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rukenberg 종양 32예의 임상병리학적 연구

        김종혁,남주현,나준희,김봉희,김병식,허주령,김용만,김영탁,목정은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1989년 6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 및 일반 외과에서 진단 받고 치료받은 Krukenberg 종양 환자 32예의 임상병리학적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진단 당시의 연령, 임상 증상 및 증후, 암의 원발 장소, 원발암 진단과 Krukenberg 종양의 진단까지의 기간, 병리적 소견, 치료법 및 생존 기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본원에서의 전체 난소의 악성 종양 중 Krukenberg 종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10.7%로 나타났다. 환자들의 연령은 23∼55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연령은 39.9[±8.0]세 이었고 약 반수의 환자가 40세 미만이었다. 복통이 가장 흔한 주소였으며 복부 종괴 촉지 혹은 복부 팽만이 다음으로 많은 주소로 나타났다. 원발암의 장소로는 위가 30예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나머지 2예에서는 원발 병소를 찾지 못하였다. 46.9%의 환자에서는 Krukenberg 종양의 진단 전에 원발 병소의 진단이 가능하였다. 육안적으로 대부분의 종양은 큰 종괴를 형성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평균 최대 직경은 10.4 cm에 해당되었고 59.4%의 환자에서 양측성의 발생을 보였다. 현미경적으로 모든 종양은 특징적인 signet-ring 세포를 포함하고 이들의 광범위한 기질 침윤을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다. 대다수의 환자에서 전자궁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을 포함하는 종양 감축술을 시행되었으며 19명[59.4%]의 환자에서 PF[cisplatin 5-FU], EF[etoposide 5-FU], PEF[cisplatin epirubicin 5-FU] or EAP[etoposide adriamycin cisplatin]의 항암화학요법이 추가로 실시되었다. 환자들의 중간 생존 기간은 14.7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51.5%[survival standard error ; 0.099], 2년 생존율은 27.8%[survival standard error ; 0.132]로 나타났다. 결론 Krukenberg 종양은 난소로의 전이성 종양의 희귀한 한 형태로 알려져 있으나 본원에서 전체 악성 난소 종양 중 차지하는 비율이 10% 이상으로서 서양과 비교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발 장소로는 위가 대다수이었으며 수술적 요법과 항암화학요법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32 patients with Krukenberg tumor diagnosed and treated in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from June 1989 to May 1998. Methods Age distribution, symptoms and signs, primary site of tumor, pathologic findings, mode of therapy and survival of patie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patients with Krukenburg tumor constituted 10.7% of all ovarian malignancy patients encountered during this period.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23 to 55 years[mean±S.D. ; 39.9±8.0] and about half of patients were younger than 40. Abdominal pain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ing symptom, palpable mass or abdominal distension being the second. Tumors tended to be large with maximal diameter of 10.4 cm[mean] and showed 59.4% of bilaterality. In 30 cases, the stomach was the primary site and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in the other 2 cases. Fifteen[46.9%] were known to have [primary] tumors before they presented with ovarian metastasis. Microscopically, all tumors were of classic typ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signet-ring cells and a diffuse stromal reaction. Most patients were treated by surgical debulking including tot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phorectomy with or without omentectomy. Nineteen[59.4%]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with regimens such as PF[cisplatin 5-FU], EF[etoposide 5-FU], PEF[cisplatin epirubicin 5-FU] or EAP[etoposide adriamycin cisplatin]. The estimated two-year survival rate was 27.8%. Conclusion Krukenberg tumor is known to be a variant of metastatic ovarian carcinoma. However, the proportion of this tumor to all ovarian malignancies was over 10% in our institute and the prognosis remains extremely poor despite of surgery and chemotherap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GnRH 유사체가 이식된 난소암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승조,이헌영,김진우,남궁성은,김대훈,나종구,정병헌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12

        누드마우스에 호르몬 의존성 종양인 난소암 세포주를 피하조직과 복강내 이종이식 후 D-Trp GnRH를 투여하여 종양성장억제, 종양형성 및 조기 억제에 대한 GnRH 유사체의 효과를 분석하고 CA-125 분비능, 복수형성, 장기전이 및 자연 살해 세포 활성도에 미치는 GnRH유사체의 효과를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소암 세포주를 누드마우스에 이식시킨 후 GnRH 유사체 투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종양 성장억제 및 종양형성의 조기억제효과를 보았다. 2. 누드마우스 복강내에 난소암 세포주를 이종이식 후 GnRH 유사체 투여시 복수형성 및 장기전이의 억제효과를 보았다. 3. 난소암 세포주를 누드마우스에 이종이식 후 GnRH 유사체 투여시 GA-125의 분비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GnRh 유사체 투여시 난소암조직의 광학현미경 관찰결과 현저한 cellularity 감소와 fibroblastic stroma의 증가소견을 보았다. 5. 누드 마우스에서 GnRH 유사체 투여시 자연 살해세포 활성도 증가를 보았다. 이상의 결과로 GnRH 유사체는 호르몬 의존성인 난소암의 종양성장, 종양형성, 복수형성 및 장기전이를 억제하였으며,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를 증가시킨 바, GnRH 유사체가 난소암의 새로운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GnRH 수용체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Human ovarian epithelial carcinoma cell lines were heterotransplanted in female nude mice and growth was evaluated in intact and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alogue [D-Trp^6]treated mice. We observed following valuable results. 1. Chronic administration of GnRH analogue to mice bearing measurable ovarian carcinoma significantly decreased tumor volume compared to control group. 2.Early administration of GnRH analogue to mice after injection of tumor cells showed significant early inhibitory effect on tumor formations. 3. Administration of GnRH analogue to mice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tumor cells showed inhibitory effect on ascites and multiple visceral tumor formation. 4. Mice serum CA-125 level showed decreasing tendency in GnRH analogue-treated mice group, but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5. Morphological difference including remarkably reduced in cellularity and increased in fribroblastic stroma was found on tumors developed in GnRH analogue-treated group. 6. Administration of GnRH analogue to mice increased the natrual killer cell activity compared to control group. Regression of ovarian tumors in nude mice in response to chronic administration of [D-Trp^6] suggests that this compound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new therapeutic possibilities toward the control of neoplastic ovarian growth in women.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난소의 내배엽동종양 8 예에 관한 임상적 고찰

        김승조,김진우,남궁성은,김세일,박래옥,정병헌,차정일,안광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1

        1983년 1월부터 1991년 8월까지 만 8년동안 병리조직검사에서 난소 내배엽동종양으로 진단된 8예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배엽동종양의 평균연령은 23.2세이고 전 종양의 82.5%가 29세이하였다. 2. 내배엽동종양의 평균 크기는 13.5cm였으며, 최대직경은 7cm부터 16cm까지 다양했다. 3. 내배엽동종양의 편재성은 없었으며 양측에는 2예(25%)에 불과했다. 4. 임상주소는 복부종괴 촉지가 4예(50%)로 가장 많았으며 복부동통 및 불편감, 복부팬망감의 빈도순이었다. 5. 병력기간은 5개월이하가 6예로 전체의 75%를 차지했다. 6. 규칙적 월경력의 경우 전체 8예중 7예(87.5%)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7. 내배엽동종양의 병기별분포는 제 1기는 3예(37.5%), 3기는 5예(62.5%)였다. 8. 치료방법은 일측 부속기절제술 및 수술후 화학요법으로 4예(50%), 전자궁적출술 및 수술후 화학요법은 2예였다. 9. 수술후 화학요법은 주로, VAC 및 VBP regimen를 이용했다. 10. 내배엽동종양 전 예에서 AFP의 증가를 볼 수 있었고 수술 전 평균값은 437 ng/ml였다. 11. 사망한 예는 4예로 그들의 진단시부터 사망시까지 평균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다. Endodermal sinus tumor is very rare tumor and highly malignant tumor. Germ cell tumor may occor in both gonad and extragonadal tissue in young women. It`s germinal origin was first reported by Telium and histogenetically became more understandable. We clinicopathologically studied 8 cases of Endodermal sinus tumor that were submitted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M.C., Seoul, Korea, during 8 years from 1983 to 1991.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Endodermal sinus tumor (E.S.T) was 23.2 years, and 7 cases (87.5%) were under the age of 29 years. 2. E.S.T showed mean size of 13.5 cm in maximal diameter. 3. No site predirection was identified with bilaterally 2 cases (25%). 4. Clinical symptoms were abdominal palpable mass, abdominal pain with discomfort, abdominal distension in order. 5. The symptom duration of patients before diagnosis of E.S.T was less thatn 5 months in 6 cases(75%). 6. Major menstrual type was regular menstruation. 7. By stage, 5 were in stage Ⅲ, and 3 in stage Ⅰ. 8. Half were managed by unilateral adnexectomy with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both adnexectomy followed by chemotherapy in 2 cases. 9. All cases of E.S.T were associated with specific tumor marker, α-fetoprotein (AFP), its mean level (preoperative state) was about 437 ng/ml. 10. Mean survival time of 4 patients who died of E.S.T. from first diagnosis until death was 10 months or so.

      • 비전센서를 이용한 머플러 TWB 레이저 용접에서의 실시간 용접선 추적 및 품질검사 연구

        유보현(BH Ryu),김용(Y Kim),박기영(KY Park),이경돈(KD Lee),김석진(SJ Kim)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5 No.1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fundamental study to apply tailor welded blank technique into automotive production process. Specially we tried to apply the TWB technique to exhaust system. Seam tracking and inline monitoring method using laser vision sensor were studied in this paper. Seam tracking process has to be operate at the same time with laser welding becaus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correcting the beam path error prior to shooting the laser beam.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quality monitoring, it is the most important to define the defects on laser butt welding process. Therefore, in In this study, we were selected the suitable system for performing the seam tracking and quality monitoring by defined functions. After the verification of the performance was carried out through a basic experiment for the selecte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