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체제 분석

        지일용(Illyong Ji),고영욱(Youngwook Ko),서은영(Eunyoung Seo),정재용(Jae-Yong Cho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2

        한국 영화는 개화기에 도입된 이후 현재 세계적으로 호평 받는 수준으로 발전하였으며 산업적으로도 큰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시네마 및 입체영화의 등장 등 급진적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해외 기술의 도입 위주로 진행되던 기술 전략?정책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에 초점을 두고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체제를 분석한다. 영화산업 관련 기존 문헌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 및 지식, 제도, 혁신주체와 네트워크를 조망해 보며, 이를 통해 한국 영화산업 기술혁신체제의 특징과 문제점을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영화산업 기술혁신의 한국적 특징을 규명하였으며, 지식 축적 과정의 단절, 영화산업 특수적 연구 개발 활동의 부재, 혁신주체의 전문성 결여 등과 같은 문제점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영화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은 기술혁신연구 분야에 영화산업을 소개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의도 갖는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motion pic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has gradually evolved as one of the world leaders. However, due to the rapid technological change as exemplified by the emergence of the new digital and 3D cinema technologies,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technology policy and strategy designed for the adoption and effective use of new technologies. In this paper, the authors address this issue by emphasiz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side rather than the use/adoption side. In order to provide policy makers with critic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ector, we analyzed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of the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In order to conduct this analysis, we re-visited previous literature and interviewed experts in the motion picture sector. Then, the authors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Based 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research, we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is sector. However, the implications from this paper are not limited to the motion picture industry. As the motion picture industry is a new case for innovation studies, our paper may provide new research opportunities to the academia.

      • KCI등재
      • 한국 기술혁신 논의의 변화 양상 분석

        이주영(Juyoung Lee),정효정(Hyojung J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이 연구는 한국의 산업발전 과정에서 ‘기술혁신’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며 사용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의 기관지인 「과학과 기술」기사에서 등장한 ‘기술혁신’ 키워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과학과 기술」은 1968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발간되었으며, 과학기술인 뿐만 아니라 정부부처 관계자 및 과학 분야 기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 과학기술사회 전반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1968년 이후 「과학과 기술」에 실린 기사들 중 제목에 ‘기술혁신’ 키워드가 포함된 모든 기사의 전문을 분석 대상으로 출판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세 구간으로 나누어 ‘기술혁신’과 동시출현하는 키워드들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술혁신 개념은 1970년대와 크게 다를 바 없이 지금까지도 여전히 국가 주도의 산업 발전을 위한 요소로 이해되고 있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업, 생산에 국한되어 있던 기술혁신 개념은 1980년대를 거치며 다양한 연구개발 분야 및 이해관계자들을 이어주는 키워드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한국 기술혁신 논의의 변화 양상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적 맥락을 기반으로 한 기술혁신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과학기술혁신의 글로벌화와 한국의 정책적 대응 방안

        임덕순,김기국,정선양,이종일 한국기술혁신학회 200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8 No.5

        현재 국가나 특정지역을 넘어서 기술혁신 자원, 기술혁신 활동, 기술혁신 결과의 활용 등이 전 세계적으로 전개되는 과학기술혁신의 글로벌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한국은 과거 추격형 기술개발 방식을 추종하여 성공을 거두어 왔으나 이제는 스스로 혁신을 주도하는 기술선도형 국가로 변화하여야 할 시점이다. 이런 변화는 자체 능력만으로는 어려우며, 글로벌 차원에서 기술혁신 자원을 조달하고, 기술을 획득하고, 기술을 사업화하는 일련의 글로벌혁신프로세스가 국가 과학기술 정책으로 지원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이런 맥락에서 과학기술혁신의 글로벌화 현상을 정리하고, 우리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 과학기술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기술혁신과 사회혁신의 접점: 사회혁신의 개념탐색과 제안

        손주연(Son, Ju Yeon),이찬구(Yi, Chan-G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4

        사회혁신은 기존 방식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문제를 새로운 아이디어와 해결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대부분 사회혁신 논의에서 기술변화나 기술혁신을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으며, 기술혁신 측면을 고려해 사회혁신의 개념화를 시도한 연구도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은 기술혁신 관점에서 사회혁신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탐색적 개념화를 시도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혁신 측면에서 ‘사회혁신은 사회영역에서 다양한 주체들이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위해 수행하는 사회적 혁신활동’이라고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혁신의 동인은 ‘과학기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과 ‘기술혁신으로 인해 파생되는 사회문제 해결’로 볼 수 있으며, 혁신주체에는 기존 기술혁신 주체와 일반 시민도 포함하고자 한다. 혁신의 영향력은 매우 다양한데, 이때 사회혁신을 촉발시키거나 영향을 미치는 기술혁신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서 영향력의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혁신의 범주는 ‘기술혁신으로 파생되는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된 사회구조와 관계측면과 ‘과학기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과 연관된 사회적 요구나 사회적 난제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term social innovation has been received an interest in various field during the last few decades. Researchers have been trying to conceptualize it and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theory of social innovation. Unfortunately, these efforts have not been achieved the result. In addition, there were few research papers to investigate the notion of social innovation related to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ir relations. However, social innovation could be assumed to have relations with technology innovation. These two kind of innovations can mutually affect each other and have an impact on social structure, social relations and individual"s daily life. Like as technology has embedded in social context, and it constantly interacts with a society over the long term. This paper examines how we could understand the concept of social inno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innovation. It is not the final step, but only the first step to explore the meaning and the relations between two innovations. Through this paper, I would suggest the existing concept of social innovation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aspects of technology innovation.

      • 과학기술단체간 소통에 관한 연구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연구회를 중심으로

        정기덕,조형례,정선양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6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방향이 기존의 ‘모방형’ 혁신체제의 구축에서 ‘창조형’ 혁신체제의 구축 및 운용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연구개발의 목표 자체가 창조적 연구의 결과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 전문가들의 주도로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방향과 내용을 기초연구 및 협력연구 중심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기초연구 및 창의적 연구는 개별적인 연구도 중요하지만 과학기술지식의 공유 및 협력적인 연구가 대단히 중요하게 요구되어진다고 보여진다. 최근 과학기술의 빠른 환경변화에 적응해야 하며, 그 발전과 성과에 있어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통한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과학기술계도 더욱 이러한 협력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회, 과총 및 과학기술유관단체 간 소통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하여 과학기술 유관단체들의 전문성 향상에 공헌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단체들이 국내외의 과학기술 주요 이슈에 대한 공동의제를 발굴, 연구하게 하여 중장기적으로 연구회 및 과총 그리고 과학기술 유관단체의 사회적 기여도를 제고하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 총요소생산성을 통한 국가별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비교

        최재원,오승환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에서는 2011년도에서 2018년도까지의 국가별(한국, 중국, 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대만)의 제조기업데이터를 가지고 중소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가 내의 제조기업을 중소기업과 대기업·중견기업으로 나누어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의 차이도 비교하였다.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은 확률변경분석법을 이용한 분해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을 기술진보율, 기술효율성 변화율, 배분적 효율성의 변화율, 규모의 경제 효과로 분해하여 분석하였다. 국가별로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이 상승하거나 개선되는 방향성을 보인다. 한국의 중소기업은 프랑스 다음으로 총요소생산성과 기술진보가 성장하고 있다. 기술효율성 변화율은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가 음의 값으로 측정된 것으로 보아 이는 한국의 중소제조기업은 세계 경향과 비슷하게 최선도 기업과 평균 기업 간의 기술 양극화 현상이 나타난다고 분석된다. 한국의 중소제조기업은 기술혁신과 관련된 기술진보와 기업경영과 관련된 배분효율성의 개선으로 인하여 총요소생산성을 증가시켰다. 한국의 제조기업 중 중소기업은 대기업·중견기업보다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은 높지만 기술진보율은 낮게 배분효율성 변화율은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보아 기술진보 보다는 기업경영을 통해 총요소생산성을 개선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

      • KCI등재

        경제혁신의 이해를 위한 개념적 접근: 디지털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유인혜(Inhye Yoo),이찬구(Yi, Chan-G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4

        디지털 기술의 혁신적 발전은 산업 및 기술 분야 간 경계를 허물었고, 생산성 향상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임과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기술은 산업 및 경제 시스템 전반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렇다면 과거 제한적이던 혁신의 개념과 범위가 현 시점에서의 기술혁신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에 의문을 갖고 본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기술혁신으로 인한 경제구조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다음의 두 가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첫째, 디지털 전환의 관점에서 경제혁신을 무엇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은 과거 디지털 경제로의 진입 이전 시기에 정의되었던 경제혁신의 의미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가? 둘째, 디지털 기술혁신은 경제구조를 얼마나 변화시켰으며, 디지털 전환에 따른 영향요인을 경제혁신의 개념으로 새롭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종합하여 디지털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경제혁신이 의미하는 바를 개념화하고자 한다.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roken the boundaries between industries and technologies, and has created a new business model while enhancing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productivity improvement. Can the concept and scope of innovation, which was used limitedly in the pas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in the present? I will focus on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caused by digital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iscuss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what can economic innovation be defined in term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can this be regarded as the same meaning of economic innovation that was defined before the digital economy? Second, it aims to conceptualize what economic innovation means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how much digital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changed the economic structure and whether the factors affec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can be newly expanded into the concept of economic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