여 잔류병소가 있었던 경우는 26%였는데, CIN III에서 20.5%, 미세침윤암에서 26.9%, 그리고 침윤암에서 45.5%이었으며, 이중 LLETZ보다 더 상급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또한 LLETZ의 조직 절단면이 침범되어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 34.8%에서만 잔류병소가 있었다. 7. LLETZ를 시행하여 상피내 종양으로 진단을 받은 96예 중 자궁적출술을 시행하지 않은 59예를 대상으로 세포진검사 및 질확대경을 이용한 추적 검사하여 91.5%의 성공률을 얻었는데, CIN I에서 93.3%, CIN II에서 100%, 그리고 CIN III에서는 90.2%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LLETZ는 질확대경 조준생검보다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고 특히 질확대경 조준생검에서 간과될 수 있는 미세침윤암이나 침윤암을 발견할 수 있으며, 또한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및 양성질환의 치료에 있어 기존의 국소파괴요법과 원추절제술을 대신할 수 있으며 배우기도 쉽고, 안전하며 합병증도 적어 향후 광범위한 이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Large loop excision of the transformation zone(LLETZ) is a new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 for management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icacy of LLETZ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bnormal cervical lesions. Two hundred six patients with abnormal cervical cytology were treated with LLETZ under local anesthesia as outpatients from July, 1993 to June, 1994. Histological comparison between the cervical cytology and LLETZ specimens showed 63.2%(130/206) of concordance rate. Histological comparison between the colposcopic biopsies and LLETZ specimens showed agreement with only 69.4%(75/108) of cases illustrating identical degrees and 79.2%(84/108) within one degree difference. The margin involvement of LLETZ was seen in 37.5%(51/136) but the residual lesion after hysterectomy was only seen in 34.8%(16/46). Severe delayed vaginla bleeding was seen in 1.5%(3/28) but there was no other serious complication. LLETZ was used as the conservative tratment method in 59 patients with CIN, and the success rate is 91.5%. In conclusion, LLETZ is an effective, quick and reliable procedure on accurate diagnosis of cervical pathology and conservative treatment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 KCI등재

        Platinum제제를 기본으로 한 화학요법 후 재발한 난소암 환자에서 Taxol 포함 항암요법의 효용성

        강순범,이효표,송용상,김재원,박노현,김용범,이철민,김미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난소암은 조기진단이 어려워 진단 당시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종양감축술 후 platinum 제제를 기본으로 한 항암화학요법이 표준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치료 후 재발된 난소암과 치료 중에 나타나는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난소암의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Taxol등을 비롯한 새로운 약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저자들은 platinum 제제를 기본으로 한 화학요법 후 재발하거나 저항성이 있는 난소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Taxol을 포함한 항암요법의 치료 효과 및 부작용을 연구함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1994년 4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진행성 난소암으로 platinum 제제를 기본으로 한 화학요법 치료 후 재발하거나 저항성이 있는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platinum 반응군은 11명, platinum 저항군은 20명이었다. Taxol은 cisplatin 혹은 carboplatin과 병합한 경우는 135 mg/m2를, Taxol 단독요법을 시행한 경우는 175 mg/m2를 24시간 동안 정맥 주사하였으며 매 3주마다 반복하였다. 치료 결과의 평가는 매 cycle마다 종양 표지 물질로서 CA-125 및 CEA를 측정하여 변화 추이를 관찰하였으며, CT나 MRI는 화학요법 시작 전과 끝난 후에 시행하였고, 치료에 대한 반응 및 부작용은 GOG 기준을 적용하였다. 평균 7.4회(3∼12회)의 항암화학요법 후, 9명이 완전관해, 2명이 부분관해를 보여 전체 반응률은 35.5%(11/31)이었으며, Platinum 반응군은 54.5%(6/11), platinum 저항군은 25%(5/20)의 반응률을 보였다. 전체 환자의 추적검사 기간은 13.4개월(3∼40개월)이었고 치료반응 기간은 10.1개월(1∼22개월)이었으며, platinum 반응군은 15.5개월(11∼22개월)이었고 platinum 저항군은 8.3개월(1∼16개월)이었다. Grade 3 이상의 과립구 감소증이 20%에서 나타났고, 이 중 1예에서는 감염에 의한 고열 증상이 있었다. Grade 3 이상의 간독성은 8%, Grade 3 이상의 소화기계 부작용은 8%이었으며 기타 다른 Grade 3, 4 독성은 발생하지 않았다. Taxol을 포함한 항암요법은 진행성 난소암에서 platinum 제제를 기본으로 한 화학요법 후 재발하거나 치료에 실패한 환자들의 일부에서 유용한 치료법이다. 그러나 cisplatin 저항군에서는 반응군에 비해 효과가 낮았으며,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Second-line Salvage chemotherapy with Taxol Containing Regimen in Recurrent or Refractory Ovarian Carcinoma after Platinum-Based Chemotherapy.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Taxol containing regimen used as a salvage therapy. Methods: Between April 1994 and October 1997, 31 patients aged 20∼70 years (median 53) with recurrent or refractory ovarian carcinoma were given Taxol-containing regimen. Taxol was administered at a dose of 135 mg/m2 intravenously with cisplatin or carboplatin every 3 weeks. The patients who treated with Taxol only were received 175 mg/m2 intravenously with same interval. The median treatment cycle was 7.4 cycles (range, 3 to 12 cycles). Patient`s response were evaluated with tumor marker (CA-125) and CT or MRI before and after chemotherapy. Responses and toxicities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Gynecologic Oncology Group criteria. Result: The overall clinical response rate was 35.5% (11/31), including 9 complete response (CR) and 2 partial response (PR). Better response was observed in patients who had response with prior platinum based chemotherapy (6/11, 54.5%) than who did not (5/20, 25%). The median duration of follow up was 13.4 months (range, 3 to 40 months) and the median progression free interval was 10.1 months (range, 1 to 22 months); 15.5 months (range, 11 to 22 months) in platinum sensitive group and 8.3 months (range, 1∼16 months) in platinum resistant group. The most common and dose limiting toxicity was neutropenia, and grade 4 toxicity occurred in 10% of courses. Conclusion: Taxol containing regimen is useful combination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reviously platinum-sensitive patients with acceptable toxicity, but has limited role in chemo-refractory cases. Further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are required to assess the optimal role of this drug in the management of ovarian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