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역량에 대한 개념도 연구

        이효빈(Hyobin Lee),권연희(Yeonhee Kwon),안정은(Jungeun An) 한국보육지원학회 202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7 No.6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eal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competency for ESD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Methods: 1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3-5 year olds conducted statement writing, and then the importance of selected statements were rated by 16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3-5 year olds. Selected statemen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er competency for ESD in early childhood as concept mapping with two-dimensions and six clusters. The following six clusters were established (1) ethic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SD, (3)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sustainable development curriculum, (4) recognition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issues, (5) realization of valu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6) practical thinking for ESD. And then among the six clusters, the most important cluster was recognized as ‘ethic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mong the statements ‘having an open mind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and the disabled’ was considered relatively important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 competency for ESD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y scale, and preparation of a teacher education plans for each competency.

      • 연구비 부정 처리 사례 비교 연구

        이효빈(Hyobin Lee),김해도(Hae-Do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연구비의 부정은 연구부정행위(Research misconduct)와 연구비부정집행(Research grant fraud)으로 나눌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연구비와 관련이 있는 이 두 행위에 대해 “부정청구방지법”을 적용시켜 강한 법집행을 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는 부정적발사례는 수천 건에 달하나 사법처리까지 가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처벌 수위가 솜방망이라 연구자들이 이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하다. 미국의 대표적인 민사사례의 연구비 부정 집행 사례는 예일대학의 연구비 부정 집행이다. 예일대학은 정부에 연구비를 부정하게 청구한 혐의로 760만 달러의 벌금을 냈다. 대표적인 형사사례는 최근에 발생한 Haifang Wen 연구비 횡령사건으로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며 최대 징역30년과 벌금 100만달러가 예상되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대표적인 형사 사건으로는 xx대학의 연구 조작으로 인한 연구비 집행으로 징역2년에 집행유예3년으로 처리되었다. 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의 연구비 부정사용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3가지 개혁이 필요하다. 첫째, 내부고발자를 보호하고 고발자에게 강력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법체계를 개혁해야 한다. 둘째, 연구비 부정사용에 대해서는 민·형사 상 가중처벌을 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 셋째, 연구비 부정이 발생하였을 경우 대학 산학 협력단 등 주관연구기관도 민사부문에 한해서는 연대책임을 지도록 관련법을 정비해야 한다.

      • KCI등재

        과학기술의 젠더혁신 정책 방향 연구

        이효빈(Hyobin Lee),김해도(Hae-D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젠더혁신이란 연구개발을 추진함에 있어 젠더분석을 기반으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과학기술을 창출하는 행동을 말한다. 그간 과학기술을 젠더와 무관한 것으로 간주해 왔다. 그러한 기존의 사고틀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과학기술에서 젠더분석을 고려하지 않아 시장 확보의 기회를 잃고 막대한 손실을 초래한 경우가 종종 있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젠더혁신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여성과학기술인 부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이겠다.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 추진해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정책이 과학기술계에 퍼져있는 ‘성과주의’ 인식을 무시한 채 무리하게 추진해온 탓도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과학계의 성몰인식을 개선하고 젠더관점을 고려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전 단계에서 젠더분석을 도입하고, 연구자를 대상으로 성인지 교육을 실시하고 나아가 과학연구를 위한 젠더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Gender innovation refers to the act of producing more trustworthy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gender analysis in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considered to be irrelevant to gender and gender analysis. Science and technology lost opportunity to market and sometimes caused massive losses due to the ignorance of gender and the concept of gender differences. Despite its importanc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ason why gender innovation does not take place is the lack of woman scientists in science and technology. Further, the promotion of female scientists policy has been pursued by the government is one of the reasons. The government has been forcibly carried out without considering ‘performanceism’ spreading in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fields. This research argues that scientific research brings gender perspective back into all the level of research conduct. In order to improve gender ignor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gender sensitiv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scientists. Also, gender governance and women’s committee for gender analysis should be established to adopt gender analysis in scientific research.

      • KCI등재

        2019년 한국의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

        이지은,이효빈,김소라,김효중,이승환,홍기정,정철의,김동순,박종석,이원훈,Lee, Jieun,Lee, Hyobin,Kim, Sora,Kim, Hyojoong,Lee, Seunghwan,Hong, Ki-Jeong,Jung, Chuleui,Kim, Dong-soon,Park, Jong-Seok,Lee, Wonh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3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7개 권역에서 실시하였다. 총 7권역, 87지역, 288지점에서 총 12,285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완료하였으며, A. diospyri, B. dorsalis, B. minax, B. tsuneonis, C. pomonella, L. botrana, Proeulia sp., S. invicta, S. takeyai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조사 연구는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고위험 해충의 전국단위의 감시체계를 구축 및 예찰조사 거점 지역을 확보하였다. Monitoring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and Stephanitis takeyai, were carried out in seven regions from April to October in 2019. A total of 12,285 traps/visual scouting were investigated in 288 points of 87 local sites of seven regions, resulting the nine species, A. diospyri, B. dorsalis, B. minax, B. tsuneonis, C. pomonella, L. botrana, Proeulia sp., S. invicta, and S. takeyai, were not detected. This study have been carried out from 2018, and we established the nationwide monitoring system and secured a bridgehead for monitoring invasive insect pests passing the border.

      • KCI등재

        2018년 고위험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

        이지은,이효빈,기웅,김동순,김수빈,김효중,박종석,오재석,유영혁,이승환,이재하,정철의,조건호,홍기정,이원훈,Lee, Jieun,Lee, Hyobin,Ki, Woong,Kim, Dong-Soon,Kim, Subin,Kim, Hyojoong,Park, Jong-Seok,Oh, Jaeseok,Yu, Yeonghyeok,Lee, Seunghwan,Lee, Jaeha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3

        고위험해충의 국내 유입 및 발생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예찰협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7개 대학(경상대학교, 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이 참여하여 고위험해충 9종(Aceria diospyri, 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 일본과실파리(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코드린나방(Cydia pomonella), 포도애기잎말이나방(Lobesia botrana), Proeulia sp., 붉은불개미(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2018년 6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전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한 뒤, 105개 지역 내 315개 지점에서 총 7,560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 A. diospyri, 오리엔탈과실파리, 일본과실파리, B. tsuneonis, C. pomonella, 포도애기잎말이나방, Proeulia sp., 붉은불개미, S. takeyai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조사 연구를 통하여 고위험해충을 조기 탐지할 수 있는 전국단위의 감시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국경 이후 외래침입해충들의 예찰조사를 위한 거점 지역을 확보하였다. To establish the cooperative monitoring network which can investigate introductions or outbreaks of high risk insect pests into Korea, seven universiti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unsan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dong National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arried out seven regions' monitoring about nine high risk insect pests, 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 from June to October in 2018. A total of 7,560 traps/visual scouting were investigated in 315 points of 105 local sites of seven regions, resulting the nine species, A. diospyri, B. dorsalis, B. minax, B. tsuneonis, C. pomonella, L. botrana, Proeulia sp., S. invicta, and S. takeyai, were not detected. From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nationwide monitoring system which can early detect high risk insect pests and secured a bridgehead for monitoring invasive insect pests passing the border.

      • SCOPUSKCI등재

        Automatic Multi-drone Path Planning using Network Flow Algorithms

        Youngsun Seo(서영선),Hyobin Lee(이효빈),Hyeon-Suk Na(나현숙)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5 No.4

        The aerial show of 1,218 drones i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as realized by animators drawing up the show with 3D design software in advance and by a central computer determining and assigning onsite which drone will play the role of which pixel in the animation. Manual creation of an animation in which a thousand drones move in harmony without collision is an expensive and difficult task. Thus, we propose a drone simulator to automate this process: given initial and final images, the system samples a given number of initial and final locations of drones, computes collision-free drone paths automatically (each starting from an initial location and arriving at a final location), and visualizes the results as a video. The set of drone paths is optimal in terms of the last arrival time, which is a desirable feature for drone paths. We propose two methods of computing the paths: a two-phase algorithm with a collision-removal modification and a single-phase algorithm for cost optimization. The former obtains paths by running a maximum flow algorithm and modifies them to be collision-fre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computes collision-free paths directly by running a minimum cost maximum flow algorithm with a carefully designed cost assignment. Both sets of output paths have a minimum last arrival time. The single-phase method needs more time than the two-phase method but gives much better values of stretch factor (the ratio of path length to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locations). This trade-off between computation time and stretch factor is revealed empirically i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two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