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구리(Rana nigromaculata)胃 粘液質의 組織化學的 硏究

        趙顯旭,朴重錫,河在淸 慶尙大學校 1985 論文集 Vol.24 No.2

        개구리 위 점막내에 존재하는 점액질의 성분을 변태 시기에 따라서 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원주세포 내 점액질은 변태 XVI와 XXIV 시기에는 바황화점액질로 된 산성점액질에 비해서 중성점액질이 주를 이루었고 변태 XX 시기에서는 산성 및 중성점액질이 혼재하였다. 점액선 세포내 점액질은 관찰된 변태 세 시기에서는 주로 중성점액질로 되어 있었다 This study was-performed histochemically to observe the responses of mucus secreting cells in the gastric mucosa of frog, Rana nigromaculata during metamorphosi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Columnar cells contained a small amount of acidic mucosubstances including nonsulfated. mucin and a large amount of neutral mucosubstances at XVI and XXIV stages of metamorphosis. At XX stage, columnar cells contained acidic and neutral mucosubstances. 2. Mucous glands contained mainly neutral mucosubstances at XVI, XX and XXIV stages.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VP-16으로 성공적으로 치료된 위 Kaposi 육종 1예

        양웅석,송근암,조몽,이재승,송철수,김형욱,김영민,이수봉,김태오,이성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99 Clinical Endoscopy Vol.19 No.4

        The skin is an uncommon site of distant metastasis from any internal malignancy, and the incidence of metastatic skin lesions as the first symptom of disease is only 0.8% in patients with all systemic malignancies. Furthermore, cutaneous metastasis from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has been found to be extremely rare. A 35-year-old female patient was admitted due to multiple cutaneous nodules in her chest, abdomen, and back. A gastroendoscopic examination and biopsy was ma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kin pathologic findings. Stomach and skin biopsy results revealed a signet ring cell type of adenocarcinoma. A case of gastric adenocarcinoma in which metastatic skin nodules appeared as the first sign of disease, is here in reported wit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 아포모르핀 투여가 고전적 순막 조건화의 소거와 해마의 다단위 활동, θ파에 미치는 효과

        이두현,류재욱,김재일,김기석 한국심리학회 1995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3 No.1

        암페타민의 투여가 해마에서 제1유형 θ파를 유발시켰다는 연구 결과는 해마의 θ파와 관련된 기능들이 카테콜라민성 통로에 의해 매개됨을 시사하였다. 이에 도파민성 통로에만 특정적으로 작용하는 아포모르핀이 해마 θ파를 유발시키는가를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해마의 다단위활동, 고전적 순막 조건화의 소거에 미치는 효과도 살펴보았다. 토끼에게 고전적 지연조건화를 훈련시킨 후 소거절차를 시행하면서 미리 해마에 삽입한 미세전극을 통해 해마 뇌전도와 다단위활동을 기록하였다. 소거절차가 시작되기 직전에 한집단(아포모르핀집단)에서는 아포모르핀 0.5㎎/㎏을 피하 주사하였고, 다른 한집단(손상집단)에서는 조건화가 끝난 직후 미리 삽입한 손상용 전극을 통해 내측중격을 손상시키고 소거절차가 시작되기 직전에 역시 아포모르핀을 피하 주사하였다. 반면에 통제집단은 조건화가 끝난후 아무런 사전 조치 없이 소거절차를 시작하였다. 실험결과 아포모르핀집단은 통제집단이나 손상집단보다 더 높은 제1유형 θ파 비율을 보였다. 이는 아포모르핀이 암페타민처럼 제1유형 θ파를 유발함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통제집단의 경우 정상적인 소거가 일어난 반면 아포모르핀 집단이나 손상집단의 경우 소거 초기시점부터 약 20%의 조건반응률을 보였고, 이러한 조건반응률은 소거절차가 끝날때까지 계속되었다. 따라서, 내측중격의 손상 유무와 상관없이 아포모르핀은 조건반응의 소거보다는 인출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마의 다단위활동의 경우 아포모르핀을 투여하면 내측중격의 손상 유무에 상관없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In this study, interactions among hippocampal θ rhythm, hippocampal MUA, and dopamine pathway that ascends to medial septum from brain stem reticular formation was investigated. First, rabbit's NMR were conditioned with delay conditioning procedure. In extinction session, the one group(apomorphine group) was treated with apomorphine(0.5㎎/㎏) which was known to be dopamine agonist. The other group(lesioned group) was lesioned medial septum after delay conditioning and was treated as the former group. The control group was extincted conditioned response without any other procedures. There were increses of type 1 θ rhythm only in apomorphine group, but a little conditioned response in contrast to any other group.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apomorphine brought about type 1 hippocampal θ rhythm and kept conditioned response from being retrieve rather than being extincted.

      •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치험한 식도 과립상 세포종 1례

        강혁주,김성욱,최석진,이중현,장재식,서영범,윤병구,박건욱,김성자,김용섭,강승완,이구,양창헌,이창우,김욱년,이광헌,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과립상 세포종은 Schwann 세포 기원으로 생각되며 인체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한다. 과립상 세포종은 전신 어느 곳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주로 혀, 구강, 피부 혹은 유방 등에서 호발하며 드물게 위장관에서 발견된다. 위장관에서는 식도에서 가장 호발하며 다음으로 위, 대장 순이다. 과립상 세포종은 대부분, 특히 위장관에서는 양성이며 소수의 악성 병변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수술 전의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립상 세포종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술이다. 최근에 시도되는 치료방법들로는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 용종절제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등이 있다. 저자들은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식도 과립상 세포종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현재 재발없이 경과 관찰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s, which occur infrequently, are probably of Schwann cell origin. They can occur almost anywhere in the body but usually affect the tongue, oral cavity, skin, or breasts and are rare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The esophagus is the most frequent gastrointestinal site, followed by the stomach and the colon. Granular cell tumors are generally benign, especi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ome malignant lesions have been reported. For this reason, and also because preoperative diagnosis is difficult, the standard treatment for granular cell tumor has until now been surgical excision. In recent years, other therapeutic methods is endoscopic laser therapy (ELT), polypectiom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granular cell tumor which was diagnosed by an endoscopy and managed us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

      • KCI등재후보

        안면부에 발생한 고정형 스포로트리쿰증 3례

        최윤애,류영욱,정재봉,송준영,이규석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3 계명의대학술지 Vol.12 No.3

        We experienced 3 cases of fixed type cutaneous sporotrichosis confined to the face. Case 1 was a 32-month old child, affected over the nose. Case 2 was a 25-year old man, affected over the left cheek. Case 3 was a 71-year old man, affected over the nose. Histopathologically,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with pseudoepitheliomatous hyperplasia was observed. Mycologically, typical dark brown to black colored colonines with moist, wrinkled and membranous surfaces were cultured. All patients were completely cured by oral administration of saturated KI and itraconazole combined therapy in a short period(40-90 days).

      • 순막조건화에서의 소뇌 피질의 기능

        김현택,류재욱,김기석 한국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3 No.1

        토끼 순막조건화에 관여하는 소뇌피질의 기능을 검토하고자 소뇌의 심부핵중 하나인 중간핵 그리고 소뇌피질 단소엽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전통적 학습형태와 대조적 학습형태인 청각자극 무제시와 무조건자극의 배쌍이 조건반응을 일으키는지의 여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배쌍에서도 토끼는 신속한 조건반응을 획득하였는데 이 결과는 소뇌피질의 학습형성기전에 대한 기존의 설명 즉 조건자극제시에 의한 태상섬유 활동 증가와 무조건자극제시에 의한 등상섬유 활동증가가 태상섬유활동을 전해 받는 과립세포의 축색인 평행섬유와 퍼킨지세포사이의 시냅스 변화를 일으켜서 조건반응을 나타나게 한다는 설명과는 부합되지 않는 것이다. 실험 2에서는 소뇌피질의 반응시간조절기능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조건자극의 기간을 전형적 조건화 지수의 2배인 800msec로 하였다. 그리하여 소뇌피질의 손상이 손상후 시행의 조건자극제시기간동안의 조건화된 순막반응에 어떤 변화를 초래하는지 관찰하기 용이하게 하였다. 피험동물은 손상후 조건반응에서 부분적 폐지만을 보였는데 이는 전반적인 조건반응진폭의 축소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라 손상후 회기에서 조건반응 개시 시각의 큰 변산에서 기인한 결과임을 관찰하였다. 이것은 소뇌피질이 중간핵과 기능적 연관성을 가지며 조건반응출현의 시간조절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지지해 주는 결과라 하겠다. The cerebellar lobule HVI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plastic structure mediating the classical conditioning of the rabbit's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NMR). In experiment 1, animals were received tone stimulus(80㏈, 1㎑, sine wave, without white noise) continually during the intertrial interval(ITI). The tone stimulus was turned off during the CS period. This withdrawal of tone stimulus was adopted as CS^(-). Animals received the CS^(-) and corneal airpuff US parings in delay conditioning paradigm rapidly reached criterion like animals received CS-US pairings. Moreover, the electrolytic leisions of the interpositus nucleus selectively disrupted the CR aquired by CS^(-)-US pairings. The result suggests that this type of conditioning is mediated by the cerebellum as well and the cerebellum can associate the changes of stimuli itself. In addition, there was no transfer effect between CS^(-)-US and CS-US learning.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vergence of the climbing and the mossy fibers on the Purkinje cells and the associative functions of the cerebellar neural network. In experiment 2, the long ISI was adopted(800msec CS duration, delay conditioning paradigm) in order to investigated the timing regulation function of the cerebellar cortex on motor learning. After the NMR conditioning(CS^(-)-US, group1 and CS-US, group2) reached the criterion, the cerebellar lobule HVI was electrolytically lesioned with four electrod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R was reduced about 50% in both groups and the effects were due to the disruption of timing regulation of the CR onset. Results indicated that the cerebellar lobule HVI is essential for the timing regulation of the CR onset. However, to understand the detailed neural mechanism of the conditioning of NMR, it was suggested that neural network approach including several structures resided in the cerebellum and in the brain stem(especially inferior olive) is more desirable than finding only one essential structure approach.

      • 포러스콘크리트의 기초물성에 미치는 시멘트페이스트의 유동성 및 진동다짐시간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무한,백용관,최영욱,강석표,김재환,이성일 忠南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1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6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ste fluidity and vibration time for fundamental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follows: 1) Even if target void ratio is same, void ratio and compressive strength of porous concrete is different according to w/c, paste flow and vibration time. So, In case of target void ratio, we must consider the influence of w/c, past flow and vibration time. 2) Though w/c and vibration time is same, as paste flow increase, all void ratio, continuous void ratio, and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 and difference between upper and lower void ratio increase. 3) Though w/c and paste flow is same, as vibration time increase, all void ratio and continuous void ratio decrease and difference between upper and lower void ratio increase. Also,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 by 10 seconds and decease after 10 seconds. 4) As types of superplasticizer is different, all void ratio, continuous void ratio, and compressive strength is different. So, we must give consideration to paste fluidity and vibration time in order that increase of strength of porous concrete and distribution of uniform vo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