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암 원발병소와 전이림프절에서 p53 변이유전자의 발현 및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상태에 관한연구

        이효표,박노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자궁경부암의 발생에는 HPV가 관여하는 것으로 강력히 의심되고 있으며 특히 고위험 HPV 16과 18형의 E6단백질과 p53과의 상호작용이 발암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자궁경부암에서 HPV type 16/18감염과 p53유전자 발현 및 변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들에서 HPV감염과 p53유전자변이 사이의 역상관 관계 여부에 대하여 난란이 있으며 또한 자궁경부암 진행과 전이과정에서 p53 관여 여부도 관심사항 이었다. 본 연구는 림프절 전 이가 없는 환자 20명의 원발병소와 림프절 전이가 있는 자궁경부암 환자 20명의 원발병소와 전이림프절조직을 이용하여 HPV type 16과 18 감염을 PCR로 검색하였으며 면역조직학적 검사와 PCR-SSCP을 이용하여 p53 유전자의 발현이상 및 점변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HPV 감염과 p53 유전자의 발현이상 및 점변이와의 상관관계, 원발병소와 전이병소 사이에서의 이들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진행 및 전이과정에서의 p53의 역할을 알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고위험성 HPV 16 과 DNA가 각각 70%(14/20), 0%(0/20)씩 검출되었으며 전이병소에서는 각각 55%(11/20)와 0%이엇다. 전이병소에 HPV 감염이 있는 경우 모두에서 일차병소에 HPV DNA가 확인되어 자궁경부암과 HPV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었다. 림프절 전이가 없었던 환자군의 원발병소에서 P53 발현율은 20% 전이가 있었던 환자의 원발 병소에서는 50%로 진행과정에서의 관련성을 시사하였다. 림프절전이가 있는 환자군의 원발 병소와 전이병소 사이에 p53 발현율의 차이가없었으나, 원발병소 p53단백의 과발현이 없었던 6예에서 전이병소가 있는 일차병소에서 면역조직화학검사상 양성 12예중 대부분은 암세 포의 10% 내외에서만 p53발현이 되었으며, PCR-SSCP에 의한 p53유전자 변이율은 2예에 불과하였다. 전이림프절에서도 p53 단백 과발현이 있었던 12예중 1예에서만 PCR-SSCP에서 양성소견을 보였다. PCR-SSCP를 이용한 p53 exon 5-8의 점변이 검색에서 낮은 민감도를 보인 것은 파라핀포매조직에 정상조직이 포함된 것, p53변이가 있는 세포의 비율이 낮은 것 등이 중요한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일차병소와 전이병소 모두에서 p53단백의 과발현과 HPV 감염사이의 역상관 관계가 없었으며, 따라서 p53유전자 변이는 HPV에 의한 p53기능 소실과는 독립적으로 자궁경부암의 진행 및 일부 전이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53 gene located on chromosome 17p13 acts as a tumor suppression gene and encodes a 53kd nuclear phosphoprotein composed of 393 amono acid. p53 has been implicate in controlling cell cycles progression at the G1-S transition and absence or mutant of p53 gene is related to tumor progression by entering S-phase before repairing DNA damage . In cervical cancer, inactivation of p53 theoretically could occur by two mechanisms. The E6 transforming protein of oncogenic human papillomavirus(HPV) binds to and promotes the degradation of p53, or the mutation of the p53 gene could result in its inactivation.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haracterize p53 mutations and HPV infection status in the primary site and metastatic lymph node,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role of the p53 gene in the advance and metastases of cervical cancer. This study included 40 stage I/II cervical cancer patients , 20 of whom had no lymph node metastases, and remaining 20 patients had more than 3 metastatic lymph nodes. They initially received radic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at the Seoul Nati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89 to 1990. paraffin embeded tissue blocks of primary cervical cancer and metastatic lymph node were obtained from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es, and only primary cervical cancer tissue were obtained in patients without node metastases. THe PCR and Southern blotting were used for the detection of HPV 16/18 DNA. the applied methods for detection of p53 mutation was immunohistochemisty(IHC)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single st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PCR-SSCP)after amplification of single exon suquence by PCR, from exons 5 to 8 of the p53 gene. Among 20 patients with no lymph node metastases, only 4 had positiv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53. In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es, 10 of 20 primay site samples and 12 of 20 metastatic lymph node samples showed positive results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mong cases with lymph node p53 overexpression, 6 cases had pregative p53 staining in the primary site. In PCR-SSCP analysis, mutations were found in only two cases of primary site and one sample from metastatic lymph node in patients with nodal metastases.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p53 overexpression and HPV DNA positive was not found. HPV status in primary and metastatic site strongly suggest that HPV i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The acquisition of p53 mutations is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and some cases of metastases irrelevant to HPV infection in cervical cancer.

      • KCI등재

        난소의 악성혼합중배엽성종양 1 례

        이효표,김종훈,김기철,최두석,황도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9

        난소의 악성혼합 M ller종양은 매우 희귀한 난소종양으로,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주로 발생하며, 그 예후가 매우 치명적이고 진단 당시 이미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본원 산부인과에서는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malignant mixed m llerian tumor로 진단한 1례를 경험하여 현재 수술 후 CYVADIC 항암제 요법을 시행중이며, 종양 표시물질인 CEA, CA-125 등으로 경과 관찰중이다. 앞으로 환자의 치료 결과 및 합병증, 예후 등에 관하여 자세히 고찰해보기에 앞서 매우 희귀한 증례이므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alignant mixed mesodermal (Mullerian) tumor of the ovary is a rare neoplasm which, since the 1950s, has been recognized clinically and pathologically as an entity distinct from immature teratoma and teratocarcinoma. The reported series of mixed mesodermal tumor have been small, but they have stressed the occurrence of these neoplasms in postmenopausal, often nulliparous women. At diagnosis, the tumor usually advanced stage, and the clinical course is rapidly fatal. Histologically, the tumor is composed of pluripotent epithelial and variable mesenchymal derivatives fo mesoderm. The authors had experienced one case of malignant mixed mesodermal tumor. So we report above case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여성 자궁경부 조직에서 분리된 인유두종 바이러스 16형의 상류전사 조절 부위 유전자 서열 변이 분석

        이효표,전혜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자궁경부암의 발생에는 고위험 HPV 감염이 가장 중요한 원인인자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70여 종의 HPV 형(type) 중에서 특히 HPV 16형은 자궁경부암에서 가장 흔히 검출되는 바이러스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동일한 형의 HPV라도 유전자 다양성에 따라 생물학적 특성이 다르며, 인종 및 지역에 따라 감염된 유전형과 특정 유전형의 변이주 종류가 다르다고 알려져 있어 이러한 차이가 지역에 따른 암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가 의심되고 있다. 본 연구는 HPV 16형 감염이 확인된 자궁경부암 조직 70예와 정상 자궁경부 조직 43예를 대상으로 PCR-direct sequencing법을 이용하여 HPV 16 URR enhancer 부위 염기서열 변이를 확인하고, 두 군 사이에 변이주의 분포 및 빈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기존에 알려진 전사조절인자 결합 부위와 염기서열 변이가 일치하는지를 알아보았고, 변이 여부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한국인 여성의 자궁경부 조직에서 유래한 인유두 종 바이러스 16형의 URR enhancer 부위에서 모두 11 개의 염기서열 변이가 확인되어 3.0%의 염기서열 다 양성을 보였으며, 염기서열 변이가 한 개 혹은 다섯 개있는 8종류의 변이주가 발견되었으며, 그 중 7797 번의 변이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는 새로운 변이이 었다. 자궁경부암 조직에서는 70예 중 68예(97.1 %) 에서 모두 8종류의 변이주가 발견되었으며, 정상 자 궁경부 조직은 43예 중 39예(90.7%)에서 7종류의 변 이주가 발견되어 원형보다 오히려 변이주가 주된 HPV 16형이었다. 7519번, 7728번, 7779번, 7840번의 염기서열 변이가 있었던 변이주가 두 군 모두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었다. 7519번, 7728번, 7797번과 7840번에 변이가 있었던 변이주는 자궁경부암 조직 에서만 발견되었지만, 그 외 변이주는 그 발생 빈도 및 분포에서 자궁경부암 조직과 정상 자궁경부 조직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미 알려진 전사조 절인자 결합 부위 염기서열 변이는 모두 4개가 발견 되었으며, YY1 결합 부위가 두 개로 4종류의 변이 주가 해당되었으며, TEF-1 결합 부위가 두 개로 2종 류의 변이주가 해당되었다. YY1 결합 부위 변이 여 부와 자궁경부 침윤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 으나(p<0.05) 그 외 연령, 임상병기, 조직학적 분류, 종양의 크기 및 임파절 전이 여부와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TEF-1 결합 부위 변이 여부도 예후 인자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정상 자궁경부 조직에서도 자궁경 부암 조직과 유사한 HPV 16 URR enhancer 부위 변 이주가 발견되므로, 발견된 변이주가 더 큰 암화능을 갖는 것 같지는 않으나 전사조절인자 YY1 결합 부위 변이가 있는 한 종류의 변이주는 자궁경부암 조직에 서만 발견되어 일부 자궁경부암 발생에 YY1의 음성 전사조절기전 변화가 관여하리라는 추정을 하게 한 다. 이런 염기서열의 변이는 서로 다른 생물학적 기 능을 나타낼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추후 염기서열 변화에 따른 생물학적 특성의 차이를 규명하여 자궁경부암 발생 과정 및 예방, 치 료를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더 많은 검체를 대상으로 E6 혹은 E7 등의 다른 유전자 부위에서의 염기서열 변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human papillomaviruses (HPV), especially type 16 and type 18 are the primary causal agent for the development of invasive cervical cancer and its precursor lesions. Although the mechanisms by which HPV acts to transform cells are still not completely understood,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virus and host cell seem to determine the biologic course of cervical cancer. In Korea, 50∼60% of the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have been associated with HPV 16. Recently phylogenetically distinct HPV 16 variants that differ from the prototype HPV 16 sequence have been identifi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m in carcinogenesis is being studied. The upstream regulatory region (URR) does not encode for proteins, but it contains a complex array of overlapping binding sites for many different transcriptional factors and their genomic sequences usually diverge more than coding regions. We were analyzed to detect HPV 16 URR enhancer region variants in Korean women and to determine whether risk of cancerous lesion was associated with HPV 16 variants. Cervical tissues were taken from the women with cervical cancerous (N=125) and normal cervical biopsies (N=307). Of the HPV 16 infections detected in 70 cervical cancerous tissues and 43 normal cervical tissues, 56.0% and 14.0%. We amplified by nested-PCR and sequenced a 364-bp noncoding segment of the HPV 16 genome (nucleotide 7458∼7841). By direct sequencing of PCR product, a total of 11 point variations that differed from prototype HPV 16 sequence was detected in various combinations, giving rise to 8 distinct types of variants. Of the HPV 16 URR variants detected in 68 cervical cancerous tissues and 39 normal cervical tissues, 97.1% and 90.7%. In addition, four transcriptional factors binding sites (TEF-1, 2; YY1, 2) were found to be mutated; nucleotide 7797 variation was found in only cervical cancerous tissues. Variants of an YY1 binding site in cervical cancerous tissues were correlated to depth of invasion not to age, stage, tumor size, histologic type, and nodal metastasis. Variants of a TEF-1 binding site were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clinicopathologic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RR variant is not a mutation that occurs during disease progression in susceptible individuals but is a distinct virus isolate of HPV type 16. The association with cervical cancer suggests that either the mutation may also influence the oncogenic properties of the HPV type 16 variant or that the base change is a marker of other mutations within the virus genome that may increase its oncogenicity. To trace the transmission route and natural history of HPV-associated disease, more than one gene segment` strategy using a highly variable one as a genetic marker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자궁경부암에서 유식세포분석에 의한 DNA양상과 임상적 특성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이효표,김종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5

        본 연구자들은 자궁경부암에서 유식세포분석기에 의한 DNA양상의 분석결과와 임상적 예후 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1985년 1월부터 1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자궁경부암의 진단 아래 입원하여 항암요법이나 방사선치료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수술후 파라핀 포매조직에서 암조직을 채취하였고, 치료후 비교적 추적관리가 잘 이루어진 환자 56명을 대상으로 하여 유식세포분석기에 의해 DNA 양상을 분석하였고, 이들의 임상적 병기, 연령, 조직학적 진단, 종양의 크기, 자궁경부의 침윤정도, 재발여 부 및 무병생존률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 자궁경부암의 세포주기의 양상중 휴지기와 분열기는 임상적 병기에 따라 변호가 없었으며, 합성기 및 상대 DNA 지수는 임상적 병기가 진행된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다. 2. 비배체성 종양의 발생빈도는 임상적 병기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4). 3. 비배체성 종양의 발생빈도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21). 4. 각질화군과 비각질화군 사이의 비배체성 종양의 발생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선형세포암에서 평평상피세포암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P=0.006). 5. 종양의 크기를 장축의 길이가3cm 이상인 군과 미만인 군으로 나누어 비배체성 종양의 발생빈도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gt;0.5). 6. 임파절 전이유무에 따른 비배체성 종양의 발생유무는 임파절 전이가 있었던 경우에서 72.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P=0.034). 7. 자궁경부의 침윤정도에 따른 비배체성 종양의 발생빈도는 mid 1/3을 침윤한 경우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1). 8. 자궁경부암 Ib기 이상의 경우에서 수술후 5년간 추적검사가 이루어졌던 경우에서 재발이 있었던 군은 재발이 없었던 군에 비하여 비배체성 종야의 발생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3). 9.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경우 5년 무병생존률을 비교한 결과 비배체성 종양의 발생을 보였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재발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P=0.016)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자궁경부암의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임상적 요소 및 조직학적 요소와 함께 유식세포분석기에 의한 DNA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자궁경부암의 악성화 정도와 치료방 침의 결정, 또 그 예후를 판정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In Korea, cervical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of the women. But the pathophysiology and prognosis of the cervical cancer is not well known. Several different classifications have been proposed through the years but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that has been adopted by FIGO is now widely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rapeutic modalities and prognosis. And it is the most helpful prognostic factor in predicting survival. We can not know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ervical cancer precisely by the histological findings alone. So many investigators have been studying to find the other prognostic factors. 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biology, the DNA patterns of many malignant tumors are well known. But in cervical carcinom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patterns of cervical cells are not investigated fully.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NA patterns by flowcytometry and the prognosis of cervical carcinoma. The subjects were 56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86 under the diagnosis of cervical carcinoma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subjects prior to radiotherapy or chemotherapy and follow up study were carried out for a period of 5 years. And the author examined the DNA patterns of the tissues in the paraffin embedded tissues after surgery, and observed the relations among the flowcytometric DNA patterns, clinical stage, age, histopathological findings, primary tumor size, cervical invasion depth and lymph node metasta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phase and relative DNA index increased in stage Ia, Ib, IIa, IIb compared to those of stage 0 (P$gt;0.5). 2. The incidence of aneuploidy tum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stage and age of patients (P=0.04, P=0.021).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quaumous cell carcinoma and adenocarcinoma but no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s with keratinizing cell type and non keratinizing type.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metastasis to lymph node (P=0.034). 5. The incidence of aneuploidy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current group (P=0.006). 6. In the aneuploidy group, 5-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was lower than that of diploidy group (P=0.006).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ect of treatment in cervical carcinoma and its prognosis can be more precisely predicted by DNA patterns by flowcytometry with other clinico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