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산 밀 품종 및 제분율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심은영,이석기,우관식,김현주,강천식,김시주,오세관,박혜영,Sim, Eun-Yeong,Lee, Seuk Ki,Woo, Koan Sik,Kim, Hyun-Joo,Kang, Chon-Sik,Kim, Si Ju,Oh, Sea-Kwan,Park, Hye-You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5

        본 연구는 국내산 밀 품종에 따른 제분율 별로 밀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원료곡의 탄수화물은 70% 제분율의 금강밀, 백중밀이 78.37, 78.16%로 가장 높았다. 밀의 품종 및 제분율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검정한 결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 환원당, 알코올은 각각 $10.94{\sim}12.33^{\circ}Brix$, 2.89~4.71%, 14~15.97% 범위를 나타냈으며 백중밀 70% 제분율에서 알코올 15.97%, 환원당 4.71%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밀 막걸리의 glucose 함량은 159.4~560.7 mg%의 범위를 보이며 원료 밀 대비 상당량 증가하였고 그 외 mannitol과 arabinose도 존재하였다. 밀 막걸리의 유기산 분석에서, 유산균에 의한 대사산물인 lactic acid는 85.3~650.3 mg%의 분포를 나타내며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제분율 증가에 따라 그 함량도 증가하였고 제분율별 품종 비교에서는 조경밀이 가장 높았다. 밀 막걸리의 품질 관련인자의 상관성 분석에서는 원료곡의 단백질 함량은 밀 막걸리의 총산, 환원당과 부의 상관을 보였고(p<0.001), 원료곡의 탄수화물 함량은 밀 막걸리의 총산, 환원당(p<0.001) 및 알코올 함량(p<0.05)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알코올, 환원당 함량과 정의상관을, pH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밀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 비교 시 70, 85% 제분율에서 품종과 제분율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85% 밀가루도 막걸리용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품종과 제분율에 따라 함유하는 유리당과 유기산 등 여러 가지 품질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원료의 선택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Makgeolli (WM), a traditional Korean cereal alcoholic drink, using three varieties of wheat, namely Jokyoung (JK), Baegjoong (BJ) and Keumkang (KK). Samples of WM brewed from 100%, 85% and 70% milling rates of the three Korean wheat cultivars were analyzed for alcohol, pH, coloring degree, total acids, soluble solid, free sugars, and organic acids. As the milling rates in wheat decreased, total sugar content in WM increased while the pH of all samples decreased. The WM exhibited 0.95~1.27% in acidity, $10.2{\sim}12.5^{\circ}Brix$ in total sugar, and 14~16% in alcohol content. The most organic acids in WM was lactic acid, ranging in all the samples from 85.3~650.3 mg%. The results showed that BJ under a 70% milling rate had the highest reducing sugar contents and 15.97% in alcohol content. The carbohydrate content increased with the milling rate of wheat. Resulting in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bohydrate content of wheat and total acids, reducing sugars (p<0.001), and alcohol content (p<0.05) in WM. Total sugar conten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cohol and reducing sugar content (p<0.001). Considering the yield, the milling rates will be adjusted to raw material prices.

      • KCI등재

        음료 개발을 위한 가공용 쌀의 수화, 호화 및 당화특성 비교

        신동선,최예지,심은영,오세관,김시주,이석기,우관식,김현주,박혜영,Shin, Dong-Sun,Choi, Ye-Ji,Sim, Eun-Yeong,Oh, Sea-Kwan,Kim, Si-Ju,Lee, Seuk Ki,Woo, Koan Sik,Kim, Hyun-Joo,Park, Hye-You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5

        쌀음료베이스 개발을 위한 품종별 가공용 쌀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국내산 쌀 7종(삼광, 일품, 설갱, 안다, 다산1호, 고아미4호, 단미)과 수입쌀 3종(미국쌀, 중국쌀, 태국쌀)을 대상으로 수화, 호화 및 당화 관련 특성을 살펴보았다. 품종별쌀의 수분함량은 11.88~15.26% 범위로 나타났으며, 수분흡수율은 안다, 미국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분결합력은 태국쌀이 가장 높았으며, 단미, 고아미4호 및 설갱은 낮은 수분결합력을 나타내었다. 용해도는 10종의 시료 중 단미가 월등히 높은 26.6%를 나타내었으며, 팽윤력은 설갱, 안다, 미국쌀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품종별 쌀가루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고아미4호와 태국쌀이 가장 높은 반면, 단미가 가장 낮았다. RVA를 측정한 결과, 호화온도는 단미와 고아미4호가 각각 $91.6^{\circ}C$와 $78.5^{\circ}C$로 가장 높았고, 그 외 품종은 $68.0{\sim}71.1^{\circ}C$로 나타났다.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다산1호가 가장 높았고, 단미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치반점도는 일품과 미국쌀이 낮게 나타나, 노화가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쌀, 수침처리 쌀, 건식쌀가루, 습식쌀가루로 가공용 쌀 전처리를 달리하고, 수침시 흡수되는 수분량을 고려하여 물을 첨가하고, 고온용 ${\alpha}$-amylase 처리 후 당화특성을 비교하였다. 당화액의 pH는 일품을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습식쌀가루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대부분 수침처리한 것보다 수침처리하지 않는 것, 쌀보다는 쌀가루의 효소처리가 더 효과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 함량은 전처리 방법에 따라 수침처리하지 않는 것보다 수침처리한 것, 쌀보다는 쌀가루가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p<0.05). 색도는 L값의 경우 고아미4호를 제외한 대부분 품종에서 쌀보다 수침처리한 쌀이 낮은 값을 보였다. a값은 수침처리하지 않는 쌀과 습식쌀가루에서 낮은 값을 보였으며, b값은 쌀보다 수침처리한 쌀, 건식쌀가루보다 습식쌀가루가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쌀을 원료로 한 음료베이스 개발을 위해서는 원료곡의 호화, 액화 및 당화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인자와 품종별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d the hydration, gelatinization, and saccharification properties of rice processing for beverage development. The properties of rice were studied on 10 rice cultivars (Samkwang, Ilpum, Seolgaeng, Anda, Dasan-1, Goami-4, Danmi, American rice, Chinese rice, and Thai rice) and employing four kinds of pre-treatment methods (dry grain, wet grain, dry flour, and wet flour). The results showed that moisture content of rice was between 11.88~15.26%. Increase in soaking time along with highest water absorption was noted in American rice cultivar (46.81%).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Thai rice was higher when compared to that of other rice flours. In addition, solubility and swelling power of rice were 4.52~26.65% and 0.19~2.05%, respectively. The amylose content of Goami-4 was higher in rice processing. Using a rapid visco analyzer (RVA),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of Danmi cultivar was found to be the highest; the peak viscosities of Anda cultivar and Dasan-1 cultivar, and Chinese rice were higher than of those of other rice flours. After saccharification, the pH, soluble solids content, and reducing sugar content of rice processed through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s were in the range of 6.22~7.08, $4.67{\sim}16.07^{\circ}Brix$, and 0.35~11.67% (w/w), respectively. In terms of color values, the L-value of dry grain, a-value of wet (grain, flour), and b-value of dry sample (grain, flour)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ssessment of various factors and cultivars characteristics of the raw grains are of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rice beverage.

      • KCI등재후보

        영아기 자녀의 발달 수준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정확도

        심성경,변길희,박주희,박경신,김중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6 교육과학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현재 0~36개월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0~36개월 영아의 발달 수준에 대한 지식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영아 및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지식 정확도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생후 36개월 이하 영아의 어머니 218명이다. 영아기 자녀의 발달 수준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영석(1998)이 만 2세 이하 영아의 발달수준 조사를 위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양육하는 영아기 자녀의 발달 수준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정확도는 전체와 하위영역 모두에서 50% 내외의 정답율을 보여 낮은 수준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1세아 어머니의 경우 0세아와 2세아 어머니에 비해 특히 낮은 지식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영아 및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발달 수준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 정확도는 차이가 있었다. 즉 0세 어머니의 경우 영아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1세아 어머니들은 영아의 성,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에 따라, 2세아 어머니의 경우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영아기 자녀의 발달수준 대한 지식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ther's accuracy on the knowledge of infant's developmental level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infant gender, birth order, mother's age, education level, and job. The question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What is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mothers about their infant's developmental levels according to their infant's age? 2. What is difference in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mothers about their infant's developmental levels according to infant gender, birth order, mother's age, education level, and job?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18 mothers with infants aged from 0 to 36 months at J and I city in Jeonbuk.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is "The rating scale of knowledge of infant's developmental levels" of Young-suk, Lee(1998).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mean, SD, percentage, t-test and F-test with SPSS/PC 1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mothers' with their infant's developmental levels is low. Specially,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of mothers with a 1 year old infant is very low 2.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mothers' accuracy of the knowledge about their infant's developmental levels according to infant gender, birth order, mother's age, education level, and job. In the cases of 0 year old infants the mother's accuracy of knowledge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fant's gender, mother's age, education level, and job. In the case of 1 year old infants the infant birth order, mother's age, and for the 2 year old infant the mother's education level affected the mothers' accuracy of knowledge.

      • 마크로-고리 화합물을 함유한 액체막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칼륨 이온 운반에 미치는 음이온 효과

        김시중,이심성,이선혜,윤창주 聖心女子大學校 1982 論文集 Vol.13 No.2

        디벤조-18-크라운-6가 함유된 액체막을 통한 피크린산칼륨과 요오드화칼륨의 운반속도를 각 칼륨염의 농도 변화에 따라 측정하였다. 음이온의 종류에 따라 운반 메카니즘이 크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피크린산칼륨은 이온 확산에 가깝고, 요오드화칼륨은 이온 쌍 확산으로 운반되는 것 같다. The transport mechani는 of potassium picrate and potassium iodide across the liquid membrane containing dibenzo-18-crown-6 were studied by measuring the transport rate of the potassium salts. Potassium picrate seems to be transposted by the ionic diffusion but potassium iodide by the ion-pair.

      • 2000-2001년 서울 북부 지역 홍역 유행의 양상

        심민주,정주영,김상우,한태희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3 仁濟醫學 Vol.24 No.1

        Purpose :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measles outbreak, we studied epidemics of measles during 2000-2001 in northern Seoul district. Materials and Methods : Among 208 patients under 15 years of age who visitied or admitted to our hospital from April. 2000 to February, 2001, we selected 160 patients whose measles IgM antibody was positive. We investigated the age, clinical manifestation, vaccination history, measles IgG antibody. Results : Forty five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under 12 monthes of age, 30.6% were 12-48 months of age and the rest of the patients were over 48 months of age. This epidemic started in April, 2000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creased abruptly in November, reached to peak in December, after then decreased. Fever, cough, and rash were observed in all patients but rhinorrhea in 69%, conjunctivitis in 49%, and Koplik spot in 65.6%. Complication was noted in 74% of patients, and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pneumonia(54.4%), followed by gastroenteritis(28%) and acute otitis media and bronchitis. 32.2% of patients had a history of more than one-dose vaccination, and two-dose of vaccination in 12% of patients. Positive rate of Measles IgG antibody was 92% in vaccinated group. Conclusion : Routine vaccination of single measles vaccine and enhancement of revaccination at ages of 4-6 years is necessary to prevent outbreaks when measles are prevalent.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high rate of primary vaccine failure.

      • 선택성 용매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Ⅰ) : 혼합용매계에서의 Ag₂S전극의 성질과 그 응용 The Properties and the Applications of Ag₂S-ion Selective Electrode in Mixed Solvent Systems

        이심성,윤창주,김시중 聖心女子大學校 1981 論文集 Vol.12 No.2

        수용액에서 Ag₂S 이온선택성전극의 특성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전극의 비수용매 또는 혼합용매계에서의 행동은 거의 알려진바 없다. 이 논문은 물-유기용매의 혼합용매계에서의 Ag₂S전극의 성질을 규명하려는 몇 가지 실험결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Ag+이온의 선택성 용매화의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를 Ag₂S 전극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음도 보이려고 한다. 할로겐화 이온 및 그들의 혼합물을 Ag₂S 전극을 사용하여 50%-MeOH용매계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은에 대한 전극 반응은 순수한 물에서의 것과 매우 유사하였다. The properties of Ag₂S ion-selective electrode in aqueous solvents well known. Very little is known, however, about the performance of this electrode in the systems of non-aqueous or mixed solvent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some experiments which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roperties of the silver sulfide electrode in water-organic mixed solvents. And it also shows the possibilities of studies on the selective solvation mechanism of silver ion by using the electrode. The halide ions and halide ion mixtures have been analyzed by potentionmetric titration using the electrode in 50% methanol system. As the result, the electrode response to silver ion in pure water and mixed solvent system is very similar.

      • KCI등재후보

        저장기간에 따른 3개 수종의 종자 및 발아 특성 변화

        한심희,김찬수,장석성,이현주,탁우식 한국농림기상학회 200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eed physical characters and germinative properties of three tree species at three different storage times in order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storage time and condition. Seed physical characters and germinative properties were examined from seeds of Fraxinus rhynchophylla,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Staphylea bumalda that were stored at -18C for 1, 3 and 10 years, and the growth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characters of their seedlings were analyzed. Seed physical characters and germinative proper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storage times as well as three tree species. Seed moisture content of F. rhynchophylla and S. bumalda and seed fresh weight of Z. schinifolium decreased with increase of storage time. Storage time represen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moisture content and fresh weight (r = -0.822, p < 0.01). Seed percent germination of Z. schinifolium and S. bumalda stored for 3 and 10 years decreased less than 15% and 10.7% respectively. Mean germination times for seed of F. rhynchophylla, Z. schinifolium and S. bumalda were delayed 11.9, 5.7 and 9.7 days after a storage time of 10 years, respectively. However the growth and viability of seedlings didn't show a special pattern for storage time and tree species.

      • 학령전기 말더듬아동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행동특성

        김정미,심현섭,이은주,Kim, Jeong-Mee,Sim, Hyun-Sub,Lee, Eun-Ju 한국음성학회 2005 음성과학 Vol.12 No.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and stuttering behaviors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Participants were twenty-four children who stutter and their mothers. Fo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5$\sim$10 minutes of 50 minutes videotaped scenes originally collected to develop fluency assessment instrument were re-videotaped. They included mother-child interactions during playing with toys and reading book situations. Mothers-children interactive behaviors were assessed with Maternal Behavior Rating Sroles(MBRS) and Child Behavior Rating Scales (CBRS). And children's stuttering were assessed with Paradise-Fluency Assessment(P-F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depending on situations, but scores of maternal responsive factor were higher in the play situation than in the reading situation. 2) Maternal responsiveness might influence on promoting the children's pivotal behavior with children who stutter. And 3) the level of maternal responsiveness was the predictor of children's stuttering behaviors. The therapeutic implication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리와 밀 혼합막걸리의 품질특성

        신동선,최예지,정석태,심은영,이석기,김현주,우관식,김시주,오세관,박혜영,Shin, Dong-Sun,Choi, Ye-Ji,Jeong, Seok-Tae,Sim, Eun-Yeong,Lee, Seuk Ki,Kim, Hyun-Joo,Woo, Koan Sik,Kim, Si-Ju,Oh, Sea-Kwan,Park, Hye-You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보리와 밀 혼합막걸리의 품질특성으로 이화학적 특성, 색도, 환원당, 유기산, 효모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보리는 흰찰쌀보리를 이용하였고, 금강밀, 백중밀, 조경밀을 1:1로 혼합하고 수입밀과 쌀을 대조구로 하여 $25^{\circ}C$에서 7일간 발효 후 착즙한 술덧을 시료로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pH, 총산, 당도 및 알코올 함량을 측정한 결과, pH는 4.04~4.12로 밀 품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총산은 0.94~1.06%로 나타났다(p<0.05). 당도는 밀 혼합막걸리가 $12.67{\sim}13.44^{\circ}Brix$ 수준으로 쌀 혼합 막걸리 $11.76^{\circ}Brix$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알코올 함량은 15.13~16.53%의 범위로 나타났다. 밀 품종간 색도 L값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a값은 0.26~0.60 범위를 보였으며, b값은 밀 혼합막걸리가 쌀 혼합막걸리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 좀 더 황색에 가까웠다(p<0.05). 환원당은 5.65~7.85 mg/m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유기산은 금강 밀 혼합막걸리에서 lactic acid를 제외한 citric acid, malic acid, pyruvic acid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효모수는 밀이 혼합된 막걸리가 7.17~7.46 logCFU/g으로 쌀이 혼합된 막걸리 6.06 logCFU/g 보다 더 높았다. 관능적 특성에서 우리밀과 수입밀 간의 유의적은 차이는 없었으나, 맛은 백중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로 보리 막걸리 제조 시 황색도, 효모수, 맛 등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던 우리밀이 보리 막걸리 제조 시 혼합 곡물로 더 적합하였다. 따라서 밀 원료를 수입밀에서 금강밀이나 백중밀로 대체 시 일부 품질 증대와 함께 원료국산화에 따른 막걸리 프리미엄화 전제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barley (Huinchalssalbori) and domestic wheats (Keumkangmil, Baegjoongmil, Jogyeongmil). The pH and total acidity of mixed Makgeolli were 4.04~4.12% and 0.94~1.06%, respectively. The total acidity, sugar and alcohol contents of Makgeolli, but not pH, varied significantly by wheat cultivar (p<0.05). In terms of color values, the L-value of Baegjoongmil, a-value and b-value of Keumkangmil were highest. The reducing sugar contents was approximately 5.65~7.85 mg/mL, and those of Jogyeongmil and imported wheat were approximately 5.70 mg/mL lower. The yeast cell numbe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the exception of in the rice Makgeolli (p<0.05). Among the organic acids (citric, malic, pyruvic and lactic acids) in Makgeolli, citric acid was present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Regard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mixed with barley and wheat,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Baegjoongmil, and appearance and flavor were highest in Keumkangmil. The rice Makgeolli showed the lowest sensory values, with the exception of appear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ixing Makgeolli with barley and wheat is an expected to replace the wheat materials in the domestic wheat to be im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