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생의 내 , 외향성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한재영,노태희,전경문,차정호,서인호 한국과학교육학회 200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전략을 사용한 공통과학 수업에서 학생의 내 · 외향성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의 효과와 내 · 외향적 학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93명을 대상으로 내 · 외향성의 측면에서 동질적으로 소집단을 구성한 협동학습과 이질적으로 구성한 협동학습을 물질 단원 10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로 내 · 외향성 검사와 논리적 사고력 검사, 사전 학습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후 검사로 학업 성취도 검사, 탐구사고력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의사소통 불안 검사, 학습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와 탐구사고력에서는 주효과나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자아존중감 검사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동질 집단에서는 내향적 학생과 외향적 학생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이질 집단에서는 외향적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내향적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내향적 학생은 외향적 학생에 비하여 의사소통 불안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소집단 활동과 조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조사하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extraversion/introversion grouping and the differences between extroverts and introverts in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applied to general science class were investigated. Ninety-three 10th-graders were grouped into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cooperative groups with respect to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and were taught about matter for 10 class periods. Prior to the instructions, three tests regarding the extraversion/introversion, logical thinking,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administered. After the instructions, their achievements, process skills, self-esteem,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examined.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in the scores of the achievement and the process skills tests. However,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was found in the self-esteem. While the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of the introverts and the extroverts was small in the homogeneous group, the self-esteem of the extrover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introverts in the heterogeneous group. The communication apprehension of the introver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extroverts. Students' perceptions to their group activities and group members were also studi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나는 과학놀이 마당 평가 연구

        한재영,임혁,최원호,서혜애,조수민,전영석,현종오,류성철,김현빈 한국과학교육학회 200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과학 실험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된 학교외 과학 행사를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998년도 '신나는 과학 놀이마당'에 참석한 857명 중 무작위로 표집한 121명의 초· 중등 학생과 행사계획 및 진행을 담당한 72명의 지도 학생과 19명의 지도 교사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와 관찰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1) 행사목표의 달성수준, 2) 행사 구성/운영의 적합성, 3) 행사 진행과정의 효율성, 4) 행사의 사전 안내 및 참석 학생과 지도학생의 참석동기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대부분의 참가학생, 지도학생, 지도교사는 프로그램의 전반에 걸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평가 결과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선점은 참가학생들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과학 활동을 제공하고, 탐구력을 더욱 강조하는 활동과 일상 생활과 관련되는 과학 내용을 더 많이 포함하도록 계획되어야 하는 점이다. 또한, 행사에 대한 사전 안내 및 광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여야 하며, 지도학생들의 참가학생에 대한 효율적인 학습-교수 전략을 개발하고 지도교사-지도학생간의 상호협력도 향상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ed to evaluate an activity-oriented extracurricular science program as informal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assessment of opinions of student participants and lead-students and lead-teachers who organized the program. An 'Exciting Science Fair' was designed by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and provided for 857 students for two days in early 1998. Students chose a course of science activities designed by different levels of student knowledge and interests. During their own science activity courses,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grouped as pair of two students and guided and facilitated by lead-students.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and asked respondents' opinions of 121 participating students, 72 lead-students, and 19 lead-teachers to the significance of program goals, degree of goal achievement, and program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most student participants, lead-students and lead-teachers satisfied with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However, it was recommended that the program should place more emphases on engaging student participants in science activities, strengthening scientific inquiry through activities, and increasing science content related to student daily life. It was also suggested that advertizement of the program be publicized in advance through media, an effect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lead-students be developed, and collaboration among lead-students and lead-teachers be improved.

      • KCI등재

        "표준 국어 문법" 용어의 현황과 문제점

        한재영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outcomes of grammar terminology standardiz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as a part of ‘The Development of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project. Focusing on the grammatical terms of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one of the projects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ion of Korean Language, we have thoroughly examined the whole procedures and selection criteria of terminology standard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detailed list of obtained grammatical terms in <Appendix: the list of modified terminologies>. Building on this list, we examine the differences of grammatical terms between existing grammar books, textbooks, Linguistic Norms,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cess, we analyze terminologies based on the aspects of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We emphasize that clarifying the concept of each term to fill the gap between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and existing publications, including grammar books and textbooks. This paper explains why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describes some terms inevitably in a different way from how existing Linguistic Norms explain them. Since this project relied o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t the initial stage of selecting terminologies, the differences of terms between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re investigated in depth. We thus recognize the fundamental limits of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 KCI등재
      • KCI등재

        非漢字文化圈 韓國語 學習者의 漢字敎育을 위한 기초적 연구-특히 濠洲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재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2

        An Analysis of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ith a Focus on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Especially, in Australia's case- Han, Jae-young This research is to find a list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more effectively in Korean education of Australia. In present Korean language, Sino-Koreans still take up quite some proportion in Korean vocabulary. Bu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he problems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overlooked and its importance has hardly been recognized. The basic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ocus on raising the interest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more specifically Australian students. Mainly, I will try to secure the list of Chinese characters that are necessary for Australian students. In order to get list of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following things have been done; 1) examine the frequency aspect of the list of vocabulary that present Koreans use. 2) study the distribution aspect of the Chinese words that appear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Australian(specifically,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in Sydney).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 supposition has been made for the criteria of the list for Chinese characters for Australian students. They are frequency, productivity and difficulty. Following the above criteria, we made the list of 84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Australia. 본고는 한국어 어휘 교육의 效率性을 높이기 위해서는 漢字 敎育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非漢字文化圈에서의 한자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자 하여 作成된 것이다. 검토한 결과, 호주에서의 한국어 교육 環境과 條件이, 다른 지역의 그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初等學校에서부터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은, 그렇지만 교육 현장에서의 교사들에게 보다 많은 役割을 附與하는 호주 교육의 특성상 어휘적인 측면에서도 확정된 어휘 목록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호주의 大學校에서 쓰이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對象으로 삼아,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어휘들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일차적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에 필요한 漢字 目錄을 작성하여 보았다. 이 연구 결과는 호주 내에서 한국 漢字와 漢字語의 한국어 학습 효과를 增大시키는 데에 活用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