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존감의 영역별 수반성과 자기 평가 간 불일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수란,이동귀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2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domains of contingencies of self-worth (Crocker & Wolfe, 2001) in Korea and examined the effect of discrepancies between a given domain of contingencies and its self-evaluation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adjustment. In study 1, the Contingencies of Self-Worth Scale (CSWS) was validated in a Korean cultural context. The EFA results yielded a 27-item Korean CSWS with five distinctive factors. Four factors (God's love, Virtue, Others' Approval, and Family Support) were almost identical to the original CSWS; however, a new factor (Superiority) emerged in Korea. In study 2, based on the self-discrepancy theory (Higgins, 1987), a two-step cluster analysis and M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ree clusters (Adjusted Discrepancy Group, Maladjusted Discrepancy Group, and Balanced Group) emerged and the Maladjusted Discrepancy Group indicated a greater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an the other two groups.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자존감의 수반성(contingencies of self-worth; Crocker & Wolfe, 2001) 영역을 밝히고, 수반성 영역에서의 자기 불일치가 개인의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자존감의 수반성 척도(Contingencies of Self-Worth Scale: CSWS; Crocker, Luhtanen, Cooper, & Bouvrette, 2003)를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 맞게 타당화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27문항 5개 요인구조가 제안되었는데, 4개요인(신의 사랑, 도덕성, 타인의 승인, 가족의 지지)은 미국에서의 요인과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한국의 경쟁적인 문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요인(우월성)이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자기 불일치 이론(Higgins, 1987)에 근거하여 수반성 영역에서의 불일치 점수(불일치 점수 = 표준화 한 영역별 수반성 점수 - 표준화 한 영역별 평가 점수)를 군집변인으로 사용하여 군집 분석(Hair & Black, 2000)을 실시한 후, 집단별로 자존감 및 다양한 정신건강 지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3개의 군집(높은 평가 집단, 적응적인 불일치 집단, 부적응적인 불일치 집단)이 제안되었으며, 부적응적인 불일치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부적응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운전 상황에서의 개인특성과 생활스트레스가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

        이수란,정은경,권재영,손영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7 No.3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twofold. First,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the effect of trait characteristics(sensation seeking, social resistance and type-A behavior) with that of driving specific characteristics(driving anger and type-A driving) on problematic driving behavior. Second, the role of life stres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trait characteristics and traffic safety index was examined. 1158 licensed commercial vehicle drivers were surveyed and their accident-related records were obtained in thi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dri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indicators of traffic safety and life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trait characteristics and traffic safety index. These findings implicate that understanding drivers' dri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heir levels of life stress is important to reduce problematic driving behaviors and enhance traffic safety.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일반 성격특성과 위험운전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것과 달리, 운전상황에서 특정적으로 나타나는 개인의 특성(운전분노, A형 운전행동)이 교통안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생활스트레스가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고려하여 일반성격(자극추구성향, A형 성격유형, 법규위반성향)과 생활스트레스, 교통안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사업용 운전자 1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사고관련 자료(교통안전도지수)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운전분노와 A형 운전행동 등 운전 상황에서의 개인특성은 일반성격을 통제하고도 유의하게 사고위험(교통안전도지수)을 예측하였으며, 생활스트레스는 일반 성격특성과 교통안전도지수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을 예측할 때, 일반성격 뿐만 아니라 운전 상황에서의 특성 및 생활스트레스 수준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 밖에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연구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가치 코칭은 누구에게 유익한가? 사회적 가치 코칭이 일의 의미와 직무만족,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이수란,조지선,정은경 한국코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5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코칭이 기업의 재직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가치 코칭에서 특히 유익을 얻는 개인 특성으로 조절초점을 상정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모 대기업의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코칭 모델을 적용한 사회적 가치 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사회적 가치 코칭을 받은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일의 의미, 헤도니아적 직무만족,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 잡크래프팅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조절하는 조절초점의 역할이 분석되었다. 향상초점의 조절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아 예방초점에 대해서만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적 가치 코칭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모든 종속변인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일의 의미, 헤도니아적 직무만족,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예방초점이 낮은 집단보다는 높은 집단에서 코칭이 해당 특성을 증가시키는 데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天理本狂言六義』에 나타나는 추량표현 - 조동사「べし」를 중심으로 -

        이수향(李粹?)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3

        This study discusses usage patterns of べし in terms of its conjugational forms and semantic usages observed in “Tenribon Kyougenrikugi”, the late Middle Ages colloquial data, in order to clarify the process of change of べし.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jugational forms, the Shuushikei べし shows the highest appearance followed by the Rentaikei べき and further by the Mizenkei べから. The Renyoukei べく and the Izenkei べけれ are not found. As the time passed, the frequency of the use of べし decreased, whereas べき increased. The increased use of べき was in particular deemed to be caused by the ‘unification of the Shuushikei and Rentaikei’, which began occurring from the late Middle Age. The current study also found two cases whereべき was used as Shuushikei instead of べし. Second, in terms of semantic usages, it was used in the order of [Suitability · Suggestion · Order] - [Guess], [Naturalness · Necessity] - [Will] - [Possibility] - [Prohibition]. It is thought that [Suitability · Suggestion · Order] was used frequently for the reason that the script did not clearly differentiate dialogues and narratives, and it also described actions of performers and stage productions together within the overall scenario. Third, the main semantic usage of べからず was [Prohibition], and the semantic meaning of [Prohibition] was manifested only by べからず. From this, it is deemed that the limited use of べからず for [Prohibition] continued to Modern Japanese while other meanings of べからず declined since the Middle Ag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형 그릿 척도(The Korean Version of GRIT: K-GRIT) 개발 및 타당화: 측정학적 문제와 개념적 본질을 중심으로

        이수란,안태영,박서단,양수진 한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Grit Scale(K-GRIT), making up for the issues of factor structure and definition of Grit in the original scale(GRIT-O). In study 1 for the statistical issue, negative statements of GRIT-O were changed positively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wo-factor model of the scale fit better than one-factor model as in GRIT-O. Moreover the enhanced version of the scale with positively changed items showed better fit than the original one. In study 2, 26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which consist of 12 items of GRIT-O and 14 new items that describe how the specific long-term goal is meaningful and enjoyable for oneself.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data of 278 college students, 20 items were finally chosen and three factors of ‘effort-persistence’, ‘passion-meaning’, ‘passion-enthusiasm’ were identified.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other data of 278 students showed that the three factor model fit was fair. The results of validity analysis and nomological network consisted of grit, conscientiousness, growth mindset, ment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uggest that K-GRIT would be a reliable scale for measuring gri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그릿 원척도(GRIT-O)와 간편 척도(GRIT-S)에 대하여 그간 지적되어 온 측정학적 및 정의적 문제점을 고려하여 그릿의 개념적 정의에 더욱 충실하면서도 한국의 문화적 토양에서 사용 가능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1에서는 GRIT-O의 주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요인 구조를 재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문항을 정코딩 방식으로 수정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항의 서술 방향을 모두 긍정으로 통일한 뒤에도 안정적인 2요인 구조를 유지하며 오히려 더 나은 적합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2에서는 긍정문으로 서술된 GRIT-O 12문항과 더불어 열정 구인의 정의적 특성에 부합하는 14개의 문항을 새롭게 추가하여 총 26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아진 자료는 두 집단으로 무선할당하여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EFA) 결과, 20문항으로 이루어진 3개 요인을 확인하였다. 1요인(‘노력-지속성’)은 역경에도 불구하고 장기목표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지속하는 특성을, 2요인(‘열정-즐거움’)은 선택한 목표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의 정도를, 3요인(‘열정-의미’)은 열정의 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선택한 목표에 대한 가치나 의미발견의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3요인으로 구성된 그릿 척도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새로운 척도의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 증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그릿과 성실성, 마인드셋, 정신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구조모형을 분석하는 법칙적 망조직을 구성하여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형 부모소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수란,배유진,양수진,기쁘다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Subjective Sense of Calling in Childrearing Scale (K-SSCCS) in order to integrate cultural differences in parental roles and the meaning of parenthood. The study developed 26 preliminary items based on the original questions from the Subjective Sense of Calling in Childrearing Scale (SSCCS), the results from a qualitative study examining the concept of a life calling to raise children, and literature about Korean parents. In Study 1,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N = 479). The results showed 19 items representing four factors (purpose/identity, sacrifice/devotion, passion/growth, and awareness/focus). In Study 2,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18 items with four factors (N = 628). A validity analysis and evaluation of a nomological network, along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variables, confirmed that the K-SSCCS would be a reliable scale for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calling to raise childre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부모소명 척도를 한국 맥락에 맞게 보완하고 타당화하여 한국형 부모소명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역할과 부모됨의 의미에 있어 문화차가 존재함에 근거하여 서구에서 개발된 부모소명 척도(SSCCS) 11문항에 부모소명의 주요 주제 관련 문항 및 한국 부모의 특성을 반영한 문항을 추가로 개발하여 요인분석 및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 SSCCS 원척도 11문항과 새롭게 개발한 문항 15개를 포함한 26개 예비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4개 요인(목적/정체성, 희생/헌신, 열정/성장, 의식/집중) 19문항이 도출되었다(N = 479). 연구 2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4요인 18문항을 확정하고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다(N = 628). 또한, 법칙적 망조직 분석을 통해 부모소명이 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점에서 구별되는지, 양육 및 개인의 적응을 나타내는 변인들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기존 척도의 구조를 대부분 유지함과 동시에 희생/헌신이라는 한국 특수성을 반영하면서 수렴, 변별, 증분타당도를 충분히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