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가정 및 학교에서 의견 청취 경험, 자아존중감이 인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권교육에 따른 차이 검증

        오혜민(Hyemin Oh),김상원(Sangwon Kim),이양희(Yanghe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아동의 가정과 학교에서 의견 청취 경험, 자아존중감, 그리고 인권 인식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7년 아동 · 청소년 인권실태 조사의 중 · 고등학생 응답(6,405명, 여자 47.8%)을 대상으로 Mplu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또는 학교에서 의견이 청취된 경험을 한 아동일수록 자아존중감과 인권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인권 인식은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가정과 학교 각각에서의 의견이 청취된 경험이 인권 인식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추가적으로 인권교육을 받았는지의 유무에 따라 각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인권 인식 증진을 위해 가정이나 학교에서 아동의 의견이 청취되는 환경조성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s of being heard in home and school settings, self-esteem, and human rights awareness. Among the 2017 NYPI Cross-sectional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 Children, 6,40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47.8% females) were used to cond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Mplus. It was found that children who experience being heard in the home or school display higher levels of self-esteem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It was also found that self-esteem is more likely to increase awareness of human rights. Self-esteem was also found to mediate the pathway between the experience of being heard at home or school and human rights awarenes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depending on whether they received human rights educa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home and school environments where childrens opinions can be heard were discussed.

      • 안전한 건식 숙성육 제조를 위한 미생물 위해평가 및 HACCP 적용 방안

        오혜민,이현정,조철훈,윤요한,Oh, Hyemin,Lee, Hyun Jung,Jo, Cheorun,Yoon, Yohan 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2022 급식외식위생학회지 Vol.3 No.1

        Dry-aging is one of the traditional aging processes, especially for beef. This aging process is being popular, because it produces unique brown/roasted flavor and texture that consumers prefer. However, as it is exposed to outside without packaging food safety concerns have been rai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total aerobic bacteria (TAB) and pathogenic bacteria in manufacturing environment and suggest the safety management plan for the production of dry-aged meat. Surface samples from 66 environmental and 6 beef carcass sample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AB were in the order of shelves (5.4±1.1 Log CFU/cm<sup>2</sup>), cotton gloves (2.9±0.2 Log CFU/cm<sup>2</sup>), and door knobs (2.8±0.4 Log CFU/cm<sup>2</sup>) in the dry-aging room. In the door knobs, the level of mold was higher than that of yea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ld spores may be cross-contaminat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side the aging room. The risk fact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ere presented and possibility of risk was determined. From the aspect of microbiology, aging and trimming steps were determined as the critical control points. The temperature of the aging room should be maintained below 10℃ and the humidity below 75-85%. Based on the monitoring and the risk assessment of the dry-aging process, we prepared the safety management plan for the production of dry-aged meat, and it should be useful in improving the food safety of dry-aged meat.

      • KCI등재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 및 기상인자에 따른 국내 6개 지역의 루브라참나무 초기 생장 특성

        황환수,김태림,오창영,혜민,이일환,Hwang, Hwan Su,Kim, Tae Lim,Oh, Changyoung,Lim, Hyemin,Lee, Il Hwan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3

        본 연구는 미국의 미시간주 산지로부터 도입한 종자를 이용하여 국내 6개 지역에서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 및 기상인자에 따른 루브라참나무 초기 생장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지는 화성, 양평, 평창, 삼척, 충주, 김제이며 2014년에 루브라참나무 묘목(1-0묘)은 3,000본 ha<sup>-1</sup> 밀도로 식재되었다. 2021년도에 조사된 6개 지역 8년생 루브라참나무의 평균 수고, 근원경 및 재적생장은 각각 3.52 m, 3.84 cm, 0.0023 m<sup>3</sup>로 나타났다. 조사된 국내 6개 지역 중에서 경기도 화성시에 식재된 루브라참나무의 생장이 가장 우수하며 강원도 평창군의 생장이 가장 저조하였다. 토양특성 조사에서 조림지 토양 내 모래의 비율은 21.4~64.1%, 미사는 24.9~61.1%, 점토는 9.7~21.2%로 확인되었으며, pH는 전체적으로 4.15~4.80의 범위로 약산성을 나타내었다. 지역별로는 화성이 4.15로 가장 낮았고 삼척 지역이 4.80으로 가장 높았다. 조림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상인자와 생장 특성과의 상관분석을 진행한 결과, 토양인자들 중 pH는 근원경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다른 토양인자들은 생장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일 최고기온과 3~10월의 평균온도 등의 기상인자는 생장특성과 강한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해발고와 지형, 3~10월의 강우 일수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화성지역은 가장 높은 일 최고온도와 3~10월의 평균온도, 낮은 고도와 산록에 가까운 지형으로 인해 가장 우수한 초기생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이 가장 저조했던 평창의 경우 높은 고도와 낮은 일 최저기온 등으로 인한 겨울철 동해 피해와 야생동물에 의한 수목 피해가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제 3 주성분까지 84.7%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생장특성인 근원경 및 재적과 생장이 가장 우수했던 화성지역이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국내 6개 지역 중에서 화성 지역의 루브라참나무 초기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림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보다는 온도나 고도와 같은 기상과 관련된 인자가 생장특성과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루브라참나무 국내 조림 적지 판정 및 환경 특성에 따른 초기생장 특성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rubra planted in six regions (Hwaseong, Yangpyeong, Pyeongchang, Samcheok, Chungju, and Gimje) in South Korea in relation to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eteorological factors. Q. rubra (1-0) were planted at a density of 3,000 trees ha<sup>-1</sup>. The average height, root collar diameter (RCD), and volume of 8-year-old Q. rubra planted in 2014 were 3.52 m, 3.84 cm, and 0.0023 m<sup>3</sup>, respectively. The growth parameters of Q. rubra were the highest and lowest in Hwaseong and Pyeongchang, respectively.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meteorological factors, and plantation growth characteristics found that pH was the only soil fact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RCD, and the other soil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growth characteristics. However, growth characteristic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average temperature from March to October and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they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altitude, topology, and the number of rainy days from March to October. In particular, the trees planted in Hwaseong area showed the best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because this area had the highest daily maximum temperature, the x average temperature from March to October, the low altitude, and it is located close to the foot of a mountain. In Pyeongchang, th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were negatively affected by winter cold damage because of the high altitude, low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damage by wild animals. In Hwaseong,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altitude were more highly correlated to growth characteristics of Q. rubra than the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suitable sites for Q. rubra plantations and for predicting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한국판 가정 내 혼란 척도(K-CHAOS) 타당화 연구

        엄문설(Munseol Eom),오혜민(Hyemin Oh),이양희(Yanghe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Matheny et al.(1995)이 개발한 가정 내 혼란 척도(Confusion, Hubbub, and Order Scale; CHAOS)를 한국 문화에 적합하게 번안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 문항을 번안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한 뒤, 만 5세 미만의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89명의 자료로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기술 통계 분석 결과 정규성을 충족하였고, 문항-총점 간 상관이 적합하였으며, 내적 일관성 지수는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13문항이 확정되었으며, 신뢰도 Cronbachs α 값은 .881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정 내 혼란 척도와 양육 스트레스의 전체 점수와 하위척도 점수 간 상관계수가 유의함을 확인하여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국판 가정 내 혼란척도(K-CHAOS)는 개인의 심리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물리적 환경을 측정하는 척도로, 향후 연구에서 미시체계 내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Confusion, Hubbub, and Order Scale (CHAOS), developed by Matheny et al. (1995), in South Korea. Data of 189 parent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5 acquired by onlin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tem-total correlation, internal consistenc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were examined. As a result, 13 items were confirmed and the reliability was .881. By validating K-CHAOS, it became possible to consider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that are known to affect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of individuals, as one of micro-systems in future studies.

      • 디자인보호법상 부분디자인에 대한 연구

        이규호(Lee, Gyooho),오혜민(Oh, Hyemin) 차세대콘텐츠재산학회 2017 디자인과 법 Vol.- No.-

        디자인보호법은 독창적이고 특징적인 창작부분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부분적인 디자인의 모방을 통한 전체 디자인으로서의 모방에 대하여 대응하기 위하여 2001년 부분디자인 제도를 도입하였다. 2001년 개정 디자인보호법은 디자인의 특성에 의하여 다른 산업재산권에는 존재하지 않는 부분디자인제도와 같은 특유한 제도를 설정함으로써 디자인권이 충실히 기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전체를 구성하는 일부이나 물품을 파괴하지 아니하여도 그것만을 떼어낼 수 있으며 그것만으로도 독립된 교환가치를 가질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디자인인 부품디자인과는 달리, 부분디자인은 본체에서 분리하여 떼어낼 수는 없으나 당업계에서 독립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물품을 그 대상으로 한다. 부분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부품디자인과 부분디자인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현재 부분디자인제도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일본에서 인정된 제도로서 지식재산권전략의 하나로써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부분디자인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부분디자인제도에 대한 운용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부분디자인과 관련한 다양한 사례가 축적되고 있다. 부분디자인의 경우 전체디자인의 일부를 다양하게 부분화하여 디자인권의 효력을 창설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며, 부분디자인으로서의 등록 시 디자인권이 전체디자인의 물품에 대하여 성립되기 때문에 부품디자인으로서의 경우에 비하여 권리침해의 손해배상의 기초가 크다는 특징 또한 존재한다. 이에 따라 부분디자인제도에 따른 침해의 판단기준과 관련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부분디자인제도는 전체 형상에서 핵심되는 부분의 창작이 이루어지는 실무적 관행을 반영하고 출원인이 디자인침해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부분디자인 관련 사례 등을 통하여 볼 때 부분디자인의 IP 전략적 활용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artial Design” was introduced in 2001 by the Korean Design Protection Act. If original and characteristic, creative parts of a design are plural, it can be helpful to register its partial designs. “Parts Design” is about the part even if not destroy some or goods that make up the body and it can be removed that can have an independent exchange value. But “Partial Design” is about the part may not be removed by separation from the body and the goods can not be the subject of independent transactions. To understanding of the “Partial Design”, it could be important to understand of the differences on the “Parts Design” and “ Partial Design”. “Partial Design” is recognized in the USA, Europe, and Japan, and Korea as well. It has been operating as on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However China does not recognize “Partial Design”. It should be careful to management design strategy. Recently various cases related to the partial designs has been occurred. Partial Design has advantages of being able to constitute the effect of the design rights about several part of designs. Also when the damages of design are occurred, the base of the compensation is more than typical design rights. It is important the study of the partial designs are needed in relation to the criterion of infringement.

      • KCI등재

        폭력적 양육과 또래 괴롭힘이 청소년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상원(Kim Sangwon),오혜민(Oh Hyemin),엄문설(Eom Munseol),이양희(Lee Ya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청소년의 폭력적 양육 경험, 또래 괴롭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그리고 자살사고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0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의 4차년도(2013, 중1)와 5차년도(2014, 중2) 응답(2,378명, 여자 41.7%)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폭력적 양육방식 또는 또래 괴롭힘을 경험했을 때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은 순차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폭력적 양육방식이나 또래 괴롭힘은 각각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이후 이들이 사회적으로 위축되는데 기여하며, 결과적으로 자살사고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자살사고 예방을 위해 경험적 근거에 기반하여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iolent parenting, peer victimization,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and suicidal ideation. It targeted the 4th-grade elementary school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0, and among them, the responses extracted from the 4th-5th wave (2013-2014) were used for the analysis (2,378 students, 41.7% female), using Mplus 8.4.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mediated the pathway from either violent parenting or peer victimization to suicidal ideation, respectively. Second,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sequentially mediated the pathway from either violent parenting or peer victimization to suicidal ideation. This finding contributed to establishing evidence-based practical measures to prevent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 개똥쑥 추출물에 대한 채소류의 발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

        구명화 ( Myounghwa Ku ),박병준 ( Byongjun Park ),임성진 ( Sungjin Lim ),최근형 ( Geunhyoung Choi ),오혜민 ( Hyemin Oh ),오영탁 ( Youngtak Oh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소비자가 선호하는 크기와 품질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농작물의 경우 숙기조절 기술을 통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생장조절제에 대한 농가의 수요증가로 천연물 유래 allelochemical을 중심으로 한 작물생육조절 물질개발의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똥쑥 주정 추출 물의 배추, 고추 및 상추 종자의 발아 및 육묘단계에서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육묘단 계의 생육실험에서는 각각의 작물에 개똥쑥 주정추출물을 0.1, 0.5, 1, 3, 5 및 10% 수준으로 처리 한 결과 모든 작물에서 0.1 및 0.5%의 수준에서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1% 이상의 처리구에서는 농도증가에 비례하여 생육이 억제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육묘단계 생육조절실험에서 각 작물의 엽수는 대조구와 현저한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중, 엽장, 엽폭, 근장 및 초장이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개똥쑥 주정추출물의 상추, 배추 및 고추 종자의 발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etri dish에 개똥쑥 주정추출물을 0.1, 0.5, 1, 3, 5% 농도로 각각의 종자를 25립씩 치상하여 실험 결과 상추는 3% 이상 처리수준에서 발아가 완전히 억제되었고, 배추는 1% 처리수준에서는 14%, 3% 처리수준에서는 91%, 5% 처리수준에서는 완전히 발아억제가 되었다. 고추는 0.5%와 1% 처리 수준에서는 13%, 3% 처리수준에서는 30%, 5% 처리수준에서는 완전히 발아억제가 되었다. 세 작물 모두 개똥쑥 추출물을 3% 처리수준부터 발아가 현저히 저해되었고, 5% 이상의 처리수준에서는 발아가 완전히 억제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